파천무 (1990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천무는 1990년에 방영된 KBS 2TV 사극 드라마이다. 1450년부터 1456년까지의 조선 초기, 수양대군과 사육신을 중심으로 권력 암투, 야심, 충절을 그린다. 유동근, 이순재, 김혜선 등이 출연하며, 계유정난, 사육신 사건 등을 배경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세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왕과 비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왕과 비는 조선 초 왕과 왕비들의 권력 다툼과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조선 세조를 소재로 한 작품 - 파천무 (1980년 드라마)
1980년 방영된 드라마 파천무는 전두환 군부독재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조기 종영되었으나, 1990년에 재방영되었으며, 조선 세조 시대를 배경으로 김흥기, 신구, 정애리, 윤유선, 백윤식, 남성우 등이 출연했다. - 조선 단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왕과 비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왕과 비는 조선 초 왕과 왕비들의 권력 다툼과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조선 단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파천무 (1980년 드라마)
1980년 방영된 드라마 파천무는 전두환 군부독재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조기 종영되었으나, 1990년에 재방영되었으며, 조선 세조 시대를 배경으로 김흥기, 신구, 정애리, 윤유선, 백윤식, 남성우 등이 출연했다. - 이환경 시나리오 작품 - 무풍지대
무풍지대는 일제강점기부터 5.16 군사정변 이후까지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이정재, 유지광, 김두한, 시라소니 등 주먹 세계 인물과 이승만, 이기붕 등 정치인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자유당 정권 몰락 과정에서 정치깡패들의 활약상을 묘사하여 김두한 미화 및 폭력 미화 논란과 해동검도 대중화에 기여했다. - 이환경 시나리오 작품 - 야인시대
《야인시대》는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김좌진의 아들 김두한이 거지에서 종로패 두목, 국회의원이 되는 일대기를 그린 SBS 드라마이며, 청년 김두한 액션 장면과 심영의 "내가 고자라니" 대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
파천무 (1990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제목 | 파천무 |
장르 | 사극 |
방송 채널 | KBS 2TV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기간 | 1990년 4월 2일 ~ 1990년 10월 30일 |
방송 횟수 | 50부작 |
원작 | 유주현 소설 《파천무》 |
연출 | 안영동 |
각본 | 이환경 |
고화질 방송 여부 | SD 제작 · 방송 |
관련 정보 | |
관련 기사 | 破天舞(파천무) 심리묘사 아쉬워 |
출연자 | 유동근 이순재 김혜선 |
2. 역사적 배경
2. 1. 계유정난 (1453년)
2. 2. 사육신 사건 (1456년)
2. 3. 이징옥의 난 (1453년)
3. 줄거리
드라마는 1450년부터 1456년까지 수양대군(세조)과 여진족 여인 설리, 그리고 사육신을 중심으로 조선 초기 권력을 둘러싼 암투와 야심, 충절 등을 그린 사극이다. 수양대군(유동근)은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한명회(주호성) (한명회), 신숙주(문창길) 등과 계략을 꾸미고, 김종서(이순재)는 이에 맞서 단종을 보호하려 한다. 한편, 설리(김혜선)는 김종서의 애첩이자 수양대군과도 관계를 맺으며 복잡한 운명에 휘말린다.
4. 등장 인물
4. 1. 주요 인물
- 유동근 : 수양대군 이유 역
- 이순재 : 김종서 역
- 김혜선 : 설리 역 - 여진족 여인, 김종서의 애첩
- 윤선빈 : 군주 시절의 단종 이홍위 역 (1452년~1455년, 12세~15세 시절)
- 장덕수 : 2년간 세자 시절의 단종 이홍위 역 (1450년~1452년, 10세~12세 시절)
4. 2. 조선 왕실
반효정이 혜빈 양씨 역을 맡았다. 양영준은 양녕대군 이제 역을, 백찬기는 효령대군 이보 역을 연기했다. 신은경은 단종비 정순왕후 송씨 역을 맡았다. 홍승일은 문종 이향역을 맡았다.4. 3. 수양대군 관련 인물
주호성은 한명회 역을, 문창길은 신숙주 역을, 백인철은 홍윤성 역을, 최란은 정희왕후 역을, 강태기는 권남 역을, 송종원은 양정 역을, 조민수는 연실 역을 맡아 홍윤성의 내연녀를 연기했고, 이계영은 홍달손 역을, 조재훈은 임어을운 역을 연기했다.4. 4. 김종서 및 설리 관련 인물
- 천호진은 설리의 약혼자이자 연실의 짝사랑 상대인 두미소 역을 맡았다.
- 안승훈은 김승규 역을 맡았다.
- 전병옥은 김종서의 집사장이자 설리의 심복인 배영팔 역을 맡았다.
- 김진태는 일연 스님 역을 맡았다.
- 이정웅은 이징옥 역을 맡았다.
- 김진군은 고로 역을 맡았다.
- 김윤형은 박호문 역을 맡았다.
- 김종결은 이재하 역을 맡았다.
4. 5. 조정 신료
- 고설봉 : 황희 역
- 정해창 : 정창손 역
- 강만희 : 강맹경 역
- 이한승 : 한확 역
- 임선택 : 김질 역
- 유병준 : 구치관 역
- 맹호림 : 허후 역
- 양형호 : 최항 역
- 김기진 : 기건 역
- 고희준 : 이휘 역
- 이신재 : 정인지 역
- 최헌철 : 유수 역
- 양재성 : 오로재 정종 역
4. 6. 단종 장릉 순절 절신
안평대군 이용은 차두옥이 연기하였다. 금성대군 이유 역은 장광비가 맡았다. 최승철은 하령군 이양을 연기했다. 권오현은 영양위 정종 역을 맡았다. 반문섭은 송현수 역을 연기했다. 안병경은 박팽년 역을 맡았다. 김성원은 황보 인 역을 연기했다. 이문환은 성삼문 역을 맡았다. 안대용은 유응부 역을 연기했다. 이치우는 하위지 역을 맡았다. 김시원은 이개 역을 연기했다. 이운우는 민신 역을 맡았다. 박경득은 유성원 역을 연기했다. 강민호는 김문기 역을 맡았다. 성삼문의 아버지 성승 역은 김성겸이 연기했다. 김동완은 박중림 역을, 김옥만은 박쟁 역을 맡았다. 김해권은 권절 역을 연기했다. 이일웅은 이보흠 역을 맡았다. 유병한은 조극관 역을 연기했다. 김창봉은 정분 역을 맡았다. 황건일은 김시습 역을 연기했다.4. 7. 장릉 순절 절신들의 측근
4. 8. 내시부 환관
한현배는 엄자치 역을 맡았다. 한근욱은 전균 역을, 박해상은 김연 역을 맡았다.4. 9. 그 외 인물
- 홍요섭 : 스님 역
5. 제작진
6. 방송 정보
1990년 5월 21일 ~ 1990년 10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