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산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며 숙의 홍씨의 아들이다. 봉사 안방언의 딸과 혼인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중종 재위 기간 중 김안로의 간언을 꾸짖어 물리쳤으며, 후사가 없어 견성군의 차남 계산군 이수계가 대를 이었다. 시호는 정간이며, 부인은 죽산 안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1년 출생 - 아시카가 요시즈미
아시카가 요시즈미는 호리고에 구보의 아들로 태어나 덴류지 가겐인의 후계자였으나 메이오 정변으로 쇼군이 되었고, 실권은 호소카와 마사모토에게 있었으며, 폐위 후 쇼군 복위에 실패하고 사망했다. - 1481년 출생 - 성세창
성세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사화에 연루되어 귀양 갔으며, 선조 때 신원되어 시호는 문장이다. - 1512년 사망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에 활동한 이탈리아의 상인이자 탐험가로, 신대륙 탐험과 기록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 명명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항해 기록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512년 사망 - 바예지드 2세
바예지드 2세는 1481년부터 15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을 통치했으며, 동생과의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고 영토 확장과 유대인 포용 정책을 펼쳤으나, 아들 셀림 1세에게 폐위된 술탄이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회산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회산군 |
한자 표기 | 檜山君 |
휘 | 이염(李恬) |
작위 | 조선 성종의 왕자 |
부친 | 성종 |
모친 | 숙의 홍씨 |
출생일 | 1482년 1월 2일 (양력) |
사망일 | 1512년 |
배우자 | 영원군부인 죽산 안씨 |
자녀 | 1녀 |
시호 | 정간(貞簡) |
2. 생애
숙의 홍씨(淑儀 洪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봉사(奉事) 안방언(安邦彦)의 딸과 혼인하였으나[1] 슬하에 자식은 없었다. 중종 재위 시절, 대신 김안로가 간사한 말로 임금에게 아뢰자 이를 면전에서 크게 꾸짖어 물리쳤다.[2] 1512년(중종 7) 병이 들자 중종이 어의를 보내 그의 건강을 살폈다.[3] 회산군은 후사가 없어, 중종의 명으로 견성군의 둘째 아들인 계산군 이수계(李壽誡)를 양자로 삼아 대를 잇게 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2]
3. 가족 관계
손자 : 풍성군 전(豊城君 銓, 1525 ~ ?)
손자 : 의성부정 강(義城副正 鋼, 1535 ~ ?)
손녀 : 이옥영(李玉英) - 순흥 안씨 안관(安寬)에게 출가(出嫁)
손녀 : 이옥경(李玉鏡, 1553 ~ ?) - 이경상(李慶祥)에게 출가(出嫁)
손자 : 단성군 진(丹城君 鎭, 1549 ~ ?)
손자 : 창성부수 명(昌城副守 銘, 1555 ~ ?)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성종대왕 묘지문
[2]
인물
회산군
한국학중앙연구원
[3]
서적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