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흥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완군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은신군의 양자인 남연군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 흥인군의 형제이다. 그는 흥완부정, 흥완도정을 거쳐 소의대부, 군으로 진봉되었으며,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역임했다. 순조 사후 산릉도감과 빈전의 대전관을 지냈으며, 청나라에 동지정사로 다녀오기도 했다. 그는 아들이 있었으나, 형 흥녕군의 양자로 보냈고, 선조의 서자 경창군의 후손 이재완을 사후 양자로 들였다. 1848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문간공으로 추증되었고, 1909년에는 비석이 세워졌다. 그의 묘소는 현재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있으며, 그의 의복과 부속품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생애

흥완군은 사도세자의 증손이자 남연군의 둘째 아들로, 1848년 5월 18일 사망하여 현록대부에 이르렀다. 본처 대구 서씨에게서 아들 이재원을 얻었으나 형 흥녕군의 양자로 보냈고, 사후 경창군 이주의 후손 이신응의 아들 이재완을 양자로 들였다.

1864년(고종 1년) 7월 9일 문간공(文簡公) 시호가 추증되었고, 1865년(고종 2년) 9월 14일 신정왕후의 명으로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은신군의 양자인 남연군 이구와 선공감 감역 증 우의정 민경혁의 딸 군부인 여흥 민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흥녕군 이창응은 그의 형이고, 흥선대원군 이하응과 흥인군 이최응은 그의 동생들이었다. 아버지 남연군 이구는 인평대군 이요의 7대손으로, 호적상 능원대군의 8대손이 된다. 아버지 남연군 이구가 은신군의 양자로 입양되면서 그는 사도세자의 증손자이자 낙천군의 증손자도 되며, 숙종의 일곱째 서자 연령군의 4대손도 된다.

1829년(순조 29) 1월 1일 흥완부정(興完副正)에 봉작되었다. 1831년 흥완부정에 봉작되고, 1832년 흥완도정으로 승진되었으며 효명세자가 1830년에 요절하여 동궁 효명세자묘의 수원관을 맡아보았다. 1833년 소의대부를 받고 군으로 진봉되었다. 1834년 11월 순조 사후 산릉도감과 빈전의 대전관(代奠官)으로 참여하여 1835년 상을 받았다. 1836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었다가 그해 3월 아버지 남연군이 사망하였다. 3년상을 마친 뒤 다시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고, 1844년 10월 동지정사청나라의 연경에 다녀왔다.

본처 대구 서씨에게서 아들 이재원을 얻었지만, 남연군, 은신군, 낙천군, 연령군의 제사를 받들어야 되었기 때문에, 생전 자녀 없이 죽은 형 흥녕군의 양자로 보냈다. 대신 그는 사후 선조의 아홉째 서자 경창군 이주의 후손 이신응의 아들 이재완을 사후양자로 들이게 된다. 후처인 순천 박씨에게서는 소생이 없다. 최종 관직은 현록대부에 이르렀다. 1848년 5월 18일 정침에서 사망하였다.

2. 2. 관직 생활

1829년(순조 29) 1월 1일 흥완부정(興完副正)에 봉작되었다. 1831년 흥완도정에 봉작되고, 1832년 흥완도정으로 승진되었으며, 효명세자가 1830년에 요절하여 동궁 효명세자묘의 수원관을 맡아보았다. 1833년 소의대부를 받고 군으로 진봉되었다. 1834년 11월 순조 사후 산릉도감과 빈전의 대전관(代奠官)으로 참여하여 1835년 상을 받았다. 1836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었다가 그해 3월 아버지 남연군이 사망하였다. 3년상을 마친 뒤 다시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고, 1844년 10월 동지정사청나라의 연경에 다녀왔다. 최종 관직은 현록대부에 이르렀다.

2. 3. 사망과 사후

1864년(고종 1년) 7월 9일 시호를 문간공(文簡公)에 추증하였고, 1865년(고종 2년) 9월 14일 신정왕후 조대비의 명으로 특별히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판종정경(議政府領議政 判宗正卿)에 증직되었다. 비석은 1909년(융희 3년) 2월 28일 양자 이재완이 비문을 쓰고, 신응조(申應朝)가 글씨를 썼다.

처음 묘소는 충청남도 서산군 보현동(普賢洞) 인좌에 안장되었다. 이후 두번째 부인 순천박씨가 경기도 양주군 와공면 월곡에 매장되었다가 양주군 와공면 도곡리 산 97-1 안골(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1리 안골) 금대산(金臺山)의 갓무봉 언덕으로 이장할 때, 같이 이장되어 합장되었다. 동시에 충청북도 충주에 안장되었던 본처 대구서씨의 묘소도 이장하여 그의 묘소에 합장하였다. 중종 때의 반정공신 박원종의 묘소가 근처에 있다. 완순군 이재완 역시 그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또한 완순군의 묘 아래에는 그의 양자 이재완의 아들 이달용의 묘가 있다.

3. 가족 관계

宗親중국어 흥완군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남연군
어머니군부인 여흥민씨
부인정경부인 대구 서씨군수 서탁수(徐鐸修)의 딸
부인정경부인 순천 박씨박해익(朴海翊)의 딸
흥녕군 이창응
동생흥인군 이최응
제수안동 김씨흥인군의 셋째 부인, 손녀사위 김병협의 누이
동생흥선대원왕
아들이재원흥녕군 이창응에게 출계
며느리정경부인 청송 심씨판서 심우영의 딸
며느리정경부인 김씨이재원의 후처
손자이기용이재원에게 출계
양아들이재완생부는 이신응
양손자이달용
양손자이규용
손녀이씨
손녀사위심상만본관은 청송
손녀이씨
손녀사위조준호본관은 임천
양손녀이씨
손녀사위김병협본관은 안동, 음서로 참봉 역임, 아버지는 음도사 김면근(金冕根)
양증조부사도세자
양종조부은언군
양증조부낙천군 이온
생증조부이진익
양조부은신군 이진
생조부이병원진사, 영의정추증


  • 흥완군의 손녀사위 김병협은 동생 흥인군 이최응의 세번째 부인 안동 김씨의 남동생이었다. 흥인군의 셋째 부인 안동 김씨와 흥완군의 손녀사위 김병협은 남매간이면서 처종조모-처종손녀사위 간이 된다.

4. 유물

숙명여자대학교에 그의 후손들이 소장하고 있다가 기증한 16점의 흥완군 생전 착용 의복, 관복 12점, 장신구와 기타 부속품 62점은 1983년 4월 11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21호 《흥완군 의복》으로 지정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