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배줄독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배줄독수리는 검독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로, 유라시아, 아프리카, 아시아에 걸쳐 드문드문 분포한다. 주로 단독 또는 번식 쌍으로 생활하며, 강력한 포식자로서 조류, 포유류, 파충류 등을 사냥한다. 서식지 파괴, 사냥, 감전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지역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2년 기재된 새 - 솔부엉이
    솔부엉이는 부엉이과의 새이며, 짙은 갈색 깃털과 노란색 눈을 가진 중형 올빼미로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22년 기재된 새 - 할미새사촌
    할미새사촌은 몸길이 18.5~20cm의 할미새사촌과 새로, 수컷은 회색 윗부분과 흰색 아랫부분, 암컷은 회색 머리 덮개를 가지며, 시베리아 남동부, 중국 북동부, 한반도,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로 이동하는 장거리 철새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한다.
  • 검독수리속 - 쐐기꼬리수리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뉴기니 남부에서 발견되는 쐐기꼬리수리는 쐐기 모양 꼬리를 가진 오스트레일리아 최대 맹금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 위협에 직면해 태즈메이니아 아종은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이다.
  • 검독수리속 - 흰죽지수리
    흰죽지수리는 수리과 수리속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유라시아 대륙에 걸쳐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로 이동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현재는 보존 노력을 통해 일부 회복되고 있다.
  • 아프리카의 맹금류 - 흰점어깨수리
    흰점어깨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작은 맹금류로, 북반구와 남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작은 포유류, 파충류, 새 등을 사냥하고, 나무나 바위 틈에 둥지를 짓고 1~2개의 알을 낳아 번식하며, 서식지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아프리카의 맹금류 - 수염수리
    수염수리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대형 맹금류로, 뼈를 먹기 위해 높은 곳에서 뼈를 떨어뜨려 깨뜨려 먹는 독특한 식성을 가지며, 개체 수 감소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흰배줄독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Aquila fasciata
명명자Vieillot, 1822년
이명Hieraaetus fasciatus
Aquila fasciatus
분포
Aquila fasciata 분포도
Aquila fasciata 분포
일반 정보
상태최소 관심 종
상태 기준IUCN3.1
아종A. f. fasciata Vieillot, 1822
A. f. renschi (Stresemann, 1932)
관련 정보
서식지 고도

2. 분류학

흰배줄독수리(Bonelli's eagle)는 1822년 프랑스 조류학자 루이 피에르 비에이요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보넬리수리'라는 일반명은 표본 수집가인 프랑코 안드레아 보넬리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3][4] 흰배줄독수리는 수리과(Aquilinae) 또는 깃털 달린 발목을 가진 최소 38종이 속한 부츠수리의 일원이다.[11][12]

2. 1. 계통 분류

흰배줄독수리는 수리과의 하위 단계통군이라기보다는 검독수리아과 혹은 흰점어깨수리의 개체이다.[232][233] 한때 아프리카뿔매가 흰배줄독수리와 같은 종으로 분류되었으나,[227] 두 종 간의 형태학적 차이, 생활사적 차이 및 상당한 이소적 종분화로 인해 별개의 종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두 종은 매우 유사하여 여전히 종 복합군으로 간주된다.[234][235] 2014년, DNA 연구 결과에 따라 두 종은 카생뿔매(''Aquila africana'')와 함께[236] 흰점어깨수리속에서 검독수리속으로 옮겨졌다.[237][238][239]

흰배줄독수리, 아프리카뿔매, 카생뿔매는 흰허리독수리(''Aquila verreauxii''), 거니 독수리(''Aquila gurneyi''), 쐐기꼬리수리(''Aquila audax'') 등이 속한 검독수리(''Aquila chrysaetos'') 종 복합군과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은 흰배줄독수리와 아프리카뿔매보다 몸집이 크고, 날개, 꼬리, 다리 비율(서식지 적응에 따른)과 깃털 색깔에서 차이를 보인다.

수리과의 전통적인 네 종은 검독수리 복합군과 피상적 유사성(어두운 색상, 크고 긴 날개)을 보이지만, 별도의 종 복합군으로 밝혀졌다.[227][240][241]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는 명목상 아종 외에, ''A. f. renschi''라는 아종이 소순다 열도에 서식한다. 이 아종은 몸집이 작고, 꼬리, 배, 허벅지에 더 두드러진 가로줄무늬 깃털을 가졌다. 소순다 열도의 제한적이고 고립된 서식지로 인해 ''A. f. renschi''가 별개의 종일 수 있다는 추측이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유전적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순다 열도의 다른 야생 조류 일부가 초기 인간에 의해 도입된 것처럼, 이 섬의 흰배줄독수리 역시 (고대 매사냥꾼에 의한) 초기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27][242]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검독수리속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43]

검독수리속 계통 분류


3. 분포 및 서식지

흰배줄독수리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드문드문 분포한다. 모로코의 안티 아틀라스에서 알제리 북부와 북부 튀니지의 아틀라스 산맥 하부 지역을 거쳐 북동쪽으로 북서 아프리카에 분포한다.[1][4] 아프리카 번식 지역 외에도, IUCN과 다른 단체들은 모로코 남부에서 서사하라, 모리타니를 거쳐 북서부 세네갈(드물게는 말리까지 동쪽으로)까지 해안 서아프리카에 흰배줄독수리의 반정기적인 겨울 지역을 지도화했다.[1][47][48][49] 또한, 이 종은 소말리아동아프리카에서도 나그네새로 기록되었다.[50]

남유럽에서는 포르투갈스페인의 여러 지역을 거쳐 프랑스 남부로 드문드문 분포하며,[1][51] 현재는 이탈리아사르데냐시칠리아 섬에서만 번식 조류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4][52] 동남유럽에서는 크로아티아에 고립된 개체군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북부 및 남부 마케도니아(코소보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음)와 그리스의 여러 지역(알바니아불가리아로 국경을 넘어 확산될 가능성이 있음)과 크레테를 통해 드문드문 분포한다.[1][54][55][56][57]

유럽 밖에서는 서부 및 남부 터키, 시리아(가능성은 있지만 거의 멸종) 키프로스, 레바논, 이스라엘, 서부 요르단, 북동부 이집트(시나이 반도 북부에서는 드물게), 아마도 사우디 아라비아 서부와 남부의 일부 지역, 아라비아 반도의 예멘, 오만, 아랍 에미리트 등에서 발견될 수 있다.[1][4][58][59][60][61][62][63][64][65] 중동의 다른 지역에서는 동부 이라크와 서부, 남부, 북동부 이란을 포함하며, 코페트다그 산맥의 투르크메니스탄까지 다소 확장된다.[1][4][66][67]

아시아 동부로 더 가면, 아프가니스탄 동부와 파키스탄을 포함하여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에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흔하지 않지만 네팔 근처에서는 지역적으로 흔하다. 동인도에는 없으며, 스리랑카방글라데시에만 나그네새로 나타난다.[1][4] 인도에서는 참발 계곡, 란탐보르 국립공원, 하부 쿠마운 히말라야의 치르 지대, 겨울철 바라트푸르, 라자스탄의 케올라데오 국립공원 등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4] 미얀마 중부에서 태국 북서부와 라오스 북부로 분포한다(후자의 두 곳에서는 번식보다는 방문객일 가능성이 있음). 중국 남부에서는 윈난, 광시, 광둥을 포함하며, 북쪽으로는 양쯔강까지, 드물게는 홍콩까지 분포한다.[1][4][68][69][70][71] 고립된 인도네시아 개체군 분포는 소순다 열도에 있으며, 적어도 숨바와, 티모르, 웨타르, 루앙, 플로레스를 포함하지만, 기록에 따르면 소순다 열도의 20개 섬에서 발견되었다.[4][72]

흰배줄독수리는 서식지 전역에서 주로 정착형이지만, 어린 개체는 수백 킬로미터까지 흩어질 수 있다. 때로는 이동 지점과 겨울에 번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곳에서 기록된다.[75][76] 방랑에는 영국 해협 해안 근처 프랑스에서 정규 서식지에서 북쪽으로 약 700km 떨어진 곳, 독일 레겐스부르크에서 멀리 떨어진 곳, 그리고 아마도 이탈리아 섬 개체군에서 이탈리아 북서부와 슬로베니아로의 이동이 포함된다.[4][77][78][79] 이베리아 반도 서식지에서 유래한 나그네새는 카나리아 제도에서 보고되었다.[80] 스리랑카 외에, 이 종이 아시아에서 방황하거나(또는 드물게 겨울을 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지역으로는 카자흐스탄, 한반도, 말레이시아, 베트남코친차이나가 있으며, 1996년 겨울에 얌데나 섬에서 기록되었는데, 이는 소순다 개체군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4][81][82][83][84]

흰배줄독수리는 서식지 전반에 걸쳐 유사한 유형의 서식지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지중해와 북부 인도양과 같은 큰 수역과 인접한 지역에 산다. 대서양태평양 연안, 그리고 카스피해 인근에서도 비교적 적은 수로 서식한다. 종종 바다와 대양 근처에 있지만, 대부분 상당히 건조/척박한 서식지와 매우 햇볕이 잘 드는 지역에서 발견된다. 암석 지대, 낮은 산과 구릉을 포함하여, 풍부한 절벽과 가파른 협곡을 선호하며, 울퉁불퉁하고 불규칙한 암석 지형에서 사냥하는 데 매우 능숙하다.[85] 일반적으로 낮은 가르리게와 같은 넓은 지역의 서식지, 낮은 관목 또는 흩어진 나무와 같은 더 많은 식생이 서식 범위의 일반적인 특징이지만, 때로는 더 울창한 삼림에서도 발견된다. 이러한 관목 지대는 지중해 서식지에서 먹이를 집중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4][86][87] 그러나 과도한 지면 덮개는 사냥 성공률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관목이 너무 빽빽해지면 피한다.[86][88] 지중해 지역에서 흰배줄독수리가 방문하는 숲은 일반적으로 소나무 숲 또는 경엽수림이다. 그러나 깊은 숲은 일반적으로 피한다.[4][89] 흰배줄독수리는 도시화 지역을 번식 및 먹이 활동 지역 모두에서 일반적으로 강력하게 피한다.[4] 흰배줄독수리는 추가적으로 평야나 심지어 황무지 경사면 또는 반사막으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이스라엘인도와 같이 더 습한 계곡이 사막과 교차하는 지역에서 그렇다.[4][87][90] 어린 개체는 건조한 경작지, 작은 습지 지역, 해안선 또는 놀랍게도 깊은 숲에서 임시로 서식할 수 있다.[4] 겨울에는 이러한 독수리가 반사막과 평야에서 더 낮은 고도와 더 개방된 서식지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놀랍도록 편안하게 지낼 수 있지만, 종종 큰 하구, 지, 호수와 같은 더 습한 서식지를 선호하며, 특히 이러한 지역이 기존 서식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먹이가 그러한 지역에 더 집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86]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일부, 그리고 소순다 열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흰배줄독수리가 전형적인 서식지보다 훨씬 습하고 습한 열대 우림 주변에 서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는 경사면과 절벽과 같은 더 희소하고 암석이 많은 지역뿐만 아니라 교대로 열린 모자이크와 초원에도 끌린다.[4] 일반적으로 흰배줄독수리는 유럽에서는 1500m 이하의 고도에서, 아프리카 아틀라스 산맥에서는 2000m까지, 아시아에서는 3000m까지, 심지어 부탄에서는 3750m의 고도에서도 서식한다. 히말라야 산맥에서 이 종이 주로 서식하는 고도는 1200m에서 2000m 사이이다.[4][91]

4. 형태

상글리구 외곽 지역, 공중의 어린 흰배줄독수리


성체는 대부분 깃털 가장자리가 옅으며, 털갈이 상태 및 개체별, 지역별 차이에 따라 다크 초콜릿과 유사한 차가운 색상에서 엄버 색상에 이르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옅은 가장자리는 날개덮깃에서 두드러져 전반적으로 밝은 갈색을 띤다. 성체는 날개덮깃에 다양한 크기의 불규칙적인 하얀 부분이 있으며, 거의 없거나 상부쪽으로 뻗어 있기도 하다. 성체의 꼬리는 넓고 까무잡잡한 띠와 크림빛깔의 하얀 끝 부분이 있는, 불명확하고 어두운 갈색의 얉은 줄무늬가 있는 회색이다. 성체 흰배줄독수리의 머리는 옅은 색을 지닌 어두운 갈색으로, 종종 목 쪽에 줄무늬와 하얀 부분이 있다. 아래쪽은 크림 색깔을 기본으로 다양한 크기로 산개된 까무잡잡한 어두운 계열의 줄무늬 및 물방울 무늬가 있다.[227] 성체 암컷은 성체 수컷보다 어둡고 패턴이 더 명확하며, 특히 아래쪽이 두드러진다. 흰점어깨수리에서 색깔의 성적 이형은 드물다.[227] 흰배줄독수리의 줄무늬는 보통 가슴과 위쪽 옆구리에 두드러지며 하복부는 일반적으로 민무늬이거나 희미한 표시만 있다.

4. 1. 식별

흰배줄독수리는 꽤나 큰 대형 맹금류이자 중형급 독수리이다. 흰점어깨수리속으로 분류되던 때는 해당 속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개체였지만 검독수리속으로 분류되면서 해당 속에서 가장 작은 개체가 되었다.[227][244][245] 최근 검독수리속으로 받아들여진 종 중에서, 흰배줄독수리는 토니독수리 (''Aquila rapax'')와 비슷한 크기이고, 아프리카뿔매보다는 살짝 크고 카생뿔매보다는 훨씬 크다.[227][246]

대부분의 맹금류들처럼, 흰배줄독수리도 다른 조류들과는 반대로 암컷이 수컷보다 큰 특징을 갖는 역(逆) 성적 이형성을 띠는데, 흰배줄독수리의 경우에는 암컷이 수컷보다 전반적으로 평균 10% 정도 크다.[227] 다 자란 성체의 길이는 55cm에서 74cm로 다양할 수 있다. 수컷의 날개 길이는 143cm에서 163cm이고, 암컷은 156cm에서 180cm이다.[247][248][249] 서유럽의 다 자란 수컷 성체의 많은 표본들에서 1.4kg 에서 2.24kg 범위와 함께 평균 무게가 1.94kg으로 측정되었고 (표본 91개 기준), 표본 87개 기준의 다 자란 암컷 성체의 경우는 2.1kg 에서 3.03kg 범위와 함께 평균 2.62kg으로 측정됐다.[227] 서유럽의 수컷 성체들은 부리에서 꼬리까지 평균 몸 길이가 65cm에, 평균 날개폭은 155cm이며, 암컷의 경우는 평균 각각70.7cm, 167.8cm로 확인되었다.[227]

흰배줄독수리는 중형 크기의 독수리이며 길게 뻗은 다리와 큰 발 및 발톱이 특징이다.


흰배줄독수리는 일반적으로 꽤나 긴 목에 달린 중간 크기의 머리, 단단한 부리, 꽤나 긴 꼬리와 예외적으로 긴 깃털 달린 다리의 모습을 지녔다. 흰배줄독수리의 상당히 튼튼한 체형과 긴 다리의 좋은 비율의 조합은 이 종의 형태에 대해 외관상 “탄탄하다”라는 말을 하게 해주었을 것이다.[227][252] 흰배줄독수리는 자주 매우 곧은 자세로 걸터 앉으며, 때로는 탁트인 바위와 나뭇가지 또는 기둥 모양을 한 곳에 앉기도 하나 특히 사냥을 할 때는 지피 식물 위에 앉기도 한다. 앉아 있을 때, 날개 끝이 꼬리 끝에 살짝 미치지 못하게 내려가는 경향이 있다.[227]

흰배줄독수리의 표준 길이 측정은 다음과 같다.

수컷암컷
날개폭458mm 에서 542mm (평균 480.4mm)478mm 에서 560mm
꼬리 길이237mm 에서 287mm (평균 268.1mm)246mm 에서 319mm (평균 288.5mm)
경족근골 길이93mm 에서 120mm (평균 99.5mm)93mm 에서 127mm (평균 119.1mm)
부리 길이40.4mm 에서 45.3mm (평균 43.3mm)41.3mm 에서 51.8mm (평균 46.6mm)

[227][253]

''A. f. renschi'' 종의 수컷 두 마리는 각각 wing chord 길이 444mm와 452mm로 측정되었고 같은 종 암컷 개체 한 마리는 493mm로 측정되었다.[227] 흰배줄독수리는 짧은 꼬리와 긴 날개를 지닌 개활지 독수리와 긴 꼬리와 짧은 날개를 지닌 숲 독수리 사이 중간 쯤에 꼬리와 날개 길이가 대략적으로 비례하는데, 이 점은 흰배줄독수리가 나무에서 폭발적인 속도로 민첩한 공격을 하는 것과 개활지에서 자신의 의도를 숨기고 있다가 공격을 가하는 다양한 사냥 방식을 하게 해주었다.[227][254][255] 흰배줄독수리의 발톱과 다리는 비례상 매우 크고 흰배줄독수리의 몸집에 비해 강력할 것이다. 특히나 독특한 발가락 쪽의 기다란 발톱 (거의 대부분의 수리과들이 사용하는 살상 도구) 또는 엄지 발톱은 흰배줄독수리 보다 몸집이 큰 흰죽지수리 (''Aquila heliaca'')의 발톱 보다 길고 심지어는 흰배줄독수리의 강력한 동소성 경쟁자이자, 몸집이 두 배나 큰 검독수리의 것 보다 비례상 살짝 크다.[227][256] 서유럽 개체 흰배줄독수리의 엄지 발톱의 길이는 수컷의 경우 평균 37.21mm이었고 암컷의 경우는 평균 43.1mm이었으며, 최대 47mm에 이른다.[227]

성체는 대부분의 깃털에 가장자리가 옅으며, 털갈이 상태뿐만 아니라 어느정도 개체별 및 지역별 차이에 따라서 다크 초콜릿에 유사한 차가운 색상에서 엄버 색상에 이르는 어두운 갈색이다. 옅은 가장자리는 날개덮깃에서 두드러진다 (이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밝은 갈색을 띤다). 성체는 또한 날개덮깃에 거의 없는 것에서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없지는 않음) 꽤나 크고 상부쪽으로 뻗어 있는, 다양한 크기의 불규칙적인 하얀 부분들이 있다. 성체의 꼬리는 넓고 까무잡잡한 띠와 크림빛깔의 하얀 끝 부분이 있는, 불명확하고 어두운 갈색의 얉은 줄무늬가 있는 회색이다. 성체 흰배줄독수리의 머리는 옅은 색을 지닌, 어두운 갈색으로, 종종 목 쪽에 줄무늬와 하얀 부분이 있다. 아래 쪽에는 크림 색깔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크기로 산개된 까무잡잡한 어두운 계열의 줄무늬 및 물방울 무늬가 있다.[227] 성체 암컷은 성체 수컷 보다 어둡고 좀더 패턴이 명확하고, 특히 아래 쪽이 이런 점이 두드러지며, 그외에 흰점어깨수리에서 색깔의 성적 이형은 드물다[227] 흰배줄독수리의 줄무늬는 보통 가슴과 위쪽 옆구리에 두드러지며 하복부는 일반적으로 민무늬이거나 희미한 표시만 있다.

5. 생태

흰배줄독수리는 번식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소리를 내지 않으며, 번식기에도 드물게 소리를 낸다. 주요 울음소리는 구애 행동 중이나 둥지에서 내는 크고 날카로운 비명 소리이다. 이 소리는 ''yuiii-yuiii-gii-gii'' 또는 ''heeeeii-heeeeii''와 같이 들리며, 지역이나 개체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황금독수리의 울음소리보다 멀리 퍼지며, 붉은꼬리매의 울음소리와 비슷하다.[4][38] 암컷은 수컷이 먹이를 가져다줄 때, 수컷은 공중 전시를 할 때 주로 울음소리를 낸다. 낮고 플루트 소리와 같은 ''klu-klu-klu''나 경고 시 ''ki ki ki''와 같은 소리를 내기도 하며, 둥지 근처에서는 개 짖는 소리, 콸콸거리는 소리, 으르렁거리는 소리도 보고되었다.[4]

흰배줄독수리는 지중해와 북부 인도양과 같이 큰 수역과 인접한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대서양, 태평양 연안, 카스피해 인근에도 서식한다. 대부분 건조하고 햇볕이 잘 드는, 절벽과 가파른 협곡이 풍부한 암석 지대, 낮은 산과 구릉을 선호하며, 울퉁불퉁한 암석 지형에서 사냥하는 데 능숙하다.[85] 넓은 가르리게와 낮은 관목, 흩어진 나무와 같은 식생이 있는 서식지가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울창한 삼림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관목이 너무 빽빽하면 사냥 성공률이 낮아져 피하며, 소나무 숲이나 경엽수림을 주로 방문하지만 깊은 숲은 피한다.[4][86][87][88][89]

농업 지역은 일반적으로 피한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들비둘기를 주로 먹게 되면서 농업 경작지와 기타 인간이 변형한 서식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시칠리아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화 지역은 번식 및 먹이 활동 지역 모두에서 피한다.[4][88] 평야나 황무지 경사면, 반사막으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이스라엘인도와 같이 습한 계곡이 사막과 교차하는 지역에서 그렇다.[4][87][90] 어린 개체는 건조한 경작지, 작은 습지, 해안선, 깊은 숲에서 임시로 서식할 수 있다. 겨울에는 반사막과 평야에서 더 낮은 고도와 개방된 서식지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큰 하구, 지, 호수와 같은 습한 서식지를 선호한다.[86]

소순다 열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습한 열대 우림 주변에 서식하며, 경사면과 절벽, 교대로 열린 모자이크와 초원에 끌린다.[4] 유럽에서는 1500m 이하, 아프리카 아틀라스 산맥에서는 2000m, 아시아에서는 3000m, 부탄에서는 3750m의 고도에서도 서식한다. 히말라야 산맥에서는 주로 1200m에서 2000m 사이에서 서식한다.[4][91]

흰배줄독수리는 다른 맹금류와 경쟁 관계에 있으며, 특히 황금독수리와 서식지를 공유하며 경쟁한다. 스페인에서는 황금독수리 외에도 매, 큰까마귀, 수리부엉이, 세 종의 독수리와 함께 절벽 서식지를 공유한다. 흰배줄독수리는 다른 맹금류를 사냥하기도 하며, 최상위 포식자로 분류되지만, 수리부엉이나 황금독수리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150][151][152][153] 돌담비는 둥지의 알을 훔쳐먹는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154]

5. 1. 먹이

흰배줄독수리는 매우 활동적이며, 주로 단독 또는 번식 쌍으로 생활하는 강력한 포식자이다. "담대하고 탐욕스럽다"고 묘사될 정도이다.[4]

주요 사냥 방법은 새매와 유사하다. 은신하며 사냥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숨겨진 나무 횃대나 높은 바위 지형에서 먹이 활동을 관찰한다. 먹이를 발견하면 재빨리 돌진하여 잡는데, 때로는 나무나 덤불 속으로 꼬리를 쫓는 긴 추격을 벌이기도 한다. 꼬리 추격 중에는 땅 위를 걸으며 먹이를 잡기도 한다.[4][92]

알락할처럼 땅에 가깝게 날면서 사냥하거나, 언덕을 순찰하며 먹이를 찾기도 한다. 활공 중인 높이에서 먹이를 향해 급강하하기도 한다. 땅 위나 근처의 새를 주로 잡지만, 덤불에서 잡아채거나 드물게 물에서도 사냥한다. 활동적인 비행 중인 새를 잡을 만큼 민첩하며, 갈까마귀 아래로 날아가 낚아채는 모습도 관찰되었다.[4]

평생 짝을 이룬 한 쌍이 공동 사냥을 하는 경우가 흔하다. 한 독수리가 다른 독수리 바로 위를 날면서, 한 독수리가 새 무리를 흩뜨리면 다른 독수리가 먹이를 재빨리 잡아채는 방식이다. 이는 라가르매와 유사하다. 그러나 스페인 연구에 따르면, 공동 사냥은 사냥 성공률이나 더 큰 먹이를 잡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는 공동 사냥이 먹이 획득보다는 쌍의 사회적 관계에 더 중요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4][93][94]

다른 수리에 비해, 흰배줄독수리는 먹이를 산 채로 잡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다른 맹금류의 시체나 약탈은 거의 하지 않는다.[4] 그러나 부상당한 물새나 어린 동물을 잡기도 한다.[4] 인도 케올라데오 국립공원에서는 흰배줄독수리가 알락할, 점박이수리 및 기타 ''수리''를 따라다니며 쫓겨난 물새를 잡는 모습이 관찰되었다.[4][95]

바위비둘기를 잡은 흰배줄독수리


흰배줄독수리는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서식지 전반에 걸쳐 거의 200종에 달하는 먹이가 알려져 있다. 식이 연구는 주로 서유럽에서 이루어졌지만, 키프로스인도 등 다른 지역에서도 진행되었다.[4][96] Brown & Amadon (1986)은 흰배줄독수리의 먹이 크기 범위를 황금 독수리 및 무투수리와 거의 동일하다고 보았다.[4]

주로 조류포유류를 사냥하며, 파충류 등은 지역적, 산발적으로 섭취한다. 서유럽에서는 유럽 토끼와 붉은다리자고새를 전문적으로 사냥하지만, 비둘기, 큰갈매기, 까마귀류도 지역에 따라 많이 섭취한다.[4] 펠릿 분석이 흰배줄독수리의 식습관을 파악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97]

포식 능력에도 불구하고, 잡는 먹이의 평균 크기는 맹금류 평균 범위 내이며, 아프리카매사촌보다 평균적으로 작은 먹이를 잡는다.[4] 스페인 시에라 모레나에서는 평균 630g, 그리스에서는 877g으로 추정되었다.[98][99] 그러나 스페인 후속 연구에서는 평균 먹이 크기가 더 낮아졌으며, 수컷은 416g, 암컷은 459g으로, 비둘기의 중요성 증가와 토끼 감소 때문으로 추정된다.[4] 평균적으로 먹이 크기는 흰배줄독수리 자체 무게의 약 20–45%이다.[4][100] 스페인 후속 연구에서는 사냥 성공률이 약 28.5%로, 황금 독수리 (20%)나 검은점수리 (24%)보다 높지만 큰점박이수리 (34%)보다는 낮았다.[4]

유럽 토끼는 서유럽에서 흰배줄독수리의 주요 먹이이다.


유럽 토끼는 대부분의 유럽 흰배줄독수리에게 가장 중요한 먹이 종이다.[4] 스페인 카탈루냐에서는 먹이의 22.54%(생물량의 33.3%), 프랑스 프로방스에서는 16.4%를 차지했다.[101][102] 서유럽의 세 번째로 큰 연구에서는 비둘기보다 개체 수는 적었지만, 생물량 기여도는 33.2%로 가장 컸다.[103] 그리스 에게해 섬에서도 주요 먹이였으며, 개체 수로는 40.8%, 생물량으로는 46.6%였다.[4]

스페인에서는 어린 흰배줄독수리의 약 3/4가 거의 독점적으로 토끼를 사냥했다.[104] 흰배줄독수리는 토끼가 덮개 밖으로 나와 먹이를 찾는 것을 잡기 위해 관목 지대에 자주 유인된다. 어린 토끼와 1년생 토끼는 성체 토끼에 의해 개방된 장소로 내몰려 흰배줄독수리 등에게 자주 선택된다. 토끼는 어린 토끼가 흩어지는 여름에 더 흔하게 잡힌다.[4][105] 포르투갈 남서부에서는 잡힌 토끼의 86.2%가 성체였다.[4] 잡힌 대부분의 토끼는 500g에서 1500g 사이(어린 토끼에서 작은 성체 크기)이며, 스페인에서의 평균 무게는 857g이었다.[4]

스페인 남동부 연구에 따르면 흰배줄독수리는 번식기 동안 약 337마리, 비번식기 동안 237마리의 토끼를 사냥하여 토끼 개체 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최대 2.5% 미만).[4] 점액종증과 토끼 출혈열로 인해 야생 토끼 개체군이 50~70% 감소했으며, 흰배줄독수리에 의해 잡힌 개체 수도 최대 1/3까지 감소했지만, 비번식기에도 토끼를 찾아 사냥했다.[106][107]

그라나다 산토끼, 유럽 멧토끼, 인도 멧토끼 등 다른 토끼과 동물도 사냥한다.[4][108][109]

흰배줄독수리가 모빙당하는 모습, 파키스탄. 집까마귀는 흰배줄독수리의 일반적인 포식자이다.


노랑발갈매기는 서유럽에서 흔한 먹이였다. 프랑스 프로방스에서는 토끼 다음으로 많은 수로, 식단의 14.6%를 차지했다.[4] 다른 갈매기 외에도 도요새, 밭종다리, 물떼새, 바다제비, 가마우지, 왜가리 등 다양한 물새도 먹는다.[4][112][113]

물새의 크기는 48g의 알락도요와 174g의 논병아리부터 3.18kg의 붉은부리황새, 3.31kg의 회색기러기(인도에서는 부상당한 상태), 5.5kg의 유럽 두루미까지 다양하다.[4][114][115]

12종 이상, 최대 1.1kg의 큰까마귀 크기의 까마귀과는 여러 지역에서 상당한 수로 사냥된다.[4] 프랑스 프로방스에서는 유럽뜸부기와 쇠까마귀가 각각 10.17%, 9.95%를 차지했다.[4] 포르투갈에서는 유럽어치가 7.5%를 차지했지만 생물량으로는 2.7%였다.[4] 조지아에서는 유럽뜸부기가 12.3%(주로 어린 개체), 검은까마귀가 10.76%를 차지했다.[116] 그리스 에게해 제도에서는 검은까마귀가 14.1%, 터키 남쪽 키프로스에서는 쇠까마귀가 7.6%를 차지했다.[4]

뻐꾸기, 칼새, 가슴아목, 유럽밤나방, 벌잡이새, 유럽비단벌레, 후투티, 딱따구리, 앵무새 등도 사냥한다.[4][117][118] 까마귀과 외에는 종달새(조지아에서 거의 11%), 할미새사촌, 제비, 덤불새, 딱새, 개똥지빠귀, 풀밭지빠귀, 찌르레기, 멧새, 핀치, 집참새 등을 사냥한다.[4][119][120][121]

총 130여 종의 조류가 사냥될 수 있으며, 조류는 거의 항상 식단의 가장 풍부한 부분을 차지한다. 프랑스 남부에서는 생물량의 69.5%와 80.97%, 조지아에서는 67.7%, 스페인 카탈루냐에서는 62.6%를 차지한다.[4]

토끼 외 다른 포유류는 조류만큼 중요하거나 다양하지 않다. 붉은다람쥐는 거의 모든 서유럽 연구에서 보고되었으며, 프랑스 프로방스 지역에서 약 130마리가 포획되었다.[4] 검은쥐그리스 남동쪽 섬에서 중요한 이차 식량원이었으며, 키프로스에서 두 번째, 에게해 제도에서 다섯 번째로 중요한 먹이 종이었다.[4] 모로코 등 북서 아프리카에서는 뚱보모래쥐가 지역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먹이 중 하나였다.[122]

다른 설치류로는 다람쥐, 사막쥐, , 들쥐, 동면쥐, 장님쥐 등이 있다.[4][123][124][125][126] 고슴도치 외 추가적인 포유류 먹이는 드물지만 비교적 클 수 있다. 블랙벅, 친카라, 집염소, 집양 등 유제류 새끼를 공격한다.[4][127] 에게해 제도에서는 산 채로 잡힌 염소 새끼가 먹이의 8.5%, 둥지 생물량의 24.3%를 차지했다.[4]

육식동물 중에서는 붉은여우, 들고양이(새끼일 가능성), 바위담비, 족제비 등을 공격하며, 성체 벵갈여우가 인도에서 잡힌 기록이 있다.[4][128]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포유류는 각각 34.8%, 26.1%, 조지아에서는 15.4%를 차지했다.[4]

파충류는 일반적으로 이차 먹이다. 보다는 도마뱀을 선호한다. 키프로스에서 별아감마는 5.9%, 조지아에서는 미확인 *Lacerta* 도마뱀이 10.76%(전체 파충류는 16.9%)를 차지했다. 228g의 얼룩도마뱀은 스페인 카탈루냐에서 생물량의 3.97%, 수적으로 7.05%를 차지했다.[4] 사막모니터 등 다양한 모니터 도마뱀이 인도의 여러 지역에서 주요 먹이 중 하나였다.[4] 부차적인 먹이로는 두꺼비양서류가 있다. 곤충무척추동물은 부수적으로 섭취될 수 있다.[4]

5. 2. 사냥 전략

흰배줄독수리는 다른 여러 독수리 및 경쟁 포식자와 같은 지역에서 자주 발견된다. 유럽 지역에서 중동까지 가장 직접적인 경쟁자는 훨씬 더 큰 사촌인 황금독수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서식지 선호도는 이 두 독수리 사이에서 겹치며, 두 종 모두 바위가 많은 서식지를 선호하지만, 황금독수리는 고산 초원이 있는 약간 더 높은 고도에 정기적으로 서식한다.[4] 특히 시에라 모레나와 같은 지역인 스페인에서 두 독수리 간의 경쟁이 보고되었다. 두 종은 서로 상호 영토에서 배제했으며 광범위하게 먹이를 공유했다. 그러나 흰배줄독수리는 더 많은 새를 사냥했고, 황금독수리는 더 단독적으로 토끼를 사냥했다. 2200km2 면적의 지역에서 둥지 간의 평균 거리는 황금독수리 8쌍의 경우 10.2km였고, 흰배줄독수리 10쌍의 경우 11.4km였다. 두 종은 영토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히 넓은 지역에서 공존할 수 있는데, 이는 영양 분화(크기에 따른 분화 및 흰배줄독수리의 조류 기반 식단)와 번식기의 지연으로 가능하며, 이러한 자연적인 메커니즘은 두 종이 산에서 공존할 수 있게 해준다.[4][129]

다른 맹금류들이 흰배줄독수리와 경쟁 관계에 있지만, 종내의 경쟁이 가장 두드러진다. 여기 성체가 영역에서 벗어난 어린 개체를 쫓아내고 있다.


황금독수리가 드물지 않게 어린 흰배줄독수리와 아성체를 공격하고 쫓아내고 크기가 더 커서 행동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체 수 감소 이후 흰배줄독수리가 영역을 확장하고 개체수를 안정시키는 능력을 저해할 것으로 추정된다.[130][131][132][133][134] 더 동쪽인 이스라엘에서도 흰배줄독수리와 황금독수리가 경쟁 관계에 있다. 건조하고 황량한 네게브 사막에서 황금독수리 둥지는 13.1km 간격으로 발견되었고 흰배줄독수리는 드물었다. 연간 강수량이 더 많고 먹이가 더 풍부한 유대 사막에서는 황금독수리 둥지 사이의 평균 거리가 16km였고 흰배줄독수리가 쉽게 더 많았다. 분명히 흰배줄독수리는 서식지의 미묘한 지형적 변화로 인해 여기서 더 큰 사촌보다 훨씬 더 경쟁력이 있었다.[4]

스페인에서 흰배줄독수리는 황금독수리 외에도 매, 큰까마귀, 수리부엉이 및 세 종의 독수리와 함께 절벽 서식지를 공유한다. 독수리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더 작은 육식 조류, 심지어 더 빠른 매보다 우위를 점하는 경향이 있다.[135] 그러나 훨씬 더 큰 검독수리는 다른 맹금류의 영토와 둥지를 정기적으로 차지하는 자였으며, 황금독수리, 수염수리이집트독수리를 둥지에서 쫓아냈을 뿐만 아니라 연구 지역에서 흰배줄독수리가 지은 23개의 둥지 중 9개를 차지했다.[136] 빠른 매에 대한 이전의 "우위" 주장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에서 매가 (정기적인 괴롭힘과 급강하 폭격으로 추정되는) 흰배줄독수리 둥지를 차지한 사례가 적어도 세 번 관찰되었다.[137]

유럽 토끼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광범위한 포식자를 가지고 있으며, 한때 인구 밀도가 높았던 이 토끼를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진 30종 이상의 서로 다른 종이 있다.[4] 흰배줄독수리와 황금독수리의 겹치는 영역 외에도, 토끼를 광범위하게 사냥하는 대부분의 다른 맹금류는 서식지 선호도, 사냥 기술 및 시간적 활동의 차이로 인해 잠재적인 경쟁으로 인한 고갈 효과로부터 분리된다. 전문적인 포유류 포식자인 이베리아 스라소니 외에도, 야생 토끼의 가장 전문적인 포식자 중 일부는 흰배줄독수리, 황금독수리, 스페인제국독수리 및 수리부엉이이다.[4][139][140][141] 비교 연구에 따르면 황금독수리의 식단은 토끼가 40%를 차지한 반면, 수리부엉이는 49%, 스페인제국독수리는 50%, 흰배줄독수리는 61%를 차지했다.[142] 잡힌 토끼의 평균 크기는 조류 포식자의 크기에 따라 다소 증가한다: 북방애호크의 경우 662g, 흰배줄독수리의 경우 857g, 수리부엉이의 경우 1000g, 황금독수리의 경우 1360g.[4][144][145]

북방애호크, 황금독수리 및 수리부엉이와 함께 흰배줄독수리는 다른 포식자를 사냥하는 습성 때문에 유럽 지역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간주된다. 다른 맹금류와 달리, 흰배줄독수리는 애호크(연구에서 다른 주행성 맹금류의 가장 흔한 포식자), 황금독수리(중간 포식자 포유류의 가장 흔한 포식자) 및 수리부엉이(다른 부엉이의 가장 흔한 포식자)에 비해 고위 포식자 지위에 있는 경우가 다소 드물다.[146] 그러나 흰배줄독수리는 다른 주행성 맹금류의 비교적 흔한 포식자이며, 전반적인 분석에 따르면 유럽에서 황금독수리보다 그러한 먹이를 다소 더 규칙적으로 잡았다.[4][147]

흰배줄독수리가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매과에는 인도점박이수리, 유럽꿀벌매, 붉은솔개, 검은솔개, 검은머리물떼새, 몽타규갯지렁이, 개구리매, 새매, 시크라, 북방애호크, 넓적부리솔개 및 말똥가리가 있다.[4] 매의 경우 유럽비둘기, 작은매 및 매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엉이의 경우 쇠부엉이, 애기부엉이, 큰귀부엉이, 짧은귀부엉이 및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적어도 한 번의 경우, 성체 수리부엉이를 잡아먹는 것이 관찰되었다.[4][149]

일반적으로 최상위 포식자로 분류되지만, 경쟁 환경에서 최상위 포식자의 대부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흰배줄독수리는 때때로 종간 살해 및 포식의 희생자가 되기도 한다.[150] 수리부엉이는 몇 번 흰배줄독수리의 둥지 새끼를 잡아먹고, 적어도 한 번은 성체를 잡아먹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51][152] 한 경우, 아성체 수컷 황금독수리가 성체 수컷 흰배줄독수리를 잡아먹었다.[153] 돌담비 또한 스페인에서 둥지의 포식자(독점적으로 알 도둑)로 간주된다.[154]

5. 3. 번식

보넬리수리는 대부분의 맹금류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며, 대개 평생 짝을 이룬다.[155] 영역은 공중 과시를 통해 유지되는데, 여기에는 울음소리, 단독 또는 상호 고도 선회, 그리고 가장 빈번하게는 둥지 지역에서의 공중 춤이 포함된다. 이 종의 공중 춤 동안, 한 쌍의 수리 중 하나가 거의 날개를 접은 채로 높은 고도에서 머리부터 급강하한 후, 날개를 뻣뻣하게 펴서 다시 상승하고 선회하여 원래 고도를 회복한 다음 다시 급강하한다. 공중 춤 시퀀스는 최대 5~10번까지 반복될 수 있다. 드물지만 영역 배타가 영토를 가진 새와 침입자 간의 발톱 싸움으로 확대되기도 한다.[4][156] 공중 과시는 부화 기간과 초기 둥지 시기에도 빈도가 줄어들면서 이어진다.[4]

잠발 강 남쪽 둑에서 짝짓기를 하는 모습, 우타르프라데시, 인도.


흰배줄독수리 알, 비스바덴 박물관 소장품


''Aquila fasciata'' – MHNT


흰배줄독수리의 번식기는 서식지 서부에서는 1월 말/2월부터 7월까지이며, 인도 아대륙미얀마에서는 11월~8월/9월(12월~5월에 절정)이다. 짝을 이룬 두 개체 모두 번식 전 최대 2~3개월 동안 둥지 주변에 머물 수 있다. 둥지는 나뭇가지와 막대기로 만들어진 거대한 구조물로, 이 종보다 두 배나 큰 독수리가 만드는 둥지보다 약간 작을 뿐이며, 일부 대형 독수리의 오래된 둥지만큼 깊지는 않다. 종종 둥지가 앉아있는 암컷을 완전히 가려 둥지를 같은 높이 이상에서 보지 않는 한 보이지 않는다. 둥지 크기는 너비가 평균 1.8m까지, 깊이가 60cm까지 될 수 있지만,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둥지가 양방향으로 2m까지 커질 수 있다(인도에서 기록된 최대 둥지의 크기는 높이가 2.4m였다). 나무 둥지는 절벽 선반에 놓인 둥지보다 평균적으로 더 큰 경향이 있다.[4] 기르 숲에 있는 한 둥지는 30년 동안 주기적으로 사용되었다.[4] 활성 둥지에 녹색 식물을 깔기도 하지만, 다른 많은 맹금류에 비해 그 빈도가 적고 드물다.[4]

둥지를 트는 곳은 종종 절벽 선반 위나, 대형 나무의 지상 5m에서 40m(보통 10m 이상) 위에 위치한다.[4] 매우 드물게는 건물의 가장자리에 둥지를 틀 수도 있다.[161] 선택된 나무는 종종 특정 지역에서 가장 높거나 잎이 무성한 나무이다.[4] 이들의 가까운 친척인 아프리카 검독수리는 일반적으로 나무에 둥지를 틀며, 흰배줄독수리와 같이 절벽이나 다른 둥지 사이트를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4]

서유럽에서는 흰배줄독수리가 절벽에 둥지를 트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포르투갈 남서부에서는 나무 둥지가 최대 52개까지 기록되었다. 포르투갈의 둥지를 트는 독수리들은 종종 침입종인 타스마니아 블루 검(44.2%)을 사용했고, 그 외 21.2%는 코르크 오크를 사용했으며, 딸기 나무와 같은 큰 관목에도 둥지를 틀었다. 포르투갈 나무 둥지의 평균 높이는 23.9m였다. 포르투갈 연구에 따르면 나무 둥지의 67.3%가 언덕 경사면에 있었고, 가장 낮은 가지의 평균 높이는 4.5m였으며, 둘 다 포식자 방지 조치로 추정된다.[4] 2017년까지, 나무 둥지 사용의 확산은 포르투갈 남서부 개체수를 상당히 증가시켰다.[163] 1990년대에, 흰배줄독수리가 비교적 많이 서식하는 스페인카탈루냐에서 최초의 나무 둥지가 발견되었으며, 프랑스 남부에서도 또 다른 단일 나무 둥지가 발견되었다.[164][165]

인도에서 흰배줄독수리는 나무 둥지와 절벽 둥지를 쉽게 오가는 것으로 보인다. 마하라슈트라와 서고츠와 같은 지역의 독수리는 일반적으로 나무에 둥지를 트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데칸 반도, 인도-갠지스 평원 및 히말라야 산기슭에서는 독수리가 절벽과 붉은 실크 면화, 보리수, 자바 자두 또는 ''달베르기아'' spp.를 포함한 높은 나무에 번갈아 가며 둥지를 틀었다. 인도의 흰배줄독수리는 방해만 적다면 사우라슈트라와 히말라야 산기슭과 같이 인간 거주지 근처에도 둥지를 틀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종종 마을 근처의 큰 키르 소나무에 둥지를 튼다. 파키스탄에서는 이 종이 해안 절벽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도 사막 지대에서는 흰배줄독수리가 경사가 완만한 비교적 낮은 바위 언덕을 사용하여 둥지 선반에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다.[4][166] 키프로스에서는 둥지의 70%가 평균 해발 625m의 터키 소나무에 있었다.[4] 종종 이 독수리는 수년간 같은 둥지를 사용하지만, 다른 둥지를 번갈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종은 자신의 영역에 1개에서 5개 사이의 둥지를 짓는다. 다른 맹금류와 마찬가지로 다른 둥지의 존재는 둥지 내 외부 기생충 감염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일 수 있다.[4] 새로운 둥지를 짓는 데는 대략 한 달의 시간이 걸린다.[4]

포란 크기는 보통 2개이지만, 드물게 1개의 알만 낳는 경우도 있다. 3개의 알을 낳는 경우는 드물지만, 현재 이와 같은 기록이 몇 건 있으며, 둥지에서 3마리의 큰 어린 독수리가 기록된 경우도 있다.[167][168] 알은 대부분 흰색이지만, 갈색 반점과 줄무늬가 드물게 나타난다. 120개의 알을 표본으로 측정한 결과, 알의 높이는 62mm에서 76.5mm로 측정되었으며, 평균 69mm이고, 지름은 48mm에서 57.3mm로 평균 54mm였다.[4] 산란일은 프랑스에서는 2월에서 4월 사이에, 북아프리카에서는 1월에 최고조에 달하며, 인도의 경우 12월에서 4월 사이, 때로는 5월까지 (예: 히말라야 산맥)이다.[4]

부화 기간은 유럽에서는 37~41일이지만, 열대 지역인 인도 아대륙에서는 40~45일로 더 길게 추정된다.[4] 부화는 주로 암컷이 담당하며 (약 90%의 시간), 수컷은 주로 먹이를 포획한다.[4] 부화 후, 어린 독수리는 처음에는 미숙한 상태이다. 첫 번째 깃털은 25~35일 사이에 흰색 솜털을 통해 나타나기 시작하여 45일쯤 되면 몸을 거의 덮는다. 후기 단계에는 어린 독수리가 스스로 먹이를 먹을 수 있지만, 학습 능력은 다양할 수 있다. 훈련 기간은 생후 56~65일 (드물게 70일)이다.[4] 스페인에서 훈련 시 평균 연령은 63일로 추정되었다.[169]

암컷은 첫 번째 부화 후 처음 2주 동안 약 90%의 시간을 품어주지만, 이 기간이 끝나면 50%로 감소한다. 암컷은 다른 맹금류를 포함하여 둥지 근처에 오는 잠재적 포식자를 공격한다. 인도 아대륙에서는 동양꿀벌매, 뱀독수리, 수염수리 뿐만 아니라 ''Gyps'' 독수리, 동종 및 까마귀를 둥지 근처에서 쫓아내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북부 평원 회색 랑구르의 존재는 격렬한 방어 공격을 유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아프리카 매사냥이와 달리 보넬리수리는 둥지에서 인간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4] 수컷은 때때로 육아에 참여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드물게 어린 독수리에게 먹이를 주기도 한다.[4]

둥지 근처에 머무르는 완전히 훈련된 어린 독수리.


흰배줄독수리의 생애 주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분산 단계이다. 분산 및 분산 후 단계는 서유럽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놀랍게도 개체 간의 많은 변이가 발견되었다. 여기서 분산은 평균 142일(때로는 최대 163일)에 발생했으며, 둥지에서 정착 지역까지의 분산 거리는 50km에서 536km로 다양했다. 프랑스에서의 평균 분산 거리는 158km였다. 이러한 무선 추적 연구에 따르면 47마리에서 7마리의 새끼 중 58%에서 87%가 생존했다.[174][175][176] 어린 흰배줄독수리의 먼 거리 분산은 유전자 흐름에 잠재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177][178][179]

흰배줄독수리가 어린 새끼에게 자고새를 먹이는 모습.


흰배줄독수리의 번식 성공률은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많은 맹금류와 마찬가지로, 동생 잡아먹기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맏이는 종종 어린 동생을 공격하여 죽이거나 드물게는 먹기도 한다. 둥지의 약 20%에서 둘째 병아리가 살아남기 때문에, 이 종은 절대적인 동생 잡아먹기가 아닌 임의적인 동생 잡아먹기로 분류된다. 증거에 따르면, 먹이 공급, 서식지 교란, 악천후와 같이 자주 상호 관련된 외부 스트레스 요인이 적용될 때 난생과 부화가 더 비동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 모든 요인은 동생 잡아먹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4][186]

6. 위협 요인 및 보존

흰배줄독수리는 서식지 대부분의 지역, 특히 서유럽키프로스에서 사냥꾼, 사육사, 비둘기 애호가들로부터 심각한 박해를 받아왔다. 21세기에도 총격과 독살이 계속되고 있다.[203] 서식지 변화 및 파괴(예: 도로 개발, 집약적인 농업, 건조한 밭의 관개), 먹이 감소, 둥지 지역의 인간 방해 등도 지속적이고 증가하는 위협이다.[204] 심지어 휴가를 즐기는 사람들과 같은 인간 활동도 독수리가 서식지를 변경하게 만들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5]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스페인에서 죽은 채로 발견된 424마리의 흰배줄독수리 중 55%는 감전, 26%는 독살 및 총격으로 사망했다. 성체는 주로 박해로, 어린 개체는 대부분 감전으로 사망했다.[206] 카탈루냐와 스페인 중부에서는 사망 원인의 50%와 86%가 감전이었고, 레반테, 스페인과 그린 스페인에서는 박해가 더 심각했다(사망의 52%와 43%).[206] 서식지 포기는 종간 경쟁이 아닌 인간의 영향 및 박해와 관련 있었다.[207] 시칠리아에서는 서식지 단편화와 농업의 집약화가 주요 위협 요인으로 예상된다. 과거에는 알 수집가들이 감소를 악화시켰지만, 최근에는 이 행위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4][208] 크레타에서는 박해로 죽은 흰배줄독수리가 적었지만, 낮은 개체수를 고려할 때 사격과 독살로 인한 죽음은 지속 불가능하다.[209]

위험한 고압선과의 충돌로 인한 감전은 지속 불가능할 정도로 높은 사망률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다. 스페인의 한 연구 지역에서는 어린 개체의 56%, 성체의 13%가 감전으로 사망했다. 프랑스에서는 방사선 추적된 어린 개체의 44%가 감전으로 사망했다.[210][211][212] 스페인의 풍력 발전소는 서식지 변화와 사망의 잠재적 원인이지만, 황금 독수리보다는 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213] 부상당한 작은 동물의 총알에서 나온 납 중독은 이 종의 깃털에서 높은 납 수치와 관련되어 있다.[214] 서유럽과 북동 아프리카의 연구는 이들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 과거 거점 지역에서 개체수 병목 현상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215]

유럽에서 흰배줄독수리의 개체 수 회복에 가장 중요한 예측 요인은 적절한 서식지 보존과 영토를 가진 독수리와 영토가 없는 독수리의 생존율 증가이다.[216][217] 2008년 스페인에서는 전력선 충돌 위험 감소와 박해 감소가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조치로 제안되었다.[4][218][219] 연구에 따르면 독수리 서식 지역의 전주를 27%만 개조해도 조류 사망률이 99% 감소할 수 있다.[4] 2015년 보고에 따르면, 생물학자들은 지역 당국과 협력하여 위험한 전력선을 절연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지역 인구 증가율이 빠르게 증가했다(0.82에서 0.98). 그러나 이 연구는 감전 감소와 함께 차량 충돌과 같은 다른 원인으로 인한 인위적 사망률의 증가를 보여주었다.[220]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영토를 가진 독수리와 영토가 없는 독수리 사망률의 0.28과 0.64가 여전히 감전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221] 스페인 연구자들은 보충 먹이를 제공하여 새끼를 성공적으로 낳을 확률을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222]

참조

[1] 간행물 Aquila fasciata 2019
[2] 보고서 IOC World Bird List 10.2 http://www.worldbird[...] World Bird Names 2020
[3] 서적 Whose Bird? Men and Women Commemorated in the Common Names of Birds Christopher Helm
[4] 논문 The original description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Vieillot (Aves: Accipitridae) 2015
[5] 논문 The birds of India (Vol. 1) 1862
[6]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7] 학술지 Prey density, prey detectability and food habits: the case of Bonelli's eagle and the conservation measures https://linkinghub.e[...] 2005-05
[8] 학술지 Predator–prey relationships in a Mediterranean vertebrate system: Bonelli's eagles, rabbits and partridges http://link.springer[...] 2012-03
[9] 학술지 Living on the Edge: Assessing the Extinction Risk of Critically Endangered Bonelli's Eagle in Italy 2012-05-25
[10] 논문 '[Bonelli''s Eagle in a state of emergency]' 2005
[11] 학술지 Phylogeny and new taxonomy of the Booted Eagles (Accipitriformes: Aquilinae) https://www.mapress.[...] 2017-01-09
[12] 학술지 Mitochondrial pseudo-control region in old world eagles (genus Aquila ) https://onlinelibrar[...] 2002-10
[13] 학술지 The Genera of Booted Eagles: Aquila and Relatives http://www.jstage.js[...] 1982
[14] 서적 Handbook of birds of the world. Vol. 2. New World vultures to guineafowl 1994
[15] 논문 African Hawk-Eagle Aquila spilogaster 2005
[1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diurnal raptor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marker genes 2004
[17] 학술지 A multi-gene phylogeny of aquiline eagles (Aves: Accipitriformes) reveals extensive paraphyly at the genus level https://repository.s[...]
[18] 논문 The eagle genus Hieraaetus is distinct from Aquila, with comments on the name Ayres' Eagle 2012
[19] 논문 AERC TAC's taxonomic recommendations 2010
[20] 서적 The Golden Eagle https://books.google[...] A&C Black
[21] 학술지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http://www-personal.[...] 2006-12-27
[22] 학술지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renschi in the Lesser Sundas, Wallacea: distribution, taxonomic status, likely origins and conservation status http://orientalbirdc[...] 2013
[23] 서적 Birds of prey of the Indian subcontinent Om Books International 2007
[24]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The Wellfleet Press 1986
[25]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2008
[26] 학술지 Sex Differentiation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in Western Europe using Morphometrics and Plumage Colour Patterns http://www.bioone.or[...] 2013-12
[27]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aptor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8] 서적 Birdwatching in Donana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6-04-04
[29]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 Press
[30] 논문 Birds of the Soviet Union, vol. 1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Jerusalem 1966
[31]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Washington, DC 2005
[32]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Together with Those of Bangladesh, Nepal, Bhutan and Sri Lanka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33] 논문 How do large raptorial birds hunt their prey? 1940
[34] 서적 Eagles of the World Universe Books 1977
[35] 학술지 Age and Sex Size Variation in Golden Eagles https://www.usask.ca[...] 2008-10-31
[36] 서적 "''The Book of Indian Birds''"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37] 서적 "''The raptors of Europe and the Middle East: a handbook of field identification''" T & AD Poyser
[38] 서적 "''Guida degli uccelli d'Europa, Nord Africa e vicino oriente''" Ricca Editore
[39] 서적 "''Flight identification of European raptors''" A&C Black
[40] 서적 "''[[Flight Identification of Raptors of Europe,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Bloomsbury Publishing
[41] 서적 "''Sasol Birds of Prey; New Edition''" Struik
[42] 서적 Behavioural Ecology of Raptors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43] 서적 "''Birds of prey of southern Africa: Their identification and life histories''" Croom Helm
[44] 간행물 "XVIII.—Bird-Notes from Morocco and the Great Atlas"
[45] 간행물 "Notes on the bird-life of eastern Algeria"
[46] 서적 "''The birds of Libya''"
[47]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western Africa''" Princeton, NJ
[48] 논문 Severe decline of large birds in the Northern Sahel of West Africa: a long-term assessment 2006
[49] 웹사이트 "Species account: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http://www.globalrap[...] 2020-08-12
[50] 간행물 "First records for Somalia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Short-toed Snake Eagle Circaetus gallicus and Red-breasted Wheatear Oenanthe bottae"
[51] 간행물 "[Large raptors in Languedoc-Roussillon (SE France): past, present and future]"
[52] 간행물 "Osservazioni di rapaci diurni in Sardegna"
[53] 서적 Yearbook of the Italian Parks 2005
[54] 간행물 "Rare birds in Croatia. Third report of the Croatian Rarities Committee"
[55] 간행물 "Status and conservation problems of birds of prey in Greece"
[56] 간행물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Vieillot, 1822) on the Island of Krk"
[57] 간행물 "Bonelli Eagle (Hieraaetus fasciatus V.) in Yugoslavia"
[58] 서적 "Birds of Syria" M. Kasparek Verlag
[59] 간행물 "Demographics of the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population in Cyprus"
[60] 간행물 "Revised checklist of the birds of Lebanon 1999–2007"
[61] 서적 "The birds of Israel (Vol. 692)" London: Academic Press
[62] 문서 "Status and occurrence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Turkey and Eastern Mediterranean–A Population Estimate"
[63] 간행물 "Important bird areas of the United Arab Emirates"
[64] 논문 "Observations on a newly detected breeding site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south-eastern Anatolia" http://www.tandfonli[...] 2003
[65] 간행물 "Breeding birds in central Arabia 1978-2003"
[66] 간행물 "Notes on habitat and distribution of montane birds in southern Iran"
[67] 간행물 "[Materials on breeding of th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Kopetdagh, Turkmenistan]"
[68] 간행물 "Some recent bird records from northern Thailand"
[69] 간행물 "A record of th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Thailand"
[70]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Avifauna of Hong Kong Hong Kong Bird Watching Society 2001
[72] 간행물 The birds of Adonara, Lesser Sundas, Indonesia 2002
[73] 웹사이트 Homo sapiens facilitated establishment of Bonelli's eagle in the Mediterranean 50,000 years ago, study finds https://phys.org/new[...] Miguel Hernández University of Elche 2024-05-21
[74] 논문 Wildlife following people: A multidisciplinary assessment of the ancient colonization of the Mediterranean Basin by a long-lived raptor 2024
[75] 간행물 Observacion de Hieraaetus fasciatus en una corriente migratoria otonal de rapaces en Ceuta 1980
[76] 간행물 Aigle de Bonelli 1994
[77] 간행물 Habichtsadler Hieraaetus fasciatus bei Regensburg 1979
[78] 간행물 Le comparse dell'aquila di Bonelli Aquila fasciata in Italia nord-occidentale: eventi eccezionali o normale erratismo 2011
[79] 간행물 Opazovanje kraguljega orla Hieraaetus fasciatus junija 1997 pri Predjamskem gradu 1997
[80]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the Atlantic islands Christopher Helm 2006
[81] 서적 The birds of Kazakhstan A. Wassink 2007
[82]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2000
[83] 간행물 New additions to the list of birds of Vietnam 2001
[8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West Malaysia and Singapo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85] 간행물 Rapaci Mediterranei III: Atti del Quarto Colloquio Internazionale sui Rapaci Mediterranei 1987
[86] 논문 Factors affecting large-scale distribution of the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in Spain 2009
[87] 논문 Identifying key habitats for the conservation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using radiotracking 2016
[88] 논문 Multiscale analysis of habitat selection by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in NE Spain 2016
[89] 논문 Habitat preferences of Bonelli's Eagles Aquila fasciata in Sicily 2012
[90] 학위논문 Aspects in the ecology and biodynamics of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homeyeri) in the arid regions of Israel 1989
[91] 논문 L'évolution des peuplements d'oiseaux le long d'un gradient altitudinal dans l'Himalaya central https://www.persee.f[...] 1980
[92] 간행물 '[Prey capture and aerial acrobatics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icatus]' 1995
[93] 간행물 Why Bonelli's Eagles hunt in pair: an assessment of individual and paired hunting successes 1995
[94] 논문 Attack success in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https://ornisfennica[...] 2014-07-01
[95] 학위논문 The general ecology of raptors in Keoladeo National Park, Bharatpur 1988
[96] 간행물 The diet of th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Cyprus World Working Group on Birds of Prey/MME
[97] 논문 Attack success in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https://ornisfennica[...] 2014-07-01
[98] 논문 Relaciones interespecificas y coexistencia entre el Águila Real (Aquila chrysaetos) y el Águila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en sierra Morena central 1981-12-01
[99] 간행물 Diet and breeding success of th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Greece: preliminary data
[100] 서적 Trophic Structure of Raptor Communities: A Three-Continent Comparison and Synthesis http://link.springer[...] Springer US 1993
[101] 학위논문 Study of the Feeding Ecology of Bonelli's Eagle: Effects of Diet on Body Condition, Vital Rates and Demography 2014
[102] 간행물 Aigle de Bonelli (Hieraaetus fasciatus) : présentation de l'espèce et des causes de son déclin 2010
[103] 논문 Why do raptors take domestic prey? The case of Bonelli's eagles and pigeons 2006-12
[104] 논문 The feeding ecology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floaters in southern Spain: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http://link.springer[...] 2011-08
[105] 논문 Predation upon European Rabbits and Their Use of Open and Closed Patches in Mediterranean Habitats https://www.jstor.or[...] 1997-11
[106] 논문 Non-breeding feeding ecology of territorial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in the Iberian Peninsula https://www.ardeola.[...] 2007
[107] 논문 Large-scale spatio-temporal shifts in the diet of a predator mediated by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of its main prey https://onlinelibrar[...] 2009-08
[108] 서적 The birds of Greece Christopher Helm 1997
[109] 학위논문 "Ecología espacial del águila de Bonelli (Aquila fasciata) en Aragón"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Departamento de Zoología y Antropología 2017
[110] 논문 Diet and habitat affinities in six raptor species in India 2018-12
[111] 논문 Using Stable Isotopes To Determine Dietary Patterns In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Nestlings http://www.bioone.or[...] 2011-12
[112] 간행물 "Analyse du régime alimentaire de l'Aigle de Bonelli Hieraaetus fasciatus (Vieillot, 1822) pendant la saison de reproduction 2010 en France" Université de Barcelone – Equip de Biologia de la Conservació, 1: 95–101 2012
[113] 논문 Older and wiser: improvements in breeding success are linked to better foraging performance in European shags https://besjournals.[...] 2007-06
[114] 논문 Status and ecology of the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us , in the Pentadaktylos Mountain Range, Cyprus (Aves: Falconiformes) http://www.tandfonli[...] 2013-06
[115] 논문 "Response of the crane Grus grus to potential predators in traditional wintering areas" 1998
[116] 서적 Birds of prey of Georgia Materials towards a Fauna of Georgia Issue VI. Tbilisi. 2013
[117] 논문 Factors affecting natal and breeding magpie dispersal in a population parasitized by the great spotted cuckoo https://linkinghub.e[...] 2012-03
[118] 간행물 "[An unusual prey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a Budgerigar, Melopsittacus undulatus]" Faune de Provence, 8: 82-83 1987
[119] 간행물 "Selección de presa por el Águila-azor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durante el periodo de nidificación en la provincia de Granada (SE de España)" Ardeola, 45(2), 151–160 1998
[120] 간행물 "Bonelli's Eagle: Records of predation on Varanus griseus and Ptyonoprogne concolor by Aquila fasciata in Agolai, Jodhpur, India" ZOO'S PRINT, 33(5) 2018
[121] 간행물 "Informe preliminar sobre alimentación de aves rapaces en Navarra y provincias limítrofes" Ardeola, 19(2), 249–256 1974
[122] 간행물 "Spanish Imperial Eagles and other eagles found electrocuted in Morocco and proposition of correction measures"
[123] 간행물 "Plan national d'actions en faveur de l'Aigle de Bonelli, Aquila fasciata (2014–2023)" "Ministère de l'environnement et du développement durable et de l'energie" 2013
[124] 논문 Notes on the Bird-Life of Eastern Algeria https://onlinelibrar[...] 1915-01
[125] 논문 Danger underground and in the open – predation on blind mole rats ( R odentia: S palacinae) revisited https://onlinelibrar[...] 2016-07
[126] 논문 The role of the southern water vole A rvicola sapidus in the diet of predators: a review https://onlinelibrar[...] 2015-01
[127] 간행물 "Bonelli's Eagle (Hieraatus fasciatus) killing a Blackbuck (Antilope cervicapra) fawn" Journal of Raptor Research, 27(4), 218–219 1993
[128] 논문 Predation of the Weasel (Mustela nivalis) by diurnal raptors https://www.secem.es[...] 2016-12-31
[129] 논문 The Coexistence of the Eagles Aquila chrysaetos and Hieraaetus fasciatus Increases with Low Human Population Density, Intermediate Temperature, and High Prey Diversity http://www.bioone.or[...] 2009-08
[130] 간행물 "Golden eagles take up territories abandoned by Bonelli's eagles in Northern Spain" Journal of Raptor Research, 24, 124–125 1990
[131] 간행물 "El Águila Perdicera en la provincia de Córdoba" Quercus, 154: 48–49 1998
[132] 학위논문 "Ecología de una población de Águila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del sureste ibérico: plan de conservación" Tesis doctoral. Universidad de Granada. Granada. 2000
[133] 논문 Demography and habitat availability in territorial occupancy of two competing species https://onlinelibrar[...] 2005-01
[134] 간행물 "[Notes o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and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Alauda, 41: 203–212 1973
[135] 간행물 "The effect of intra- and interspecific interactions on the large-scale distribution of cliff-nesting raptors" Ornis Fennica, 85 (1): 13–21 2008
[136] 논문 Griffon Vultures Gyps fulvus occupying eyries of other cliff-nesting raptors http://www.tandfonli[...] 1991-03
[137] 논문 Possible functions of alternative nests in raptors: the case of Bonelli's Eagle http://link.springer[...] 2008-04
[138] 간행물 "Nidificacion de cárabo común Strix aluco en nido abandonado de aguila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Butlleti del Grup Catala d'Anellament, 15: 43–45 1998
[139] 논문 Rabbits as a keystone species in southern Europe https://www.scienced[...] 2007-06-01
[140] 논문 Wild rabbit restocking for predator conservation in Spain https://linkinghub.e[...] 2004-07
[141] 간행물 The eagle owl ( Bubo bubo ) as a leporid remains accumulator: taphonomic analysis of modern rabbit remains recovered from nests of this predator https://onlinelibrar[...] 2009-09
[142] 서적 Owls of the Northern Hemisphere The MIT Press 1988
[143] 간행물 Biases in diet sampling methods in the Spanish Imperial Eagle Aquila adalberti 2008
[144] 간행물 Goshawk diet in a Mediterranean area of northeastern Spain
[145] 간행물 Selective Predation by Eagle Owls Bubo bubo on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Age and Sex Preferences https://www.jstor.or[...] 1989-05
[146] 간행물 Superpredation patterns in four large European raptors https://esj-journals[...] 2011-01
[147] 간행물 Kill before being killed: an experimental approach supports the predator-removal hypothesis as a determinant of intraguild predation in top predators http://link.springer[...] 2011-09
[148] 간행물 On the breeding biology of the Indian Spotted Eagle Aquila hastata 2013
[149] 간행물 A case of predation of a Eurasian Eagle-Owl by a Bonelli's Eagle 2016
[150] 간행물 Multi-scale effects of nestling diet on breeding performance in a terrestrial top predator inferred from stable isotope analysis 2014
[151] 간행물 "De´couverte des restes d'un aigle de Bonelli Hieraaetus fasciatus juvenile dans une aire de Hibou Grand-duc Bubo bubo en Provence" 1987
[152] 간행물 Eagle owl (Bubo bubo) predation on juvenile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1990
[153] 간행물 An adult mal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eaten by a subadult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2007
[154] 간행물 Selección de hábitat de nidificación por el Águila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en Granada (SE de España) 1996
[155] 간행물 "[On the intimacy of a pair of Bonelli's Eagles in Provence]" 1986
[156] 간행물 A critical review of cartwheeling flights of raptors 1993
[157] 간행물 Interannual home range variation, territoriality and overlap in breeding Bonelli's eagles (Aquila fasciata) tracked by GPS satellite telemetry 2013
[158] 간행물 Differential spatial use and spatial fidelity by breeders in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2016
[159] 학위논문 Microhabitat factors affecting nest site selection and breeding success of tree-nesting Bonelli's Eagles (Aquila fasciata) 2011
[160] 간행물 Influence of prey densities in the distribution and breeding success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management implications 2000
[161] 간행물 Physical, environmental and human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in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Granada (SE Spain) 2003
[162] 간행물 SELECTION OF NEST CLIFFS BY BONELLI'S EAGLE (HIETUS FASCIATUS) IN SOUTHEASTERN SPAIN 1999
[163] 간행물 The role of conservative versus innovative nesting behaviour on the 25-year population expansion of an avian predator 2017
[164] 간행물 Primer cas de nidificació en arbre d'âliga Perdiuera (Hieraaetus fasciatus) a Catalunya 1994
[165] 간행물 "[First case in France of tree nesting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1991
[166] 서적 The nests and eggs of Indian birds (Vol. 1) Superintendent of Printing 1873
[167] 간행물 Pontes de trois oeufs et elevage de trois jeunes chez Hieraaetus fasciatus 1979
[168] 간행물 Bonelli's Eagle triplets 1984
[169] 간행물 Post-nestling dependence period in th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1998
[170] 간행물 Food storage by Bonelli's Hawk-eagle Hieraaetus fasciatus 1990
[171] 간행물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the post-fledging period in the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2005
[172] 간행물 Factors influencing length of the post-fledging period and timing of dispersal in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southwestern Spain 2001
[173] 간행물 "[Dependence of young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after fledging: individual variation]" 1990
[174] 간행물 Survival and movements of satellite-tracked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during their first winter 2005
[175] 뉴스 Aguilas perdiceras mueren en los tendidos del suroeste de Granada mientras se dispersa 1999
[176] 논문 Dispersion des aigles de Bonelli Hieraaetus fasciatus juvéniles bagués en France 1996
[177] 논문 Natal dispersal and recruitment of two Bonelli's Eagles Aquila fasciata: a four-year satellite tracking study 2009
[178] 논문 Satellite telemetry reveals individual variation in juvenile Bonelli's eagle dispersal areas 2010
[179] 논문 '[Wandering in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France]' 1990
[180] 논문 Communal roosting in young Bonelli's Eagles (Aquila fasciata) 2011
[181] 간행물 Il Coordinamento Tutela Rapaci e le azioni di protezione dell'Aquila di Bonelli, Aquila fasciata, in Sicilia Treviso 2012
[182] 논문 Aquila di Bonelli (Hieraaetus fasciatus), Status e biologia riproduttiva in Sicilia 2000
[183] 논문 Siblicide in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2016
[184] 논문 Datos sobre la distribución, reproducción y alimentación del águila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Vieillot, en la provincia de Alicante 1990
[185] 논문 Competencia entre aguila real y aguila perdicera en Granada 1994
[186] 논문 Offspring quality and the evolution of cainism 1988
[187] 논문 Cannibalism in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2014
[188] 간행물 Protective management of eagles by reduction of nestling mortality Vienna 1975
[189] 논문 How long is too long? A case of fostering nestling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The Raptor Research Foundation, Inc. 2004
[190] 논문 Successful replacement clutches in European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2009
[191] 논문 '[A replacement clutch by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1990
[192] 논문 Influence of climate on Bonelli's eagle's (Hieraaetus fasciatus V. 1822) breeding success through the Western Mediterranean 2003
[193] 논문 Nidificación de águilas perdiceras sobre árboles en Portugal 1994
[194] 논문 Linking density, productivity and trends of an endangered species: The Bonelli's eagle in Spain 2009
[195] 논문 Raptors in Bosnia and Herzegovina-their status and perspectives for monitoring development 2012
[196] 논문 Resultados del censo nacional de aguila perdicera 1991
[197] 논문 Efficiency of a protected-area network in a Mediterranean region: a multispecies assessment with raptors 2011
[198] 간행물 Demografía y conservación de una población de Águila Perdicera Hieraaetus fasciatus en declive 1998
[199] 간행물 Conservation of threatened raptor populations in Israel Tel Aviv Univ 2001
[200] 논문 The UAE's rarer breeding birds 1998
[201] 논문 Bird diversity of the Amrutganga Valley, Kedarnath, Uttarakhand, India with an emphasis on the elevational distribution of species 2016
[202] 간행물 The birds of Gujarat – a Sálim Ali centenary year overview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and Oxford University Press, Mumbai, India 2003
[203] 간행물 The present situation of birds of prey in Portugal 1985
[204] 논문 Identification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habitats using visual following (methodology and expected results) 1999
[205] 논문 Holidays? Not for all. Eagles have larger home ranges on holidays as a consequence of human disturbance 2019
[206] 논문 Causes of death in different areas for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Spain 2001
[207] 논문 Factors influencing the decline of a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population in southeastern Spain: demography, habitat or competition? 2002
[208] 논문 Positive demographic effects of nest surveillance campaigns to counter illegal harvest of the Bonelli's eagle in Sicily (Italy) 2018
[209] 간행물 Causes of raptor mortality in Crete Budapest 2004
[210] 논문 Strategies to identify dangerous electricity pylons for birds 2001
[211] 논문 "Incorporating spatial structure and stochasticity in endangered Bonelli's eagle's population model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2008
[212] 논문 "Raptor mortality by electrocution in power lines in eastern Sierra Morena and Campo de Montiel (Spain)" 1998
[213] 논문 "Potential impact of wind farms on territories of large eagles in southeastern Spain" 2010
[214] 논문 "From sport hunting to breeding success: Patterns of lead ammunition ingestion and its effects on an endangered raptor" 2018
[215] 논문 "Low mitochondrial DNA diversity in the endangered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from SW Europe (Iberia) and NW Africa" 2007
[216] 논문 "Predicting the implications of conservation management: a territorial occupancy model of Bonelli's eagle in Murcia, Spain" 2002
[217] 간행물 "Guidelines for the conservation of Bonelli's eagle populations" Equip de Biologia de la Conservació, Departament de Biologia Evolutiva, Ecologia i Ciències Ambientals, Facultat de Biologia & Institut de Recerca de la Biodiversitat (IRBio), Universitat de Barcelona 2016
[218] 논문 "Modell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power lines in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and its conservation implications" 2010
[219] 논문 "Predicting and correcting electrocution of birds in Mediterranean areas" 2010
[220] 논문 "Retrofitting of power lines effectively reduces mortality by electrocution in large birds: an example with the endangered Bonelli's eagle" 2015
[221] 논문 "Electrocution threatens the viability of populations of the endangered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in Southern Europe" 2015
[222] 논문 "[First results of artificial feeding of three pairs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sciatus in Provence]" 1989
[223] 웹사이트 Aquila fasciata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https://dx.doi.org/1[...] 2019
[224] 서적 "Whose Bird? Men and Women Commemorated in the Common Names of Bird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2003
[225] 논문 "The original description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Vieillot (Aves: Accipitridae)" 2015
[226] 서적 "The birds of India (Vol. 1)" 1862
[227]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1
[228] 논문 "Prey density, prey detectability and food habits: the case of Bonelli’s eagle and the conservation measures" 2005
[229] 논문 "Predator–prey relationships in a Mediterranean vertebrate system: Bonelli’s eagles, rabbits and partridges" 2012
[230] 논문 "Living on the edge: assessing the extinction risk of critically endangered Bonelli’s Eagle in Italy" 2012
[231] 논문 "[Bonelli's Eagle in a state of emergency]" 2005
[232] 논문 "Phylogeny and new taxonomy of the Booted Eagles (Accipitriformes: Aquilinae)" 2017
[233] 논문 "Mitochondrial pseudo‐control region in old world eagles (genus Aquila)" 2002
[234] 서적 "African Hawk-eagle" Lynx Edicions, Barcelona, Spain 1994
[235] 서적 "African Hawk-Eagle Aquila spilogaster" Trustees of the John Voelcker Bird Book Fund, Cape Town, South Africa 2005
[236] 웹사이트 Old IUCN Red List https://www.iucnredl[...] IUCN Red List 2019-04-04
[237] 저널 "A multi-gene phylogeny of aquiline eagles (Aves: Accipitriformes) reveals extensive paraphyly at the genus level" https://repository.s[...] 2005
[238] 논문 "The eagle genus Hieraaetus is distinct from Aquila, with comments on the name Ayres’ Eagle" 2012
[239] 논문 "AERC TAC’s taxonomic recommendations" 2010
[240] 서적 "The Golden Eagl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0
[241] 저널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http://www-personal.[...] 2020-05-02
[242] 논문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renschi in the Lesser Sundas, Wallacea: distribution, taxonomic status, likely origins and conservation status" 2013
[243] 문서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
[244] 서적 "Birds of prey of the Indian subcontinent" Om Books International 2007
[245]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The Wellfleet Press 1986
[246]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2008
[247] 논문 Sex Differentiation of Bonelli's eagle Aquila fasciata in Western Europe using Morphometrics and Plumage Colour Patterns 2013
[248]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aptor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9
[249] 서적 Birdwatching in Doñana 2016
[250] 서적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251] 서적 Birds of the Soviet Union, vol. 1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Jerusalem 1966
[252]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2005
[25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Together with Those of Bangladesh, Nepal, Bhutan and Sri Lanka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254] 논문 How do large raptorial birds hunt their prey? 1940
[255] 서적 Eagles of the World Universe Books 1977
[256] 논문 Age and sex size variation in Golden Eagles 1984
[257] 서적 The Book of Indian Birds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