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죽지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죽지수리는 수리과 수리속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이다. 성체의 크기는 전체 길이 68~90cm, 날개 길이 1.76~2.2m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주로 검은 갈색 깃털을 가지며, 머리와 목에 황금빛 황갈색을 띤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포유류, 조류, 파충류 등을 먹는다. 숲과 개활지 경계 지역을 선호하며, 삼림 벌채, 둥지 나무 감소, 사냥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새 - 큰고니
큰고니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동아시아와 유럽 남부에서 겨울을 나는 대형 철새로, 핀란드 국조이며 수생식물을 주식으로 하는 넓은 수역 서식종이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아르메니아의 새 - 뿔종다리
뿔종다리는 *Eremophila alpestris* 학명의 작은 새로, 전 세계에 다양한 아종으로 분포하며, 모래색 깃털과 검은색, 흰색 무늬, 머리 볏을 가지고, 건조하고 탁 트인 지역에 서식하며, 땅에 둥지를 짓고 씨앗, 곡물, 곤충 등을 먹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상징 - 쌍두수리
쌍두수리는 고대 근동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국가와 단체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알바니아, 세르비아 등의 국장과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스포츠 클럽 엠블럼으로도 활용된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상징 - 황제 찬가
황제 찬가는 요제프 하이든이 작곡한 곡으로,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2세의 생일에 처음 연주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가사가 변경되었고 다양한 음악 작품에 사용되었다.
흰죽지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포 지역 | 유럽 남동부 중동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
보호 상태 | |
IUCN | 취약 (VU) |
CITES | 부속서 I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분류 체계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수리목 |
과 | 수리과 |
아과 | 검독수리아과 |
속 | 검독수리속 |
종 | 흰죽지수리 |
학명 | |
학명 | Aquila heliaca Savigny, 1809 |
형태 | |
![]() |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아시아황제수리 (Asian imperial eagle) 동부황제수리 (Eastern imperial eagle) 황제수리 (Imperial eagle) |
영어 이름 | imperial eagle (황제수리) |
한국어 이름 | 흰죽지수리 |
중국어 이름 | 白肩雕 (bái jiān diāo, 흰 어깨 수리) |
몽골어 이름 | ᠬᠠᠨ ᠪᠦᠷᠭᠦᠳ (Qan Bürgüd) |
일본어 이름 | (katasirowasi, 흰 어깨 수리) |
독일어 이름 | Kaiseradler (카이저아들러, 황제 수리) |
터키어 이름 | Şah kartal |
러시아어 이름 | Могильник |
벵골어 이름 | এশীয় শাহী ঈগল |
아랍어 이름 | ملكة العقبان الشرقية |
페르시아어 이름 | عقاب شاهی |
베트남어 이름 | Đại bàng đầu nâu |
2. 계통 분류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검독수리속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86]
{| class="wikitable"
|-
! 검독수리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초원수리
|-
|
{| class="wikitable"
|-
| 황갈색수리
|-
|
스페인흰죽지수리 |
흰죽지수리 |
|}
|}
|-
|
{| class="wikitable"
|-
| 검독수리
|-
|
{| class="wikitable"
|-
| 카생뿔매
|-
|
{| class="wikitable"
|-
|
모루칸검독수리 |
쐐기꼬리독수리 |
|-
|
{| class="wikitable"
|-
| 흰허리독수리
|-
|
흰죽지수리는 황금독수리(''Aquila chrysaetos'')보다 더 가늘고 덜 육중하며 강력해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비례적으로 더 큰 머리와 더 긴 목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일부 지역에서는 암컷 흰죽지수리가 더 작은 수컷 황금독수리와 비슷한 크기와 체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종은 할룩스 발톱(맹금류가 살상 도구로 사용하는 확대된 뒷발톱)의 크기로 확실하게 구별될 수 있는데, 황금독수리 종에서 일관적으로 더 크다. 두 마리의 암컷 흰죽지수리의 할룩스 발톱 길이는 38mm에서 43mm로 측정되었고, 수컷의 경우 약 35.5mm였지만, 어린 수컷 아메리카 황금독수리의 가장 작은 발톱은 44.9mm이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종은 넓은 분포를 보이는 황금독수리 사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서식지(드문 아프리카 겨울 서식지를 제외하고)에서 부츠를 신은 독수리 종 중 가장 크고, 가장 큰 부위(즉, 발목, 꼬리 및 부리 길이)와 가장 강력하다.[3]
|}
|}
|}
|}
|}
|}
|}
DNA 연구에 따르면 흰죽지수리는 초원수리(''Aquila nipalensis'')와 황갈색수리(''Aquila rapax'')와 같은 중간 크기의 다른 ''Aquila''와 함께 하위 그룹에 속하며, 스페인흰죽지수리의 근연종일 가능성이 높다.[15]
3. 형태
어린 흰죽지수리는 독특한 황갈색 바탕에 갈색 줄무늬가 있는 고유한 조합으로 다른 종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 아성체 흰죽지수리는 나이가 많은 미성숙한 큰점박이수리(''Clanga clanga'')와 혼동될 수 있지만, 후자는 덜 대비되는 패턴을 가지며, 더 옅은 숄이 없고, 밀집된 비행 깃털을 가지고 있다. 성체 큰점박이수리는 어린 흰죽지수리와 비슷한 날개 아래 대비를 보이지만, 깃털 특징 외에도, 훨씬 작은 머리, 약간 작은 전체 크기, 상대적으로 더 넓고 짧은 날개로 인해 더욱 뚜렷하게 구별된다. 어린 흰죽지수리와 더 유사한 것은 큰점박이수리의 ''fulvescens'' 변종으로, 이는 상당히 드물지만 비슷하거나 심지어 옅은 황갈색이다. 그러나 이 점박이수리 변종은 어린 흰죽지수리의 아래쪽 갈색 줄무늬가 없고, 날개 덮개와 망토, 때로는 얼굴 깃털에서도 훨씬 더 어두운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의 동일한 언급된 차이점으로 더욱 구별될 수 있다.[3] 인도점박이수리(''Clanga hastata'')는 어린 흰죽지수리와 같은 옅은 작은 날개 아래 덮개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훨씬 작으며 다른 모든 비율과 깃털 특징에서 다르다.[3]
흰죽지수리는 날개가 훨씬 덜 넓고 훨씬 더 평평하게 유지되어 황금독수리와 쉽게 구별된다. 흰죽지수리와 달리 황금독수리는 날개를 위로 향하게 하고 날개가 점차 가늘어지는 모양을 갖는 경향이 있다. 황금독수리에서는 꼬리가 일반적으로 더 좁고 사각형으로 보인다. 더 가까이에서 보면, 흰죽지수리의 머리와 목 뒤쪽의 옅은 부분은 황금독수리의 황금빛 목덜미를 연상시킬 수 있지만, 항상 훨씬 더 옅고 분필 같은 색을 띠며, 어두운 깃털과 강하게 대조되며 더 광범위하다.[3]
어린 초원수리(''Aquila nipalensis'')에 비해, 어린 흰죽지수리는 초원수리와 달리 날개 아래 흰색 띠가 나타나지 않는다. 초원수리는 옅은 전체 색상과 어린 흰죽지수리의 대조적인 갈색 줄무늬가 없다. 깃털 마모는 두 종의 날개 모양을 서로 닮게 만들 수 있지만, 흰죽지수리의 더 큰 머리와 덜 콤팩트한 프레임은 비행 프로필을 뚜렷하게 만든다.[3]
흰죽지수리가 아프리카 겨울 서식지에서 만나는 유일한 더 어두운 대형 부츠를 신은 독수리는 베로독수리(''Aquila verreauxii'')인데, 이 종은 크기와 비율이 황금독수리를 연상시킨다. 베로독수리는 거의 모든 깃털 특징에서 다르며 바닥에서 조여지는 훨씬 더 가늘어진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황금독수리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강한 이중각으로 나는 경향이 있다.[3]
아시아에서 흰죽지수리의 비율과 크기는 팔라스물수리(''Haliaeetus leucoryphus'')를 연상시킬 수 있으며, 두 종은 강하게 역광이 비치는 조건에서 그들의 분명히 다른 깃털을 가릴 때 잠재적으로 오인될 수 있다.[3] 흰죽지수리의 큰 머리와 평평한 날개 모양은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를 암시할 수도 있지만, 그 종은 일반적으로 몸집이 더 크고 머리가 더 크며 날개가 훨씬 더 넓고 꼬리가 비례적으로 짧다.[3] 검은독수리(''Aegypius monachus'')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상을 띠고 있어 혼동 종으로 제안되었지만, 흰죽지수리보다 훨씬 크고 다른 비율(날개가 훨씬 넓고, 머리가 비례적으로 작고, 꼬리가 짧음)을 가지며 흰죽지수리 깃털의 대조적인 옅은 부분이 없다.[3]
3. 1. 성체
황제 수리는 대형 수리이지만, 일반적으로 몸집이 큰 속인 ''Aquila''의 평균 크기에 가깝다. 성체의 전체 길이는 68~90cm이며 날개 길이는 일반적으로 1.76~2.2m이다.[3][16][17] 소규모 표본의 평균 날개 길이는 수컷이 평균 1.95m이고 암컷은 2.07m였다.[18] 외관상으로는 다른 면이 비슷하지만, 이 종은 대부분의 맹금류와 마찬가지로 수컷이 암컷보다 작은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황제 수리의 경우, 암컷은 선형으로 최대 10% 더 크고 어떤 경우에는 체중이 40% 더 무겁다.[3][19]
체중의 경우, 한 조사에서 수컷 5마리의 체중은 2.45~2.72kg이고 암컷 5마리의 체중은 3.26~4.54k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황제 수리 표본의 평균 체중은 수컷이 2.62kg이고 암컷이 3.9kg이었다.[3][20][21] 알 수 없는 크기의 표본에서 수컷은 평균 2.88kg, 암컷은 평균 3.38kg이었다.[22][23] 추가로 성숙한 암컷 2마리는 평균 3.56kg이었다.[3]
표준 측정값 중 수컷은 날개 현 길이가 540~622mm, 꼬리 길이가 260~308mm, 부척 길이가 91~98mm이다. 한편 암컷은 날개 현 길이가 565~665mm, 꼬리 길이가 270~330mm, 부척 길이가 97~107mm이다.[3] 황제 수리 표본의 부리 길이는 65.7~76.5mm였다.[24]
일반적으로, 분류학적 그룹의 다른 종과 비교하여 황제 수리는 비교적 길고 두꺼운 목, 큰 머리와 부리(눈의 중앙과 일치하는 입선), 길고 사각형 팁의 꼬리, 다소 길고 잘 깃털이 덮인 다리와 강한 발을 가지고 있다. 이 종은 노출된 나무 가지나 낮은 언덕, 바위, 건초 더미 또는 유사한 편리한 곳에 비교적 똑바로 앉는 경향이 있다. ''수리'' 수리의 경우, 인간의 존재에 대해 덜 부끄러워하고 더 대담한 것으로 보인다.[3]
성체의 깃털은 주로 타르와 같은 검은 갈색이지만, 머리, 뒷목 및 목 측면에 잘 구분되고 매우 대조적인 크림색에서 황금빛 황갈색을 띤다. 또한, 성체는 어깨에 굵은 흰색 "견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앉아있는 새에서 일반적으로 눈에 띈다. 성체의 꼬리는 회색 바탕에 가늘게 어두운 줄무늬가 있고 넓은 검은색 종말 밴드가 있는 반면, 흰색 꼬리 팁은 갓 털갈이를 한 성체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밑꼬리 덮개는 때때로 희미하게 창백하고 녹슨 색에서 크림색으로 나타나며 회색 꼬리 기저부와 결합하여 창백한 뒷면을 나타낸다.[3][25][26] 휴식 시 날개 끝은 꼬리 끝에 닿는 경향이 있다.[27]
비행 시 황제 수리는 ''수리''의 경우 매우 튀어나온 목과 "거대한" 머리와 부리를 가진 큰 맹금류이다.[3] 다른 작은 맹금류에 비해 긴 날개는 상당히 넓게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수리'' 수리에 비해 평행한 가장자리가 있는 비교적 좁은 날개이다.[3] 비행 스타일은 비교적 무겁지만 깊고 강력한 박자를 가진 꾸준한 비행이며 처음 이륙할 때 종종 서투르다.[3] 그들은 앞쪽으로 누른 편이지만 평평한 날개로 활공하는 경향이 있으며, 바깥쪽 날개 깃털은 때때로 위로 구부러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수리''와 같이 V로 날지 않는다. 이 종은 활공을 하는 동안에도 날개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가속하면 날개를 뒤로 아치형으로 할 수 있다.
비행 시 위에서 보면 성체는 작은 흰색 버팀대, 미세한 어두운 줄무늬가 있는 회색 꼬리, 매우 넓은 검은색 종말 밴드와 함께 어두운 갈색을 보인다. 성체는 본질적으로 아래에서 보면 어두운 색상이며, 어두운 회색 비행 깃털(검은 날개 끝에 반대), 회색 크리섬 및 가늘게 줄무늬가 있는 회색 꼬리 기저부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밝은 빛과 적절한 거리에서만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3][29][30]
흰죽지수리는 일반적으로 황금독수리(''Aquila chrysaetos'')보다 더 가늘고 덜 육중하며 강력해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비례적으로 더 큰 머리와 더 긴 목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일부 지역에서는 암컷 흰죽지수리가 더 작은 수컷 황금독수리와 비슷한 크기와 체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분명히 이 종은 할룩스 발톱(맹금류가 살상 도구로 사용하는 확대된 뒷발톱)의 크기로 확실하게 구별될 수 있는데, 황금독수리 종에서 일관적으로 더 크다. 두 마리의 암컷 흰죽지수리의 할룩스 발톱 길이는 38~43mm로 측정되었고, 수컷의 경우 약 35.5mm였지만, 어린 수컷 아메리카 황금독수리의 가장 작은 발톱은 44.9mm였다.[3][3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종은 넓은 분포를 보이는 황금독수리 사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서식지(드문 아프리카 겨울 서식지를 제외하고)에서 부츠를 신은 독수리 종 중 가장 크고, 가장 큰 부위(즉, 발목, 꼬리 및 부리 길이)와 가장 강력하다. 유사한 독수리, 예를 들어 ''Aquila''와 ''Clanga'' 속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비교했을 때 그렇다.[3] 남아시아의 겨울 서식지에서 이 종은 물수리와 경쟁하며 가장 크고 지배적인 독수리 종이다.[3]
일반적으로, 성체 흰죽지수리의 깃털은 매우 독특하다. 중앙 유라시아의 다른 성체 ''수리'' 독수리보다 훨씬 더 어둡다. 또한, 그들의 서식지에 있는 다른 모든 유라시아 독수리는 날개 망토에 흰 반점이 없고 회색을 띤 꼬리 아래쪽도 없다.[3]
전체 길이는 73~83cm이다.[180] 날개 길이는 수컷 57~61cm, 암컷 61~67cm이다.[180] 날개폭은 190~210cm이다.[180] 전신은 검은 갈색이며,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덜미까지는 황갈색이다.[180] 어깨 깃털의 일부와 덮깃은 흰색이다.[180]
3. 2. 어린 새
어린 흰죽지수리는 주로 창백한 황갈색에서 모래색 노란색을 띠며, 목에서 가슴, 망토, 어깨 깃털 및 앞날개 덮개까지 다소 짙은 갈색 줄무늬가 있다.[3] 어깨 깃털과 앞날개 덮개는 때때로 눈에 띄는 흰색 팁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 덮개는 뚜렷하게 더 갈색이고, 큰 덮개는 검은색이며, 넓은 크림색-노란색 팁이 있어 뚜렷한 날개 띠를 형성한다.[3] 어린 새의 비행 깃털과 꼬리는 종종 검은색이고 흰색 팁이 있지만, 허리의 흰색 부분에서 꼬리 덮개까지는 중앙에만 가볍게 줄무늬가 있고 앉아 있을 때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3] 줄무늬가 있는 가슴 아래 부분은 나머지 어린 새의 아랫부분과 같이 밋밋한 창백한 황갈색이다.[3]
2년 차에는 아랫면의 갈색 줄무늬가 더 밋밋한 모래색으로 흐려지고 날개의 창백한 띠도 흐려지기 시작한다.[3] 특히 2년 차 후반에서 3년 차에는 일부 어린 흰죽지수리가 아래쪽에 불규칙한 검은 갈색 깃털 반점을 보인다.[3] 대략 4번째 겨울이 되면, 새가 아성체 깃털로 들어가면서 수리의 앞부분은 종종 모래색과 더 어두운 성체와 같은 깃털이 혼합되어 나타난다.[3] 느린 연간 털갈이 동안, 어두운 깃털은 처음에는 목과 위쪽 가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된다.[3] 아성체 단계 후반에는 새가 창백한 머리와 목덜미를 발달시키기 시작하지만, 일반적으로 뒷부분은 여전히 어린 새와 유사하며, 창백한 엉덩이 밴드와 크리섬은 꼬리와 날개 깃털이 어두워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3] 완전한 성체 깃털은 5~6세에 도달하지만, 일부 아성체는 이보다 먼저 번식한다.[3]
비행 시 어린 새는 주로 옅은 황갈색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3] 허리, 엉덩이, 꼬리 덮개 및 다리 깃털은 모두 흰색 크림색으로, 흰색 팁이 있는 검은색 큰 덮개, 기본 덮개 및 깃털과 눈에 띄게 대조된다.[3] 망토에서 어린 새는 위에 두 개의 흰색 날개 띠와 좁은 흰색 하단 가장자리를 나타낸다.[3] 한편, 어린 새의 내부 기본 깃털은 다른 비행 깃털보다 훨씬 더 옅은 크림색이다.[3] 어린 새 깃털의 어두운 갈색 날개 안감은 성체의 더 어두운 것과 비교하여 더 광범위한 거친 패턴을 보인다.[3] 일부 새는 2~3년 차에 비행 깃털이 마모되어 거의 줄무늬가 없는 모래색으로 보이며, 3년 차부터는 아래쪽에 다양한 정돈되지 않은 변형과 함께 더 어두운 깃털이 나타나기 시작한다.[3]
멀리서 보면, 어린 개체는 어두운 망토와 가슴 띠가 매우 옅은 뒤쪽 몸체와 검은 꼬리, 그리고 눈에 띄게 옅은 기본 쐐기를 배경으로 하는 날개깃을 연상시킬 수 있다.[3] 어린 새는 머리와 아랫면이 옅은 색이다.[180]
4. 생태
흰죽지수리는 번식기에는 "owk owk", "gok gok", "kraw-kraw"와 같은 깊고 거친 쇳소리를 내며, 이 소리는 최대 8~10번까지 빠르게 반복된다. 황금독수리보다 더 깊고 거칠며, 공명성과 위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3][33][34] 때로는 큰 개구리 울음소리처럼 들리기도 한다.[3][33][34] 주로 공중 과시 중에 울음소리를 내며, 최대 13번까지 반복하기도 한다.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울음소리를 내며, 암컷은 수컷이 먹이를 가지고 올 때 울음소리를 낸다. 경계 울음소리로는 멀리 있는 침입자에게 "ko-gok, wk wk wk" 소리를 내고, 가까이 접근하면 어미가 더 거친 "gek" 소리를 낸다. 사육 상태에서는 오르락내리락하는 트릴도 경계 울음소리로 기록되었다.[3][35]
흰죽지수리는 고독한 새이며, 이주나 겨울 동안 물웅덩이나 먹이가 있는 곳에서 몇 마리씩 모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 쌍 이상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다. 번식지에서 암수 한 쌍은 시끄러운 울음소리와 함께 원을 그리며 공중 প্রদর্শ를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매과처럼 다른 동족 수리에게 영역을 선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전시는 종종 가짜 급강하와 발톱을 보여주는 것으로 번갈아 가며 이루어진다. 한 쌍의 구성원 중 한 명 또는 둘 다 공중 전시에 참여할 수 있다. 침입자가 전시 초반에 떠나지 않으면 영역 다툼은 육체적인 싸움으로 번질 수 있으며, 때로는 발톱을 맞물린 채 땅에 거의 닿을 때까지 회전하기도 한다.[3][125]
번식기는 서식지 전역에서 3월 말부터 9월까지 지속되지만, 과거 파키스탄에서는(현재는 번식 개체군이 멸종됨) 11월부터 4월까지 연장된다고 한다.[3][127] 암수 한 쌍은 매우 큰 나뭇가지 둥지를 짓는데, 이는 너비가 평균 1.2m에서 1.5m까지, 깊이는 60cm에서 70cm까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의 둥지는 너비가 2.4m 이상, 깊이가 1.8m에서 2m까지 측정된 기록이 있다.[3] 둥지 안감은 잔가지, 풀, 털, 부스러기 및 녹색 식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흰죽지수리는 키가 큰 나무에 둥지를 짓지만, 낮은 관목에서는 2m까지, 드물게는 절벽이나 땅에서도 기록된다.[3] 둥지 위치는 숲 속 깊은 곳에서 숲 가장자리, 또는 탁 트인 평원에서 수 마일 밖에서도 볼 수 있는 고독한 나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발견된다. 흰죽지수리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전신주와 철탑에서도 둥지를 짓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몇몇 경우에 그들은 이전에 전신주에 둥지를 짓던 초원수리의 둥지를 공격적으로 빼앗았다.[129][130][131] 종종 하나의 둥지를 사용하지만, 흰죽지수리 한 쌍이 영역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둥지를 건설하는 경우도 있다.[3]
암컷 흰죽지수리는 2~3개의 알을 2일 이상 간격으로 낳는다. 조지아의 평균 산란 수는 2.09개였다.[3] 체코에서 평균 산란 수는 2.27개였다.[72] 러시아의 81개 둥지에서 평균 산란 수는 2.1개였다.[3] 알은 전체적으로 둔한 황백색이며, 회색, 자주색 또는 때로는 갈색 반점이 드문드문 있다. 150개의 알 표본은 높이가 63mm에서 82.5mm이고 너비가 52.5mm에서 62.5mm로 측정되었으며, 평균은 73.3x였다.[3]
암컷은 첫 번째 알부터 포란을 시작하며, 수컷은 드물게 교대한다. 포란 기간은 43일이다.[3] 불가리아에서는 암컷 두 마리가 포란의 90.8-94.1%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134] 새끼들은 며칠 간격으로 부화하며, 하나가 일반적으로 나머지보다 확연히 크다. 그러나 동생 포식의 사례는 검독수리에 비해 드물고, 인간의 간섭, 먹이 개체군의 붕괴 및 둥지 붕괴가 없으면 둥지에서 종종 두 마리의 새끼가 나온다.[3][135] 생후 14일에는 첫 번째 깃털이 솜털을 통과하고, 21일에는 등에서 깃털이 시작된다. 깃털은 35~40일에는 솜털을 덮지만, 때로는 솜털이 최대 45일 동안 머리와 목에 남아 있기도 한다. 깃털은 55일에 완성되고 60일 이후 처음으로 비행을 시도한다.
대부분 암컷이 새끼를 품고 수컷이 먹이를 잡는다.[136][137] 새끼가 40일이 되면 암컷은 사냥을 재개하고 근처의 횃대에 앉는다. 수컷은 먹이를 둥지로 직접 가져오는 대신 암컷이 분해할 수 있도록 근처 나뭇가지로 가져가는 것으로 보인다.[3] 새끼는 63~77일 사이의 어느 시점에서 둥지를 떠날 수 있다.[3] 둥지를 떠난 후 어린 새는 2~3일 동안 근처에 머문다.
번식 성공률은 다소 변동이 있다. 체코에서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둥지를 튼 1~3쌍의 짝에서 평균 1.53마리의 새끼가 관찰되었다.[72] 헝가리 개체군에서는 짝 당 한 마리 미만의 새끼에서 2001~2009년 평균 1.15마리로 증가한 것으로 기록되었다.[65] 불가리아에서의 흩어짐 이후, 어린 개체의 사망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감전(사망의 59%)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독극물 중독 및 총격이었다. 불가리아 어린 개체에 대한 무선 추적 연구 결과 생존율은 생애 첫 해에 59.1%, 두 번째 해에 83.3%, 세 번째 해에 80%였다.[3][142] 전력선과의 충돌에 의한 감전은 거의 전 지역에서 주요 사망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흰죽지수리는 강력한 맹금류이지만, 다른 수리 종들과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검독수리는 더 크고 강력하며, 더 대담하고 공격적인 포식 경향을 보인다.[3][102][103][104] 두 종은 서식지 선호도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검독수리는 바위가 많고 울퉁불퉁한 산악 지형을 선호하는 반면, 흰죽지수리는 낮은 고도의 숲과 들판 사이의 경계를 선호한다.[107][108] 그러나 동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흰죽지수리가 검독수리의 서식지로 몰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혼합된 성공으로 이어진다.[3][65] 두 종 간의 갈등은 드물지만, 알타이 공화국에서는 둥지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것으로 보인다.[3]
초원수리와 큰점박이수리는 흰죽지수리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서식지와 먹이를 공유한다. 초원수리는 평평하고 나무가 없는 초원을, 큰점박이수리는 빽빽한 숲과 습한 서식지를 선호하지만, 먹이는 특히 초원수리와 많이 겹친다.[110][111][112] 인도의 바라트푸르 지구에서 연구된 결과, 흰죽지수리는 다른 수리들보다 우세하며, 먹이 활동은 가장 적었다.[3] 다른 연구에서도 경쟁적인 먹이 지역에서 흰죽지수리가 초원수리 및 점박이수리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3][113] 한반도에서도 겨울철 흰죽지수리가 다른 대형 수리들과 함께 물새가 풍부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볼 수 있다.[114]
흰죽지수리는 검독수리나 흰꼬리수리와 같은 더 큰 수리와 서식지가 거의 겹치지 않아 번식지에서 최고 포식자인 경우가 많다. 새홀리기와 긴발부엉이와 같이 식단과 서식지 선호도가 겹치는 작은 맹금류는 경쟁에서 불리하다.[115][116][117] 슬로바키아에서는 일부 흰죽지수리가 다른 맹금류를 도적 기생하는 것이 보고되었다.[3] 러시아의 타타르스탄에서는 흰죽지수리가 습지 내 고립된 나무나 빽빽한 숲에 있는 다른 수리 종의 둥지를 사용하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는 먹이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19]
흰죽지수리는 다른 맹금류를 기회적으로 포식하기도 한다. 작은점박이수리, 꿀벌잡이, 검은솔개, 개구리매, 유라시아매, 북부솔개, 매, 긴발부엉이, 수염부엉이, 올빼미, 큰귀부엉이, 황조롱이, 붉은발매, 새홀리기 등이 흰죽지수리의 먹이가 된 기록이 있다.[3][120][121][122] 흰죽지수리는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드물게 흰꼬리수리나 유라시아수리부엉이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123][3][124]
4. 1. 서식지
흰죽지수리는 타이가 숲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번식하며, 숲과 개활지가 섞인 지역을 선호한다. 주로 탁 트인 초원, 습지, 농경지에서 먹이를 찾으며, 넓은 삼림 지역에서는 사냥을 위해 초지나 목초지가 필요하다. 번식지는 광대한 스텝 지역을 중심으로 삼림-스텝 모자이크, 탁 트인 숲, 강 계곡, 나무 또는 숲이 있는 구역이 있는 농경지 등에 분포한다. 저지대를 선호하지만, 투르케스탄과 카자흐스탄에서는 반사막까지 서식지를 넓히기도 한다.

겨울에는 주로 탁 트인 초원, 평원, 반사막, 흩어져 있는 나무가 있는 경작지, 다양한 늪, 호수, 습지 등에서 서식한다.[3] 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농경지나 간척지 등에서 서식한다.[179]
4. 2. 먹이
흰죽지수리는 땅에서 먹이를 잡는 다양한 사냥 기술을 가지고 있다. 중간 정도 높이에서 먹이를 오랫동안 주시하다가 짧은 급강하나 땅으로 다이빙하여 사냥한다. 때로는 낮은 활공 비행으로 먹이에 접근하며, 주변 식생을 이용하여 몸을 숨기기도 한다. 곤충이나 땅다람쥐와 같은 일부 먹이는 걸어 다니면서 잡기도 하고, 땅다람쥐는 굴 입구에서 기다려 잡기도 한다.[67] 겨울철에는 다른 수리나 맹금류에게서 먹이를 빼앗기도 하며, 짝을 이루어 함께 사냥하기도 한다.흰죽지수리는 기회주의적인 포식자로, 압도할 수 있는 모든 먹이를 사냥한다. 먹이 범위는 매우 다양하여 200~300종에 달하며, 개구리매(''Buteo buteo'') 다음으로 많은 먹이 종을 가진다.[68] 카자흐스탄과 헝가리에서만 기록된 먹이 종류는 각각 154종과 126종이다.[66][68]
주로 작거나 중간 크기의 포유류를 사냥하며, 토끼, 땅다람쥐, 햄스터, 들쥐와 같은 설치류와 고슴도치, 땃쥐 등을 선호한다. 다양한 새도 사냥하며, 특히 중간 크기에서 대형 조류의 어린 개체나 갓 태어난 새끼를 선호한다. 겨울철에는 일부 지역에서 새가 주요 먹이가 되기도 한다. 파충류는 대부분 부차적인 먹이지만, 지역에 따라 중요할 수 있으며, 어류와 무척추동물, 곤충은 드물게 사냥한다.[66]
역사적으로, 적어도 유럽에서는 땅다람쥐와 햄스터가 흰죽지수리의 주요 먹이였다.[3][69]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토끼나 고슴도치가 주요 먹이로 나타나기도 한다.[3] 헝가리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유럽토끼가 주요 먹이로 8,543개 중 27.4%를 차지했고, 유럽햄스터가 12.71%로 그 뒤를 이었다.[3][70] 슬로바키아와 체코에서도 유럽토끼가 주요 먹이였으며, 각각 562개 중 40.2%, 109개 중 41.3%를 차지했다.[71][72] 유럽땅다람쥐 개체수 감소는 흰죽지수리 식단에서 중요성이 감소하는 원인이 되었지만,[3][73] 중앙 유럽에서 유럽땅다람쥐의 재도입으로 다시 중요해질 수 있다.[74] 투바에서는 꼬리땅다람쥐가 여전히 주요 먹이로 168개 중 60.1%를 차지한다.[75] 불가리아에서는 남부 흰가슴 고슴도치가 주요 먹이(32.5%)였다.[76] 터키의 동트라키아에서는 같은 고슴도치가 가장 중요한 먹이로 582개 중 23.1%를 차지했다.[77]

따뜻한 남쪽 지역에서는 주요 먹이 종이 더 작은 경향이 있다. 조지아에서는 사회적 들쥐가 주요 먹이로 341개 중 약 15%를 차지했다.[78] 겨울을 나는 흰죽지수리는 순데발의 저드를 주로 먹었다.[79] 이 두 설치류는 평균 체중이 35g에서 60g 정도이다.[80] 흔한 토끼 외에도 고슴도치, 땃쥐, 두더지 등 다양한 작은 포유류를 사냥하며, 7종 이상의 토끼과, 약 12종의 쥐류 및 목도리쥐류, 5종의 자코르 및 다양한 동물잠쥐와 jerboa가 있다.[3][81][82]

다양한 조류 종이 흰죽지수리의 식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 120종 이상의 조류가 사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유럽 연구에서는 꿩이 중요한 먹이로 나타나며, 헝가리 연구에서는 식단의 12%를 차지했다.[3] 체코에서도 꿩이 세 번째로 많았다.[72] 슬로바키아에서는 꿩이 토끼 다음으로 두 번째로 자주 사냥되었으며(17.3%), 암컷과 어린 꿩만 사냥되었다.[3] 불가리아 연구에서는 닭이 꿩을 대신하여 중요한 먹이였다.[3] 카자흐스탄의 나우르줌 자연 보호 구역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조류가 가장 많은 먹이였으며, 특히 까마귀과, 즉 갈까마귀와 유라시아 어치, 다양한 종의 오리, 유라시아 매와 작은 알락할미새가 있었다.[3][83] 터키의 동트라키아에서는 노랑발갈매기가 두 번째로 자주 사냥되는 먹이 종이었다.[3] 인도의 바라트푸르 지구에서 겨울을 나는 흰죽지수리는 다양한 물새를 가장 자주 먹었으며, 특히 채색된 황새, 검은머리비단잉꼬, 동양가마우지 및 몇 종의 가마우지의 새끼를 먹었다. 또한 성체 물새, 특히 오리, 회색기러기 및 대형 레일을 정기적으로 사냥했으며, 평균 일일 식량 섭취량은 539g였다.[3][84] 인도의 사우라슈트라 지역에서는 유라시아 물닭 및 잠수 오리를 사냥하는 것을 선호했다.[85] 비둘기와 산비둘기도 비교적 자주 사냥될 수 있으며, 슬로바키아에서는 바위비둘기가 식단의 11.79%를 차지했다.[3] 흰죽지수리는 비교적 큰 새, 눈에 띄는 행동, 느린 비행, 땅에서 공격 가능한 새, 취약한 둥지나 눈에 띄는 어린 새끼를 가진 새(예: 꿩류, 물새, 까마귀류)를 선호한다.[3]
유럽 외 지역 연구에서는 상당한 수의 파충류가 사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지아에서는 파충류가 먹이의 29.62%를 차지했으며, 주로 코카서스 아가마였다.[3] 그리스 거북이와 헤르만 거북이는 터키 동트라키아에서 중요한 이차 먹이였다.[3] 가시꼬리도마뱀 및 모니터 도마뱀과 같은 도마뱀과 거북이는 건조한 기후에서 중요할 수 있다.[3][86] 뱀은 양적으로 중요하지 않지만, 흰죽지수리는 아스클레피오스 뱀이나 러셀 살모사를 제압할 수 있다.[3] 헝가리에서는 매우 적은 수의 무척추동물(주로 딱정벌레)과 어류가 발견되었다.[3]
흰죽지수리는 일년 내내 동물의 사체를 먹지만, 겨울철에 가장 많이 먹는다.[3] 요르단의 겨울철 개체군에서는 식단의 53.7%가 사체였다.[3] 일부 번식 개체군에서는 인간이 제공하는 죽거나 부상당한 먹이에 의존하기도 한다.[72] 슬로바키아의 한 지역에서는 다른 맹금류에게서 먹이를 빼앗는 포식 기생을 행하기도 했다.[87] 흰죽지수리는 죽거나 죽어가는 거의 모든 포유류나 조류를 먹으며, 적어도 10종의 굽이진 동물이 그렇게 소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흰죽지수리가 사냥하는 먹이 크기는 다양하다.[3] 대부분의 살아있는 먹이는 2kg 미만이다.[3] Watson(2010)에 따르면, 먹이는 63g부터 2000g까지 분포하며, 500g에서 1000g 사이의 먹이가 25%로 정점을 이루고, 평균 먹이 크기는 565g이다.[3] 헝가리에서는 주식 먹이 크기가 250g에서 2.5kg 사이로 추정되었다.[3] 슬로바키아에서는 살아있는 먹이의 최대 무게가 1.4kg으로 추정되었다.[3]
유럽토끼와 보박마못과 같이 큰 먹이도 사냥하지만, 주로 어린 개체를 사냥한다. 카자흐스탄에서 사냥된 유럽토끼와 보박마못의 추정 무게는 각각 1.5kg과 1.4kg으로, 대부분 어린 개체였다.[3] 그러나 큰 마못과 성체 유럽토끼를 사냥하기도 한다.[88][72] 산토끼와 톨라이토끼도 먹이로 삼는다.[3][89] 회색기러기, 큰흰이마기러기, 콩기러기, 바두기, 혹부리오리, 검은머리두루미, 가마우지, 흰두루미와 검은두루미 등 2kg를 초과하는 대형 물새의 성체도 사냥하며, 최대 5kg까지 나갈 수 있다.[3][90][91] 큰바다오리도 먹이로 삼지만, 성체 수컷을 사냥할 가능성은 낮다.[3][92]
육식 동물과 겹치는 먹이를 선택하지만, 붉은 여우와 코르삭 여우를 사냥하고, 벵골 여우에 대한 포식 시도도 보고되었다.[3][93][94] 족제비 외에도 유럽 오소리와 스텝 오소리 및 돌담비도 공격할 수 있다.[72][95][66] 고양이와 팔라스 고양이도 먹이가 된다.[3][96] 굽이진 동물의 새끼도 공격하며, 아르갈리, 노루, 아라비안 모래가젤 및 고이터가젤의 어린 송아지와 양을 사냥했다.[97][98][99] 아프리카에서 최대 5kg의 포유류를 소비한다.[100] 가장 작은 척추동물 먹이는 7g의 유라시아 수확생쥐와 21.4g의 유라시아 나무참새이다.[66][101] 2g 메뚜기와 같은 무척추 동물도 사냥한다.[68]
4. 3. 번식
흰죽지수리는 번식기에 매우 시끄럽지만, 다른 시기에는 조용하거나 거의 소리를 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종의 주요 울음소리는 깊고 거친 쇳소리인 "owk owk", "gok gok" 또는 "kraw-kraw"이며, 최대 8~10번까지 빠르게 반복된다. 흰죽지수리는 공중 과시 중에 가장 자주 울음소리를 내며, 극단적인 경우 최대 13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암컷은 수컷이 먹이를 가지고 도착할 때 울음소리를 내기도 한다.[3] 경계 울음소리로는 멀리 있는 침입자에게 "ko-gok, wk wk wk" 소리를 내고, 가까이 접근하면 어미가 더 거친 "gek" 소리를 낸다. 사육 상태에서는 오르락내리락하는 트릴도 경계 울음소리로 기록되었다.[3][35]흰죽지수리는 매우 고독한 새이며, 이주나 겨울 동안 물웅덩이나 먹이가 있는 곳에서 몇 마리씩 모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 쌍 이상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다. 번식지에서 암수 한 쌍은 시끄러운 울음소리와 함께 원을 그리며 공중 প্রদর্শ를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매과처럼 다른 동족 수리에게 영역을 선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전시는 종종 가짜 급강하와 발톱을 보여주는 것으로 번갈아 가며 이루어진다. 한 쌍의 구성원 중 한 명 또는 둘 다 공중 전시에 참여할 수 있다. 침입자가 전시 초반에 떠나지 않으면 영역 다툼은 육체적인 싸움으로 번질 수 있으며, 때로는 발톱을 맞물린 채 땅에 거의 닿을 때까지 회전하기도 한다.[3][125]
번식기는 서식지 전역에서 3월 말부터 9월까지 지속되지만, 과거 파키스탄에서는(현재는 번식 개체군이 멸종됨) 11월부터 4월까지 연장된다고 한다.[3][127] 암수 한 쌍은 매우 큰 나뭇가지 둥지를 짓는데, 이는 너비가 평균 1.2m 에서 1.5m까지, 깊이는 60cm 에서 70cm까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의 둥지는 너비가 2.4m 이상, 깊이가 1.8m 에서 2m까지 측정된 기록이 있다.[3] 둥지 안감은 종종 잔가지, 풀, 털, 부스러기 및 녹색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채워진다.
일반적으로 흰죽지수리는 키가 큰 나무에 둥지를 짓지만, 낮은 관목에서는 2m까지, 드물게는 절벽이나 땅에서도 기록된다.[3] 둥지 위치는 숲 속 깊은 곳에서 숲 가장자리, 또는 탁 트인 평원에서 수 마일 밖에서도 볼 수 있는 고독한 나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발견된다. 흰죽지수리는 또한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전신주와 철탑에서도 둥지를 짓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몇몇 경우에 그들은 이전에 전신주에 둥지를 짓던 초원수리의 둥지를 공격적으로 빼앗았다.[129][130][131] 종종 하나의 둥지를 사용하지만, 흰죽지수리 한 쌍이 영역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둥지를 건설하는 경우도 있다.[3]
암컷 흰죽지수리는 2~3개의 알을 2일 이상 간격으로 낳는다. 조지아의 평균 산란 수는 2.09개였다.[3] 체코에서 평균 산란 수는 2.27개였다.[72] 러시아의 81개 둥지에서 평균 산란 수는 2.1개였다.[3] 알은 전체적으로 둔한 황백색이며, 회색, 자주색 또는 때로는 갈색 반점이 드문드문 있다. 150개의 알 표본은 높이가 63mm 에서 82.5mm이고 너비가 52.5mm 에서 62.5mm로 측정되었으며, 평균은 73.3x였다.[3]
암컷은 첫 번째 알부터 포란을 시작하며, 수컷은 드물게 교대한다. 포란 기간은 43일이다.[3] 불가리아에서는 암컷 두 마리가 포란의 90.8-94.1%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134] 새끼들은 며칠 간격으로 부화하며, 하나가 일반적으로 나머지보다 확연히 크다. 그러나 동생 포식의 사례는 검독수리에 비해 드물고, 인간의 간섭, 먹이 개체군의 붕괴 및 둥지 붕괴가 없으면 둥지에서 종종 두 마리의 새끼가 나온다.[3][135] 생후 14일에는 첫 번째 깃털이 솜털을 통과하고, 21일에는 등에서 깃털이 시작된다. 깃털은 35~40일에는 솜털을 덮지만, 때로는 솜털이 최대 45일 동안 머리와 목에 남아 있기도 한다. 깃털은 55일에 완성되고 60일 이후 처음으로 비행을 시도한다.
대부분 암컷이 새끼를 품고 수컷이 이 종에서 먹이를 잡는다(수컷이 직접적인 품기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 수리류의 경우와 마찬가지).[136][137] 새끼가 40일이 되면 암컷 흰죽지수리는 일반적으로 사냥을 재개하고 근처의 횃대에 앉는다. 수컷은 먹이를 둥지로 직접 가져오는 대신 암컷이 분해할 수 있도록 근처 나뭇가지로 가져가는 것으로 보인다.[3] 새끼는 63~77일 사이의 어느 시점에서 둥지를 떠날 수 있다.[3] 둥지를 떠난 후 어린 새는 2~3일 동안 근처에 머문다.
번식 성공률은 흰죽지수리에게서 다소 변동이 있다. 체코에서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둥지를 튼 것으로 확인된 1~3쌍의 짝에서 평균 1.53마리의 새끼가 관찰되었다.[72] 헝가리 개체군에서는 짝 당 한 마리 미만의 새끼에서 2001~2009년 평균 1.15마리로 증가한 것으로 기록되었다.[65] 불가리아에서의 흩어짐 이후, 어린 개체의 사망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무선 추적 연구를 통해 감전(사망의 59%)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독극물 중독 및 총격이었다. 불가리아 어린 개체에 대한 무선 추적 연구 결과 생존율은 생애 첫 해에 59.1%, 두 번째 해에 83.3%, 세 번째 해에 80%였다.[3][142] 전력선과의 충돌에 의한 감전은 거의 전 지역에서 주요 사망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5. 분포
흰죽지수리는 스페인 제국수리와 달리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강하게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일부는 서식지 서부 및 남부 지역에서 겨울 동안 머무르거나 국지적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번식 범위는 동부 중부 및 동남부 유럽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중부 지역을 거쳐 자바이칼의 러시아 극동 내륙 남서부까지 이어진다. 또한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중국 북서부(신장) , 몽골 북부 등에서도 번식한다. 고립된 개체군은 터키, 키프로스, 이란 북부 등지에서도 발견된다.
흰죽지수리의 이동은 가을에는 9월에서 11월 사이, 봄에는 2월에서 5월 사이에 발생하며, 번식지가 북쪽일수록 가을에는 더 일찍, 봄에는 더 늦게 이동한다. 이들은 중동, 아프리카 나일강 유역, 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인도차이나, 중국 동부, 한반도, 타이완, 일본 남부 등지에서 월동한다. 방랑 개체는 20개국 이상에서 보고되었다.
5. 1. 번식지
흰죽지수리는 서쪽으로는 동부 중부 및 동남부 유럽까지 বিস্তৃত 번식 범위를 가진다. 유럽 내 번식 범위는 동부 오스트리아, 동부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동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북동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몰도바, 그리고 우크라이나의 북부, 서부 및 동부 대부분을 포함한다.[1][3][36][37]이 종의 분포는 러시아 중부 지역을 넘어 중앙 연방관구의 대부분, 사실상 모든 북캅카스 연방관구, 대부분의 볼가 연방관구 및 우랄 연방관구(북부 제외)를 거쳐 바이칼 호를 지나 자바이칼의 러시아 극동 내륙 남서부까지 이어진다.[1][3][38][39] 러시아 밖에서는, 이들의 번식 범위가 남쪽으로 뻗어 주로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의 대부분, 북서부 중국 (신장) 및 북부 몽골의 북부에 위치한다.[1][3][3][3][40] 고립된 개체군은 또한 북서부, 중부 및 동부 터키, 키프로스, 그리고 북부 이란에서도 생존한다. 번식 종으로서, 그들은 아마도 절멸된 것으로 보이며,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1][3][3][41]
5. 2. 월동지
스페인 제국수리와 달리, 흰죽지수리는 서식지의 대부분에서 비교적 강하게 이동하며, 서식지 서부 및 남부 지역에서 겨울 동안 일정량의 잔류 또는 매우 국지적인 방황이 부분적인 이동자로 묘사될 수 있다. 이 종은 몽골 북부까지 월동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3] 이동은 가을에는 9월에서 11월 사이에, 봄에는 2월에서 5월 사이에 발생하며, 독수리가 번식하는 북쪽으로 갈수록 가을에는 더 일찍, 봄에는 더 늦게 이동한다. 단순한 통과 이동이나 방랑을 위해 사용되는 넓은 지역을 정기적인 월동지와 구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1][3]주요 맹금류 이동지에서 매우 적은 수로 관찰되지만, 이 종은 예멘까지 중동 대부분을 통과하는 이동자로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스라엘, 북부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 중부, 쿠웨이트, 북동부 이라크 및 인접한 남서부 이란에 월동하는 개체군이 있다.[3][44][45][46] 아라비아에서 월동하는 몇몇 독수리를 대상으로 한 무선 추적 연구에 따르면 4건의 경우 러시아, 1건의 경우 카자흐스탄 및 중국으로 돌아갔으며, 봄 이동 시 3900km에서 5000km의 거리를 이동했다.[47]
흰죽지수리는 아프리카의 나일강 나일 계곡에서 지역적으로, 그리고 상당히 적은 수로 월동하며, 대부분 남부 수단, 중앙 에티오피아, 북부 케냐에서 보고되고, 불규칙적으로 남부 케냐까지, 한 번은 북부 탄자니아에서도 보고되었다.[1][3][48][49][50][51][52] 아프리카로 이동하는 대부분의 개체는 유럽과 같은 번식지의 서부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보인다.[53][43] 바이칼 호 주변에서 번식하는 흰죽지수리와 같은 동쪽 지역의 개체는 일반적으로 남아시아로 이동한다.[54]
히말라야 산맥의 이동지에서는 이 종이 중간 또는 매우 적은 수로 관찰된다.[55][56] 흰죽지수리는 파키스탄 동부에서 남부 네팔을 거쳐 방글라데시까지, 그리고 인도 남부의 구자라트, 마디아 프라데시, 비하르 및 북서부 자르칸드 주까지 인도 아대륙에서 비교적 넓게 월동한다.[1][3] 다른 반 정기적인 월동 지역으로는 남부 부탄, 태국, 북 인도차이나 (중국 국경 너머의 윈난성 남서부에서 기록됨) 및 야생 지역이 아직 남아있는 중국 동부에서 드물게 관찰된다. 때때로 월동하는 새들은 중앙 캄보디아, 라오스 및 베트남에서 단속적으로, 그리고 한반도, 타이완, 남부 일본 (대부분 혼슈)에서도 발견된다.[1][3][57][58][59]
방랑 개체는 주로 폴란드, 스웨덴, 덴마크, 독일 및 이탈리아를 포함한 20개 이상의 국가에서 보고되었다.[3][60][61] 겨울에는 이라크, 인도 북부, 에티오피아,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몽골, 홍해 연안, 인도차이나 반도 등으로 남하하여 월동한다.[178] 일본에는 겨울철에 드물게 날아온다(겨울새).[179][180]
6. 인간과의 관계
흰죽지수리는 역사적으로 개체수가 크게 감소했다. 한때 동유럽과 인접한 러시아 지역 사람들은 이 수리를 "신성한 새"로 숭배하고 존경하기도 했다. 이 수리는 날개에 있는 흰 반점의 모양 때문에 "십자가를 지닌 수리"라고 널리 불렸다.[153] 민간 전승에 따르면 흰죽지수리는 자신이 서식하는 지역의 우박 구름을 흩어버려 농부들의 작물을 구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한때 흰죽지수리를 문장 동물로 선택했다.[3][154][155]
이러한 역사적인 존경심에도 불구하고, 흰죽지수리는 17세기 이후 유럽과 그 식민지에서 나타난 맹금류에 대한 부정적이고 적대적인 시선과 그로 인한 박해에서 예외가 되지 못했다.[156][157][158] 흰죽지수리 감소의 주요 원인은 둥지를 틀던 서식지였던 밭 경계의 오래된 나무를 베는 관행이었다. 다른 이유로는 먹이 종의 고갈, 회색늑대를 제거하기 위해 놓아둔 독 미끼를 수리가 우연히 섭취한 것 등이 있다. 산업 혁명으로 인해 독극물과 총기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수리 사냥이 쉬워졌고, 이는 수리 개체수 감소를 가속화했다.[3][159] 19세기 말 불가리아에서는 1824개의 둥지가 기록되었지만, 1979년에는 5~12쌍만 남아 있었다.[3] 헝가리에서도 수천 마리에 달했던 흰죽지수리 개체수가 1975~1980년까지 10~15쌍으로 감소했다.[3] 그리스에서는 흰죽지수리가 번식종으로서 완전히 절멸했다.[160][161]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서도 흰죽지수리는 번식종으로서 절멸했다.[3][162]
오늘날, 헌신적인 보존 과학자들과 생물학자들은 흰죽지수리의 개체수 감소를 개선하고 되돌리기 위해 광범위하게 노력하고 있다. 1994년에 취약종으로 상향 조정된 후, 세계적인 보호 계획이 시작되었다.[1] 1996년에는 유럽 전체에 363~604쌍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수십 년간의 복원 노력 끝에 2000~2010년까지 유럽의 번식 쌍 수는 최대 1800~2200쌍으로 증가했다. 유럽의 최고 개체수는 유럽 그린 벨트를 따라 분포한다.[163][164]
헝가리에서는 1970년대 후반 10~15쌍에서 2000년대 후반에는 약 105쌍으로 증가했다. 저지대 야생지 전환 및 보존으로 인해, 덜 이상적인 산악 서식지를 이용하는 쌍의 수가 감소하고, 더 이상적인 저지대 서식지로 이동했다. 헝가리에서는 교육을 통한 인간-수리 갈등 완화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토지 소유주 및 농업 관계자들과의 협력도 이루어졌다. 슬로바키아 남서부의 모라바 강 지역과 체코 공화국, 세르비아, 오스트리아의 일부 지역에서도 증가 또는 복귀가 나타났다.[72][3][165][166] 불가리아의 흰죽지수리 쌍 수는 2009년 20쌍에서 2013년 24쌍으로 증가했다. 불가리아 개체군 복원을 위해 위험한 전신주 절연 작업, 보충 먹이 공급 등의 노력이 이루어졌다.[3] 터키에서는 흰죽지수리 쌍의 수가 35~150쌍으로 추정된다.[3][41]
러시아 서부와 카자흐스탄의 일부 지역에서는 흰죽지수리가 개체수 거점과 가장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11년, 전체 쌍의 추정 개체수는 러시아에서 3000~3500쌍, 카자흐스탄에서 3500~4000쌍으로 추정되었다.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연구에 따르면, 타이가 숲 가장자리에서 소 방목은 먹이, 특히 땅다람쥐의 서식지를 장려하기 때문에 흰죽지수리에게 이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나우르줌 자연 보호 구역에서만 약 300마리의 흰죽지수리가 겨울에 모여들어 이 종에게 "중요한 피난처"가 된다.[172] 반면에, 러시아의 바이칼 호 지역에서는 급격한 개체수 감소가 감지되었으며, 이 종은 그곳에서 지역적으로 멸종될 수 있다. 바이칼 흰죽지수리의 급격한 감소 이유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토지 사용 변화, 살충제 사용, 생물 농축을 통한 기타 유해 물질의 위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3][173]
삼림 벌채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둥지 나무와 먹이 감소, 사냥, 송전선과의 충돌, 인간에 의한 교란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77] 1977년에는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게재되었다.[176]
6. 1. 명칭 오기
흰죽지수리의 일본어 이름은 카타지로와시(カタジロワシ)로 불리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기(오기)로 여겨진다.[179] 1997년 일본 조류 학회(日本鳥学会)의 일본산 조류 목록에서도 카타지로와시로 표기되었으나, 이후 학회지에서 정정되었다.[179][181]참조
[1]
간행물
Aquila heliaca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4]
서적
The raptors of Europe and the Middle East: a handbook of field identification
T & AD Poyser
[5]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6]
논문
Phylogeny and new taxonomy of the Booted Eagles (Accipitriformes: Aquilinae)
[7]
서적
The Golden Eagle
https://books.google[...]
A&C Black
[8]
논문
Mitochondrial pseudo‐control region in old world eagles (genus Aquila)
[9]
학술지
Taxonomic recommendations for European birds
[10]
서적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11]
학술지
The karyotype of the Iberian imperial eagle (Aquila adalberti) analyzed by classical and DNA replication banding
[12]
학술지
Genetic differentiation and molecular phylogeny of European Aquila eagles (Aves: Falconiformes) according to cytochrome-b nucleotide sequences
http://www.uni-heide[...]
World Working Group on Birds of Prey
[13]
논문
Splitting headaches?
[14]
논문
Zoogeographic support for the Spanish Imperial Eagle as a distinct species
[15]
논문
Origin and formation of the Spanish Imperial Eagle (Aquila adalberti)
[16]
서적
The Book of Indian Birds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17]
웹사이트
Eastern Imperial Eagle
http://europeanrapto[...]
European Raptors
2020-11-20
[18]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The Wellfleet Press
[19]
논문
Variation in offspring sex ratio of a long‐lived sexually dimorphic raptor,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20]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21]
논문
A new species of eagle (Aves: Accipitridae) close to the Steppe Eagle, from Pleistocene of Corsica and Sardinia, France and Italy
[22]
논문
Morphometric features characterizing flight properties of palearctic eagles
ADENEX and World Working Group on Birds of Prey
[23]
서적
Birds of prey of the world: a colored guide to identification of all the diurnal species order Falconiformes
Verlag Paul Parey
[24]
서적
Catalogue of the Birds in the British Museum Volume 1
[2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aptor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6]
논문
Eastern Imperial Eagle plumages
[27]
서적
Birds of prey of the Indian subcontinent
Om Books International
[28]
서적
Birds of prey in Europ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9]
서적
Flight identification of European raptors
A&C Black
[30]
서적
Flight Identification of Raptors of Europe,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Bloomsbury Publishing
[31]
논문
Age and sex size variation in Golden Eagles
[32]
문서
Águila imperial ibérica – Aquila adalberti
[33]
서적
Birds of Europe (Vol. 1)
Methuen
[34]
문서
Die Vogelstimmen Europas, Nordafrikas und Vorderasiens
[35]
문서
New Palearctic bird sound recordings during 1966-67
Diemer & Reynolds
[36]
간행물
"The European bird report: non-passerines"
British Birds
2002
[37]
논문
"On the distribution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1979
[38]
논문
"The Imperial Eagle in the Nizhniy Novgorod District, Russia"
Raptors Conservation
2010
[39]
논문
"Eastern Imperial Eagle in Russia and Kazakhstan: population status and trends"
Acta zool. bulg., Suppl
2011
[40]
논문
"The Imperial Eagle in Mongolia"
Raptors Conservation
2010
[41]
논문
"The status of diurnal birds of prey in Turkey"
J. Raptor Res
2005
[42]
학술지
First results of the tracking of Eastern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tagged with radio-transmitters in Bulgaria
[43]
논문
"[Observations of the migration of birds of prey in the Crimea]"
Berkut
2002
[44]
논문
"A resume of raptor migration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Conservation Studies on Raptors. ICBP Technical Publication
1985
[45]
논문
"Wintering of greater spotted eagle Aquila clanga and eastern imperial eagle A. heliaca in the Arabian Peninsula"
Sandgrouse
2007
[46]
논문
"The spring migration of raptors in southern Israel and Sinai"
Sandgrouse
1980
[47]
논문
"Satellite tracking of Eastern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2015
[48]
서적
"Sasol Birds of Prey; New Edition"
Struik
2006
[49]
논문
"Swamps biodiversity of the White Nile (Sudan)"
Transylvanian Review of Systematical and Ecological Research
2008
[50]
논문
"Movements of Palearctic raptors in the Ethiopian rift valley"
Scopus
1983
[51]
논문
"The birds (Aves) of Oromia, Ethiopia–an annotated checklist"
European Journal of Taxonomy
2017
[52]
논문
"The less common Palaearctic migrant birds of Kenya and Tanzania"
Journal of East African Natural History
1973
[53]
논문
"Autumn migration of Accipitriformes through Italy en route to Africa"
AVOCETTA-PARMA-
1997
[54]
논문
"[Autumn passage of Falconiformes in the south-western shore of Lake Baikal]"
Russian Journal of Ornithology
2001
[55]
논문
"An east-west Aquila eagle migration in the Himalayas"
Journal of the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Bombay
1983
[56]
논문
"Migration of Steppe Eagles Aquila nipalensis and other raptors along the Himalayas past Dharamsala, India, in autumn 2001 and spring 2002"
Forktail
2004
[57]
논문
"Prioritization of areas in China for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birds using modelled geographical distributions"
Bird Conservation International
2002
[58]
논문
"Birds of prey in Vietnam"
Birds of Prey Bulletin
1986
[59]
논문
"[Spring raptor migration survey for the 3 northernmost townships of Taiwan in 1996]"
Raptor Research of Taiwan
2004
[60]
논문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recorded on Oland]"
Calidris
1981
[61]
논문
"A case of wintering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Italy"
Avocetta
1999
[62]
논문
"Land use changes and raptor conservation in steppe habitats of Eastern Kazakhstan"
Biological Conservation
2003
[63]
논문
"Observations on the nesting of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the Kuitun-Zima steppe area, Baikal region, Russia"
Forktail.
2004
[64]
논문
"Notes on Severtzoff's ‘Fauna of Turkestan’(Turkestanskie Jevotnie)"
Ibis
1875
[65]
논문
"Population dynamics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Hungary between 2001 and 2009"
Acta Zoologica Bulgarica Suppl
2011
[66]
학술지
Temporal changes in the diet composition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Hungary
[67]
학술지
''Spermophilus citellus'' (Rodentia: sciuridae).
[68]
학술지
Spatial structure in the diet of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in Kazakhstan
[69]
논문
"[The ground squirrel as prey]"
Buvar
1989
[70]
학술지
'Spatial variation in prey composition and its possible effect on reproductive success in an expanding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population'
http://actazool.nhmu[...]
[71]
간행물
The food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Slovakia
2007
[72]
간행물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the Czech Republic
2011
[73]
간행물
Biology,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Hungary
1996
[74]
간행물
Reintroductions of the European Ground Squirrel (Spermophilus citellus) in Central Europe (Rodentia: Sciuridae)
2010
[75]
간행물
The Imperial Eagle is a Vanishing Species in the Tyva Republic, Russia
2010
[76]
간행물
On the food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on Sakar Mountain and Dervent Heights, Bulgaria
2004
[77]
간행물
Distribution, abundance, breeding parameters, threats and prey preferences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European Turkey
2014
[78]
간행물
Ecology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Georgia
1996
[79]
간행물
Distribution, diet and winter ecology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Jordan
2012
[80]
서적
Mammals of the world. Volumes I and II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5
[81]
간행물
Data on the Trophic Spectrum of Young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Savigny, 1809) in South Bulgaria
2009
[82]
간행물
Danger underground and in the open–predation on blind mole rats (Rodentia: Spalacinae) revisited
2016
[83]
간행물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s and diet specificity of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in Kazakhstan
2005
[84]
논문
The general ecology of raptors in Keoladeo National Park, Bharatpur
1988
[85]
서적
Birds of Saurashtra
Dil Bahar
1955
[86]
서적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BirdLife International
2001
[87]
간행물
Kleptoparasitism by raptors, focusing on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2007
[88]
간행물
К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ю орла-могильника и филина на северо-западе Оренбургской области, Россия.
2018
[89]
간행물
Ecology and conservation of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Pre-Baikal region
1984
[90]
간행물
Diet of Saker Falcon (Falco cherrug) and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from Central Kazakhstan
2014
[91]
간행물
Imperial Eagle in the Altai Mountains: Results of the Research in 2009, Russia
2009
[92]
간행물
A general overview of the threats of Hungarian Great Bustards (Otis tarda)
2005
[93]
서적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ume 2 Part 2 Carnivora (Hyenas and Cats)
Brill
1989
[94]
웹사이트
"Eastern Imperial Eagle Attacks Desert Fox"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1-09
[95]
간행물
Eagles of the Aral-Caspian Region, Kazakhstan
2011
[96]
간행물
Maternal habitat use of Juniperus excelsa woodland by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in Iran
2018
[97]
간행물
'[Data on Ovis ammon L. mort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predators in the hills of Kazakhstan]'
1999
[98]
간행물
Size and sex matter: reproductive biology and determinants of offspring survival in Gazella marica
2013
[99]
간행물
Imperial Eagle stoops on a gazelle
1997
[100]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101]
간행물
Repeatability and consistency of individual behaviour in juvenile and adult Eurasian harvest mice
2017
[102]
간행물
Predators as prey at a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eyrie in Mongolia
2000
[103]
간행물
First documented predation of Sika deer (Cervus nippon) by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in Russian far east
2013
[104]
간행물
Golden eagle predation on domestic calves
Wildlife Society (USA)
1996
[105]
간행물
Coexistence in a multispecies assemblage of eagles in central Asia
2003
[106]
간행물
Some Features of the Ecological Niches of Raptors in the Russian Part of the Altai Foothills
2012
[107]
논문
Modelling populations of long-lived birds of prey for conservation: a study of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in Kazakhstan
2006
[108]
논문
TROPHIC STRUCTURE OF RAPTOR COMMUNITIES: A THREE-CONTINENT
2012
[109]
논문
The geological origine [sic] and an observation of mutual display of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and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1993
[110]
간행물
Some Records of Raptors in the East Kazakhstan
2009
[111]
서적
A field guide to birds of the USSR: including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112]
서적
The greater spotted eagle Aquila clanga and the lesser spotted eagle A. pomarina: taxonomy, phylogeography and ecology
Tartu University Press
2004
[113]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s. 1-2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Washington, D.C. and Barcelona, Spain
2005
[114]
서적
Birds of prey in Korea
Korean Wild Birds Society & Shinan County, Seoul, South Korea
2012
[115]
논문
Results of the Saker Falcon (Falco cherrug) conservation programme in Hungary between 1980–2010
2012
[116]
논문
The significance of interspecific competition in bird life
1951
[117]
간행물
'[The Barrow Buzzard (Buteo rufinus Cretzschm.) in the interstream area between Volga and Ural Rivers.]'
[118]
간행물
Kleptoparasitism-One of Hunting Technique of the Peregrine Falcon that Became Common under Condition of the Increase in its Number in the Southern Ural Mountains, Russia
2009
[119]
논문
On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breeding in atypical habitat under competitive conditions with other eagle species
2015
[120]
서적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s a natural symbol of the Ulyanovsk region
Volga Research Center
2013
[121]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Armenia
American University of Armenia
1999
[122]
논문
Standing out from the crowd: are patagial wing tags a potential predator attraction for harriers (Circus spp.)?
2012
[123]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Birds Volume VI: Diurnal Raptors (Part 1)
Yale University Press
1988
[124]
서적
The eagle owl
Bloomsbury Publishing
2019
[125]
논문
A critical review of cartwheeling flights of raptors
1993
[126]
논문
Status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the European part of Turkey
2011
[127]
서적
Conservation perspectives of the Imperial Aquila heliaca and Steppe Eagle Aquila nipalensis in Pakistan
Eagle Studies World Walking Group on Birds of Prey (WWGBP) Berlin, London & Paris
1996
[128]
논문
Unusual cases of nesting by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Eastern Slovakia
2007
[129]
간행물
Problems: Birds and Power Lines: Some Positive Effect Exists
2008
[130]
간행물
The First Find of the Imperial Eagle's Nest at the Pole of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Line in the Republic of Altai, Russia
2017
[131]
간행물
'[Expansion of the Imperial Eagle onto power lines in western Kazakhstan]'
2006
[132]
간행물
'[First record of the Imperial Eagles clutch with four eggs in Kazakhstan]'
2009
[133]
논문
Substitute nesting by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in Slovakia
2007
[134]
논문
Some Aspects of the Nest Etology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Aves: Accipitridae) in Sakar Mountain
2009
[135]
논문
The Cain and Abel riddle in eagles and other birds
1989
[136]
논문
Parental care and feeding ecology of Golden Eagle nestlings
1984
[137]
논문
Parental care, nestling growth and diet in a Spotted Eagle Aquila clanga nest
2002
[138]
논문
Conservation measures undertaken to improve the population status of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Bulgaria
2014
[139]
논문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Bulgaria
2011
[140]
논문
The situation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Austria
2011
[141]
논문
Simultaneous effect of habitat and age on reproductive success of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in Hungary
2014
[142]
논문
Survival rate and mortality of juvenile and immature eastern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from Bulgaria studied by satellite telemetry
2014
[143]
논문
Electrocution of raptors at power lines in Central Kazakhstan
2010
[144]
간행물
Investigations of bird collisions in 2 wind farms
2012
[145]
논문
Survey for hemoparasites in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steppe eagles (Aquila nipalensis), and white-tailed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from Kazakhstan
2004
[146]
논문
New data on helminth fauna of birds of prey (Falconiformes, Accipitriformes, Strigiformes) in the Slovak Republic
2017
[147]
논문
Avian wound myiasis caused by Calliphora vicina robineau–desvoidy (Diptera: Calliphoridae) in an immature migrating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Savigny)(Aves: Accipitridae) in Southwestern Iran
2015
[148]
논문
Diseases of birds of prey
1972
[149]
논문
Molecular sex determination of 20 bird species protected in the Republic of Serbia
2013
[150]
논문
Using naturally shed feather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genetic parentage analyses, and population monitoring in an endangered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population from Kazakhstan
2005
[151]
논문
Using naturally shed feather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genetic parentage analyses, and population monitoring in an endangered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population from Kazakhstan
2005
[152]
논문
Severe declines of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populations in the Baikal region, Russia: a modern and historical perspective
2007
[153]
간행물
Status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Bulgaria in the period between 1890 and 1993
1996
[154]
문서
The Imperial Eagle: bird of Baikal legend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1996
[155]
문서
'[White-headed Eagle of Baikal legends]'
1999
[156]
서적
The systematic persecution: A review of historical and more recent examples of the destruction of birds of prey in Europe
1974
[157]
서적
Population ecology of raptors
A&C Black
2010
[158]
논문
Raptor persecution in the Gulf of Eilat region
1996
[159]
간행물
Population structure of the Inperial [Imperial] Eagle range in northern Eurasia
2002
[160]
간행물
The decline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Greece
1996
[161]
간행물
Status and conservation problems of birds of prey in Greece
1985
[162]
서적
Conservation Threats and Priorities for Raptors Across Asia
2018
[163]
문서
International action plan for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1996
[164]
논문
Status and population trend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Europe in the period 2000–2010
2011
[165]
논문
First breeding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the" Borská nížina" lowland (SW Slovakia)
2008
[166]
문서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observations near Stejanovci: possible territory in the central Fruska Gora Mt.]'
2005
[167]
논문
Genetic structure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population in Slovakia
2009
[168]
간행물
The status of the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in Turkey
2002
[169]
간행물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raptors in the steppe landscape of northern Kazakhstan
2002
[170]
문서
'[Birds of prey in the region of the Middle Volga: modern distribution, trends and factors of influence on populations]'
Moscow State University
2004
[171]
문서
'[Raptors of the foothills of Kalbinsky, Altai, Kazakhstan]'
2006
[172]
논문
A non-invasive genetic evaluation of population size, natal philopatry, and roosting behavior of non-breeding eastern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in central Asia
2008
[173]
논문
Migration routes of four juvenile Imperial Eagles Aquila heliaca from the Baikal region of eastern Russia
2001
[174]
문서
Peculiarities of the ecology of the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and problems of its conservation in the Trans-Uralia steppes
2005
[175]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020-05-05
[176]
웹사이트
Aquila heliaca
https://www.speciesp[...]
UNEP
2020-05-05
[177]
간행물
Aquila heliaca (amended version of 2017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BirdLife International
2019
[178]
서적
カタシロワシ
日本鳥学会
[179]
서적
カタシロワシ
講談社
[180]
서적
カタジロワシ
平凡社
[181]
논문
日本産鳥類リスト(日鳥学誌46巻1号)正誤表(2)
https://doi.org/10.3[...]
[182]
간행물
Aquila heliaca (amended version of 2017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https://dx.doi.org/1[...]
BirdLife International
2019
[183]
웹사이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20000001615"
[184]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185]
서적
Eastern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186]
논문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