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살생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살생선은 붉은 살 생선과 구분되는 생선으로,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넙치, 도미, 대구, 농어 등이 주로 소비되며, 붕장어, 송어, 연어, 복어, 보리멸 등도 흰살생선으로 분류된다. 흰살생선은 회, 구이, 조림,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잘 부스러지는 특징을 활용하여 어묵, 어육 소시지, 어포 등의 어육 가공품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용 물고기 - 생선
    생선은 전 세계 32,000종 이상 존재하는 물에 사는 척추동물인 어류를 통칭하며, 다양한 맛과 질감, 풍부한 영양을 제공하지만 건강상 위험과 환경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 식용 물고기 - 연어 (음식)
    연어는 주황색 또는 붉은색을 띠는 생선으로, 단백질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며, 훈제, 사시미, 스시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흰살생선
어류 분류
종류여러 종의 저서어류
특징지느러미를 가짐
어획 및 요리
특징기름기가 적고 담백한 맛
다양한 요리에 활용

2. 영양 성분

흰살생선은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D, 비타민 B12, 셀레늄, , 칼륨 등 다양한 비타민과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3]

2. 1. 영양 정보 (혼합 어종, 198g 기준)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에 따르면 혼합 어종 흰살생선 한 덩이(198g)에는 다음과 같은 영양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3]

혼합 어종 흰살생선 영양 정보 (198g 기준)
영양소함량단위
144g
에너지265kcal
에너지1110kJ
단백질37.8g
총 지질(지방)11.6g
회분2.22g
탄수화물 (차이로 계산)0g
식이 섬유, 총량0g
총 당류 (NLEA 포함)0g
칼슘, Ca51.5mg
철분, Fe0.733mg
마그네슘, Mg65.3mg
, P535mg
칼륨, K628mg
나트륨, Na101mg
아연, Zn1.96mg
구리, Cu0.143mg
망간, Mn0.133mg
셀레늄, Se24.9μg
비타민 C, 총 아스코르브산0mg
티아민0.277mg
리보플라빈0.238mg
니아신5.94mg
판토텐산1.48mg
비타민 B-60.594mg
엽산, 총량29.7μg
엽산0μg
엽산, 음식29.7μg
엽산, DFE29.7μg
콜린, 총량129mg
비타민 B-121.98μg
비타민 B-12, 첨가0μg
비타민 A, RAE71.3μg
레티놀71.3μg
카로틴, 베타0μg
카로틴, 알파0μg
크립토잔틴, 베타0μg
비타민 A, IU238IU
라이코펜0μg
루테인 + 제아잔틴0μg
비타민 E (알파-토코페롤)0.396mg
비타민 E, 첨가0mg
비타민 D (D2 + D3), 국제 단위946IU
비타민 D (D2 + D3)23.8μg
비타민 D3 (콜레칼시페롤)23.8μg
비타민 K (필로퀴논)0.198μg
지방산, 총 포화1.79g
SFA 4:00g
SFA 6:00g
SFA 8:00g
SFA 10:00g
SFA 12:00g
SFA 14:00.216g
SFA 16:01.19g
SFA 18:00.392g
지방산, 총 불포화3.96g
MUFA 16:11.03g
MUFA 18:12.67g
MUFA 20:10.206g
MUFA 22:10.05g
지방산, 총 고도 불포화4.26g
PUFA 18:20.539g
PUFA 18:30.362g
PUFA 18:40.099g
PUFA 20:40.442g
PUFA 20:5 n-3 (EPA)0.628g
PUFA 22:5 n-3 (DPA)0.323g
PUFA 22:6 n-3 (DHA)1.86g
콜레스테롤119mg
트립토판0.424g
트레오닌1.66g
이소류신1.74g
류신3.07g
라이신3.46g
메티오닌1.12g
시스틴0.406g
페닐알라닌1.48g
티로신1.28g
발린1.95g
아르기닌2.26g
히스티딘1.11g
알라닌2.28g
아스파르트산3.88g
글루탐산5.64g
글리신1.81g
프롤린1.34g
세린1.54g
알코올, 에틸0g
카페인0mg
테오브로민0mg


3. 생물학적 특징



어류의 근육은 짧은 근섬유가 결합 조직층(근격)에 의해 층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결합 조직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열하면 젤라틴화되어 융해된다. 근육에는 순발력을 담당하는 백색 근섬유(백근)와 지속적인 운동을 담당하는 적색 근섬유(적근)가 있다. 참치와 같이 쉬지 않고 고속으로 헤엄치는 붉은살생선은 적근의 비율이 높고, 산소를 보유하는 붉은 미오글로빈 색소를 가지고 있다.[4]

100g당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의 함유량이 10mg 이상이면 붉은살, 10mg 미만이면 흰살로 구분된다. 흰살생선은 콜라겐을 많이 함유하고, 적근에 비해 백근의 비율이 높아 쉽게 부서진다. 냉동한 흰살생선을 해동할 때 효소의 작용으로 세포벽이 파괴되어 살이 녹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지방 함유량은 붉은살생선보다 적은 종이 많으며, 가열 조리할 때 익는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흰살생선의 풍미는 담백하다고 하지만 해수어와 담수어는 크게 다르다. 대체로 해수에 사는 흰살생선이 담백하지만, 해안 가까이에서 잡힌 물고기는 조류 등에서 만들어지는 브로모페놀이라고 불리는 브롬, 즉 "바다 냄새"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담수, 기수에 사는 물고기는 흙 냄새와 같은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해수어에 비해 신선도 저하가 풍미에 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연어송어는 먹이로 하는 갑각류로부터 아스타잔틴을 축적하여 근육이 주황색이 된다. 양식 연어에게 먹이에 아스타잔틴을 첨가하지 않으면 그 근육은 흰색이 된다.

흰살생선은 붉은살생선과는 달리 지방량이 적어 저칼로리이며, 맛이 옅다. 비린 맛이 나도 조리하면 맛있다.

3. 1. 성장

흰살생선의 성장률은 종내 경쟁, 특히 먹이 경쟁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뱅어붕어와 같은 다른 어종과의 동물플랑크톤 경쟁은 흰살생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4. 종류

어류의 근육은 짧은 근섬유가 결합 조직층(근격)에 의해 층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결합 조직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열하면 젤라틴화되어 융해된다. 근육에는 순발력을 담당하는 백색 근섬유(백근)와 지속적인 운동을 담당하는 적색 근섬유(적근)가 있다. 참치와 같이 쉬지 않고 고속으로 헤엄치는 붉은 살 생선은 적근의 비율이 높고, 생태 유지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보유하는 붉은 미오글로빈 색소를 가지고 있다.

붉은 살과 흰 살의 구분은 100g당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의 함유량이 10mg 이상이면 붉은 살, 10mg 미만이면 흰 살로 정의된다[4]。흰 살 생선은 콜라겐을 많이 함유하고, 백근의 비율이 높아 쉽게 부서진다. 냉동한 흰 살 생선을 해동할 때 효소의 작용으로 세포벽이 파괴되어 살이 녹는 경우도 있다. 지방 함유량은 붉은 살 생선보다 적은 종이 많으며, 가열 조리 시 익는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흰 살 생선의 풍미는 담백하지만, 해수어와 담수어는 크게 다르다. 대체로 해수에 사는 흰 살 생선이 담백하지만, 해안 가까이에서 잡힌 물고기는 조류 등에서 만들어지는 브로모페놀이라는 브롬, 즉 "바다 냄새"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담수, 기수에 사는 물고기는 흙 냄새와 같은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해수어에 비해 신선도 저하가 풍미에 덜 나타난다.

연어송어는 먹이로 하는 갑각류로부터 아스타잔틴을 축적하여 근육이 주황색이 된다. 양식 연어에게 먹이에 아스타잔틴을 첨가하지 않으면 근육은 흰색이 된다.

흰 살 생선은 붉은 살 생선과 달리 지방량이 적어 저칼로리이며, 맛이 옅다. 비린 맛이 나도 조리하면 맛있다.

4. 1. 한국에서 주로 소비되는 흰살생선


  • 넙치: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횟감 중 하나이며, 쫄깃한 식감과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 도미: 고급 어종으로 여겨지며, 찜, 구이, 탕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대구: 탕, 찜, 전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특히 겨울철에 인기가 높다.
  • 농어: 횟감, 구이, 찜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 붕장어
  • 송어
  • 연어
  • 복어
  • 보리멸

4. 2. 일본에서 주로 소비되는 흰살생선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흰살생선이 주로 소비된다.

5. 활용

흰살생선은 생선회, 구이, 조림, 튀김 등으로 조리되며, 잘 부스러지는 특징을 활용하여 어묵, 어육 소시지, 어포 등의 어육 가공품으로도 이용된다.

5. 1. 한국 요리

생선회는 넙치, 도미, 농어 등이 신선한 횟감으로 인기가 높다. 구이는 소금구이, 양념구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은 도미찜, 대구찜 등이 잔칫상에 자주 오르는 메뉴이다. 대구탕, 생태탕 등 시원하고 담백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 은 명태전, 대구전 등 명절 음식으로 자주 만들어진다. 흰살생선은 어묵, 어육 소시지, 어포 등의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된다.

6. 사진 갤러리

참조

[1] 서적 Cod: A Biography of the Fish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Walker
[2] 논문 The growth of whitefish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and fish species composition https://onlinelibrar[...]
[3] 웹사이트 Fish, whitefish, mixed species, raw https://fdc.nal.usda[...] 2019-01-04
[4] 웹사이트 赤身魚(,白身魚)と青魚の比較 http://difference.sh[...]
[5] 뉴스 등푸른 생선, 누구에게나 다 좋을까? https://web.archive.[...] 2007-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