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비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L-세린과 D-세린의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L-세린은 단백질의 구성 성분이며, 체내에서 합성된다. D-세린은 뇌에서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하며, NMDA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세린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대사 과정에 관여하며, 효소의 활성 부위나 단백질 구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린 생합성 장애는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L-세린은 특정 질환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노 알코올 - 알라닌올
  • 억제성 아미노산 - 글라이신
    글라이신은 1820년 발견된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구성 성분이며, 콜라겐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신경전달물질, 식품 첨가물, 제초제 및 항생 물질 생산, 생명의 기원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알돌 - 아이소시트르산
    아이소시트르산은 6개의 탄소로 구성된 유기산으로,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체로서 NADPH를 생성하며, 글리옥실산 회로, 지방산 합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 가능성이 있고, 특정 질병과의 연관성이 연구되는 물질이다.
  • 알돌 - 알도스
    알도스는 탄소 사슬 끝에 알데히드기를 가진 단당류의 일종으로, 탄소 수와 입체 이성질체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유도체를 생성하고 케토스와 상호 변환될 수 있다.
세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IUPAC 이름세린
다른 이름2-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산
화학식C3H7NO3
분자량105.09 g/mol
PubChem5951 (L형)
617 (D/L형)
71077 (D형)
ChemSpider5736 (L형)
597 (D/L형)
64231 (D형)
KEGGC00065 (L형)
C00740 (D형)
ChEBI17115
DrugBankDB00133
UNII452VLY9402
00PAR1C66F
1K77H2Z9B1
EC 번호206-130-6
IUPHAR 리간드726
SMILESC([C@@H](C(=O)O)N)O
SMILES (쯔비터이온)C([C@@H](C(=O)[O-])[NH3+])O
L-세린 골격 구조
L-세린의 골격 구조
생리적 pH에서의 세린
생리적 pH에서의 L-세린 쯔비터이온 형태
공-막대 모형
공-막대 모형
공간 채움 모형
공간 채움 모형
물리적 성질
외관흰색 결정 또는 분말
밀도1.603 g/cm3 (22 °C)
녹는점246 °C (분해)
용해도용해됨
pKa2.21 (카복실기), 9.15 (아미노기)
명명법 및 표기
IUPAC-IUB 권장 사항 (1983)아미노산 및 펩타이드 명명법 및 기호

2. 생성

중성 pH에서 양쪽성 이온 형태의 L-세린(왼쪽) 및 D-세린(오른쪽)


세린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단백질생성성 아미노산 중 하나로, L-세린과 D-세린 두 가지 형태가 있다. L-세린만이 단백질에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세린은 글리신을 포함한 다른 대사 물질로부터 체내에서 합성되므로 필수적이지 않다. 1865년 에밀 크래머(Emil Cramer)가 실크 단백질에서 처음 추출했으며,[43] 세린의 이름은 비단(silk)을 뜻하는 라틴어 "sericum"에서 유래했다. 세린의 구조는 1902년에 밝혀졌다.[44][45]

L-세린은 많은 생물체에서 생합성되며 단백질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D-세린은 과거 포유류 조직에 없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뇌 조직에 존재하는 내인성 물질임이 밝혀졌다.[38]

2. 1. L-세린

L-세린은 체내에서 3-포스포글리세르산으로부터 합성된다. 3-포스포글리세르산은 포스포글리세르산 탈수소효소(EC 1.1.1.95)에 의해 3-포스포하이드록시피루브산과 NADH로 산화된다. 이어서 포스포세린 아미노기전이효소(EC 2.6.1.52)에 의한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을 거쳐 3-포스포세린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포스포세린 인산가수분해효소(EC 3.1.3.3)에 의해 3-포스포세린이 가수분해되어 L-세린이 된다.[48][49]

대장균과 같은 세균에서 이 효소들은 serA, serC, ser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50]

세린 생합성


세린 하이드록시메틸기전이효소(SHMT)는 L-세린을 글리신으로 전환시키는 가역적 반응을 촉매한다. 이 효소는 피리독살 인산(PLP)을 필요로 한다.[51]

산업적으로 L-세린은 하이드록시메틸기전이효소를 이용하여 글리신과 메탄올로부터 생산된다.[52]

2. 2. D-세린

세린 라세미화효소에 의해 뉴런에서 L-세린으로부터 합성된 D-세린(L-세린의 거울상 이성질체)은 NMDA 수용체를 공동 활성화함으로써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하여 NMDA 수용체가 글루탐산과 결합할 경우 열릴 수 있도록 한다. D-세린은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NR1)에서의 강력한 작용제이다. 수용체가 열리려면 글루탐산 및 글리신 또는 D-세린이 결합해야 하며, 구멍 차단제(예: Mg2+ or Zn2+)는 결합되지 않아야 한다.[54] D-세린은 글리신 자체보다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에 더 강력한 작용제이다.[55][56]

D-세린은 비교적 최근까지 세균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D-세린은 사람의 뇌에서 신호 분자로 역할을 하는 D-아스파르트산이 발견된 직후, 사람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발견된 두 번째 D-아미노산이다. 만약 D-아미노산이 사람에서 더 빨리 발견되었다면,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는 D-세린 부위로 명명되었을 것이다.[57] 중추신경계 외에도 D-세린은 연골,[58] 콩팥,[59] 해면체[60]와 같은 말초 조직 및 기관에서 신호전달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포유류 조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겨졌지만, 포유류의 뇌 조직에 존재하는 내인성 물질임이 밝혀졌다.[38]

3. 생물학적 기능

세린은 퓨린, 피리미딘, 시스테인, 트립토판 등 다양한 물질의 생합성에 관여하여 체내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리신, 시스테인 등 다른 아미노산전구체이며, 스핑고지질, 폴산(엽산) 등 생체 분자 합성에 필요한 탄소 1개 단위체의 주요 공여체이다.[48]

세린 라세미화효소에 의해 뉴런에서 L-세린으로부터 합성된 D-세린(L-세린의 거울상 이성질체)은 NMDA 수용체를 공동 활성화하여 신경조절물질로 역할을 한다. D-세린은 NMDA 수용체가 글루탐산과 결합할 경우 열릴 수 있도록 돕는다. D-세린은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NR1)에서 강력한 작용제이며, 글리신 자체보다 더 강력하다.[54][55][56] 중추신경계 외에도 D-세린은 연골,[58] 콩팥,[59] 해면체[60]와 같은 말초 조직 및 기관에서 신호전달 역할을 한다.

세린은 키모트립신, 트립신 등 많은 효소의 활성 부위에 존재하며, 효소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신경 가스나 살충제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의 활성 부위 세린 잔기에 결합하여 효소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독성을 나타낸다.[1]

단백질의 구성 요소로서 세린 측쇄의 히드록시기는 배당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당뇨병의 증상을 설명할 때 필요할 수 있다. 진핵생물에서의 신호 전달 시 키나아제에 의해 인산화되는 3종의 아미노산 잔기 중 하나이다. 인산화된 세린 잔기는 포스포세린이라고 불린다. 세린 프로테아제는 전형적인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5]

3. 1. 물질대사

세린은 퓨린, 피리미딘, 시스테인, 트립토판 등 다양한 물질의 생합성에 관여하여 체내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린은 글리신, 시스테인 등 다른 아미노산전구체이며, 스핑고지질, 폴산(엽산) 등 생체 분자 합성에 필요한 탄소 1개 단위체의 주요 공여체이다.[48]

세린은 글리신과 시스테인을 포함한 여러 아미노산의 전구체이며, 세균에서는 트립토판의 전구체이기도 하다. 또한, 세린은 스핑고지질엽산을 포함한 수많은 다른 대사 산물의 전구체이기도 하며, 엽산은 생합성에서 단일 탄소 조각의 주요 공여체이다.

3. 2. 신호전달

세린 라세미화효소에 의해 뉴런에서 L-세린으로부터 합성된 D-세린(L-세린의 거울상 이성질체)은 NMDA 수용체를 공동 활성화함으로써 신경조절물질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NMDA 수용체가 글루탐산과 결합할 경우 열릴 수 있도록 돕는다. D-세린은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NR1)에서 강력한 작용제이다.[54] 수용체가 열리려면 글루탐산 및 글리신 또는 D-세린이 결합해야 하며, 구멍 차단제(예: Mg2+ 또는 Zn2+)는 결합되지 않아야 한다.[14] D-세린은 글리신 자체보다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에 더 강력한 작용제이다.[55][56]

D-세린은 비교적 최근까지 세균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D-세린은 사람의 뇌에서 신호 분자로 역할을 하는 D-아스파르트산이 발견된 직후, 사람에게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발견된 두 번째 D-아미노산이다. 만약 D-아미노산이 사람에게서 더 빨리 발견되었다면, NMDA 수용체의 글리신 부위는 D-세린 부위로 명명되었을 것이다.[57] 중추신경계 외에도 D-세린은 연골,[58] 콩팥,[59] 해면체[60]와 같은 말초 조직 및 기관에서 신호전달 역할을 한다.

3. 3. 효소 활성

세린은 키모트립신, 트립신 등 많은 효소의 활성 부위에 존재하며, 효소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신경 가스나 살충제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의 활성 부위 세린 잔기에 결합하여 효소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독성을 나타낸다.[1]

3. 4. 단백질 구조

단백질의 구성 요소로서 세린 측쇄의 히드록시기는 배당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당뇨병의 증상을 설명할 때 필요할 수 있다. 진핵생물에서의 신호 전달 시 키나아제에 의해 인산화되는 3종의 아미노산 잔기 중 하나이다. 인산화된 세린 잔기는 포스포세린이라고 불린다. 세린 프로테아제는 전형적인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5]

4. 임상적 중요성

세린 결핍 장애는 아미노산 L-세린의 생합성에서 드문 결함이다. 현재 다음과 같은 3가지 장애가 보고되었다.


  • 3-포스포글리세르산 탈수소효소 결핍증
  • 3-포스포세린 인산가수분해효소 결핍증
  • 포스포세린 아미노기전이효소 결핍증


이러한 효소 결핍은 선천성 소두증, 중증 정신운동 지체와 같은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며, 3-포스포글리세르산 탈수소효소 결핍증 환자는 난치성 발작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은 L-세린(때로는 글리신과 병용) 치료에 다양한 정도로 반응한다.[62][63] 치료 반응은 다양하며 장기적인 기능적 결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역학, 유전자형/표현형 상관관계 및 이러한 질병이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개선하고 진단 및 치료 전략을 평가하기 위해 비상업적 단체인 신경전달물질 관련 장애에 관한 국제 실무 그룹(iNTD)에서 환자 등록부를 만들었다.[64]

세린 생합성 중단 외에도 수송이 중단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로 중성 아미노산 수송체 A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로 인해 경직성 사지마비, 얇은 뇌량, 진행성 소두증이 발생할 수 있다.

5. 치료용 연구

L-세린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1상 임상 시험에서 안전성이 입증되었지만,[66][67]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증상 치료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28][29] 2011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보조 사르코신은 조현병의 음성 및 전체 증상에 대해 중간 효과 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68] L-세린이 당뇨병에서 치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69]

D-세린은 조현병의 잠재적 치료제로 설치류에서 연구되고 있다.[32][70] D-세린은 또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인해 초기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위한 잠재적인 바이오마커로 설명되었다.[33][71] D-세린은 청력 손실 및 이명과 같은 감각신경성 청각 장애에 대한 잠재적 치료법으로 이론화되었다.[35][72]

참조

[1]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81
[2] 서적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Clarendon Press 1959
[3] 웹사이트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http://www.chem.qmul[...]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2018-03-05
[4] 논문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IUPAC-IUB Recommendations 1983)
[5] 논문 Ueber die Bestandtheile der Seide https://babel.hathit[...] 1865
[6] 논문 Synthese des Serins, der ''l''-Glucosaminsäure und anderer Oxyaminosäuren https://babel.hathit[...] 1902
[7] 간행물 Serine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2-10-22
[8]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1988
[9] 웹사이트 EC 3.1.3.3 http://www.genome.jp[...] KEGG
[10] 웹사이트 serB https://www.uniprot.[...] Uniprot
[11]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12] 간행물 Ullmann
[13] 논문 dl-Serine http://www.orgsyn.or[...]
[14] 논문 NMDA and glycine regulate the affinity of the Mg2+-block site in NR1-1a/NR2A NMDA receptor channel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15] 논문 D-Serine: Potential Therapeutic Agent and/or Biomarker in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2019-02-06
[16] 논문 D-Serine as the gatekeeper of NMDA receptor activity: implications for the pharmacologic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2020-06-09
[17] 논문 Triheteromeric N-methyl-D-aspartate receptors differentiate synaptic inputs onto pyramidal neurons in somatosensory cortex: involvement of the GluN3A subunit https://pubmed.ncbi.[...] 2012-10-11
[18] 논문 The t-N-methyl-d-aspartate receptor: Making the case for d-Serine to be considered its inverse co-agonist 2023-11-01
[19] 논문 D-Serine is an endogenous ligand for the glycine site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2000-04
[20] 논문 Serine racemase suppresses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in cartilage in a Sox9-dependent manner 2008-05
[21] 논문 Mechanosensitive ''N''-methyl-D-aspartate receptors contribute to sensory activation in the rat renal pelvis 2008-11
[22] 논문 D-Serine modulates neurogenic relaxation in rat corpus cavernosum 2010-06
[23] 논문 Gustatory sensation of L- and D-amino acids in humans 2012-12
[24] 논문 Treatment with amino acids in serine deficiency disorders 2006-04
[25] 논문 L-Serine synthesi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 review on serine deficiency disorders 2010-03
[26] 웹사이트 Patient registry http://intd-online.o[...]
[27] 논문 L-Serine: a Naturally-Occurring Amino Acid with Therapeutic Potential
[28] 논문 The non-protein amino acid BMAA is misincorporated into human proteins in place of L-serine causing protein misfolding and aggregation
[29] 논문 Phase I clinical trial of safety of L-serine for ALS patients 2017-01-02
[30] 논문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adjunctive NMDA receptor modulators in chronic schizophrenia 2011-10
[31] 논문 L-serine: a neglected amino acid with a potential therapeutic role in diabetes
[32] 논문 Multiple risk pathways for schizophrenia converge in serine racemase knockout mice, a mouse model of NMDA receptor hypofunction 2013-06
[33] 논문 D-Serine levels in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novel biomarker development 2015-05-05
[34] 논문 D-serine mitigates cell loss associated with temporal lobe epilepsy 2020-10-02
[35] 논문 Physiopathological Relevance of D-Serine in the Mammalian Cochlea Frontiers Media SA 2021-12-17
[36] 간행물 RubberBible62nd
[37] 서적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Clarendon Press
[38] 저널 뇌の内在性D-セリンの代謝・機能と精神神経疾患における意義
[39]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81
[40] 서적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Clarendon Press
[41] 웹인용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http://www.chem.qmul[...]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2018-03-05
[42] 인용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IUPAC-IUB Recommendations 1983)
[43] 저널 Ueber die Bestandtheile der Seide https://babel.hathit[...] 1865
[44] 저널 Synthese des Serins, der ''l''-Glucosaminsäure und anderer Oxyaminosäuren https://babel.hathit[...] 1902
[45] 백과사전 Serine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2-10-22
[46] 웹사이트 Brain Chemistry Labs web site https://brainchemist[...]
[47] 웹사이트 Self Nutrition Data web site https://nutritiondat[...]
[48]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1988
[49] 데이터베이스 EC 3.1.3.3 http://www.genome.jp[...] KEGG
[50] 데이터베이스 serB https://www.uniprot.[...] Uniprot
[51]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52] 간행물 Ullmann
[53] 저널 dl-Serine http://www.orgsyn.or[...]
[54] 저널 NMDA and glycine regulate the affinity of the Mg2+-block site in NR1-1a/NR2A NMDA receptor channel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55] 저널 D-Serine: Potential Therapeutic Agent and/or Biomarker in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2019-02-06
[56] 저널 D-Serine as the gatekeeper of NMDA receptor activity: implications for the pharmacologic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2020-06-09
[57] 저널 D-Serine is an endogenous ligand for the glycine site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2000-04
[58] 저널 Serine racemase suppresses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in cartilage in a Sox9-dependent manner 2008-05
[59] 저널 Mechanosensitive N-methyl-D-aspartate receptors contribute to sensory activation in the rat renal pelvis 2008-11
[60] 저널 D-Serine modulates neurogenic relaxation in rat corpus cavernosum 2010-06
[61] 저널 Gustatory sensation of L- and D-amino acids in humans 2012-12
[62] 저널 Treatment with amino acids in serine deficiency disorders 2006-04
[63] 저널 L-Serine synthesi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 review on serine deficiency disorders 2010-03
[64] 웹인용 Patient registry http://intd-online.o[...]
[65] 저널 L-Serine: a Naturally-Occurring Amino Acid with Therapeutic Potential
[66] 저널 The non-protein amino acid BMAA is misincorporated into human proteins in place of L-serine causing protein misfolding and aggregation
[67] 저널 Phase I clinical trial of safety of L-serine for ALS patients 2017-01-02
[68] 저널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adjunctive NMDA receptor modulators in chronic schizophrenia 2011-10
[69] 저널 L‐serine: a neglected amino acid with a potential therapeutic role in diabetes
[70] 저널 Multiple risk pathways for schizophrenia converge in serine racemase knockout mice, a mouse model of NMDA receptor hypofunction 2013-06
[71] 저널 D-Serine levels in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novel biomarker development 2015-05-05
[72] 저널 Physiopathological Relevance of D-Serine in the Mammalian Cochlea Frontiers Media SA 2021-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