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엔 동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엔 동전은 일본에서 발행되는 화폐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현재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1엔 동전이 통용된다. 1870년에 처음 발행된 이후 금, 은, 황동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시대에 따라 디자인과 재질이 변화해 왔다. 현재 사용되는 1엔 알루미늄 동전은 1955년부터 발행되었으며, 무게는 1g, 지름은 20mm이다. 1엔 동전은 제조 비용이 액면가를 초과하며, 현금 없는 결제 확산으로 인해 유통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엔 동전 | |
---|---|
기본 정보 | |
명칭 | 1엔 동전 |
단위 | 일본 엔 |
액면 | 1 |
디자인 | |
앞면 디자인 | 어린 나뭇가지, 액면 단위·국명의 일본어의 한자 표기 |
뒷면 디자인 | 아라비아 숫자 "1", 제조 연도 표기 |
앞면 디자인 날짜 | 1955년 |
물리적 특징 | |
무게 | 1 |
지름 | 20.0 |
두께 | 1.5 |
가장자리 | 평면 |
구성 | 알루미늄 100% |
발행 | |
주조년도 | 1871년 ~ 현재 |
2. 역사
1870년에 처음으로 1엔이 발행되었으며 1871년에는 1엔 금화, 1874년에는 1엔 은화가 발행되었다.[89] 1948년에 1엔 황동화가 발행되었으나,[86] 1950년에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행이 중단되었고, 1953년에 법화로서의 효력을 상실했다.[89] 1954년에는 일본에서 새로운 1엔 동전 디자인 공모전이 진행되었는데, 앞면에는 어린 나뭇가지, 뒷면에는 액면 숫자 "1"이 디자인으로 채택되었다.[89] 1955년 1월 13일 일본 대장성의 승인으로 1955년부터 1엔 알루미늄화가 발행되었다.[89]
1960년대에는 고도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자동 판매기 보급으로 보조 화폐 부족 현상이 심각하여 1엔 동전이 과잉 제조되기도 하였다.[89] 1968년에는 일시적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가 나중에 다시 발행되었다.[89] 1989년 소비세 도입으로 5엔 동전과 함께 유통량과 제조량이 증가했으나, 1997년 소비세율 인상(3%→5%)으로 제조량이 크게 줄었다.[89]
2000년대 들어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 디지털 화폐 사용 증가로 인해 일본 재무성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1엔 동전 발행을 중단했고, 주화 세트용으로만 제조되었다.[89] 2014년 소비세율 인상(5%→8%)으로 1엔 동전 발행이 재개되었으나, 2016년부터는 다시 민트 세트용을 제외하고 제조가 중단되었다.[89]
연도 | 내용 |
---|---|
1870년 | 구 1엔 은화 발행 |
1871년 | 구 1엔 금화(본위 금화) 발행 |
1874년 | 신 1엔 은화 발행 |
1948년 | 1엔 황동화 발행 (소재: 황동(구리 60%-70%, 아연 30%-40%), 무게: 3.2g, 지름: 20.0mm, 도안 소재: 귤(앞면))[84][85][86] |
1953년 12월 31일 | 《소액 통화의 정리 및 지불 금액 끝자리 계산에 관한 법률(小額通貨の整理及び支払金の端数計算に関する法律일본어)》에 의해 1엔 황동화 통용 금지 및 법화 효력 상실 |
1955년 | 1엔 알루미늄화 발행[88][83][89] |
1968년 | 생산 과잉으로 1년간 제조 중단 |
1988년 4월 1일 |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1엔 알루미늄화는 "화폐로 간주하는 임시 보조 화폐"로서 계속 통용 |
2011년 - 2013년 | 전자 화폐 보급 등으로 수요 감소, 민트 세트용 제외 제조 중단 |
2014년 | 소비세 8% 인상으로 일반 유통용 제조 재개 |
2016년 - | 민트 세트용 제외, 다시 제조 중단 |
2. 1. 초기 엔화 (1870-1914)
1871년(메이지 4년) 신화 조례에 따라 화폐 단위는 "엔"으로 정해졌고, 금본위제를 채택하여 1엔 금화와 대외 무역 결제 전용 화폐로 1엔 은화가 만들어졌다.[3] 메이지 정부는 1871년 6월 27일에 법률을 통해 엔을 공식적으로 채택했다.[3]1엔 금화는 준비금 부족으로 조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1][2] 반면, 주로 아시아권과의 교역에 사용되던 1엔 은화는 일본 국내에도 유통되었고, 1878년에는 국내에서도 무제한 통용되는 강제 통용력이 부여되어 사실상 은본위제가 되었다.[6][11]
1873년 일본 정부는 금본위제로 전환하려는 의지를 반영하여 금화만 독점적으로 주조했다.[5][6] 그러나 대외 무역에 최선이라는 결론에 따라 1874년에 은화 1엔 주조가 재개되었다.[7]
청일 전쟁 배상금을 준비금으로 1897년 시행된 화폐법으로 다시 금본위제를 확립했다.[12] 금 평가를 반으로 줄여 1엔 금화는 2엔으로 통용되었고, 1엔 은화의 국내 유통은 금지되었다. 1엔 = 0.75g의 금을 사용한 경화는 너무 작아 발행되지 않았고, "일본 은행 전환 은권"으로 표기된 개조 1엔권이 실질적인 불환 지폐로 계속 발행되었다.
1942년 일본 은행법으로 금 전환이 폐지되었지만, 화폐법 규정 하에 2엔으로 통용되는 금화로 존속되었고, 1988년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로 효력을 잃었다.
1871년 발행된 구 1엔 은화(표면: 용 그림 (아룡), 뒷면: 국화 문양, 오동나무 문양, 일장기, 국화 가지와 오동나무 가지)와, 1874년 발행된 신 1엔 은화(표면: 용 그림 (아룡), 뒷면: 국화 문양, 국화 가지와 오동나무 가지)는 모두 은 90%・구리 10%, 직경: 37.575mm, 무게: 26.956g의 규격이다. 신화 조례에 의해 발행되었으며, 처음에는 무역용, 이후에는 사실상의 본위 은화가 되었다. 1897년 제조가 종료되었고, 화폐법 시행에 따라 1898년 4월 1일을 기점으로 일본 국내에서 통용이 정지되었다.
일본의 금화#1엔 금화도 참조
1엔 금화는 금 90%・구리 10%, 중량: 1.6667g,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다른 구 금화와 달리 지름이 작아 앞면에는 "1엔" 글자가 있고, 뒷면에는 국화 문양・오동나무 문양・일장・국화 가지와 오동나무 가지・금의 어기(일월기)・팔능경이 새겨져 있다. 신화 조례에 의해 본위 금화로 발행되었다. 1872년 발행된 대형 (지름 13.515mm)과 1874년 발행된 소형 (지름 12.121mm)이 있다. 1880년 제조 종료[78]되었고, [1897년] 이후 화폐법 부칙 제15조에 의해 액면가의 2배인 2엔으로 통용되었다. 5엔 이상 금화와 달리, 화폐법에 근거한 액면가 1엔의 신 금화는 발행되지 않았다.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시행, 화폐법 폐지에 따라 1988년 3월 말에 폐지되었다.
초기 대형판은 메이지 4년 명칭만 존재하며, 전기와 후기 손바뀜이 있지만, 전기가 희소 가치가 높다. 축소판은 메이지 7・9・10・13년 명칭이 존재하지만, 모두 제조 매수・현존 매수가 극히 희소하며, 새로운 극인과 주조기 시험, 프루프 경화 시제품으로 주조되었다고 생각된다. 메이지 25년 명칭은 시카고 박람회용으로 2개만 제조되었다.
2. 2. 현대 엔화 (1948-)
1870년에 처음으로 1엔이 발행되었으며 1871년에는 1엔 금화, 1874년에는 1엔 은화가 발행되었다.[17] 1948년에는 1엔 황동화가 발행되었으나,[17] 1950년에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행이 중단되었고 1953년에 법화로서의 효력을 상실했다. 1954년에는 일본에서 새로운 1엔 동전 디자인 공모전이 진행되었는데, 앞면에는 어린 나뭇가지, 뒷면에는 액면 숫자 "1"이 쓰여진 디자인이 선정되었다. 1955년 1월 13일에 일본 대장성이 새로운 1엔 동전 디자인을 승인하면서 1955년부터 1엔 알루미늄화가 발행되었다.[18]1960년대 일본의 고도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자동 판매기 보급으로 인한 보조 화폐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1엔 동전이 대량으로 제조되었다. 1968년에는 일시적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가 나중에 발행이 재개되었다.[42][18][19] 1989년 일본에서 3%의 소비세가 도입되면서 5엔 동전과 함께 유통량과 제조량이 증가했으나,[19][20] 1997년에 소비세가 5%로 인상되면서 제조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 디지털 화폐 사용 증가로 인해 일본 재무성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1엔 동전 발행을 중단했다.[20][24] 이에 따라 1엔 동전은 주화 세트용으로만 제조되었다. 2014년에 일본에서 소비세가 8%로 상승하면서 1엔 동전 발행이 재개되었으나,[25] 2016년에 민트 세트용을 제외한 1엔 동전 제조가 중단되었다.[20][24]
1엔 동전은 무게가 1그램이기 때문에 무게추로 사용되기도 하며, 잔잔한 물 표면에 놓으면 표면 장력으로 인해 물에 뜨기도 한다.[31][28]
1955년 발행된 1엔 알루미늄화는 현재 통용되는 일본 주화 중 유일하게 구리가 포함되지 않았으며, 액면가가 가장 낮다. 앞면에는 어린 나무, 뒷면에는 숫자 "1"과 제조 연도가 디자인되어 있다. 어린 나무는 일본의 성장을 상징하며, 일반 공모를 통해 디자인이 결정되었다.
2. 3. 연혁
1870년에 처음으로 발행되었으며 1871년에는 1엔 금화, 1874년에는 1엔 은화가 발행된 적이 있다.[89] 1948년에 1엔 황동화가 발행되었으나[86] 1950년에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행을 중단했고 1953년에 법화로서의 효력을 상실했다.[89] 1954년에는 일본에서 새로운 1엔 동전 디자인 공모전이 진행되었는데 앞면에는 어린 나뭇가지가 그려져 있는 디자인, 뒷면에는 액면 숫자 "1"이 쓰여져 있는 디자인이 선정되었다.[89] 1955년 1월 13일에 일본 대장성이 새로운 1엔 동전 디자인을 승인하면서 1955년부터 1엔 알루미늄화가 발행되었다.[89]1960년대에 일본에서 일어난 고도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자동 판매기의 보급으로 인해 일어난 극심한 보조 화폐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잉 제조 현상이 일어났다.[89] 1968년에는 일시적으로 발행되지 않았다가 나중에 발행이 재개되었다.[89] 1989년에 일본에서 3% 수준의 소비세가 도입되면서 5엔 동전과 함께 유통량과 제조량이 증가했으나 1997년에 소비세가 5% 수준으로 상향되면서 제조량이 크게 줄어들었다.[89]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금속 원자재 상승, 디지털 화폐 사용이 증가하면서 일본 재무성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1엔 동전 발행을 중단했다.[89] 이에 따라 1엔 동전은 민트 세트용으로만 제조되었다.[89] 2014년에 일본에서 소비세가 8% 수준으로 상승하면서 1엔 동전 발행이 재개되었으나[89] 2016년에 민트 세트용을 제외한 1엔 동전 제조를 중단했다.[89]
- 1870년: 구 1엔 은화 발행.
- 1871년: 구 1엔 금화(본위 금화) 발행.
- 1874년: 신 1엔 은화 발행.
- 1948년: 1엔 황동화 발행. (소재: 황동(구리 60%-70%, 아연 30%-40%), 무게: 3.2g, 지름: 20.0mm, 도안 소재: 귤(앞면))[84][85][86]
- 1953년 12월 31일: 《소액 통화의 정리 및 지불 금액 끝자리 계산에 관한 법률(小額通貨の整理及び支払金の端数計算に関する法律일본어)》에 의해 1엔 황동화의 통용이 금지되고 법화로서의 효력을 상실함.
- 1955년: 1엔 알루미늄화 발행.[88][83][89]
- 1968년: 생산 과잉이 되어 1년간 제조를 중단.
- 1988년 4월 1일: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 따라, 종전에는 임시 보조 화폐로서 발행되었던 1엔 알루미늄화는 "화폐로 간주하는 임시 보조 화폐"로서 계속 통용력을 갖게 됨.
- 2011년 - 2013년: 전자 화폐의 보급 등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에, 민트 세트용을 제외하고 제조를 중단.
- 2014년: 소비세 8% 인상에 따라 일반 유통용 제조를 재개.
- 2016년 - : 민트 세트용을 제외하고, 다시 제조를 중단.
3. 디자인 및 특징
1엔 동전은 메이지 시대에 금, 은으로 만들어진 적이 있으며, 현대에는 황동과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다. 1955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1엔 알루미늄화는 순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으며, 무게는 1g이다.
연도 | 재질 | 지름 | 질량 |
---|---|---|---|
금 | |||
1871[32] | 90% 금, 10% 구리 | 13.5mm | 1.67g |
1874, 1876–1877, 1880, 1892[33] | 90% 금, 10% 구리 | 12mm | 1.67g |
은 | |||
1870–1874[34][35] | 90% 은, 10% 구리 | 38.5mm | 26.96g |
1874–1887[36] | 90% 은, 10% 구리 | 38.6mm | 26.96g |
1888–1914[37][38] | 90% 은, 10% 구리 | 38.1mm | 26.96g |
현대 | |||
1948–1950[39] | 황동 | 19.5mm | 3.2g |
1955–현재[18] | 100% 알루미늄 | 20mm | 1g |
3. 1. 1엔 알루미늄화
1955년(쇼와 30년) 6월 1일[89]에 발행을 시작하여, 2024년 (레이와 6년) 현재도 발행 중이다. 순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본에서 발행 중인 6종류의 통용 주화 중에서 소재에 구리가 포함되지 않은 유일한 주화이다.[53] 또한 발행 중이며, 법정 통화로서 유효한 일본의 주화 중에서 액면가가 가장 작으며, 현재 일본에서 현금의 최소 단위 주화가 되고 있다.표면에는 중앙에 "어린 나무", 윗변에 "일본국", 아랫변에 한자 숫자 "1엔"이 배치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원을 배경으로 아라비아 숫자 "1"과 아랫변에 제조 연도가 디자인되어 있다. 표면의 어린 나무에 그려져 있는 잎의 수는 8장이다. 그림의 어린 나무는 일본이 뻗어 나가는 모습을 상징하는 것으로,[54] 디자인의 모델 수종은 특별히 없으며,[55] 특정 모델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어떤 나무에도 통하는, 라는 생각이다. 또한 이 앞뒷면은 조폐국에서의 편의적인 구분으로, 메이지 시대의 주화와 달리 법률상의 앞뒷면 규정은 없다.[56]
일본에서 발행 중인 6종류의 통용 주화 중에서 디자인이 일반 공모를 통해 결정된 유일한 주화이다.[57]
1엔 주화의 질량은 1.0g이다.[53]

순수 알루미늄인 1엔 주화의 비중은 2.7로 물보다 무겁지만, 마른 1엔 주화를 수면에 평평하게 놓으면 1엔 주화에 걸리는 부력과 표면 장력이 1엔 주화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물에 뜬다.[58] 물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표면 장력을 낮춘 경우나, 물보다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서는 가라앉는다.
알루미늄 화폐 발행 시작 후 얼마 동안은 1엔 지폐(A 1엔)도 병행하여 발행되었지만, 1958년 (쇼와 33년)을 기점으로 지폐의 지급이 정지되어, 이후 발행되는 액면 1엔의 통화는 이 주화뿐이 되었다.
3. 2. 역대 동전
1엔 동전은 1870년에 처음 발행되었다. 1871년에는 1엔 금화, 1874년에는 1엔 은화가 발행되었다. 1948년에는 1엔 황동화가 발행되었으나, 1950년에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발행이 중단되었고 1953년에 법화로서의 효력을 상실했다.[17] 1955년부터 1엔 알루미늄화가 발행되기 시작했다.1960년대 일본의 고도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자동 판매기 보급으로 보조 화폐 부족 현상이 심해지자 1엔 동전의 과잉 제조 현상이 일어났다. 1968년에는 일시적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다. 1989년 소비세(3%) 도입으로 5엔 동전과 함께 유통량과 제조량이 증가했으나, 1997년 소비세가 5%로 인상되면서 제조량이 크게 줄었다.
2000년대 들어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과 디지털 화폐 사용 증가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1엔 동전 발행이 중단되었다. 이 기간 동안 1엔 동전은 민트 세트용으로만 제조되었다. 2014년 소비세가 8%로 인상되면서 발행이 재개되었으나, 2016년에 민트 세트용을 제외한 1엔 동전 제조가 다시 중단되었다.
연도 | 재질 | 지름 (mm) | 질량 (g) |
---|---|---|---|
금 | |||
1871[32] | 90% 금, 10% 구리 | 13.5 | 1.67 |
1874, 1876–1877, 1880, 1892[33] | 90% 금, 10% 구리 | 12 | 1.67 |
은 | |||
1870–1874[34][35] | 90% 은, 10% 구리 | 38.5 | 26.96 |
1874–1887[36] | 90% 은, 10% 구리 | 38.6 | 26.96 |
1888–1914[37][38] | 90% 은, 10% 구리 | 38.1 | 26.96 |
현대 | |||
1948–1950[39] | 황동 | 19.5 | 3.2 |
1955–현재[18] | 100% 알루미늄 | 20.0 | 1.0 |
연호 | 일본 연도 | 서기 | 발행량 |
---|---|---|---|
4년 | 四 | 1871년 | [32] |
7년 | 七 | 1874년 | [33] |
9년 | 九 | 1876년 | [33] |
10년 | 十 | 1877년 | [33] |
13년 | 三十 | 1880년 | |
25년 | 五十二 | 1892년 | 유통되지 않음 |
재위 연도 | 일본 날짜 | 그레고리력 날짜 | 발행량 |
---|---|---|---|
3년 | 三 | 1870 | [34] |
7년 | 七 | 1874 | [35] |
8년 | 八 | 1875 | [36] |
11년 | 一十 | 1878 | [36] |
12년 | 二十 | 1879 | [36] |
13년 | 三十 | 1880 | [36] |
14년 | 四十 | 1881 | [36] |
15년 | 五十 | 1882 | [36] |
16년 | 六十 | 1883 | [36] |
17년 | 七十 | 1884 | [36] |
18년 | 八十 | 1885 | [36] |
19년 | 九十 | 1886 | [36] |
20년 | 十二 | 1887 | [36] |
21년 | 一十二 | 1888 | [37] |
22년 | 二十二 | 1889 | [37] |
23년 | 三十二 | 1890 | [37] |
24년 | 四十二 | 1891 | [37] |
25년 | 五十二 | 1892 | [37] |
25년 | 五十二 | 1892 | |
26년 | 六十二 | 1893 | [37] |
27년 | 七十二 | 1894 | [37] |
28년 | 八十二 | 1895 | [37] |
29년 | 九十二 | 1896 | [37] |
30년 | 十三 | 1897 | [37] |
34년 | 四十三 | 1901 | [37] |
35년 | 五十三 | 1902 | [37] |
36년 | 六十三 | 1903 | [37] |
37년 | 七十三 | 1904 | [37] |
38년 | 八十三 | 1905 | [37] |
39년 | 九十三 | 1906 | [37] |
41년 | 一十四 | 1908 | [37] |
45년 | 五十四 | 1912 | [37] |
재위 연도 | 일본 날짜 | 그레고리력 날짜 | 주조량 |
---|---|---|---|
3년 | 三 | 1914년 | 11,500,000[38] |
재위 년도 | 일본 날짜 | 그레고리력 날짜 | 주조량[42] |
---|---|---|---|
23 | 二十三 | 1948 (황동) | 451,170,000[39] |
24 | 二十四 | 1949 (황동) | |
25 | 二十五 | 1950 (황동) | |
30 | 三十일본어 | 1955 | 381,700,000 |
31 | 三十一일본어 | 1956 | 500,900,000 |
32 | 三十二일본어 | 1957 | 492,000,000 |
33 | 三十三일본어 | 1958 | 374,900,000 |
34 | 三十四일본어 | 1959 | 208,600,000 |
35 | 三十五일본어 | 1960 | 300,000,000 |
36 | 三十六일본어 | 1961 | 432,400,000 |
37 | 三十七일본어 | 1962 | 572,000,000 |
38 | 三十八일본어 | 1963 | 788,700,000 |
39 | 三十九일본어 | 1964 | 1,665,100,000 |
40 | 四十일본어 | 1965 | 1,743,256,000 |
41 | 四十一일본어 | 1966 | 807,344,000 |
42 | 四十二일본어 | 1967 | 220,600,000 |
44 | 四十四일본어 | 1969 | 184,700,000 |
45 | 四十五일본어 | 1970 | 556,400,000 |
46 | 四十六일본어 | 1971 | 904,950,000 |
47 | 四十七일본어 | 1972 | 1,274,950,000 |
48 | 四十八일본어 | 1973 | 1,470,000,000 |
49 | 四十九일본어 | 1974 | 1,750,000,000 |
50 | 五十일본어 | 1975 | 1,656,150,000 |
51 | 五十一일본어 | 1976 | 928,850,000 |
52 | 五十二일본어 | 1977 | 895,000,000 |
53 | 五十三일본어 | 1978 | 864,000,000 |
54 | 五十四일본어 | 1979 | 1,015,000,000 |
55 | 五十五일본어 | 1980 | 1,145,000,000 |
56 | 五十六일본어 | 1981 | 1,206,000,000 |
57 | 五十七일본어 | 1982 | 1,017,000,000 |
58 | 五十八일본어 | 1983 | 1,086,000,000 |
59 | 五十九일본어 | 1984 | 981,850,000 |
60 | 六十일본어 | 1985 | 837,150,000 |
61 | 六十一일본어 | 1986 | 417,960,000 |
62 | 六十二일본어 | 1987 | 955,775,000 |
63 | 六十三일본어 | 1988 | 1,269,042,000 |
64 | 六十四일본어 | 1989 | 116,100,000 |
재위 연도 | 일본 연도 | 서력 기원 | 주조량[42] |
---|---|---|---|
1년 | 元일본어 | 1989 | 2,366,970,000 |
2년 | 二일본어 | 1990 | 2,768,953,000 |
3년 | 三일본어 | 1991 | 2,301,120,000 |
4년 | 四일본어 | 1992 | 1,299,130,000 |
5년 | 五일본어 | 1993 | 1,261,240,000 |
6년 | 六일본어 | 1994 | 1,040,767,000 |
7년 | 七일본어 | 1995 | 1,041,874,000 |
8년 | 八일본어 | 1996 | 942,213,000 |
9년 | 九일본어 | 1997 | 783,086,000 |
10년 | 十일본어 | 1998 | 452,612,000 |
11년 | 十一일본어 | 1999 | 67,120,000 |
12년 | 十二일본어 | 2000 | 12,026,000 |
13년 | 十三일본어 | 2001 | 8,024,000 |
14년 | 十四일본어 | 2002 | 9,667,000 |
15년 | 十五일본어 | 2003 | 117,406,000 |
16년 | 十六일본어 | 2004 | 52,903,000 |
17년 | 十七일본어 | 2005 | 30,029,000 |
18년 | 十八일본어 | 2006 | 129,594,000 |
19년 | 十九일본어 | 2007 | 223,904,000 |
20년 | 二十일본어 | 2008 | 134,811,000 |
21년 | 二十一일본어 | 2009 | 48,003,000 |
22년 | 二十二일본어 | 2010 | 7,905,000 |
23년 | 二十三일본어 | 2011 | 456,000 |
24년 | 二十四일본어 | 2012 | 659,000 |
25년 | 二十五일본어 | 2013 | 554,000 |
26년 | 二十六일본어 | 2014 | 124,013,000 |
27년 | 二十七일본어 | 2015 | 82,004,000 |
28년 | 二十八일본어 | 2016 | 574,000 |
29년 | 二十九일본어 | 2017 | 477,000 |
30년 | 三十일본어 | 2018 | 440,000 |
31년 | 三十一일본어 | 2019 | 566,000 |
재위 연도 | 일본식 날짜 | 그레고리력 날짜 | 조폐량[42] |
---|---|---|---|
1년 | 元 | 2019 | 502,000 |
2년 | 二 | 2020 | 528,000 |
3년 | 三일본어 | 2021 | 845,000 |
4년 | 四일본어 | 2022 | 574,000 |
5년 | 五일본어 | 2023 | 463,000 |
6년 | 六일본어 | 2024 | TBD |
4. 제조 및 유통
1870년에 처음 발행되었으며 1871년에는 1엔 금화, 1874년에는 1엔 은화가 발행되었다. 1948년 1엔 황동화가 발행되었으나 1950년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발행이 중단되었고 1953년 법화로서의 효력을 상실했다. 1954년 새로운 1엔 동전 디자인 공모전이 일본에서 진행되어 앞면에는 어린 나뭇가지, 뒷면에는 숫자 "1"이 들어간 디자인이 선정되었다. 1955년 1월 13일 일본 대장성이 새 디자인을 승인하면서 1엔 알루미늄화가 발행되었다.
1960년대 일본의 고도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자동 판매기 보급으로 보조 화폐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자 1엔 동전 제조량이 급증했다. 1968년에는 일시적으로 발행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이후 재개되었다. 1989년 3% 소비세 도입으로 5엔 동전과 함께 1엔 동전 유통량과 제조량이 증가했지만, 1997년 소비세율이 5%로 오르면서 제조량은 크게 감소했다.
2000년대 들어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과 디지털 화폐 사용 증가로 일본 재무성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1엔 동전 발행을 중단하고 민트 세트용으로만 제조했다. 2014년 소비세율이 8%로 인상되면서 발행이 재개되었으나, 2016년 민트 세트용을 제외한 1엔 동전 제조는 중단되었다.
4. 1. 제조
1955년(쇼와 30년) 임시 통화법에 따라 임시 보조 화폐로 알루미늄화를 발행하기 시작하여 2024년(레이와 6년) 현재에도 발행 중이다.[71][59][60][61]1988년(쇼와 63년) 4월,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시행 후에는 '화폐'로 간주되어 계속 법정 통화로서 유효하다.
1엔 동전 1개를 제조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액면가 이상이다. 2015년(헤이세이 27년) 현재 1엔 동전 제조에 약 3엔이 소요된다고 한다.[71] 2003년(헤이세이 15년) 당시 정부에 의한 화폐 발행 차익은 1개당 13엔의 적자로 추산된다.[59] 원료가 되는 알루미늄 괴는 2021년(레이와 3년) 9월 현재 1킬로그램당 377엔으로, 알루미늄 괴로서의 가치는 1개당 약 38전이다.[60] 2009년(헤이세이 21년) 초에 조폐국이 민간에서 조달한 1엔 동전용 알루미늄 원형 4200만 개의 조달 가격은 3352만 엔으로, 금속 재료의 원형으로서는 1개당 약 80전이 된다.[61]
세계 여러 나라를 보더라도, 현금의 최소 단위 또는 이에 가까운 동전에 대해서는 액면가 이상의 제조 비용이 드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의 1센트 동전 등이 해당한다.
조폐국에서 제조되어 일본은행에 납입될 때 사용되는 삼베 자루에 관해서, 1엔 동전은 1자루에 5000개(금액 5000엔, 순중량 5kg)가 채워진다. 이것은 동전의 크기·무게로 인해 다른 일본의 통상 동전에 비해 많은 개수이지만, 그래도 일본의 통상 동전의 삼베 자루 중에서 무게가 가장 가볍다.
4. 2. 유통 상황
1955년(쇼와 30년) 6월 1일[89]부터 2024년(레이와 6년)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일본에서 발행 중인 6종류의 통용 주화 중 구리가 포함되지 않은 유일한 주화이다.[53] 법정 통화인 일본의 주화 중 액면가가 가장 작으며, 현재 일본에서 현금 거래 시 사용되는 최소 단위 주화이다.1988년(쇼와 63년) 4월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화폐'로 간주되어 법정 통화로서 유효하다.
일본 통화 중 최소 액면 금액의 동전이지만, 시중에서 불편함 없이 유통되고 있다. 현금 없는 결제 보급으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최근에는 민트 세트용으로만 생산되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입출금 및 환전 시 수수료가 부과되는 경우도 있다.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라, 한 번의 거래에서 강제 통용력은 20장(20엔)까지이다. 21장 이상 사용 시 수취인이 거부할 수 있으며, 지불자는 강제로 받도록 할 수 없다. 단, 쌍방 합의 하에 사용하는 것은 문제없다. 세무서에서 납세 등 공금 지불 시에는 사용 매수에 제한이 없다.
세계적으로 일본의 1엔 동전과 비슷한 소액 동전은 폐지되거나, 거스름돈을 사탕, 봉투, 이쑤시개 등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도 쇼와 시대(1955년~1964년)에 1엔 동전이 부족하여 껌이나 상품권으로 대체된 적이 있었지만, 현재는 시중에서 문제없이 유통된다.
1999년 (헤이세이 11년) 이후 수요 감소로 신규 제조량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2015년 (헤이세이 27년)을 마지막으로 유통용 동전 제조가 중단되어 시중 유통량도 감소 추세이다. 현금 없는 사회 진전, 조폐 비용 부담, 예금 및 환전 수수료 부과 등의 상황에서 일본 내 1엔 동전 폐지론도 거론된다.
2021년 (레이와 3년) 2월 25일 중의원예산위원회 분과회에서 입헌민주당정책 조사 회장 이즈미 켄타가 1엔 동전과 5엔 동전 폐지를 재무대신아소 타로에게 제안했으나, 아소 타로는 "소액 거래를 중심으로 수요가 있어 즉시 폐지할 생각은 없다"고 답변했다.[67]
5. 사회문화적 의미
1955년(쇼와 30년)에 1엔 동전과 50엔 동전이 발행되면서, 전년인 1954년(쇼와 29년)에 1엔 알루미늄 화폐와 50엔 니켈 화폐의 디자인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일반 공모되었다. 40일간의 공모 기간 동안 1엔 동전에만 2,581점의 응모가 있었고, 앞면인 "어린 나무" 디자인은 당시 교토부에 거주하던 나카무라 마사미의 작품이, 뒷면인 "1" 디자인은 당시 오사카부에 거주하던 다카시마 도지오의 작품이 각각 선정되었으며, 1955년(쇼와 30년) 1월 13일에 대장성에서 도안이 발표되었다. 1엔 동전 디자인 일반 공모에 즈음하여 대장성은 수상자에게 상금 7만 5000엔을 증정하기로 했지만, 수상자가 두 명이 되었기 때문에, 각각 절반인 37500JPY을 상금으로 증정했다[68]。
1960년대는 고도 경제 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자동판매기의 보급으로, 임시 보조 화폐가 만성적으로 부족해, 1엔 동전 대신 껌이나 상품권이 사용된 적이 있다. 생산 라인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당시 대장 대신・다나카 가쿠에이의 지시로, 1963년(쇼와 38년)부터 1964년(쇼와 39년)에 걸쳐, 후추 형무소의 징역수형자의 형무 작업으로서, 1엔 동전의 제조 작업을 실시했다[69]。생산 과잉에 따른 제조 중단으로 인해 1968년(쇼와 43년) 제조의 1엔 동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1989년(헤이세이 원년)의 소비세 도입 전에는 주로 슈퍼 등에서 10엔 단위 이하의 단수 가격 표시(예: 98엔)의 상품을 구입했을 때의 거스름돈으로 유통되었지만, 소비세 도입 이후에는 세금 포함 가격에 단수가 생기기 때문에, 5엔 동전과 함께 유통량이 급증하여, 대량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소비세가 3%에서 5%로 인상된 1997년(헤이세이 9년) 이후에는 단수가 5엔 단위가 되어 수요가 감소했고, 그에 따라 제조량도 줄어들었으며, 특히 2001년(헤이세이 13년)에는 802만 4천 매밖에 제조되지 않아, 그해 제조분의 미사용 동전은 골동품 상점에서 액면을 초과하는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현금 없는 결제의 보급의 영향도 받아 2011년(헤이세이 23년)에는 민트 세트용 45만 6천 매만 제조되었고, 일반 유통용으로는 1968년(쇼와 43년) 이후 43년 만에 제조되지 않았다[70]。그해에는 5엔 동전, 50엔 동전도 1엔 동전과 마찬가지로 민트 세트용만이었다. 다음 해 2012년(헤이세이 24년)에도 1엔 동전, 5엔 동전, 50엔 동전은 민트 세트용 65만 9천 매만 제조되었으며[70], 2013년(헤이세이 25년)에도 "유통량은 안정되어 있다"는 판단에 따라, 민트 세트용 55만 4천 매만 제조되었다[71][72]。
2014년(헤이세이 26년)에는, 그해 4월 1일부터 소비세가 5%에서 8%로 인상되므로, 1엔 동전의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2013년도(헤이세이 25년도) 중에 2500만 매, 2014년도(헤이세이 26년도)에는 더욱 1억 6천만 매로, 합계 2억 매 가까이를 조폐국이 유통용으로 제조하게 되었다[73]。그러나 현금 없는 결제의 영향도 있어 수요는 예상과 달리 늘지 않아, 2016년(헤이세이 28년) 이후에는 다시 민트 세트용만 제조되고 있다[74]。2019년(헤이세이 31년/레이와 원년)에도, 헤이세이 31년 명과 레이와 원년 명 모두 민트 세트용만 제조되어, 현재로서는 "레이와" 연호가 각인된 1엔 동전은 민트 세트용밖에 제조되지 않았다.
1960년대 초반, 임시 보조 화폐가 만성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잔돈의 대용품으로 하리스가 1장당 1엔의 "거스름돈 껌"을 슈퍼마켓이나 역 매점용으로 제조한 적이 있다.[75]
1960년대 후반, 성장 과정에 있던 다이에는 많은 쇼핑객에게 거스름돈으로 내줄 1엔 동전이 부족해, 1엔 동전을 가져오는 사람에게 설탕을 반값으로 판매하여 1엔 동전을 모았지만 그래도 부족했다. 다이에는 자체적으로 1엔짜리 상품권을 "발행"하여 거스름돈 지급에 충당했다. 그러나 이 상품권이 다이에 외의 상거래에서도 "통용"되면서 고베 시내에서 1엔으로 "유통"되었다. 일본 은행 고베 지점은 서둘러 상품권 발행을 중단시키는 한편, 다이에의 주거래 은행인 도카이 은행을 통해 1엔 동전을 공급했지만, 일본 은행의 보유분도 곧 고갈되었고, 도카이 은행이 아이치현의 아쓰타 신궁과 미에현의 이세 신궁의 사전에서 1엔 동전을 긁어모아 고베까지 운반하여 공급했다.[76]
6. 논란
2021년 2월 25일, 입헌민주당 대표 이즈미 켄타는 은행에 1엔 및 5엔 동전을 예금할 때 드는 수수료 때문에 이들 동전의 폐지를 제안했다. 이즈미가 제기한 문제는 대부분의 주요 은행에서 101개 이상의 동전을 예금할 때 550엔의 수수료가 부과된다는 점이었다.[29] 당시 재무대신이었던 아소 타로는 소액 거래에 대한 수요가 있다며 "즉시 폐지할 계획은 없다"고 반박했다.[29] 2017년 10월에는 1엔 동전이 오사카 등 상인 거래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지역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30]
파이낸셜 타임스 특파원 레오 루이스는 일본에서 현금 사용이 "쉽게 깨지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일본 노인들이 혁신에 소극적이며, "거리 범죄율 감소, 낮은 금리, 상속세 한도 감소"와 같은 요인들이 현금 소지의 매력을 높인다고 설명했다.[31]
참조
[1]
서적
Japan Report
https://books.google[...]
Consulate General of Japan
[2]
서적
The Coin Collector's Journal
https://books.google[...]
Scott and Company
[3]
논문
The End of the Mexican Dollar
1904
[4]
서적
Catalogues of United States and Foreign Coins, Medals, Etc
https://books.google[...]
John Polhumus
[5]
서적
Report and Accompanying Documents of the United States Monetary Commission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6]
웹사이트
Collecting Japanese Silver Yen: The Dragon Yen 1870-1914
http://antique-marks[...]
Antique Marks
2016-08-05
[7]
서적
Japan by the Japanese
https://books.google[...]
W. Heinemann
[8]
간행물
Monetary Changes in Japa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9]
서적
帝国現代縱横史
https://books.google[...]
Period Research Group
[10]
웹사이트
Meiji Proof gold 1 Yen Year 13 (1880)
https://coins.ha.com[...]
2020-11-30
[11]
서적
Gold Standard in International Trade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2]
서적
Sound Currency
https://books.google[...]
Sound Currency Committee of the Reform Club
[13]
서적
1996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Krause Publications
[14]
서적
Collecting world coins: a full century of circulating issues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15]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a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https://books.google[...]
D. Appleton & Company
[16]
서적
Japan As It Is
https://books.google[...]
Kokusai Tsushin-Sha
1915
[17]
서적
Collecting World Coins 10th edition
Krause Publications
[18]
웹사이트
1-yen Aluminum Coin
http://www.mint.go.j[...]
Japan Mint
2016-08-05
[19]
웹사이트
Japanese Coins
http://www.nippon.co[...]
www.nippon.com
2016-08-02
[20]
웹사이트
Demand for lowly ¥1 coin sinks as consumers take to cashless transactions
https://www.japantim[...]
2019-04-12
[21]
웹사이트
Coin Production Process 1
https://www.mint.go.[...]
2019-04-12
[22]
웹사이트
景気対策を目的とした政府貨幣増発の帰結
https://web.archive.[...]
www.murc.jp
2016-08-01
[23]
웹사이트
1円玉原価割れも 金属値上がりでおカネづくり一苦労
http://www.nikkei.co[...]
www.nikkei.com
2016-08-01
[24]
웹사이트
End of road for Japan's 1-yen coin
https://www.numismat[...]
Numismatic News
2019-04-14
[25]
웹사이트
E-Money Uptake Brings ¥1 Coin Production to Near Standstill
https://www.nippon.c[...]
2019-04-14
[26]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Yen: Bills and Coins
https://web.archive.[...]
Matcha magazine
2016-08-05
[27]
웹사이트
作るのに3円かかるらしい1円玉。発行年の新しいものがめったに見られないワケとは?
https://financial-fi[...]
2022-12-08
[28]
웹사이트
The Fate of the 1 Yen Coin – When will it lose its lustre in Japan?
http://www.stippy.co[...]
www.stippy.com
2016-08-02
[29]
웹사이트
1円玉と5円玉「役割終えている」 国会で論戦 立民の泉政調会長「さい銭多い神社が苦労」
https://www.kyoto-np[...]
2021-02-26
[30]
웹사이트
Osaka's 1-Yen Sales Attract Shoppers But May Undercut Inflation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7-11-05
[31]
웹사이트
Japan's cash addiction will not be easily broken
https://www.ft.com/c[...]
2019-04-14
[32]
웹사이트
Yr.4(1871)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3]
웹사이트
Japan Yen Y# 9a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4]
웹사이트
Yr.3(1870) Type I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5]
웹사이트
Yr.7(1874)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6]
웹사이트
Japan Yen Y# A25.2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7]
웹사이트
Japan Yen Y# A25.3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8]
웹사이트
Japan Yen Y# 38 Yr.3(1914)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39]
웹사이트
Japan Yen Y# 70 Yr.23(1948)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3-25
[40]
웹사이트
Japan: Meiji gold Proof 10 Yen Year 4 (1871) PR66 Cameo
https://coins.ha.com[...]
2020-08-19
[41]
웹사이트
Yr.25(1892) None struck for circulation
https://www.ngccoin.[...]
Numismatic Guaranty Corporation
2019-06-03
[42]
웹사이트
年銘別貨幣製造枚数【令和5年銘】
https://www.mint.go.[...]
Japan Mint
2024-02-16
[43]
웹사이트
Reiwa coins to debut summer 2019
https://mainichi.jp/[...]
2019-06-03
[44]
서적
The Numismatist
https://books.google[...]
[45]
웹사이트
Jacobs Collection stuns, nets $6.8 million
https://www.coinworl[...]
2011-09-29
[46]
웹사이트
Japan 1870-1950 (obsolete)
https://www.starcity[...]
2023-08-28
[47]
웹사이트
20. Japan M3 (1870) Yen
https://www.ngccoin.[...]
2023-08-28
[48]
웹사이트
Fake 1891 Japanese yen identified by ANACS
https://www.coinworl[...]
2015-12-23
[49]
웹사이트
Counterfeit Detection: 1891 Japanese Yen
https://www.ngccoin.[...]
2022-04-21
[50]
웹사이트
Japan Yen (Counterfeit) 1874 to 1912
https://coinquest.co[...]
2023-08-28
[51]
웹사이트
The Value and Purchase Price of Meiji 1 Yen Silver Coins
https://japan.antiqu[...]
2023-08-28
[52]
웹사이트
日本銀行サイト「日本のお金」
https://www.boj.or.j[...]
日本銀行
[53]
웹사이트
現在製造している貨幣
https://www.mint.go.[...]
造幣局
[54]
간행물
わが国の通貨制度(幣制)の運用状況について
https://www.mof.go.j[...]
財務省
2012-08
[55]
웹사이트
貨幣Q&A 1円貨のデザインにある木は何の木ですか?
https://www.mint.go.[...]
造幣局
[56]
웹사이트
貨幣Q&A 貨幣の表はどちらですか?
https://www.mint.go.[...]
造幣局
[57]
웹사이트
貨幣のデザイン
https://www.mint.go.[...]
造幣局
[58]
웹사이트
【第2回】(よくある話ですが)1円玉はなぜ水に浮くのか?
https://www.face-kyo[...]
協和界面化学
[59]
간행물
景気対策を目的とした政府貨幣増発の帰結
https://www.murc.jp/[...]
三菱UFJリサーチ&コンサルティング
2003-05-12
[60]
웹사이트
アルミ指標相場・スクラップ価格推移
http://www.mrj.jp/da[...]
日刊市况通信社
[61]
뉴스
1円玉原価割れも 金属値上がりでおカネづくり一苦労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1-05-26
[62]
뉴스
1セント硬貨は不要? カナダが廃止、米国は存続派が優勢か
https://www.cnn.co.j[...]
2013-02-05
[63]
웹사이트
ゆうちょ銀行、現金を使った支払いで手数料110円。22年1月から
https://www.watch.im[...]
インプレス
2021-07-02
[64]
문서
硬貨取扱料金の料金シミュレーション
[65]
문서
2024年02月22日 硬貨取扱料金改定のお知らせ
https://www.jp-bank.[...]
[66]
문서
補助貨ヲ無制限ニ公納受領ノ件
https://www.mof.go.j[...]
[67]
뉴스
1円玉と5円玉「役割終えている」 国会で論戦 立民の泉政調会長「さい銭多い神社が苦労」
https://www.kyoto-np[...]
2021-02-26
[68]
웹사이트
1円玉に描かれた「木」が実在しない植物って、ご存知でしたか?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17-04-07
[69]
뉴스
「足りない硬貨」
1963-08-30
[70]
뉴스
一円玉、2年連続製造ゼロ 消費増税で復権なる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3-04
[71]
뉴스
1円玉 3年連続製造「ゼロ」見通し 電子マネー普及に押され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6-04
[72]
뉴스
年銘別貨幣製造枚数(平成25年)
http://www.mint.go.j[...]
2014-03-02
[73]
웹사이트
消費税増税にともない、4年ぶりとなる一円玉の製造が本格再開
http://www.fnn-news.[...]
2014-03-02
[74]
웹사이트
製造は激減、数千分の1になった「1円玉の今」 造幣局に聞いた…それでも続く「普段使いじゃないニーズ」
https://newsdig.tbs.[...]
ジャパン・ニュース・ネットワーク
2024-11-07
[75]
데이터베이스
昭和30年代、おつりが足りないときに店から渡された「おつりガム」について知りたい。
https://crd.ndl.go.j[...]
2021-01-13
[76]
서적
完本カリスマ 上: 中内功とダイエーの「戦後」
ちくま文庫
2007
[77]
문서
[78]
문서
[79]
서적
造幣局125年史
造幣局
1997
[80]
서적
日本貨幣カタログ1989年版
[81]
서적
カラー版 日本通貨図鑑
日本専門図書出版
[82]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83]
서적
日本貨幣図鑑
東洋経済新報社
1981-10
[84]
문서
[85]
서적
日本貨幣図鑑
東洋経済新報社
1981-10
[86]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87]
문서
[88]
문서
[89]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9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