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주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주화는 현재 1엔, 5엔, 10엔, 50엔, 100엔, 500엔의 6종류가 유통되며, 기념주화도 발행된다. 일본 정부가 제조 및 발행 권한을 가지며, 조폐국에서 제조하고 일본 은행을 통해 유통된다. 각 주화는 고유의 디자인과 특징을 가지며, 500엔 주화는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1엔, 5엔, 50엔 주화는 제조 비용이 액면가보다 높아 생산이 제한적이며, 소액 주화 폐지 논의도 진행 중이다. 훼손된 주화는 일본 은행에서 교환 가능하며, 손상 정도에 따라 교환 기준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주화 - 황조십이전
    황조십이전은 708년부터 958년까지 일본에서 발행된 12종의 동전으로, 율령제 정비와 헤이조쿄 천도 경비 충당을 위해 당나라 개원통보를 본떠 제작되었으며, 가치 하락으로 유통 부진을 겪다가 겐겐 타이호 발행 이후 중단되었다.
  • 일본의 주화 - 니슈킨
    니슈킨은 에도 시대에 발행된 일본의 소액 금화이며, 막부가 개주를 통해 차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겐로쿠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 통용되었다.
일본의 주화

2. 현재 유통되는 주화

wikitext

현재 일본에서 제조, 발행, 유통되는 주화는 유통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1엔 동전, 5엔 동전, 10엔 동전, 50엔 동전, 100엔 동전, 500엔 동전과 기념주화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기념주화는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16] 화폐의 발행에 관한 업무는 정부에서 맡고 있고, 재무 대신은 화폐의 제조에 관한 사무를 일본 조폐국에게 위임, 감독하고 있다.

== 종류 및 특징 ==

명칭규격도안 및 형식소재 및 품위발행 시작
1엔 경화
〈1엔 알루미늄 화폐〉
1엔 알루미늄 화폐
외경: 20mm
중량: 1g
두께: 약 1.5mm[11]
앞면: 어린 나무, "일본국", "1엔"
뒷면: "1", 연호
2016년 이후 미트 세트용 외 신규 제조 중단.
알루미늄1955년(쇼와 30년) 6월 1일[12]
5엔 경화
〈5엔 황동화(유공 고딕체)〉
5엔 황동화(유공 고딕체)
외경: 22mm
구멍 지름: 5mm
중량: 3.75g[13]
두께: 약 1.5mm
앞면: 벼 이삭, 톱니바퀴, 물과 "5엔"
뒷면: 쌍떡잎, "일본국", 연호
구멍 뚫림, 고딕체
황동
(구리 60~70%, 아연 30~40%)
1959년(쇼와 34년) 9월 1일[14]
10엔 경화
〈10엔 청동화(기자 없음)〉
10엔 청동화(기자 없음)
외경: 23.5mm
중량: 4.5g
두께: 약 1.5mm
앞면: 뵤도인 호오도, "일본국", "10엔"
뒷면: 상록수, 리본, "10", 연호
청동
(구리 95%, 아연 3~4%, 주석 1~2%)
1959년(쇼와 34년) 2월 16일[14]
50엔 경화
〈50엔 백동화〉
50엔 백동화
외경: 21mm
구멍 지름: 4mm
중량: 4g
두께: 약 1.7mm
앞면: 국화, "일본국", "50엔"
뒷면: "50", 연호
구멍 뚫림, 주변 톱니 모양
백동
(구리 75%, 니켈 25%)
1967년(쇼와 42년) 2월 1일[15]
100엔 경화
〈100엔 백동화〉
100엔 백동화
외경: 22.6mm
중량: 4.8g
두께: 약 1.7mm
앞면: 벚꽃, "일본국", "100엔"
뒷면: "100", 연호
주변 톱니 모양
백동
(구리 75%, 니켈 25%)
1967년(쇼와 42년) 2월 1일[15]
500엔 경화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화폐〉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화폐
외경: 26.5mm
중량: 7.1g
두께: 약 1.81mm
앞면: 오동나무 잎, "일본국", "500엔"
뒷면: 대나무 잎, 귤의 작은 가지, "500", 연호
이형 사선 톱니, 미세 선, 미세점, 미세 문자, 잠상 무늬
바이컬러・클래드
(구리 75%, 아연 12.5%, 니켈 12.5%)
2021년(레이와 3년) 11월 1일[8][9]



== 유통 상황 ==

현재 주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현재 발행 중인 1엔 알루미늄 주화・5엔 황동 주화(유공 고딕체)・10엔 청동 주화(기자 없음)・50엔 백동 주화・100엔 백동 주화・500엔 바이컬러·클래드 주화와, 이미 발행을 종료한 500엔 니켈 황동 주화이다.[16] 500엔 주화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에서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주화로의 대응이 지연되어,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주화와 500엔 니켈 황동 주화가 혼재되어 유통되고 있다.[16] 낡은 타입의 주화로는 5엔 황동 주화(유공 해서체)・10엔 청동 주화(기자 있음)・500엔 백동 주화 등이 드물게 발견되기도 한다.

선진국들은 일본의 1엔 주화에 상당하는 소액 주화를 폐지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에서는 1엔 주화나 5엔 주화 등의 소액 주화도 현금 사용에 불편함 없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현금 없는 사회의 흐름으로 소액 주화의 수요가 감소하여, 1엔 주화・5엔 주화・50엔 주화는 신규 제조가 미트 세트용으로만 제한되고 있다.

일본 시내 거리의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에서는 500엔, 100엔, 50엔, 10엔 동전을 사용할 수 있지만, 5엔 및 1엔 동전은 사용할 수 없다. 코인식 복사기에서는 5엔 동전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도 있다. 은행ATM, 상점의 자동 잔돈 처리기, 현금 대응 셀프 계산대, 주유소의 주유기 등에서는 6종류 모두(5엔 및 1엔 동전도) 사용할 수 있다.

500엔 바이컬러·클래드화는 반도체 부족의 영향으로 자동 판매기 등의 기기 개수가 늦어져 대응 여부가 혼재되어 있다.[16] 2024년 2월 현재, 500엔 바이컬러·클래드화에 대응하는 자동 판매기의 비율은 일본 전국에서 30% 정도이다.[16]

10엔, 5엔, 1엔 동전 3종류는 제조 비용이 액면보다 높아 제조할수록 적자이다. 특히 5엔 동전은 금속 원가가 급등하여 액면에 접근, 2024년 5월에는 금속 원가가 액면의 90%를 넘기도 했다. 반면, 500엔, 100엔, 50엔 동전 3종류는 제조하면 흑자가 되어 화폐 발행 이익이 발생한다.

2024년 현재, 50엔 동전(50엔 백동화), 5엔 동전(5엔 황동화), 1엔 동전(1엔 알루미늄화)은 미트 세트용으로만 제조되고 있다.

현재 발행 중인 일본의 동전 6종류를 촉감만으로 구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톱니 모양 있음·구멍 없음: 500엔(무거움)·100엔(가벼움)
  • 톱니 모양 있음·구멍 있음: 50엔
  • 톱니 모양 없음·구멍 없음: 10엔(무거움)·1엔(가벼움)
  • 톱니 모양 없음·구멍 있음: 5엔


== 강제 통용력의 제한 ==

지폐와는 달리, 법화로서 강제 통용력은 동일 액면 20개까지로 제한되어 있어, 한 번의 결제에 동일 액면의 동전을 21개 이상 제시했을 경우, 상대방은 수령을 거부할 수 있다.[1][2] 또한, 지불에 사용하는 화폐는 반드시 현재 발행 중인 최신 화종일 필요는 없으며, 구 화폐라도 유효한 것이면 법화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액면의 20배까지 강제 통용력이 인정된다.[3]

== 제조 및 발행 ==

화폐의 제조 및 발행 권한은 일본국 정부에 속한다. 재무대신은 화폐 제조에 관한 사무를 독립행정법인 조폐국에 위임하고 있다. 화폐 발행은 재무대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일본 은행에 제조된 화폐를 교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본 은행은 화폐를 일본 은행권으로 교환하여 일반 회계 내에 설치된 화폐 회수 준비 자금에 납입, 연말에는 세외 수입으로 정부의 일반 회계로 이입된다. 여기서 화폐의 액면과 동전 제조 비용의 차액은 정부의 화폐 발행익이 된다.

일본의 동전은 일본 은행의 거래 금융기관이 일본 은행에 보유하고 있는 당좌 예금을 인출함으로써 세상에 유통되며, 그 금융기관에서 시중에 유통되는 것은 일본 은행권과 마찬가지이지만, 일본 은행권의 경우에는 당좌 예금의 인출에 의해 지급된 시점에서 발행이 되는 점이 일본의 동전과 다른 점이다.

화폐별 발행익
화폐 종류발행익
1엔 동전-13엔
5엔 동전1엔
10엔 동전-32엔
50엔 동전30엔
100엔 동전27엔
500엔 동전457엔



== 손상 화폐 취급 ==

일본 은행은 시중에 유통되는 동전이 고의가 아닌 이유로 손상된 경우, 감정을 실시하여 진화(眞貨)로 판정되면 교환해준다.[41][42] 고의로 동전을 손상시키는 행위는 화폐 손상 등 단속법에 의해 처벌된다. 일본 은행으로 회수된 동전 중, 현재 발행되고 있는 화종(貨種)으로, 마모·변형·변색 등의 정도가 적어 재유통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것은 다시 금융기관을 통해 시중에 유통된다. 한편, 현재 발행되지 않는 화종이나, 통화로서 시중에 유통되었던 기념 주화, 유통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극단적으로 마모·변형·변색된 동전(손상 화폐)은, 재사용 불가능한 유통 불편 화폐로 취급되어 회수되며, 일정량이 모이면 제조원인 조폐국으로 반환되어, 그곳에서 소재별로 녹여 다시 화폐의 재료로 사용된다.

주화의 각인(도안)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훼손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교환한다.[41][42]

금화는 잔존 중량이 98% 이상인 경우 전액(100%)의 주화로 교환하고, 98% 미만인 경우 전액 무효가 된다.[43] 금화 이외의 경우에는 잔존 중량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전액(100%) 주화로 교환하고, 50% 이하인 경우에는 전액 무효가 된다.[44] 단, 손상 등의 원인이 재해 기타 불가피한 사유에 의한 경우에는, 상기 내용에 관계없이 주화의 각인(도안)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전액(100%)의 주화로 교환한다.

== 앞뒷면의 정의 ==

법적으로 동전의 앞뒷면을 정의하는 근거는 없다.[5][6] 1897년까지는 신화폐가 발행될 때마다 앞·뒷면을 명시하여 일반에 공시했으며, 그 이후에는 국화 문양이 있는 쪽을 앞면으로 취급했다. 그러나, 전후 GHQ에 의해 국화 문양의 사용이 금지되면서 앞뒷면의 판별 기준이 사라졌다. 대장성 내에서 협의 결과, 1897년 이후에 발행된 화폐는 연호가 모두 뒷면(국화 문양의 반대쪽)에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연호가 표시되어 있는 쪽을 "뒷면", 그 반대쪽을 "앞면"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조폐국에서는 건물이나 식물 등의 표시가 있는 면을 "앞면", 제조년 표시가 있는 면을 "뒷면"이라고 부르며, 이 용법은 일반에도 널리 퍼져 있다. 현재 유효한 통상 화폐에 한정하면, "앞면"에는 전 종류에 "1엔", "5엔", "500엔" 등의 한자 숫자 액면이 표기되어 있지만, 기념 화폐를 포함하면 그렇지 않다.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별표에 동전의 형식이 도안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데, 그 기재 순서에 따라 처음에 제시되는 것이 앞면, 다음에 제시되는 것이 뒷면이다.[5]

== 제조량 ==

일본 주화의 제조량은 매년 차이가 있으며, 일본 조폐국에서는 수집용으로 프루프 주화나 미트 세트도 판매한다.[24][25] 이러한 주화는 유통용이 아니기 때문에 발행량이 적다.

최근에는 전자 화폐 보급의 영향으로 1엔, 5엔, 50엔 주화의 제조량이 감소하여 유통용으로 제조되지 않는 해도 있다. 반면, 10엔, 100엔, 500엔 주화는 수요가 많아 매년 안정적으로 생산된다.

발행량이 비교적 적은 현행 주화는 다음과 같다.

1엔 주화5엔 주화10엔 주화
valign="top"|valign="top"|valign="top"|
50엔 주화100엔 주화500엔 주화
valign="top"|valign="top"|valign="top"|



생산 과잉 등의 이유로 특정 연도에는 주화가 제조되지 않기도 한다. 예를 들어 1엔 주화는 쇼와 43년(1968년)에, 5엔 주화는 쇼와 29년(1954년), 30년(1955년), 31년(1956년)에 생산되지 않았다.

기념 주화를 제외한 현재 유효한 일본 주화의 제조량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조폐국 (일본)#주화 제조량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종류 및 특징

〈1엔 알루미늄 화폐〉
외경: 20mm
중량: 1g
두께: 약 1.5mm[11]앞면: 어린 나무, "일본국", "1엔"
뒷면: "1", 연호
2016년 이후 미트 세트용 외 신규 제조 중단.알루미늄1955년(쇼와 30년) 6월 1일[12]5엔 경화
〈5엔 황동화(유공 고딕체)〉
외경: 22mm
구멍 지름: 5mm
중량: 3.75g[13]
두께: 약 1.5mm앞면: 벼 이삭, 톱니바퀴, 물과 "5엔"
뒷면: 쌍떡잎, "일본국", 연호
구멍 뚫림, 고딕체황동
(구리 60~70%, 아연 30~40%)1959년(쇼와 34년) 9월 1일[14]10엔 경화
〈10엔 청동화(기자 없음)〉
외경: 23.5mm
중량: 4.5g
두께: 약 1.5mm앞면: 뵤도인 호오도, "일본국", "10엔"
뒷면: 상록수, 리본, "10", 연호청동
(구리 95%, 아연 3~4%, 주석 1~2%)1959년(쇼와 34년) 2월 16일[14]50엔 경화
〈50엔 백동화〉
외경: 21mm
구멍 지름: 4mm
중량: 4g
두께: 약 1.7mm앞면: 국화, "일본국", "50엔"
뒷면: "50", 연호
구멍 뚫림, 주변 톱니 모양백동
(구리 75%, 니켈 25%)1967년(쇼와 42년) 2월 1일[15]100엔 경화
〈100엔 백동화〉
외경: 22.6mm
중량: 4.8g
두께: 약 1.7mm앞면: 벚꽃, "일본국", "100엔"
뒷면: "100", 연호
주변 톱니 모양백동
(구리 75%, 니켈 25%)1967년(쇼와 42년) 2월 1일[15]500엔 경화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화폐〉
외경: 26.5mm
중량: 7.1g
두께: 약 1.81mm앞면: 오동나무 잎, "일본국", "500엔"
뒷면: 대나무 잎, 귤의 작은 가지, "500", 연호
이형 사선 톱니, 미세 선, 미세점, 미세 문자, 잠상 무늬바이컬러・클래드
(구리 75%, 아연 12.5%, 니켈 12.5%)2021년(레이와 3년) 11월 1일[8][9]500엔 경화
〈500엔 니켈 황동화〉
256px외경: 26.5mm
중량: 7g
두께: 약 1.81mm(실측)앞면: 오동나무 잎, "일본국", "500엔".
니켈 황동(구리, 아연 및 니켈의 합금)
2000년
(헤이세이 12년)
8월 1일500엔 경화
〈500엔 백동화〉
256px외경: 26.5mm
중량: 7.2g
두께: 약 1.85mm(실측)앞면: 오동나무 잎, "일본국", "500엔".
백동(구리와 니켈의 합금)
1982년
(쇼와 57년)
4월 1일[17]100엔 경화
〈100엔 은화〉
256px외경: 22.6mm
중량: 4.8g1959년
(쇼와 34년)
2월 16일[14]50엔 경화
〈50엔 니켈화(유공)〉
256px외경: 25mm
공경: 6mm
중량: 5g앞면: 국화, "일본국", "50엔".
뒷면: "50"과 연호.
구멍 뚫림.니켈
(순 니켈)1959년
(쇼와 34년)
2월 16일[14]100엔 경화
〈100엔 은화〉
256px외경: 22.6mm
중량: 4.8g앞면: 봉황, "일본국", "100엔".
은 합금
1957년
(쇼와 32년)
12월 11일[18]50엔 경화
〈50엔 니켈화(무공)〉
256px외경: 25mm
중량: 5.5g앞면: 국화, "일본국", "50엔".
니켈
1955년
(쇼와 30년)
9월 1일[12]10엔 경화
〈10엔 청동화(톱니)〉
256px외경: 23.5mm
중량: 4.5g앞뒷면의 도안은 현행 10엔 주화(1959년(쇼와 34년) 발행 개시)와 같지만, 주위에 홈이 있는 것이 현행 10엔 주화와 다른 점이며, 속칭 "톱니 10"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청동(구리와 주석의 합금. 단 아연을 포함)
5엔 경화
〈5엔 황동화(유공 해서체)〉
256px외경: 22mm
공경: 5mm
중량: 3.75g앞뒷면의 도안은 현행 5엔 주화(1959년(쇼와 34년) 발행 개시)와 거의 같지만, 앞뒷면의 문자가 해서체이고, 뒷면이 "일본국"과 구자체인 것이 현행 5엔 주화와 다른 점이며, 속칭 "붓 5"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황동(진鍮. 구리와 아연의 합금)
1949년
(쇼와 24년)
9월 15일[20]5엔 경화
〈5엔 황동화(무공)〉
256px외경: 22mm
중량: 4g앞면: 국회의사당, "5엔".
황동(진鍮. 구리와 아연의 합금)
1948년
(쇼와 23년)
10월 25일[20]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에서는 500엔, 100엔, 50엔, 10엔 동전을 사용할 수 있지만, 5엔 및 1엔 동전은 사용할 수 없다. 은행ATM 등에서는 6종류 모두 사용할 수 있다.[16]

10엔, 5엔, 1엔 동전은 제조 비용이 액면보다 높아 제조할수록 적자가 발생한다. 특히 5엔 동전은 금속 원가 급등으로 액면에 근접하고 있다. 반면 500엔, 100엔, 50엔 동전은 제조하면 흑자가 발생한다.

2024년 현재, 50엔, 5엔, 1엔 동전은 미트 세트용으로만 제조되고 있다.

현재 발행 중인 일본 동전 6종류는 촉감만으로 구별 가능하다.

2. 2. 유통 상황

현재 주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현재 발행 중인 1엔 알루미늄 주화・5엔 황동 주화(유공 고딕체)・10엔 청동 주화(기자 없음)・50엔 백동 주화・100엔 백동 주화・500엔 바이컬러·클래드 주화와, 이미 발행을 종료한 500엔 니켈 황동 주화이다.[16] 500엔 주화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에서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주화로의 대응이 지연되어, 500엔 바이컬러·클래드 주화와 500엔 니켈 황동 주화가 혼재되어 유통되고 있다.[16] 낡은 타입의 주화로는 5엔 황동 주화(유공 해서체)・10엔 청동 주화(기자 있음)・500엔 백동 주화 등이 드물게 발견되기도 한다.

선진국들은 일본의 1엔 주화에 상당하는 소액 주화를 폐지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에서는 1엔 주화나 5엔 주화 등의 소액 주화도 현금 사용에 불편함 없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현금 없는 사회의 흐름으로 소액 주화의 수요가 감소하여, 1엔 주화・5엔 주화・50엔 주화는 신규 제조가 미нт 세트용으로만 제한되고 있다.

일본 시내 거리의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에서는 500엔, 100엔, 50엔, 10엔 동전을 사용할 수 있지만, 5엔 및 1엔 동전은 사용할 수 없다. 코인식 복사기에서는 5엔 동전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도 있다. 은행ATM, 상점의 자동 잔돈 처리기, 현금 대응 셀프 계산대, 주유소의 주유기 등에서는 6종류 모두(5엔 및 1엔 동전도) 사용할 수 있다.

500엔 바이컬러·클래드화는 반도체 부족의 영향으로 자동 판매기 등의 기기 개수가 늦어져 대응 여부가 혼재되어 있다.[16] 2024년 2월 현재, 500엔 바이컬러·클래드화에 대응하는 자동 판매기의 비율은 일본 전국에서 30% 정도이다.[16]

10엔, 5엔, 1엔 동전 3종류는 제조 비용이 액면보다 높아 제조할수록 적자이다. 특히 5엔 동전은 금속 원가가 급등하여 액면에 접근, 2024년 5월에는 금속 원가가 액면의 90%를 넘기도 했다. 반면, 500엔, 100엔, 50엔 동전 3종류는 제조하면 흑자가 되어 화폐 발행 이익이 발생한다.

2024년 현재, 50엔 동전(50엔 백동화), 5엔 동전(5엔 황동화), 1엔 동전(1엔 알루미늄화)은 민트 세트용으로만 제조되고 있다.

현재 발행 중인 일본의 동전 6종류를 촉감만으로 구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2. 3. 강제 통용력의 제한

지폐와는 달리, 법화로서 강제 통용력은 동일 액면 20개까지로 제한되어 있어, 한 번의 결제에 동일 액면의 동전을 21개 이상 제시했을 경우, 상대방은 수령을 거부할 수 있다.[1][2] 또한, 지불에 사용하는 화폐는 반드시 현재 발행 중인 최신 화종일 필요는 없으며, 구 화폐라도 유효한 것이면 법화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액면의 20배까지 강제 통용력이 인정된다.[3]

2. 4. 제조 및 발행

화폐의 제조 및 발행 권한은 일본국 정부에 속한다. 재무대신은 화폐 제조에 관한 사무를 독립행정법인 조폐국에 위임하고 있다. 화폐 발행은 재무대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일본 은행에 제조된 화폐를 교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본 은행은 화폐를 일본 은행권으로 교환하여 일반 회계 내에 설치된 화폐 회수 준비 자금에 납입, 연말에는 세외 수입으로 정부의 일반 회계로 이입된다. 여기서 화폐의 액면과 동전 제조 비용의 차액은 정부의 화폐 발행익이 된다.

일본의 동전은 일본 은행의 거래 금융기관이 일본 은행에 보유하고 있는 당좌 예금을 인출함으로써 세상에 유통되며, 그 금융기관에서 시중에 유통되는 것은 일본 은행권과 마찬가지이지만, 일본 은행권의 경우에는 당좌 예금의 인출에 의해 지급된 시점에서 발행이 되는 점이 일본의 동전과 다른 점이다.

화폐별 발행익
화폐 종류발행익
1엔 동전-13엔
5엔 동전1엔
10엔 동전-32엔
50엔 동전30엔
100엔 동전27엔
500엔 동전457엔


2. 5. 손상 화폐 취급

일본 은행은 시중에 유통되는 동전이 고의가 아닌 이유로 손상된 경우, 감정을 실시하여 진화(眞貨)로 판정되면 교환해준다.[41][42] 고의로 동전을 손상시키는 행위는 화폐 손상 등 단속법에 의해 처벌된다. 일본 은행으로 회수된 동전 중, 현재 발행되고 있는 화종(貨種)으로, 마모·변형·변색 등의 정도가 적어 재유통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것은 다시 금융기관을 통해 시중에 유통된다. 한편, 현재 발행되지 않는 화종이나, 통화로서 시중에 유통되었던 기념 주화, 유통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극단적으로 마모·변형·변색된 동전(손상 화폐)은, 재사용 불가능한 유통 불편 화폐로 취급되어 회수되며, 일정량이 모이면 제조원인 조폐국으로 반환되어, 그곳에서 소재별로 녹여 다시 화폐의 재료로 사용된다.

주화의 각인(도안)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훼손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교환한다.[41][42]

금화는 잔존 중량이 98% 이상인 경우 전액(100%)의 주화로 교환하고, 98% 미만인 경우 전액 무효가 된다.[43] 금화 이외의 경우에는 잔존 중량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전액(100%) 주화로 교환하고, 50% 이하인 경우에는 전액 무효가 된다.[44] 단, 손상 등의 원인이 재해 기타 불가피한 사유에 의한 경우에는, 상기 내용에 관계없이 주화의 각인(도안)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전액(100%)의 주화로 교환한다.

2. 6. 앞뒷면의 정의

법적으로 동전의 앞뒷면을 정의하는 근거는 없다.[5][6] 1897년까지는 신화폐가 발행될 때마다 앞·뒷면을 명시하여 일반에 공시했으며, 그 이후에는 국화 문양이 있는 쪽을 앞면으로 취급했다. 그러나, 전후 GHQ에 의해 국화 문양의 사용이 금지되면서 앞뒷면의 판별 기준이 사라졌다. 대장성 내에서 협의 결과, 1897년 이후에 발행된 화폐는 연호가 모두 뒷면(국화 문양의 반대쪽)에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연호가 표시되어 있는 쪽을 "뒷면", 그 반대쪽을 "앞면"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조폐국에서는 건물이나 식물 등의 표시가 있는 면을 "앞면", 제조년 표시가 있는 면을 "뒷면"이라고 부르며, 이 용법은 일반에도 널리 퍼져 있다. 현재 유효한 통상 화폐에 한정하면, "앞면"에는 전 종류에 "1엔", "5엔", "500엔" 등의 한자 숫자 액면이 표기되어 있지만, 기념 화폐를 포함하면 그렇지 않다.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별표에 동전의 형식이 도안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데, 그 기재 순서에 따라 처음에 제시되는 것이 앞면, 다음에 제시되는 것이 뒷면이다.[5]

2. 7. 제조량

일본 주화의 제조량은 매년 차이가 있으며, 일본 조폐국에서는 수집용으로 프루프 주화나 민트 세트도 판매한다.[24][25] 이러한 주화는 유통용이 아니기 때문에 발행량이 적다.

최근에는 전자 화폐 보급의 영향으로 1엔, 5엔, 50엔 주화의 제조량이 감소하여 유통용으로 제조되지 않는 해도 있다. 반면, 10엔, 100엔, 500엔 주화는 수요가 많아 매년 안정적으로 생산된다.

발행량이 비교적 적은 현행 주화는 다음과 같다.

1엔 주화5엔 주화10엔 주화
valign="top"|valign="top"|valign="top"|
50엔 주화100엔 주화500엔 주화
valign="top"|valign="top"|valign="top"|



생산 과잉 등의 이유로 특정 연도에는 주화가 제조되지 않기도 한다. 예를 들어 1엔 주화는 쇼와 43년(1968년)에, 5엔 주화는 쇼와 29년(1954년), 30년(1955년), 31년(1956년)에 생산되지 않았다.

기념 주화를 제외한 현재 유효한 일본 주화의 제조량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조폐국 (일본)#주화 제조량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역사



3. 1. 근대 화폐 제도 도입

1871년(메이지 4년) 신화 조례가 시행되면서 고반, 분킨, 구멍 뚫린 옛날 돈 등과 같은 수공예적인 경화를 대신하여, 본격적인 양식 경화가 발행되기 시작했다. (경화 상의 연호는 메이지 3년 명도 있음)

본위 금화로는 1엔, 2엔, 5엔, 10엔, 20엔 (모두 금 90%의 금 합금)이, 본위 은화 (1878년 (메이지 11년) 이후) 및 무역용 은화로는 1엔, 무역 은 (모두 은 90%의 은 합금)이 발행되었다. 보조 은화로는 5전, 10전, 20전, 50전 (모두 은 80%의 은 합금. 5전은 후에 백동화로 이행)이, 보조 동화로는 1리, 반전 (5리), 1전, 2전 (모두 동 98%의 동 합금)이 발행되어, 사실상의 금은 복본위제(나중에 사실상의 은 본위제)로 유통되었다.

에도 시대에 주조된 옛날 돈은, 덴포 통보 8리, 간에이 통보 황동 4문전 2리, 분큐 에이호 1리 5모, 간에이 통보 동 1문전 1리, 간에이 통보 철 4문전 1/8리, 간에이 통보 철 1문전 1/16리로 통용이 인정되었지만, 덴포 통보 · 간에이 통보 철전에 대해서는 메이지 시대 중에 통용이 정지되었다.

3. 2. 금본위제 확립

1897년(메이지 30년) 화폐법 시행으로 금본위제에 의한 화폐 제도가 정비되었다. 이에 따라 금 평가가 반감되었기 때문에 신화 조례에 의한 금화는 액면 표시의 신화 조례로 발행된 구 금화는 모두 액면의 2배의 통용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1엔 은화는 1898년(메이지 31년) 4월 1일을 기점으로 효력을 잃게 되었다.

화폐법을 근거로, 본위 금화로 5엔, 10엔, 20엔(모두 금 90%의 금 합금)이, 보조 은화로 10전, 20전, 50전 (은 합금, 처음에는 은 80%, 이후의 욱일 10전·팔척까마귀 10전(유통되지 않음)·봉황 50전은 은 72%)이 발행되었다. 은화 이외의 보조 화폐로는 백동화 5전, 10전, 청동화 5리, 1전, 니켈화 5전, 10전이 발행되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1938년 (쇼와 13년),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후 화폐용 재료가 군수용 자재로 전용되면서 임시 통화법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청동, 황동, 알루미늄 등을 재료로 한 동전이 발행되었다. 50전은 소액 정부 지폐로 발행되었다.[7] 전황이 악화되면서 동전의 치수와 무게가 축소되었고, 주석·아연 합금을 재료로 한 동전도 발행되었다. 1945년 (쇼와 20년) 3월에는 10전, 5전, 1전 알루미늄 동전이 회수되어 지폐와 교환되었다.[7] 종전 당시 조폐국에서는 1전 동전이 제조되고 있었으며, 비금속제 도자화가 제조되기도 했다.

임시 통화법에 근거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임시 보조 화폐로서 알루미늄 청동화(5전, 10전), 황동화(1전), 알루미늄화(1전, 5전, 10전), 주석화(1전, 5전, 10전)가 발행되었다. 종전 직후에는 임시 보조 화폐로서 알루미늄화(10전), 주석화(5전), 황동화(1원, 50전)가 발행되었다.

3. 4. 전, 리 단위 통화 폐지

소액 통화 정리 및 지급금의 단수 계산에 관한 법률에 의해 1953년 말, 전, 리 단위의 법정 통화가 폐지되어 1엔 이하의 보조 화폐가 효력을 잃었다. 이 과정에서 1엔 황동화, 간에이 통보 동 1문전, 간에이 통보 진추사문전, 분큐 영보 등도 함께 폐지되었다.

1931년 금화(金貨) 태환 정지에 관한 긴급 칙령으로 금 태환이 정지된 이후 금본위제가 유명무실화되었고, 1988년 통화의 단위 및 화폐의 발행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본위 금화도 효력을 잃어, 현재는 관리 통화 제도로 완전히 이행되었다.

기념 화폐를 제외하고 현재 유효한 동전에 관한 연표는 다음과 같다.

3. 5. 연표


'''굵은 글씨''': 유효 화폐 종류 존재

☆: 기념 화폐 존재

★: 기념 화폐만 존재

괄호 안: 견본 주화만 존재

=: 실질적으로 동일 액면

여기서는 에도 시대에 주조된 전폐의 메이지 시대 이후의 신 화폐 체계(엔··)에 맞춘 통용 가치는 포함하지 않는다.

4. 디자인

4. 1. 도안

기념 주화를 제외한 현재 유통되는 일반 주화에는 벼 이삭, 국화, 벚꽃 등 일본을 상징하는 동식물과 건축물 등이 도안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물 도안의 경우, 각 주화의 앞면, 뒷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또는 양쪽)에 반드시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4. 2. 초상

일본에서는 대한민국이나 서양 등과는 달리, 위인이나 국가 원수 등 특정 유명인의 초상을 새긴 주화가 오랫동안 발행되지 않았다. 신화 조례 때도 천황의 초상 대신 용의 그림이 채택되었다. 1990년에 발행된 국제 꽃과 녹색 박람회 기념 5000엔 은화에 꽃의 여신 플로라에 비유된 소녀의 초상이 사용되었지만, 실존 인물은 아니었다.

실존 인물의 초상을 도안으로 한 최초의 주화는 2010년에 발행된 지방 자치 시행 60주년 기념 화폐 (고치현)이며, 사카모토 료마의 초상이 새겨졌다. 이후, 오쿠마 시게노부, 시라세 노부, 후타바야마, 다테 마사무네, 시부사와 에이이치, 노구치 히데요 등의 초상이 기념 주화에 사용되었다. 2021년까지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주화의 도안으로 실존 인물의 초상이 채용된 적은 없다.

4. 3. 문구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일반 주화에 관해서는 5엔 동전을 제외하고 앞면에 발행 국가명으로 "일본국"이라고 표시되어 있다.[27] 5엔 동전의 경우에는 뒷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이 중 1949년 발행 시작된 황동화(유공 해서체)와 1948년 발행 시작된 황동화(무공)에 관해서는 구자체로 "일본국"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과거에 발행되어 현재 무효가 된 주화에서는 "일본국"(1947년 7월 이후 제조분) 외에 "일본 정부"(1945년 11월 - 1947년 5월 제조분)나 "대일본"(1945년 9월 이전 제조분)이라는 표기의 것도 존재했다.

기념 주화를 제외한 현재 유효한 일반 유통용 주화에 대해서는 5엔 주화를 제외하고 앞면에 한자 숫자 표기, 뒷면에 아라비아 숫자 표기로 액면 금액이 표시되어 있다. 5엔 주화는 1959년부터 발행되고 있는 현행 황동화(유공 고딕체)를 포함하여 액면 금액의 숫자는 앞면의 한자 숫자 표기만 되어 있으며, 아라비아 숫자로 액면 금액이 표기된 주화가 발행된 적은 없다. 과거에 발행되었던 주화 중 일부에는 아라비아 숫자에 의한 액면 금액 표시에 영어 표기의 단위 "YEN", "SEN", "RIN"이 붙어 있는 것도 존재했다(현재 유효한 것으로는, 1957년 발행 시작된 봉황 100엔 은화가 해당된다).

현재 유통되는 일반 주화의 뒷면에는 제조 연도가 연호 표기로 표시되어 있다.

기념 주화의 경우, 기념이 되는 사항이 기본적으로 문구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천황 폐하 즉위 기념 500엔 바이컬러·클래드화에서는 "즉위 기념"으로 표기된다. 다만 올림픽의 경우에는 문구로 개최 연도(서기)와 개최지만 표시되며, "올림픽" 자체는 오륜 마크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쿄 올림픽 기념 화폐에서는 문구로 "1964 TOKYO"가 표기되는 외에 오륜 마크가 표시된다.

4. 4. 중심의 구멍

1949년(쇼와 24년) 이후 발행된 5엔 동전1959년(쇼와 34년) 이후 발행된 50엔 동전의 중심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28] 이는 시각 장애인이 동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동전 재료를 절약하기 위한 목적 등이다. 일본에서 전전에 발행되어 현재 효력이 없는 동전 중에는 5전 동전과 10전 동전의 일부에 구멍 뚫린 동전이 존재했다.

세계적으로 보면 구멍 뚫린 동전은 비교적 드문 존재이지만, 노르웨이, 덴마크, 파푸아뉴기니 등 여러 나라에서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일반 유통용 동전에 구멍 뚫린 동전이 발행되고 있어[29], 일본 고유의 것은 아니다.

4. 5. 주변의 홈(기자)

금화나 은화 등의 경화 주변을 조금씩 깎아내어 새로운 위조 경화를 만드는 것을 막기 위해, 화폐의 주변(측면)에 톱니 모양의 홈을 낸 것이 본래의 목적이었다.[30] 실제로, 메이지 시대 조폐국 창업 이후 일본에서 발행된 모든 금화와 대부분의 은화에는 주변에 톱니가 새겨져 있었다.

금화·은화가 일반 유통용으로 발행되지 않게 된 현대에는 그 의미가 옅어졌으며, 특히 시각 장애인에게 경화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원칙적으로 고액면 경화의 주변에 톱니가 새겨져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부터 종전 직후 혼란기에는 톱니 유무와 액면 금액의 관계성이 무너졌던 시기도 있었다.[30] 1959년(쇼와 34년) 발행된 10엔 청동화가 톱니 있음에서 톱니 없음으로 변경됨으로써, 경화의 톱니 유무, 경화의 중심의 구멍 유무, 그리고 무게의 3요소에 의해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도 경화 식별이 가능하게 되었다.

1982년 발행된 500엔 백동화에는 톱니 대신 문자가 새겨졌고, 2000년 발행된 500엔 니켈 황동화에는 위조 방지력 향상을 위해 측면 홈 각도를 경화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한 "비스듬한 톱니"가 사용되었다.[30] 2021년 발행된 500엔 바이컬러·클래드화에는 위조 방지력 향상을 위해 비스듬한 톱니의 일부분 간격·경사를 다르게 한 "이형 비스듬한 톱니"가 채용되었다.[30]

4. 6. 삼베 자루

일본의 경화는 조폐국에서 제조되어 일본 은행에 납입될 때 삼베 자루(삼마대)에 담겨 납입된다. 500엔 경화는 2,000매, 1엔 경화는 5,000매, 그 외 4종(5엔, 10엔, 50엔, 100엔)은 동일 종류 4,000매가 삼베 자루 1개에 담긴다.

화폐별 삼마대 내용 (현재 발행 중인 통상 화폐)
화폐 종류매수합계 금액순중량
1엔 경화5,000매5,000엔5kg
5엔 경화4,000매20,000엔15kg
10엔 경화4,000매40,000엔18kg
50엔 경화4,000매200,000엔16kg
100엔 경화4,000매400,000엔19.2kg
500엔 경화2,000매1,000,000엔14.2kg



일본 은행 용어로는 이 삼베 자루를 "대봉투"라고 부르며, 일본 은행의 계정점에서의 현금 수입 단위는 통상 화폐(통상 경화)에 있어서 대봉투 또는 대봉투 포장 봉투 단위로 한다. 대봉투 포장 봉투는 25대봉투 또는 50대봉투 (단, 1엔 경화의 경우에만 그에 더하여 100대봉투도 가능)를 묶은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5. 일반 공모를 통해 결정된 디자인

메이지(明治) 시대 이후 일본의 주화 중 디자인이 일반 공모를 통해 결정된 주화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실제 유통되지 않은 것이다.

6. 위조 방지 기술 및 위변조 사건

6. 1. 500엔 주화

1999년까지 발행되었던 500엔 백동화(초대 500엔 동전)의 대량 위조 사건을 계기로, 2000년에 발행된 2대 500엔 동전은 재질을 니켈 황동으로 변경하고, 잠상·경사 톱니·미세선·미세점 등의 위조 방지 기술을 적용했다. 또한, 2021년에 발행된 3대 500엔 동전에는 바이컬러·클래드, 이형 경사 톱니, 표면 가장자리 안쪽의 미세 문자 가공이 채택되었다. 일본에서 일반 유통되는 주화 중 최고액 주화이다.

6. 2. 기타 주화

기타 주화는 소액이라는 점 때문에 위조 방지 기술이 뚜렷하게 적용되지 않았다. 백 엔화 주화와 오십 엔화 주화의 톱니 모양, 그리고 오십 엔화 주화와 오 엔화 주화의 구멍은 위조 방지라고 볼 수도 있지만, 주된 목적은 시각 장애인이 촉감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십 엔화 주화의 뵤도인 봉황당의 섬세한 디자인은 당초 고액 주화였기 때문에 위조 방지의 의미도 포함하여 결정된 것이다. 오백 엔화 주화 이외의 소액 주화가 위조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백 엔화 주화가 위조된 사건이 보도된 사례는 존재한다.[32]

7. 소액 주화 폐지 논의

소액통화 정리법에 의해 1엔 미만의 센, 린 단위 주화는 통용이 정지되었다.[33]

현재 통용 중인 1엔 주화 및 5엔 주화는 시중에서 문제없이 유통되고 있지만, 이들의 폐지에 대한 논의는 존재한다. 특히 1엔 주화는 캐시리스화의 진전으로 신규 제조가 화폐 세트용으로만 제한되고, 유통량도 감소하는 추세이다. 제조 비용, 금융기관 수수료 문제, 선진국들의 소액 주화 폐지 상황[33](1센트 동전 (미국)#동전 존폐를 둘러싼 논쟁, 유로 동전#소액 동전 참조)도 폐지론의 근거로 거론된다.[33]

2021년 2월 25일, 예산위원회 분과회에서 입헌민주당 정조회장이 1엔 주화와 5엔 주화 폐지를 아소 타로재무대신에게 제안했으나, 아소 타로는 소액 거래 수요를 이유로 즉시 폐지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33]

8. 손상 시 교환

일본은행 본점 및 지점에서는 훼손(구부러짐, 변형, 오염 등)되거나 마모(닳아 없어짐 등)로 인해 통용 또는 사용에 지장이 생긴 일본의 경화(이하 경화)에 대해 교환 업무를 하고 있다.[34] 손상되지 않았더라도 현재 발행되지 않는 구 경화도 이 교환 업무의 대상이 된다. 또한, 통용력이 정지되지 않은 모든 경화, 기념 경화[35] 및 화폐(통용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 것)는 일반적인 은행[36] 창구에서 일반적인 경화와 마찬가지로 예금 등이 가능하다.[37][38]

훼손 사유는 과실 등 이유를 불문하지만, 고의적인 경화 손상은 화폐 손상 등 단속법에 의해 처벌된다. 유해 물질(방사성 물질, 독극물, 화학 무기, 생물 무기 등)에 오염된 경화는 일본은행에 신고하기 전에 해당 유해 물질 소관 관청 등에 상담해야 한다.

교환은 창구 방문 신고가 필요하며, 우편 등으로는 대응하지 않는다. 일본은행 본점 및 지점에서는 교환 시간 및 기타 사무상의 이유로[39] 방문 전 사전 전화 등을 권장하고 있다.

소량·손상 판정이 명확하다면 은행법상 은행[40] 창구에서도 대응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은행법상 은행[40]에서의 교환 업무는 '''의무 대응이 아니므로''' 은행에 따라 대응이 다르다(대량일 경우 또는 손상 판정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은행이 일본은행 감정에 회부해 주는 경우가 있으나, 이 또한 의무 대응은 아니다). 유초 은행 창구에서는 환전 업무를 하지 않기 때문에 손상 경화 교환도 하지 않는다.

주화 각인(도안) 확인이 가능한 것이 교환 조건이다. 훼손된 경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교환한다.[41][42]



단, 손상 원인이 재해 등 불가피한 사유인 경우, 위 내용과 관계없이 주화 각인(도안) 확인을 조건으로 전액(100%) 주화로 교환한다.

참조

[1] 문서 通貨の単位及び貨幣の発行等に関する法律第七条に規定されている。現行の硬貨については、取引における支払い代金の受け取りや、釣銭の受け取りに際して1種につき21枚以上の受け取りを拒否することができ、その場合には他方は受け取ることを強いることはできない。尚、双方の合意の上で使用するには差し支えない。また、税務署窓口で納税に硬貨を使用するに際しては枚数の制限はない。
[2] 문서 既に廃貨になっている硬貨(補助貨幣)にもそれぞれ通用制限があった。[[新貨条例]](のち貨幣条例)では、補助銀貨(50銭、20銭、10銭、5銭)は10円まで、白銅貨(5銭)・銅貨(2銭、1銭、半銭、1厘)・江戸時代鋳造の銅銭(8厘通用の天保通宝、2厘通用の寛永通宝真鍮四文銭、1厘5毛通用の文久永宝、1厘通用の寛永通宝銅一文銭)は1円まで、江戸時代鋳造の鉄銭(1/8厘通用の寛永通宝鉄四文銭、1/16厘通用の寛永通宝鉄一文銭)は50銭までを限りとした。[[貨幣法]]では、銀貨(補助貨幣の50銭、20銭、10銭)は10円まで、白銅貨(5銭)と青銅貨(1銭、5厘)は1円までを限りとした。その後に発行された補助貨幣(臨時補助貨幣も)や、硬貨の代用として発行された[[小額政府紙幣]]、[[小額政府紙幣#日本銀行券の小額紙幣|日本銀行券のうち十銭紙幣と五銭紙幣]]もこの制限を引き継いだ。
[3] 웹사이트 昔のお金は使えますか https://www.mof.go.j[...] 財務省 2024-12-31
[4] 간행물 景気対策を目的とした政府貨幣増発の帰結 - UFJ総合研究所 https://web.archive.[...] UFJ総合研究所 2003
[5] 서적 話のネタ PHP文庫 1998
[6] 문서 新貨条例 では、新貨幣品位量目表に貨幣の表裏が明記されていた。貨幣法 では貨種・材質・量目が記され、模様など形式は勅令 ノ形式で公示された。ここには表裏は記されていないが、便宜上表とされる方が最初(上)に記されている。臨時通貨法や通貨の単位及び貨幣の発行等に関する法律では貨種を定めているだけで、材質・量目・模様など形式は政令で定められ、やはり表裏は記されていないが、便宜上表とされる方が最初(上)に記されている。 https://dl.ndl.go.jp[...]
[7] 뉴스 アルミ貨は全部回収(昭和20年3月13日 朝日新聞)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8] 웹사이트 新しい五百円貨幣の発行開始日について https://www.mof.go.j[...] 2021-10-01
[9] 웹사이트 新しい五百円貨幣の発行時期について https://www.mof.go.j[...] 財務省 2021-04-27
[10] 문서 貨幣の量目は、通貨の単位及び貨幣の発行等に関する法律施行令(昭和63年政令第50号)に定められる。なお、厚さは法令では定められていない。
[11] 문서 \frac{20}{13}mm
[12]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13] 문서 [[尺貫法]]でいう1[[匁]]
[14]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15]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16] 뉴스 「新500円玉」が使えない自動販売機 7月の新紙幣誕生で対応進む...と思ったら盲点が https://www.j-cast.c[...] JCAST ニュース 2024-02-28
[17]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18]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19]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20] 서적 日本貨幣年表 日本銀行金融研究所 1994
[21] 웹사이트 旧券・旧貨・記念貨取扱手数料新設のお知らせ https://www.bk.mufg.[...] 2024-12-09
[22] 문서 旧貨のうち、五百円ニッケル黄銅貨・五百円白銅貨・十円青銅貨(ギザ有)・五円黄銅貨(有孔楷書体)は対象外だが、百円銀貨(稲穂)・百円銀貨(鳳凰)・五十円ニッケル貨(有孔)・五十円ニッケル貨(無孔)・五円黄銅貨(無孔)が対象となる。その他記念硬貨や、現在発行されていない日本銀行券も対象となる。
[23] 뉴스 「令和元年」の100円と500円製造開始 記念金貨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7-11
[24] 문서 五円硬貨や五十円硬貨などで、希に穴がズレたまま発行されることもある。確かに希少ではあるものの、ここでは扱わない。
[25] 간행물 造幣局 年銘別貨幣製造枚数 http://www.mint.go.j[...]
[26] 문서 製造は1951年(昭和26年)開始
[27] 문서 いわゆる[[筆五|フデ五]]
[28] 문서 [[日本の補助貨幣#大正5、9年制定および改正の白銅貨・青銅貨|5銭白銅貨幣(大型)]] 1917年(大正6年)発行、[[日本の補助貨幣#大正5、9年制定および改正の白銅貨・青銅貨|10銭白銅貨幣・5銭白銅貨幣(小型)]] 1920年(大正9年)発行、[[日本の補助貨幣#昭和8年制定のニッケル貨|10銭ニッケル貨幣・5銭ニッケル貨幣]] 1933年(昭和8年)発行、[[臨時補助貨幣#昭和13年制定のアルミニウム青銅貨幣・黄銅貨幣・アルミニウム貨幣|10銭アルミニウム青銅貨幣・5銭アルミニウム青銅貨幣]] 1938年(昭和13年)発行、[[臨時補助貨幣#昭和19年制定の錫貨幣|10銭錫貨幣・5銭錫貨幣]] 1944年(昭和19年)発行の9種類。
[29] 문서 過去には[[フィリピン・ペソ|フィリピン]]、[[フォリント|ハンガリー]]、[[ユーロ]]導入以前の[[ペセタ|スペイン]]、[[フランス・フラン|フランス]]などでも穴あき硬貨が発行されていた。
[30] 논문 わが国の通貨制度(幣制)の運用状況について https://www.mof.go.j[...] 財務省 2012-08
[31] 웹사이트 日本銀行が行う現金の受払に関する細則 (勘定店における現金受払用) https://www5.boj.or.[...] 日本銀行 2023-11-24
[32] 웹사이트 偽造100円白銅貨幣について https://www.mof.go.j[...]
[33] 뉴스 1円玉と5円玉「役割終えている」 国会で論戦 立民の泉政調会長「さい銭多い神社が苦労」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1-02-26
[34] 웹사이트 日本銀行が行う損傷現金の引換えについて : 日本銀行 Bank of Japan https://www.boj.or.j[...] 2019-01-12
[35] 문서 ただし偽造が問題になった一部の[[日本の記念貨幣|記念貨幣]]については真贋鑑定に回され、入金等が遅れる場合もあるが、それは合法的対応である。
[36] 문서 ゆうちょ銀行を含む
[37] 문서 なおこの場合、法的には[[法定通貨|法貨]]としての[[強制通用力]](同一額面20枚まで)が問題になるとも考えられるが、一般的な対応としては、通常の銀行(ゆうちょ銀行含む)であれば全て20枚制限とは関係なく、常識的な範疇であれば大量の硬貨でも受け入れている。ただし銀行によって対応が異なり、非常識な量であれば強制通用力を盾にとって両替業務として対応(手数料徴収)する可能性もある(ゆうちょ銀行は両替業務を行わない建前上、受入れを拒否もできる)。なお、これらの「受入れ」にはATMによる受入れは含まない(ATMへの硬貨大量入金は多くの場合制限されているし、対応義務もない)。
[38] 문서 なお20枚以下の、日本国内での通用力が停止されていない全ての硬貨、記念硬貨または貨幣については強制通用力を持つため、通常の銀行(ゆうちょ銀行を含む)は原則として受け入れを拒否できない(対応義務)。なお、昭和28年[[小額通貨の整理及び支払金の端数計算に関する法律|小額通貨整理法]]により、円未満の銭貨、厘貨は通用停止となっており円未満の問題は生じない。
[39] 문서 届け出当日中に全部を交換できない場合もある
[40] 문서 [[普通銀行]]など。ゆうちょ銀行を除く。
[41] 문서 本支店窓口では、なるべく届出者により汚損硬貨の洗浄、乾燥などを求めている。
[42] 웹사이트 https://www.boj.or.j[...]
[43] 문서 金地金として自ら処分等
[44] 문서 自ら処分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