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31년 중국 대홍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1년 중국 대홍수는 1931년 중국에서 발생한 일련의 대규모 홍수를 의미한다.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이어진 가뭄 이후, 1930-31년 겨울에 많은 눈이 쌓였고, 이 눈이 녹아 내린 물과 폭우가 겹쳐 양쯔강 유역에 대홍수가 발생했다. 7월 한 달 동안 9개의 사이클론이 이 지역을 강타하여 강수량이 급증했고,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야기했다.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약 14만 5천 명이 사망하고 2850만 명이 수해를 입었으며, 서방 자료는 사망자 수를 370만에서 400만 명으로 추정한다. 홍수는 광범위한 주택과 농지를 파괴하고, 질병과 기아를 확산시켰으며, 경제적 충격을 야기했다. 국민정부는 재해 복구 노력을 기울였으나, 자금 부족과 내전으로 인해 제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31년 중국 대홍수
개요
1931년 홍수 당시의 한커우 시청
기간1931년 7월~11월 (강에 따라 다름)
사망자422,499명~4,000,000명
피해 지역중국 중부 및 동부
상세 정보
원인장마
폭우
영향극심한 기근
전염병 확산
주요 피해 지역황허 유역
양쯔 강 유역
화이허 유역
피해 규모농경지 침수: 약 88,000 제곱킬로미터
이재민: 수백만 명
기타
관련 사건제1차 국공 내전에 영향

2. 기후적 배경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중국은 긴 가뭄을 겪었다.[5] 1930년 겨울에는 극심한 눈 폭풍이 지속되었으며, 봄이 되어 녹은 눈과 얼음이 지속적인 폭우와 합쳐져 중국 중부 강들의 수위를 높였다. 1931년 7월과 8월에는 폭우가 더욱 심해졌다.[20] 평년에는 한 해 평균 2개의 사이클론이 이 지역에 영향을 끼쳤으나, 1931년 7월 한 달 동안에만 7개의 사이클론이 상륙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20] 양쯔강을 따라 위치한 4개의 기상 관측소에서는 그 달 동안 총 600mm 이상의 강우량을 보고했다.[2]

2. 1. 장기간의 가뭄과 이상 기후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중국은 긴 가뭄으로 고통받았다.[5] 1930년 겨울에는 극심한 눈 폭풍이 지속되었으며, 봄이 되어 녹은 눈과 얼음이 지속적인 폭우와 합쳐져 중국 중부 강들의 수위를 높였다. 1931년 7월과 8월에는 폭우가 더욱 심해졌다.[20] 평년에는 한 해 평균 2개의 사이클론이 이 지역에 영향을 끼쳤으나, 1931년 7월 한 달 동안에만 7개의 사이클론이 상륙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20]

2. 2. 사이클론의 영향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중국은 긴 가뭄을 겪었다.[5][22] 1930년 겨울에는 극심한 눈 폭풍이 지속되었으며, 봄이 되어 눈이 녹고 심한 폭우가 내려 강 수위가 높아졌다. 1931년 7월과 8월에는 비가 더욱 거세졌다.[20] 1931년에는 사이클론 활동이 매우 활발했는데, 연평균 2개의 사이클론이 발생하는 지역에 그해 7월에만 7개의 사이클론이 덮쳤다.[2] 양쯔강(Yangtze River)을 따라 위치한 4개의 기상 관측소에서는 그 달 동안 총 600mm 이상의 강우량을 보고했다.[2]

3. 피해와 사상자

1931년 중국 대홍수로 인한 피해는 막심했다.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장강(양쯔강) 범람으로 약 14만 5천 명이 사망하고 2850만 명이 피해를 입었으며, 서방 국가들은 중국 전역에서 370만 명에서 4백만 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한다.[4][5] 황하 범람으로도 1백만 명에서 2백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홍수는 광대한 주택과 농지를 파괴하고, 필수 상품 가격을 급등시켜 경제적 충격을 야기했다. 많은 지역이 기아 상태에 빠졌고, 사람들은 나무 껍질, 잡초, 흙을 먹거나, 자녀를 팔고 인육 섭취에 의존하기도 했다. 이재민, 과밀, 위생 시설 붕괴로 인해 콜레라, 홍역, 말라리아, 이질, 주혈흡충증 등 질병이 난민들에게 퍼졌다.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을 비롯하여, 우한시 등 여러 도시들도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우한시한커우에서는 1931년 8월 19일에 정상 수치를 16m 초과한 수량이 측정되기도 했는데, 이는 상하이 와이탄의 높이보다 1.7m 높은 수치였다.[20][24]

1931년 8월 홍수 피해자들

3. 1. 사망자 및 이재민 규모

장강(양쯔강) 범람으로 인한 사망자는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약 14만 5천 명이며, 2850만 명이 피해를 입었다.[19] 서방 국가들은 중국 전역에서 약 370만 명에서 4백만 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한다.[4][5][20][21][22]

황하는 1931년 7월에서 11월 사이에 범람하였으며, 1백만 명에서 2백만 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쯔강 홍수는 중국 측 기록에 따르면 7월부터 8월까지가 가장 극심했으며, 14만 5천 명이 사망하고 2850만 명의 수재민이 발생했다.

당시 정부는 2천 5백만 명이 홍수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산했으나, 이후 역사가들은 실제 피해자 수가 5천 3백만 명에 달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존 로싱 벅의 연구에 따르면 홍수 초기 몇 달 동안 최소 15만 명이 익사했으며, 이듬해 수십만 명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 리원하이를 비롯한 중국 역사가들은 당시 언론 보도를 토대로 사망자 수를 422,420명으로 계산했다.

홍수는 주택과 농지를 파괴하고, 필수 상품 가격을 급등시켜 경제적 충격을 야기했다. 많은 지역이 기아 상태에 빠졌고, 사람들은 나무 껍질, 잡초, 흙을 먹거나, 자녀를 팔고 인육 섭취에 의존하기도 했다.

이재민, 과밀, 위생 시설 붕괴로 인해 콜레라, 홍역, 말라리아, 이질, 주혈흡충증 등 질병이 난민들에게 퍼졌다.

후베이성, 후난성, 장시성, 한커우, 우한시, 한양 구, 충칭 시 등이 홍수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우한시는 78만여 명의 시민과 농촌 난민이 집을 잃고, 도시가 거의 3개월 동안 물에 잠기는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1931년 8월 25일 대운하의 제방이 붕괴되면서 가오유 현에서만 1만 8천 명이 익사하고, 이듬해 기아와 질병으로 5만 8천 명이 사망했다.

3. 2. 황하 유역의 피해

황하는 중국 문명의 요람으로 불리는데, 1931년 7월에서 11월 사이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는 이 지역의 농업, 경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홍수로 100만 명에서 2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100만 명 정도는 익사한 것으로 보인다. 강의 범람으로 20000000acre 영역이 침수되었다.

3. 3. 양쯔강 유역의 피해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중국은 긴 가뭄으로 고통받았다.[5] 그 후 1930-31년 겨울은 특히 혹독하여 산악 지역에 많은 눈과 얼음을 쌓이게 했다. 1931년 초, 녹은 눈과 얼음이 하류로 흘러들어 봄철 폭우 시기에 양쯔강 중류에 도달했다. 일반적으로 이 지역은 봄, 여름, 가을에 각각 세 차례의 홍수 기간을 겪었지만, 1931년 초에는 단일한 지속적인 대홍수가 발생했다. 6월까지 저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이미 집을 버리고 떠나야 했다.

그해 여름은 극심한 사이클론 활동으로 특징지어졌다. 그해 7월 한 달 동안에만 9개의 사이클론이 이 지역을 강타했는데, 이는 연평균 2개보다 훨씬 많은 수치였다.[2] 양쯔강을 따라 위치한 4개의 기상 관측소에서는 그 달 동안 총 600mm 이상의 강우량을 보고했다.[2] 양쯔강을 흐르는 물의 수위는 19세기 중반 기록이 시작된 이래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그해 가을, 추가적인 폭우가 문제를 더했고, 일부 강은 11월이 되어서야 정상 흐름으로 돌아왔다.

홍수로 약 180000km2가 침수되었는데, 이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절반을 합친 면적, 또는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주를 합친 면적과 맞먹는 규모였다. 우한의 한커우에서 8월 19일에 기록된 최고 수위는 평균보다 약 16.15m 높았으며, 상하이 와이탄보다 평균 약 1.71m 높았다.[2][3]

이 사건은 중국어로 일반적으로 江淮水灾(장화이 수재)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대략 "양쯔-화이 홍수 재해"로 번역된다. 중국 전역의 수로가 침수되었으며, 특히 황허강과 대운하가 심각했다.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은 8개 성은 안후이성, 후베이성, 후난성, 장쑤성, 저장성, 장시성, 허난성, 산둥성이었다. 홍수 지역 외에도 광둥성처럼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 만주처럼 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 그리고 쓰촨성처럼 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도 침수되었다.

당시 정부는 2천 5백만 명이 홍수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산했다. 이후 역사가들은 실제 피해자 수가 5천 3백만 명에 달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추정 사망자 수도 매우 다양하다. 존 로싱 벅이 실시한 당시 연구에 따르면 홍수 초기 몇 달 동안 최소 15만 명이 익사했으며, 이듬해 수십만 명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 리원하이를 비롯한 중국 역사가들은 당시 언론 보도를 토대로 사망자 수를 422,420명으로 계산했다. 일부 서방 자료는 기아와 질병에 대한 자체 주장을 근거로 사망자 수가 370만에서 400만 명 사이였다고 주장한다.[4][5] 전통적으로 양쯔강을 따라 배에서 생활하는 단가족은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6]

홍수는 광대한 주택과 농지를 파괴했다. 양쯔강 유역 전체에서 밀과 쌀 작물의 약 15%가 파괴되었으며, 홍수 피해 지역에서는 그 비율이 훨씬 더 높았다.[7] 이 재난은 또한 필수 상품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경제적 충격을 야기했다. 재난으로 인한 생태학적 및 경제적 영향이 결합되어 많은 지역이 기아 상태에 빠졌다. 먹을 것이 없어진 사람들은 나무 껍질, 잡초, 흙을 먹게 되었다. 일부는 살아남기 위해 자녀를 팔았고, 다른 사람들은 인육 섭취에 의존했다.[2] 홍수의 가장 치명적인 영향은 이재민, 과밀, 위생 시설 붕괴로 인해 난민들에게 퍼진 질병이었다. 여기에는 콜레라, 홍역, 말라리아, 이질, 주혈흡충증 등이 포함되었다.

홍수는 농촌 지역을 침수시켰을 뿐만 아니라 여러 도시에도 광범위한 파괴를 야기했다. 난민들은 늦봄부터 우한시에 도착했다. 도시 자체가 초여름에 침수되고 7월 27일 오전 6시 직전에 제방이 파괴된 후,[8] 약 782,189명의 도시 시민과 농촌 난민이 집을 잃었다. 홍수는 약 82.88km2 면적을 덮었고 도시는 거의 3개월 동안 수 미터의 물에 잠겼다.[8] 많은 사람들이 도시 전체의 홍수 섬에 모여들었고, 3만 명이 한커우 중심부의 철도 제방에 피난했다. 먹을 것이 거의 없고 위생 시설이 완전히 붕괴되면서 수천 명이 곧 질병으로 사망하기 시작했다.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도 재난의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2] 홍수 기간 동안 가장 참혹한 사건 중 하나는 1931년 8월 25일에 발생했는데, 대운하를 통해 쏟아져 들어온 물이 제방을 쓸어버리면서 가오유 호 근처가 붕괴되었다. 가오유 현에서만 1만 8천 명이 익사하고, 이듬해 기아와 질병으로 5만 8천 명이 사망했다.[9]

3. 4. 화이허 유역의 피해

양쯔강에서 화이허에 이르는 홍수는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 시까지 영향을 미쳐, 도시는 한동안 섬과 같이 되었다.[20] 이로 인하여 수백만 명이 익사하거나 콜레라, 장티푸스 등의 질병으로 사망했다. 또한 아내와 딸 등의 여성들은 팔려나가고, 유아살해와 식인이 자행되었음이 정부의 기록에 의해 확인된다.[20] 후베이성, 후난성, 장시성, 한커우, 우한시, 한양 구, 충칭 시 등이 홍수의 영향을 받았다. 8월 19일 한커우에서는 정상 수치를 16m 초과한 수량이 측정되기도 했는데, 이는 상하이 와이탄의 높이보다 1.7m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20][24] 8월 25일 저녁에는 대운하를 통과한 물이 가오유호의 제방을 파괴하였고, 20만 명이 잠을 자다 익사하기도 했다.[20]

3. 5. 사회적 혼란

양쯔강과 회허의 홍수는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시에 도달했다. 대규모 홍수 지역의 고립된 섬에 위치한 난징시는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20] 콜레라장티푸스와 같은 수인성 감염병으로 수백만 명이 사망했고, 곤궁한 주민들에 의해 아내와 딸이 팔려나갔으며, 영아 살해와 식인 풍습까지 정부에 상세히 보고되었다.[20] 피해 지역은 후베이성, 후난성, 장시성, 우한시, 충칭시 등이었다. 8월 19일에는 우한시의 한커우에서 수위가 평상시보다 16m나 높아져 고수위선에 달했는데, 이는 상하이 와이탄보다 1.7m 높은 정도이다.[20][24] 1931년 8월 25일 밤, 징항 대운하의 범람으로 가오유호 근처의 제방이 붕괴되었고, 이로 인해 잠자던 약 20만 명이 익사했다.[20]

4. 복구 노력과 그 한계

1931년 대홍수 이후, 중국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한계에 직면했다.

당시 중국은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내전과 일본의 만주 침략이라는 국내외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14] 또한, 세계적으로는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었다.[14] 이러한 상황은 복구 노력에 필요한 자원과 인력 부족을 야기했고, 국제 사회의 지원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4. 1.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대응

중국은 홍수가 일어난 강에 제방 및 댐을 건설하기도 했다. 홍수로 인해 망가진 농경지도 다시 재건하고 있다.

미국 장로교회의 선교사인 토머스 한스버거는 장쑤성 타이저우시에서 가오유호 제방 재건을 감독하고 자금 확보를 한 두 명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다른 한 명은 수리학 박사인 왕수샹 장군[10] 이다.)[11][12][13] 하지만, 그 홍수는 중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토머스 한스버거의 손자인 스티브 한스버거는 2007년에 "1931년 홍수는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쓰나미로 사망한 사람 수의 15배나 되는 사람들이 사망했지만, 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그해 역사는 대신 다른 재난에 초점을 맞췄다. 중국은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내전과 일본의 북부 침략에 관심을 쏟았고, 세계는 대공황의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14]라고 말했다.

1931년 홍수는 국민당 정부에게 처음으로 닥친 주요 시련 중 하나였다. 재난의 규모가 명확해지자 정부는 장제스의 매형이자 국민당의 저명한 정치인인 쑹쯔원의 주도하에 전국 수재 구호 위원회를 설립했다. 위원회는 유명 역학자 우롄더, 보건부 장관 류루이헝, 공중 보건 전문가 존 그랜트, 수력 기술자 올리버 토드 등 중국 및 외국 전문가를 고용했다. 또한 국제 연맹의 지원도 확보했다. 유명한 비행가 찰스 린드버그와 그의 아내 앤 린드버그도 홍수 지역의 항공 조사를 의뢰받아 참여했다. 쑹쯔원이 위원장으로 남았지만, 구호 활동의 일상적인 운영은 영국의 난민 전문가인 존 호프 심슨에게 위임되었다. 동남아시아의 해외 화교 사회가 특히 관대하게 구호 활동을 돕기 위한 자선 활동이 전 세계에서 쏟아졌다. 미국에서는 유명 작가 펄 벅이 자선 기부를 장려하기 위해 단편 소설을 썼다. 만주 사변이 1931년 가을에 발발하면서 구호 활동은 더욱 어려워졌고, 이로 인해 중국 채권 시장이 붕괴되었다. 결국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대량의 밀가루와 밀을 대출받는 데 성공했다. 재난 이후 정부는 홍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허 수리 위원회와 같은 기관을 설립했다. 하지만 자금 부족과 제2차 중일 전쟁 및 그 후의 국공 내전의 혼란으로 인해, 다양한 위원회는 양쯔강을 따라 작은 댐만 건설할 수 있었다.[15]

국민당 정부의 반미신 캠페인의 일환으로 홍수 피해를 입기 직전 우한에서 용왕 사당이 철거되었다. 이러한 우연의 일치는 많은 지역 주민들이 재난을 비를 내리는 신인 용왕의 분노와 연관시키면서 이후 광범위한 불만을 야기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우한 시장 허바오화와 당시 지역 주둔군 사령관이자 나중에 후베이 성 성지사가 된 샤더우인을 포함한 주요 관리들이 의례적인 의식을 거행하고 신에게 절을 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은 미신이 대피 노력을 방해한다고 믿었다. 한 동시대 보고서에 따르면, 수천 명이 "한커우가 멸망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스스로 돕거나 도움을 받기를 거부하며. 그들은 무덤덤하게 앉아서 죽음을 기다린다"고 한다.[16]

재해 발생으로 인해 국민정부는 홍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회하 관리 위원회 등의 조직을 설립했다. 하지만 자금 부족과 중일 전쟁 및 그 이후의 국공 내전 혼란으로 각 위원회는 양쯔강 연안에 몇 곳의 작은 댐을 건설하는 데 그쳤다.[25]

4.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3년, 중국 공산당 지도자 마오쩌둥은 중국 내전 종전 이후, 싼샤 댐 홍수 통제 사업을 홍보하기 위해 양쯔강 인근 지역을 방문했다. 그는 "사회주의 싼샤 댐 사업은 진시황의 만리장성이나 수나라 양제의 대운하와 같은 중국 역사상 다른 주요 사업들을 능가해야 한다"고 말했다.[15]

천밍슈와 같이 의문을 제기한 과학자와 관료들은 반우파 운동으로 탄압받았다. 저명한 과학자이자 지질자원부 장관인 리쓰광은 마오쩌둥에게 댐 건설을 막을 수 없다면 자살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마오쩌둥 시대에 자원 부족, 중소 분쟁 심화, 대약진 운동의 혼란 등으로 인해 계획 단계 이상으로 진전되지 못했다. 이 사업은 1980년대에 재개되었고, 수력 발전 싼샤 댐은 2012년에 완전 가동을 시작하여 설비 용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발전소가 되었다.[17][18]

5. 1931년 대홍수가 남긴 것

이 홍수는 중국 사망자 수 재해 목록과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재해 목록 상위에 올라있다.[4] 당시 중화민국 정부는 2천 5백만 명이 피해를 입었다고 추산했지만,[5] 이후 역사가들은 실제 피해자 수가 5천 3백만 명에 달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5]

홍수는 광대한 주택과 농지를 파괴했으며, 양쯔강 유역 전체에서 밀과 쌀 작물의 약 15%가 파괴되었다. 특히 홍수 피해 지역에서는 그 비율이 훨씬 더 높았다.[7] 이 재난으로 필수 상품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경제적 충격을 야기했고, 생태적, 경제적 영향으로 많은 지역이 기아 상태에 빠졌다. 사람들은 나무 껍질, 잡초, 흙을 먹거나, 자녀를 팔고 인육 섭취에 의존하기도 했다.[2]

홍수의 가장 치명적인 영향은 이재민, 과밀, 위생 시설 붕괴로 인해 난민들에게 퍼진 콜레라, 홍역, 말라리아, 이질, 주혈흡충증 등의 질병이었다.[2]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도 큰 피해를 입었다.[2] 1931년 8월 25일, 대운하의 물이 가오유 호 근처 제방을 쓸어버리면서 가오유 현에서만 1만 8천 명이 익사하고, 이듬해 기아와 질병으로 5만 8천 명이 사망했다.[9]

토머스 한스버거는 미국 장로교회 선교사로, 장쑤성 타이저우시에서 가오유호 제방 재건을 감독하고 자금을 확보한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 (다른 한 명은 수리학 박사인 왕수샹 장군이다.)[10][11][12][13] 그러나 이 홍수는 중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토머스 한스버거의 손자인 스티브 한스버거는 2007년에 "1931년 홍수는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쓰나미 사망자의 15배나 되는 사람들이 사망했지만, 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그해 역사는 대신 다른 재난에 초점을 맞췄다. 중국은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내전과 일본의 북부 침략에 관심을 쏟았고, 세계는 대공황의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라고 말했다.[14]

5. 1. 사회적 영향



이 홍수는 중국 사망자 수 재해 목록에 포함되며, 때로는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재해 목록 상위에 오르기도 한다.[4] 당시 정부는 2천 5백만 명이 홍수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산했지만,[5] 이후 역사가들은 실제 피해자 수가 5천 3백만 명에 달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5]

홍수는 광대한 주택과 농지를 파괴했다. 양쯔강 유역 전체에서 밀과 쌀 작물의 약 15%가 파괴되었으며, 홍수 피해 지역에서는 그 비율이 훨씬 더 높았다.[7] 이 재난은 필수 상품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경제적 충격을 야기했다. 재난으로 인한 생태학적 및 경제적 영향이 결합되어 많은 지역이 기아 상태에 빠졌다. 먹을 것이 없어진 사람들은 나무 껍질, 잡초, 흙을 먹게 되었다. 일부는 살아남기 위해 자녀를 팔았고, 다른 사람들은 인육 섭취에 의존했다.[2]

홍수의 가장 치명적인 영향은 이재민, 과밀, 위생 시설 붕괴로 인해 난민들에게 퍼진 질병이었다. 여기에는 콜레라, 홍역, 말라리아, 이질, 주혈흡충증 등이 포함되었다.[2]

홍수는 농촌 지역을 침수시켰을 뿐만 아니라 여러 도시에도 광범위한 파괴를 야기했다. 난민들은 늦봄부터 우한시에 도착했다. 도시 자체가 초여름에 침수되고 7월 27일 오전 6시 직전에 제방이 파괴된 후,[8] 약 782,189명의 도시 시민과 농촌 난민이 집을 잃었다. 홍수는 약 82.88km2 면적을 덮었고 도시는 거의 3개월 동안 수 미터의 물에 잠겼다.[8] 많은 사람들이 도시 전체의 홍수 섬에 모여들었고, 3만 명이 한커우 중심부의 철도 제방에 피난했다. 먹을 것이 거의 없고 위생 시설이 완전히 붕괴되면서 수천 명이 곧 질병으로 사망하기 시작했다.[2]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도 재난의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2] 홍수 기간 동안 가장 참혹한 사건 중 하나는 1931년 8월 25일에 발생했는데, 대운하를 통해 쏟아져 들어온 물이 제방을 쓸어버리면서 가오유 호 근처가 붕괴된 사건이다. 가오유 현에서만 1만 8천 명이 익사하고, 이듬해 기아와 질병으로 5만 8천 명이 사망했다.[9]

5. 2. 국제 관계

토머스 한스버거는 미국 장로교회의 선교사로, 장쑤성 타이저우시에서 가오유호 제방 재건을 감독하고 자금 확보를 한 두 명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다른 한 명은 수리학 박사인 왕수샹 장군이다.)[10][11][12][13] 하지만, 그 홍수는 중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토머스 한스버거의 손자인 스티브 한스버거는 2007년에 "1931년 홍수는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쓰나미로 사망한 사람 수의 15배나 되는 사람들이 사망했지만, 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그해 역사는 대신 다른 재난에 초점을 맞췄다. 중국은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내전과 일본의 북부 침략에 관심을 쏟았고, 세계는 대공황의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라고 말했다.[14]

참조

[1] 서적 The Rise of Moder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Engineering the State: The Huai River and Reconstruction in Nationalist China 1927–1937 Routledge
[3] 서적 The River at the Center of the World: A Journey Up the Yangtze, and Back in Chinese Time Macmillan
[4] 웹사이트 Dealing with the Deluge https://www.pbs.org/[...] 1996-03-26
[5] 서적 Climate Affairs: A Primer Island Press
[6] 웹사이트 NOAA'S top global weather, water and climate even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noaanews.[...] 1999-12-13
[7] 서적 Agricultural Instability in China, 1931–1990: Weather, Technology, and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Torrent of Life (Journey into China) https://archive.or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9] 웹사이트 被遗忘的1931年中国水灾 http://www.iqh.net.c[...] Tsinghua University Institute of Qing History 2019-01-20
[10] 웹사이트 追忆苏皖边区政府参议会驻会议员、著名爱国人士----王叔相先生 http://www.swbqjz.co[...] 苏皖边区政府旧址纪念馆 2009-12-08
[11] 뉴스 Forgotten history revealed http://aboutgaoyou.c[...] 2006-09-07
[12] 뉴스 China's worst natural disaster http://www.shanghaid[...]
[13] 뉴스 Flood of memories http://www.aboutgaoy[...] 2006-01-30
[14] 웹사이트 The Great Floods Of 1931 At Gaoyou: August 26, 1931 – The Floods Come http://www.aboutgaoy[...] 2007-09-25
[15] 서적 Rediscovering China: Dynamics and Dilemmas of Reform Rowman & Littlefield
[16] 논문 The Dragon King and the 1931 Wuhan flood: religious rumors and environmental disasters in republican China
[17] 서적 Handbook of Energy: Chronologies, Top Ten Lists, and Word Clouds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3-11-15
[18] 서적 Renewable Energy: A First Cours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03-13
[19] 웹사이트 中国水利网 (in Chinese) http://2004.chinawat[...]
[20] 서적 Engineering the State: The Huai River and Reconstruction in Nationalist China 1927–1937 Routledge
[21] 웹사이트 Dealing with the Deluge http://www.pbs.org/w[...] 1996-03-26
[22] 서적 Climate Affairs: A Primer Island Press
[23] 웹사이트 NOAA'S top global weather, water and climate even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noaanews.[...] 1999-12-13
[24] 서적 The River at the Center of the World: A Journey Up the Yangtze, and Back in Chinese Time Macmillan
[25] 서적 Rediscovering China: Dynamics and Dilemmas of Reform Rowman & Littlefield
[26] 웹사이트 Breathtaking force: World's most powerful dam opens in China as gushing water generates the same power as FIFTEEN nuclear reactors http://www.dailymail[...] 2012-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