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5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올스타 대결로,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과 난카이 호크스의 야마모토 가즈토 감독이 각각 리그를 이끌었다. 1차전은 연장 21회까지 진행되었으나 일몰로 2-2 무승부로 종료되었고, 2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8-1로 승리했다.

2. 경기 개요

전년도에 첫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한 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미즈하라 시게루가 올 센트럴 리그를 이끌었고, 난카이 호크스야마모토 가즈토 감독이 올 퍼시픽 리그를 이끌었다.

제1전은 프로 야구 역사에 남을 연장 18회 경기가 되었다. 2대 2로 연장에 돌입했지만, 양 팀 모두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여름 해가 저문 21회말 18시 36분[1], 일몰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시상식에도 참석하지 못할 정도로 녹초가 된 상태였고, 결정적인 한 방이 없었던 점도 있어 이 경기의 MVP는 없었다.

하루를 쉬면서 어느 정도 피로를 푼 뒤에 치러진 제2전에서는 올 퍼시픽 리그가 4회와 7회에 올 센트럴 리그 투수진을 공략하여 1시간대에 승부를 결정지었다.

2. 1. 1차전

1952년 7월 1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1차전은 연장 21회까지 진행되었으나 일몰로 인해 2대 2 무승부로 끝났다. 경기 시간은 4시간 30분이었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벳쇼 다케히코(요미우리 자이언츠), 카네다 마사이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스기시타 시게루(주니치 드래곤즈), 후지무라 타카오(한신 타이거스), 오토모 타쿠미(요미우리), 카지오카 타다요시(한신), 마츠다 키요시(요미우리)가 투수로 등판했고, 노구치 아키라(주니치), 쿠스노키 야스오(요미우리)가 포수로 나섰다. 퍼시픽 리그에서는 유즈키 스스무(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지미 뉴베리(오릭스 버팔로즈), 노무라 타케시(지바 롯데 마린스), 카와사키 토쿠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하야시 요시카즈(다이에이 유니온스), 야마네 토시히데(지바 롯데), 스에요시 토시노부(지바 롯데), 빅토르 스타루힌(다이에이)이 투수로 등판했고, 도이가키 타케시(지바 롯데)가 포수를 맡았다. 카게야마 카즈오(후쿠오카)는 카네다 마사이치를 상대로 1호 2점 홈런을 기록했다. 주심은 후타데가와 노부아키(퍼시픽), 누심은 시마 히데노스케(센트럴), 요코자와 사부로(퍼시픽), 츠다 시로(센트럴), 외심은 우에다 후지오(퍼시픽), 츠츠이 오사무(센트럴)였다.

2. 2. 2차전

2차전은 1시간 55분 동안 진행됐다. 전파(파)가 전세(세)를 상대로 8대 1로 승리했다. 전파의 가와사키가 1승을 거두며 승리 투수가 됐고, 전세의 벳쇼가 1패를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됐다. 전파의 이이지마는 3점 홈런(1호)을 벳쇼를 상대로 기록했다.

{| class="wikitable"

|-

! 2차전 득점표

|-

|

123456789RHE
전파(파)0040003018142
전세(세)000000001140



|-

|


  • 승리 투수: 가와사키 (1승)
  • 패전 투수: 벳쇼 (1패)
  • 홈런: 전파 - 이이지마 (1호, 3점·벳쇼)

|}

3. 출장 선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이끄는 센트럴 리그는 코치로 고니시 도쿠로(다이요)와 마쓰키 겐지로(오사카)가 선임됐다.[6] 투수진에는 '''벳쇼 다케히코''', 후지모토 히데오, 오토모 다쿠미, 마쓰다 기요시(이상 요미우리)와 스기시타 시게루, 오시마 노부오(이상 나고야), 후지무라 다카오, 가지오카 다다요시(이상 오사카), 가네다 마사이치(고쿠테쓰), 다카노 히로요시(다이요)가 선발됐다.[6] 포수에는 '''노구치 아키라'''(나고야), 구스노키 야스오, 히로타 준(이상 요미우리)가 이름을 올렸다.[6] 내야진에서는 '''가와카미 데쓰하루''', '''치바 시게루''', '''히라이 마사아키''',[6](이상 요미우리), 니시자와 미치오(나고야), 시라사카 조에이(오사카)가 선출됐다.[6] '''후지무라 후미오'''(오사카)는 3루수로 선출되었다.[6] 외야진에는 '''스기야마 사토시'''(나고야), '''아오타 노보루''', 요나미네 가나메, 미나미무라 후카시(이상 요미우리), 하라다 도쿠미쓰(나고야)가 포함됐다.[6] '''이와모토 요시유키'''(다이요)는 우익수로 선출되었다.[6] 한편, 오시마, 후지모토, 스기야마는 2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9]

야마모토 가즈토[7] 감독이 이끄는 퍼시픽 리그는 코치로 유아사 요시오(마이니치)와 후지모토 사다요시(다이에이)가 선임됐다.[6] 투수로는 '''유키 스스무''', 노무라 다케시, J. 뉴베리, 하야시 기이치, 가와사키 도쿠지, 야마네 도시히데, 에토 다다시, V. 스타루힌, 스에요시 도시노부, 나카하라 히로시가 선출됐다.[6] 포수로는 '''도이가키 다케시''', 이세가와 마스미, 쓰쓰이 게이조가 선출됐다.[6] 1루수는 '''이이다 도쿠지''', 2루수는 '''야마모토 가즈토'''[8], 3루수는 '''가게야마 가즈오''', 유격수는 '''기즈카 주스케'''가 선출됐다.[6] 내야수로는 J. 브리튼, 혼도 야스야가 선출됐다.[6] 외야수로는 '''오시타 히로시''', '''벳토 가오루''', '''이이지마 시게야''', 호리이 가즈오, 나카타니 준지, 미야케 다쿠조가 선출됐다.[6] 한편, 에토, 나카하라, 이세가와, 쓰쓰이는 2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9]

3. 1. 센트럴 리그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이끄는 센트럴 리그는 코치로 고니시 도쿠로(다이요)와 마쓰키 겐지로(오사카)가 선임됐다.[2] 투수진에는 '''벳쇼 다케히코''', 후지모토 히데오, 오토모 고, 마쓰다 기요시(이상 요미우리)와 스기시타 시게루, 오시마 노부오(이상 나고야), 후지무라 다카오, 가시오카 다다요시(이상 오사카), 가네다 마사이치(고쿠테쓰), 다카노 히로시(다이요)가 선발됐다.[2] 포수에는 '''노구치 아키라''',[2](나고야), 구스노키 교로, 히로타 준(이상 요미우리)가 이름을 올렸다.[2] 내야진에서는 '''가와카미 데쓰하루''', '''지바 시게루''', '''히라이 마사아키''',[2](이상 요미우리), 니시자와 미치오(나고야), 시라사카 나가에(오사카)가 선출됐다.[2] '''후지무라 도미오'''(오사카)는 3루수로 선출되었다.[2] 외야진에는 '''스기야마 사토루'''(나고야), '''아오타 노보루''',[2](요미우리), 요나미네 이사무, 미나미무라 후카시(이상 요미우리), 하라다 노리미쓰(나고야)가 포함됐다.[2] '''이와모토 요시유키'''(다이요)는 우익수로 선출되었다.[2] 한편, 오시마, 후지모토, 스기야마는 2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5]

3. 2. 퍼시픽 리그

야마모토 가즈토[3] 감독이 이끄는 퍼시픽 리그는 코치로 유아사 사다오, 후지모토 사다하루가 선임됐다.[2] 투수로는 유키 스스무, 노무라 다케시, 뉴베리, 하야시 요시이치, 가와사키 도쿠지, 야마네 도시히데, 에토 마사, 스탈린, 스에요시 도시노부, 나카하라 히로시가 선출됐다.[2] 포수로는 도이 가즈타케, 이세가와 마스미, 쓰쓰이 게이조가 선출됐다.[2] 1루수는 이다 도쿠지, 2루수는 야마모토 가즈토[4], 3루수는 가게야마 가즈오, 유격수는 키즈카 다다스케가 선출됐다.[2] 내야수로는 브리튼, 혼도 야스야가 선출됐다.[2] 외야수로는 오시타 히로시, 벳토 가오루, 이다시마 시게요, 호리이 가즈오, 나카타니 준지, 미야케 다쿠조가 선출됐다.[2] 한편, 에토, 나카하라, 이세가와, 쓰쓰이는 2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5]

4. 경기 결과 상세

4. 1. 1차전

(연장 21회·일몰 무승부)

경기 시간 : 4시간 30분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RHE
센트럴000200000000000000000292
퍼시픽000002000000000000000290
승리 투수: 없음 패전 투수: 없음
홈런: 퍼시픽 - 가게야마 가즈오(난카이·6회 2점)



센트럴 리그
타순포지션선수
1(좌)요나미네 가나메
2(二)치바 시게루
3(우)이와모토 요시유키
4(一)가와카미 데쓰하루
5(三)후지무라 후미오
6(중)아오타 노보루
7(유)히라이 마사아키
8(포)노구치 아키라
9(투)벳쇼 다케히코
퍼시픽 리그
타순포지션선수
1(三)가게야마 가즈오
2(二)야마모토 가즈토
3(중)벳토 가오루
4(좌)오시타 히로시
5(우)이이지마 시게야
6(一)이이다 도쿠지
7(포)도이가키 다케시
8(투)유키 스스무
9(유)기즈카 주스케


4. 1. 1. 라인 스코어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RHE
센트럴000200000000000000000292
퍼시픽000002000000000000000290
승리 투수: 없음 패전 투수: 없음
홈런: 퍼시픽 - 가게야마 가즈오(난카이·6회 2점)


4. 1. 2. 출장 타순

wikitable

센트럴 리그
타순포지션선수
1(좌)요나미네 가나메
2(二)치바 시게루
3(우)이와모토 요시유키
4(一)가와카미 데쓰하루
5(三)후지무라 후미오
6(중)아오타 노보루
7(유)히라이 마사아키
8(포)노구치 아키라
9(투)벳쇼 다케히코
퍼시픽 리그
타순포지션선수
1(三)가게야마 가즈오
2(二)야마모토 가즈토
3(중)벳토 가오루
4(좌)오시타 히로시
5(우)이이지마 시게야
6(一)이이다 도쿠지
7(포)도이가키 다케시
8(투)유키 스스무
9(유)기즈카 주스케




4. 2. 2차전

wikitable

123456789득점안타실책
퍼시픽0040003018142
센트럴000000001140
승리 투수: 가와사키 도쿠지(니시테쓰) (1승) 패전 투수: 벳쇼 다케히코(요미우리) (1패)
홈런: 퍼시픽: 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이·3회 3점)



퍼시픽센트럴
타순수비선수타순수비선수
1(三)가게야마 가즈오1(좌)요나미네 가나메
2(二)야마모토 가즈토2(二)치바 시게루
3(중)벳토 가오루3(우)이와모토 요시유키
4(좌)오시타 히로시4(一)가와카미 데쓰하루
5(우)이이지마 시게야5(三)후지무라 후미오
6(一)이이다 도쿠지6(중)아오타 노보루
7(포)도이가키 다케시7(유)히라이 마사아키
8(투)유키 스스무8(포)노구치 아키라
9(유)기즈카 주스케9(투)벳쇼 다케히코



colspan=3" |colspan="3" |
심판
구심 | 시마(세)
1루심 | 요코자와 삼(파)
2루심 | 쓰다(세)
3루심 | 니다데가와(파)
좌익선심 | 쓰쓰이(세)
우익선심 | 우에다(파)



경기 시간: 1시간 55분

4. 2. 1. 라인 스코어

wikitable

123456789득점안타실책
퍼시픽0040003018142
센트럴000000001140
승리 투수: 가와사키 도쿠지(니시테쓰) 패전 투수: 벳쇼 다케히코(요미우리)
홈런: 퍼시픽: 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이·3회 3점)


4. 2. 2. 출장 타순

퍼시픽센트럴
타순수비선수타순수비선수
1(三)가게야마 가즈오1(좌)요나미네 가나메
2(二)야마모토 가즈토2(二)치바 시게루
3(중)벳토 가오루3(우)이와모토 요시유키
4(좌)오시타 히로시4(一)가와카미 데쓰하루
5(우)이이지마 시게야5(三)후지무라 후미오
6(一)이이다 도쿠지6(중)아오타 노보루
7(포)도이가키 다케시7(유)히라이 마사아키
8(투)유키 스스무8(포)노구치 아키라
9(유)기즈카 주스케9(투)벳쇼 다케히코



퍼시픽센트럴
타순수비선수타순수비선수
1[3루]가게야마 가즈오1[좌익수]요나미네 가나메
2[2루]야마모토 가즈토2[2루]치바 시게루
3[중견수]벳토 가오루3[우익수]이와모토 요시유키
4[좌익수]오시타 히로시4[1루]가와카미 데쓰하루
5[우익수]이이지마 시게야5[3루]후지무라 후미오
6[1루]이이다 도쿠지6[중견수]아오타 노보루
7[포수]도이가키 다케시7[유격수]히라이 마사아키
8[투수]유키 스스무8[포수]노구치 아키라
9[유격수]기즈카 주스케9[투수]벳쇼 다케히코


5. 비고

wikitext


  • 1차전(7월 3일)
  • * NHK 라디오 제2 해설: 아마노 슈지로, 시마우라 세이지
  • * 라디오 도쿄
  • 2차전(7월 5일)
  • * NHK 라디오 제2 해설: 키타데 세이고로, 사이토 마사오
  • * 라디오 도쿄

참조

[1] 뉴스 【7月3日】1952年(昭27) いつまでやるの?オールスターゲーム、延長21回! https://web.archive.[...] スポーツニッポン
[2] 서적 올스타게임의 궤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2001
[3] 문서 監督としては1回目
[4] 문서 全パ監督兼任
[5] 서적 올스타게임의 궤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2001
[6]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2001
[7] 문서 감독으로서는 1회째이다.
[8] 문서 퍼시픽 리그 팀 감독을 겸임했다.
[9]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