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은 사카모토 류이치의 앨범으로, 과거 작품들을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트리오 편성으로 재녹음한 음반이다. 1996년에 발매되었으며, 동명의 곡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연설 음성을 활용한 오리지널 곡이다. 앨범에는 영화 《마지막 황제》, 《전장의 크리스마스》 등의 사운드트랙 수록곡들이 수록되었으며, 제11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인스트루멘털 부문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악 음반 - Hymn of the Seventh Galaxy
《Hymn of the Seventh Galaxy》는 1973년에 발매된 재즈 퓨전 그룹 리턴 투 포에버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록과 펑크의 영향을 받아 전기 악기 비중을 늘렸으며, 빌 코너스가 참여한 4인조로 구성되어 칙 코리아가 대부분의 곡을 작곡하고 연주했다. - 기악 음반 - Where Have I Known You Before
리턴 투 포에버의 1974년 앨범 《Where Have I Known You Before》는 칙 코리아의 신시사이저 도입과 알 디 메올라의 합류로 사운드 변화를 꾀했으며, 빌보드 200에서 32위, 재즈 앨범 차트에서 5위를 기록했다. - 1996년 음반 - Beats, Rhymes and Life
A Tribe Called Quest의 1996년 앨범 《비츠, 라임스 앤드 라이프》는 멤버 구성 및 음악적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주제의 가사로 호평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으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96년 음반 - 비둘기는 하늘의 쥐
언니네 이발관의 데뷔 앨범 《비둘기는 하늘의 쥐》는 이석원의 거짓말로 시작된 밴드 결성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인디 신에 새로운 감수성을 알린 기타 팝 앨범으로 평가받고 《경향신문》 선정 한국 앨범 100선에서 34위에 랭크되었다.
1996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아티스트 | 류이치 사카모토 |
발매일 | 1996년 6월 4일 |
녹음 장소 | Right Track (뉴욕 시) |
장르 | 실내악 |
길이 | 68분 42초 |
레이블 | Güt, For Life, Milan |
프로듀서 | 류이치 사카모토 |
앨범 정보 |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이전 앨범 | 스무치 |
이전 앨범 발매일 | 1995년 |
다음 앨범 | DISCORD |
다음 앨범 발매일 | 1997년 |
커버 앨범 정보 | |
종류 | 커버 앨범 |
발매일 | 1996년 5월 17일 |
레이블 | güt |
길이 | 69분 48초 |
싱글 정보 | |
싱글 1 | 08/21/1996 |
싱글 1 발매일 | 1996년 8월 21일 |
2. 배경
《1996》은 사카모토 류이치가 자신의 과거 작품들을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트리오 편성으로 재녹음한 음반이다. 피아노는 사카모토 류이치, 첼로는 자크 모렐렌바움, 바이올린은 에버턴 넬슨이 주로 연주했다. 뉴욕 필하모닉의 수석 바이올린 연주자 데이비드 나디안은 두 곡에 참여했는데, 사카모토 류이치는 그의 첫 연주를 듣고 맥이 빠질 정도였다고 한다.
모든 곡은 사카모토 류이치가 작곡했다.
음반 제목은 발매 연도인 1996년에서 따왔다. 이 음반은 제11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인스트루멘털 부문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리마스터 버전이 해외에서 발매되었고, 같은 해에 같은 트리오 편성으로 수록된 〈THREE〉가 발매되었다. 《1996》은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반 중 처음으로 레코딩부터 마스터링까지 풀 디지털로 진행된 앨범이며, 아날로그 작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3. 곡 목록
이 음반은 발매 국가 및 버전에 따라 수록곡에 차이가 있다. 미국과 브라질에서 밀란 레이블로 발매된 CD에는 1번부터 12번 트랙까지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에서 밀란 CD로 발매된 버전에는 1번부터 15번 트랙까지 수록되어 있다. 해외 리마스터반에는 16번째 곡으로 'Self Portrait'가 추가되었는데, 이 곡은 앨범 『음악도감』에 수록되었던 곡으로, 바이올린은 Barry Finclair가 연주했다.순서 곡 제목 원곡 원곡 수록 음반 발매 연도 1 고릴라가 바나나를 주는 날 ゴリラがバナナをくれる日|고릴라가 바나나오 구레루 히일본어 이전 미공개 - 2 Rain 마지막 황제 마지막 황제 1987년 3 미모의 푸른 하늘 美貌の青空|비보노 아오조라일본어 스무치 1995년 4 The Last Emperor 마지막 황제 마지막 황제 1987년 5 1919 이전 미공개 - - 6 Merry Christmas Mr. Lawrence 전장의 크리스마스 전장의 크리스마스 1983년 7 M.A.Y. in The Backyard 음악도감 음악도감 1984년 8 The Sheltering Sky 마지막 사랑 마지막 사랑 1990년 9 A Tribute to N.J.P. 음악도감 음악도감 1984년 10 High Heels (Main Theme) 하이힐 하이힐 1991년 11 푸른 고양이의 토르소 青猫のトルソ|아오네코노 도루소일본어 스무치 1995년 12 The Wuthering Heights 폭풍의 언덕 폭풍의 언덕 1992년 13 Parolibre 미래파 자식 미래파 자식 1986년 14 Acceptance (End Credit) -Little Buddha- 리틀 부다 리틀 부다 1994년 15 Before Long 네오 지오 네오 지오 1991년 16 Bring them home 스무치 스무치 1995년 해외 리마스터반에는 다음 곡이 추가됨 16 Self Portrait 음악도감 음악도감 1984년
3. 1. 수록곡 해설
: 사카모토 류이치는 이 곡에 대해 "프랑스 인상주의적인 느낌을 가진 곡"이라고 말했다. 짧은 곡 안에 역동적인 변화가 많아 녹음 레벨을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고 회상했다. 원래 1978년 "PARCO"의 텔레비전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으며, 처음 앨범에 수록된 것은 『미디어 반 라이브』이다. 이후 원곡은 앨범 『CM/TV』에서 "PARCO-페이 더너웨이 '애니멀'"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 영화 마지막 황제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바이올린 연주는 데이비드 나디안(David Nadien)이 맡았다. 이 앨범을 위해 새롭게 편곡되었으며, 원곡보다 길이가 길어졌다.
: 앨범 『스무치』에 수록된 곡이다. 원래는 힙합 풍이지만, 이 앨범에서는 조용한 분위기로 어레인지되었다. 사카모토 류이치는 이 곡을 이탈리아에서 연주하면 열광적인 반응을 얻는다고 한다. 앨범 『/04』에서 같은 편곡으로 다시 수록되었다. 2006년에는 영화 "바벨"에서 사용되었는데, 『/04』 버전으로 추정된다.
: 영화 마지막 황제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이 앨범에서 가장 큰 다이내믹 레인지를 가지도록 전체적인 조정이 이루어졌다.
: 이 앨범에서 유일한 오리지널 곡이다. 배경에 흐르는 음성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연설인데, 사카모토 류이치는 이를 "랩"처럼 활용하고 있다. 곡 제목은 이 연설이 1919년에 이루어졌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드럼 없이 테크노적인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6] . 미쓰비시 전기의 휴대 전화 '디가'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으며, 사카모토 류이치 본인도 광고에 출연했다.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 영화 전장의 크리스마스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원곡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 앨범 『음악도감』에 수록된 곡이다. 원곡보다 연주 속도가 조금 빨라졌다.
: 영화 마지막 사랑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바이올린 연주는 David Nadien이 맡았다. 원곡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 앨범 『음악도감』에 수록된 곡이다. 중간 부분이 원곡보다 길다. 원곡과 마찬가지로 백남준의 목소리가 사용되었다.
: 영화 하이힐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원곡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 앨범 『스무치』에 수록된 곡이다. 원곡보다 약간 느리게 연주되고 있다.
: 영화 폭풍의 언덕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 앨범 『미래파 자식』에 수록된 곡이다. 바이올린 연주는 Barry Finclair가 맡았다. 원곡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 영화 리틀 부다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원곡보다 조금 짧게 편곡되었다.
: 앨범 『네오 지오』에 수록된 곡이다. 바이올린 연주는 Barry Finclair가 맡았다. 새로운 중간 부분이 추가되었다.
: 앨범 『스무치』에 수록된 곡이다. 원곡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3. 2. 트랙 리스트 (한국 발매판 기준)
순서 | 곡 제목 | 원곡 | 원곡 수록 음반 | 발매 연도 |
---|---|---|---|---|
1 | 고릴라가 바나나를 주는 날 | ゴリラがバナナをくれる日일본어 | 이전 미공개 | - |
2 | Rain | 마지막 황제 | 마지막 황제 | 1987년 |
3 | 미모의 푸른 하늘 | 美貌の青空일본어 | 스무치 | 1995년 |
4 | The Last Emperor | 마지막 황제 | 마지막 황제 | 1987년 |
5 | 1919 | 이전 미공개 | - | - |
6 | Merry Christmas Mr. Lawrence | 전장의 크리스마스 | 전장의 크리스마스 | 1983년 |
7 | M.A.Y. in The Backyard | 음악도감 | 음악도감 | 1984년 |
8 | The Sheltering Sky | 마지막 사랑 | 마지막 사랑 | 1990년 |
9 | A Tribute to N.J.P. | 음악도감 | 음악도감 | 1984년 |
10 | High Heels (Main Theme) | 하이힐 | 하이힐 | 1991년 |
11 | 푸른 고양이의 토르소 | 青猫のトルソ일본어 | 스무치 | 1995년 |
12 | The Wuthering Heights | 폭풍의 언덕 | 폭풍의 언덕 | 1992년 |
13 | Parolibre | 미래파 자식 | 미래파 자식 | 1986년 |
14 | Acceptance (End Credit) -Little Buddha- | 리틀 부다 | 리틀 부다 | 1994년 |
15 | Before Long | 네오 지오 | 네오 지오 | 1991년 |
16 | Bring them home | 스무치 | 스무치 | 1995년 |
전곡 작곡: 사카모토 류이치
4. 라이브 콘서트
1996년 사카모토 류이치 트리오 월드 투어가 개최되었다. 이 콘서트는 일본 내 6개 공연장에서 열렸으며,[1] 1996년 8월 28일 분카무라 오차드 홀 콘서트는 인터넷으로 생중계된 최초의 콘서트 중 하나였다.[2] 콘서트 실황은 DVD와 레이저디스크로 발매되었다.[3]
4. 1. 세트 리스트 (류이치 사카모토 트리오 월드 투어 1996)
1996년에 '류이치 사카모토 트리오 월드 투어'라는 콘서트가 개최되었다. 이 콘서트의 세트 리스트는 오리지널 앨범과 다르다.[1]번호 | 곡명 |
---|---|
1 | Bibo no Aozora |
2 | Rain |
3 | Merry Christmas, Mr. Lawrance |
4 | The Sheltering Sky |
5 | Aoneko no Torso |
6 | Tango |
7 | Improvisation (High Heels (Main Theme)) |
8 | Little Buddha |
9 | The Wuthering Heights |
10 | Asadoya Yunta |
11 | M.A.Y. In The Backyard |
12 | Thousand Knives |
13 | 1919 |
14 | A Flower Is Not A Flower |
15 | The Last Emperor |
16 | Tong Poo |
17 | Parolibre |
18 | Tango (Strings Version) |
5. 참여자
wikitext
참여자 | 역할 |
---|---|
사카모토 류이치 | 피아노 |
자크 모렐렌바움 | 첼로 |
에버턴 넬슨 | 바이올린 (1, 3–7, 9–12, 14번 트랙) |
데이비드 나딘 | 바이올린 (2, 8번 트랙) |
배리 핀클레어 | 바이올린 (13, 15번 트랙) |
참여자 | 역할 |
---|---|
페르난도 아폰테 | 엔지니어, 믹싱[4] |
테드 젠슨 | 마스터링[4] |
조 리지 & 제이슨 골드스타인 | 보조 엔지니어[4] |
나카지마 히데키 | 아트 디렉션, 디자인[4] |
오치아이 요시노리 | 디자인[4] |
타지마 카즈나리 | 사진[4] |
클레어 드 그라우 & 데이비드 루빈슨 | 프로덕션 매니저[4] |
5. 1. 연주
참여자 | 역할 |
---|---|
사카모토 류이치 | 피아노 |
자크 모렐렌바움 | 첼로 |
에버턴 넬슨 | 바이올린 (1, 3–7, 9–12, 14번 트랙) |
데이비드 나딘 | 바이올린 (2, 8번 트랙) |
배리 핀클레어 | 바이올린 (13, 15번 트랙) |
5. 2. 기술
참조
[1]
웹사이트
Info page for the 1996 tour
https://www.sitesaka[...]
2021-10-23
[2]
웹사이트
08/28 Ryuichi Sakamoto Internet Live English
https://park.org/Jap[...]
2021-10-23
[3]
웹사이트
Ryuichi Sakamoto - Trio World Tour 1996~Complete Version
https://www.discogs.[...]
2021-10-23
[4]
웹사이트
Ryuichi Sakamoto discografia
http://www.tokyonois[...]
TokyoNoise.Net
2013-05-27
[5]
웹사이트
坂本龍一/1996
https://tower.jp/ite[...]
2021-11-06
[6]
문서
アルバム『[[US (坂本龍一のアルバム)|US]]』より。
[7]
웹인용
坂本龍一/1996
https://tower.jp/ite[...]
2021-11-06
[8]
웹인용
Info page for the 1996 tour
https://www.sitesaka[...]
2021-10-23
[9]
웹인용
08/28 Ryuichi Sakamoto Internet Live English
https://park.org/Jap[...]
2021-10-23
[10]
웹인용
Ryuichi Sakamoto - Trio World Tour 1996~Complete Version
https://www.discogs.[...]
2021-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