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지막 황제》는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87년 영화로, 중국의 마지막 황제 아이신각라 푸이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푸이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세계 최초로 자금성에서 촬영을 진행하여 화제를 모았다. 영화는 푸이의 즉위부터 만주국 황제, 전범 수용소 수감, 석방 이후의 삶을 그리고 있으며, 존 론, 조안 첸, 피터 오툴 등이 출연했다. 제60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등 9개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석양의 무법자
《석양의 무법자》는 남북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20만 달러의 남부 동맹 군자금을 쫓는 세 인물, 블론디, 투코, 엔젤 아이즈의 협력, 배신, 추격을 그린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의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이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이탈리아 여행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1954년 영화 《이탈리아 여행》은 영국 부부가 이탈리아 별장 여행 중 겪는 갈등과 화해를 그리며, 프랑스 뉴웨이브 영화에 영향을 주고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넘어선 영화로 재평가받는 작품이다. - 중국의 전기 영화 - 기성 오청원
기성 오청원은 중일 전쟁 시기 일본에서 바둑가로 활동한 중국인 우칭위안의 삶을 그린 영화로, 국적과 정체성의 혼란 속에서도 바둑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았던 그의 삶을 조명하며 장첸이 주연을 맡아 금마장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고 상하이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중국의 전기 영화 - 황금시대 (2014년 영화)
황금시대는 1920년대부터 1940년대 중국을 배경으로 여성 작가 샤오훙의 삶을 그린 2014년 개봉 영화이며, 허안화 감독이 연출하고 탕웨이가 샤오훙 역을 맡아 하얼빈 등지에서 촬영되었고, 실험적인 연출 방식으로 호평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 만주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마이 웨이 (2011년 영화)
강제규 감독의 영화 마이 웨이는 일제강점기 말 조선인 김준식과 일본인 하세가와 타츠오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겪는 운명을 그린 작품으로, 장동건, 오다기리 조, 판빙빙 등이 출연했지만 흥행에는 실패하고 역사 왜곡 등의 비판을 받았다. - 만주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2008년 김지운 감독이 연출하고 송강호, 이병헌, 정우성이 주연을 맡은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은 1930년대 만주를 배경으로 보물 지도를 쫓는 세 남자의 이야기를 그린 만주 웨스턴 액션 영화로, 칸 영화제에 초청되고 흥행에도 성공했다.
마지막 황제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제작 | 제레미 토마스 |
각본 | 마크 펩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원작 | 푸이의 1960년 자서전 《From Emperor to Citizen: The Autobiography of Aisin-Gioro Puyi》 |
출연 | 존 론 조안 첸 피터 오툴 잉 루오청 빅터 웡 데니스 던 사카모토 류이치 |
음악 | 사카모토 류이치 데이비드 번 콩 수 |
촬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편집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제작사 | 헴데일 필름 코퍼레이션 레코디드 픽처 컴퍼니 |
배급사 | 콜롬비아 픽처스 |
개봉일 | 1987년 10월 4일 (도쿄) 1987년 10월 23일 (이탈리아) 1988년 2월 26일 (영국) |
상영 시간 | 163분 |
제작 국가 |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중국 |
언어 | 영어 표준 중국어 일본어 |
제작비 | 2380만 달러 |
흥행 수입 | 4400만 달러 |
제작 정보 | |
일본 배급 | 松竹富士 東北新社 (4K 복원) |
프랑스 배급 | 액터 오서 어소시에이트 |
영국 배급 | 콜롬비아 · 캐논 · 워너 · 디스트리뷰터스 |
미국 배급 | 콜롬비아 픽처스 |
출시 정보 | |
일본 개봉일 | 1987년 10월 4일 (제2회 도쿄 국제 영화제) 1988년 1월 23일 2023년 1월 6일 (4K 복원) |
프랑스 개봉일 | 1987년 11월 25일 2013년 9월 10일 (칸 국제 영화제 3D) |
이탈리아 개봉일 | 1987년 10월 23일 2013년 9월 10일 (3D) |
미국 개봉일 | 1987년 11월 20일 |
중국 개봉일 | 2015년 6월 (상하이 국제 영화제 3D) |
영국 개봉일 | 1988년 2월 26일 |
대한민국 개봉일 | 1988년 12월 24일 |
추가 정보 | |
일본 극장판 배급 수입 | 24억 5000만 엔 |
미국 극장 수익 | 43,984,230달러 |
대한민국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일본 등급 | PG12 |
미국 등급 | PG-13 |
오스트레일리아 등급 | M |
영국 등급 | 15 |
싱가포르 등급 | NC16 |
2. 제작 배경 및 과정
《마지막 황제》는 1908년 서태후가 푸이를 황제로 지명하고 서거한 때부터 1967년 푸이가 시민으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푸이의 자서전 《황제에서 시민으로》를 바탕으로 각색되었으며, 세계 최초로 자금성에서 촬영되어 화제를 모았다. 존 론이 푸이 역을 맡았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1987년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등 9개 부문을 수상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이미 같은 주제의 작품들이 제작되었고, 당시 외국 영화 관람이 활발하지 않아 인지도가 낮았다.
영화는 중국 대륙을 배경으로 하지만, 대부분의 대사가 영어이고 독자적인 각색이 많다. 중국 정부의 협조로 자금성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당시 문화부 차관이었던 잉뤄청이 전범수용소 소장 역을 맡았다. 특히 장엄하고 화려한 즉위식 장면은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과거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푸이 황제를 "아신자로 부이"라고 불렀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이 푸이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주연 배우는 홍콩 출신의 중국계 미국인 배우 존 론이다.
영화는 1908년 서태후의 푸이 황제 책봉과 서거 장면으로 시작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전범 수용소에서의 심문 장면을 삽입하며, 중화민국 시절의 황제 생활, 만주국 황제, 소련 억류, 문화대혁명을 거쳐 평범한 시민으로 사망한 1967년까지의 푸이의 일생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역사적 사실보다는 과감한 창작이 돋보이며, 주요 대사는 영어로 진행되는 등 독자적인 각색이 많다.[52]
자금성에서 세계 최초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하여 화제를 모았으며, 중국 공산당 정부의 전폭적인 협조로 촬영이 가능했다. 베르톨루치 감독과 촬영 감독 비토리오 스트라로의 색감 있는 영상미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53] 특히 자금성 태화전에서의 즉위식 장면은 영화사에 남을 명장면이 되었다.
1987년 제2회 도쿄 국제 영화제 폐막 상영으로 처음 공개되었고,[54] 제60회 아카데미상 작품상[55]과 제45회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56]
2. 1. 기획 및 각본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은 앙드레 말로의 《인간의 운명》과 푸이의 자서전 《황제에서 시민으로》 두 가지 후보 중 중국 정부의 선택으로 《마지막 황제》를 영화화하게 되었다.[6] 제작자 제러미 토마스는 25억달러의 제작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으며,[6] 중국 정부로부터 자금성 촬영 허가를 받는 데 성공했다.영화는 푸이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각색되었지만, 역사적 사실보다는 극적인 연출에 중점을 둔 부분이 많다.
2. 2. 촬영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은 앙드레 말로의 ''La Condition humaine''(인간의 운명)을 각색하는 대신, 중국 정부가 선호한 푸이의 자서전 《황제에서 시민으로》를 바탕으로 영화를 제작했다.[6] 제작자 제러미 토마스는 2500만달러의 제작비를 마련하기 위해 전화번호부를 뒤지기도 했다.[7]이 영화는 세계 최초로 자금성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53]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협조로, 하루 5만 명이 방문하는 관광 명소인 자금성을 몇 주 동안 빌려 촬영할 수 있었다. 베르톨루치 감독과 촬영 감독 비토리오 스트라로는 자금성의 화려한 영상미를 최대한 활용했으며,[6] 특히 자금성 태화전에서의 장엄한 즉위식 장면은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꼽힌다.[53]
촬영에는 19,000명의 엑스트라가 동원되었으며, 인민해방군도 동원되었다.[8] 베르톨루치 감독은 문화대혁명 장면 촬영 당시, 천카이거, 장이머우 등 젊은 감독들에게 자문을 구했다.[9]
2. 3. 캐스팅
- 존 론 - 성인 푸이 역
- 조안 첸 - 완룽 역
- 피터 오툴 - 레지널드 존스턴 역
- 잉뤄청 - 전범수용소 소장 역[1]
- 사카모토 류이치 - 아마카스 마사히코 역
- 천카이거 - 황실 근위대 대장 역 (카메오 출연)[1]
잉뤄청은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 차관이었다.[1] 사카모토 류이치는 아마카스 마사히코 역으로 출연했을 뿐만 아니라, 음악 감독을 맡아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했다.[1]
3. 주요 등장인물
역할 | 배우 | 비고 |
---|---|---|
푸이 | 존 론 (John Lone) | 성인 |
리차드 뷰 (Richard Vuu) | 3세[1] | |
티거르 츠오 (Tijger Tsou) | 8세[1] | |
우 타오 (Wu Tao) | 15세[1] | |
완룽 | 조앤 첸 (Joan Chen) | |
리전럴드 존스턴 | 피터 오툴 (Peter O'Toole) | |
진위안 | 잉 루오청 (Ying Ruocheng) | 수용소 소장 |
천바오천 | 빅터 웡 (Victor Wong (actor born 1927)) | |
빅 리 | 데니스 던 (Dennis Dun) | |
아마카스 마사히코 | 류이치 사카모토 (Ryuichi Sakamoto) | |
동방의 보석(요시코 카와시마) | 매기 한 (Maggie Han) | |
수용소 심문관 | 릭 영 (Ric Young) | |
원슈 | 비비안 우 (Vivian Wu) | |
창 | 캐리-히로유키 타가와 (Cary-Hiroyuki Tagawa) | |
아 모 | 제이드 고 (Jade Go) | |
요시오카 대령 | 후미히코 이케다 (Fumihiko Ikeda) | |
푸제 | 판 광 (Fan Guang) | 성인, 푸이의 동생 |
헨리 크이 (Henry Kyi) | 7세 | |
앨빈 라일리 3세 (Alvin Riley III) | 14세 | |
서태후 | 리사 루 (Lisa Lu) | |
춘친왕 | 바질 파오 (Basil Pao) | 푸이의 아버지 |
춘비 | 동량 (Dong Liang) | 푸이의 어머니 |
내시장 | 헨리 오 (Henry O) | |
황실 근위대 대장 | 첸 카이거(Chen Kaige) | |
히시카리 다카시 장군 | 타카마쓰 히데오(Hideo Takamatsu) | |
장군의 통역관 | 하지메 타치바나(Hajime Tachibana) | |
큰 발의 환관 | 장량빈(Zhang Liangbin) | |
곱추 환관 | 황원제(Huang Wenjie) | |
장징후이 | 천슈(Chen Shu) | |
히로 사가 | 청슈얀(Cheng Shuyan) | |
셰지에시 | 리푸성(Li Fusheng) | |
황제의 안과의사 | 콘스탄틴 그레고리(Constantine Gregory) |
3. 1. 푸이 (溥儀)
1908년 서태후가 푸이를 황제로 지명하고 서거한 후, 푸이는 겨우 세 살의 나이로 황위에 올랐다.[1] 1950년 중화인민공화국의 푸순 전범관리소에 전범으로 수감된 푸이는 과거를 회상한다. 즉위 3년 만에 신해혁명으로 퇴위당했지만, 청실우대조건에 따라 자금성 안에서는 여전히 황제였다.레지널드 존스턴이 쓴 『자금성의 황혼』[66]은 푸이의 회상에 중요한 자료였다. 푸이는 영국인 가정교사 존스턴에게서 서양의 지식과 상식을 배우며 성장했다. 1921년 친모가 사망한 후, 푸이는 완룽을 황후로, 문수를 숙비로 맞이했다.
1924년 베이징 정변으로 푸이는 자금성에서 쫓겨나고, 일본 제국의 보호 아래 톈진에서 생활했다. 1934년 푸이는 만주국의 황제가 되었지만, 실권은 일본인들이 쥐고 있었다.[67]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소련군에 체포된 푸이는 중국으로 넘겨져 전범으로 수감되었다. 1959년 특사령으로 석방된 후, 푸이는 평범한 정원사로 일하며 1967년 생을 마감했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 | 배우 |
---|---|
성인 푸이 | 존 론[1] |
3세 푸이 | 리차드 뷰[1] |
8세 푸이 | 추제격[1] |
15세 푸이 | 오도[1] |
3. 2. 완룽 (婉容)
진충이 연기한 완룽은 푸이의 황후였다. 자금성에서 쫓겨난 후, 아편 중독에 빠지는 등 불행한 삶을 살았다.[1]3. 3. 레지널드 존스턴
피터 오툴이 연기한 레지널드 존스턴은 푸이의 영국인 가정교사였다.[1] 그는 푸이에게 서구 문물을 가르치고, 자금성 밖의 세상을 알려준 인물이다.[1]3. 4. 아마카스 마사히코 (甘粕正彦)
사카모토 류이치가 연기한 아마카스 마사히코는 일본 관동군 장교였다.[1] 그는 만주국에서 푸이를 감시하고 조종하는 역할을 맡았다.[1]3. 5. 서태후 (西太后)
청나라 말기의 실권자인 서태후는 푸이를 황제로 지명하고 사망했다.[1] 리사 루가 서태후 역을 맡았다.[1]3. 6. 기타 등장인물
4. 줄거리
서태후가 푸이를 황제로 지명하고 서거한 1908년부터 푸이가 시민으로 생을 마감하는 1967년까지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푸이의 자서전 《황제에서 시민으로》를 바탕으로 각색되었으며, 자금성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하여 화제를 모았다. 존 론이 푸이 역을 맡았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했다.[52]
1950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국공 내전이 끝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하얼빈 역에는 5년간 소련에 억류되었다가 송환된 중국인 전범들이 가득했다. 그 중 한 남자가 자살을 시도하는데, 그는 바로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였다.[52]
1908년 황극전에서 서태후에게 광서제의 후계자로 지명받은 푸이는 겨우 세 살의 나이에 황위에 올랐다. 그러나 즉위 3년 만에 신해혁명으로 인해 황제 칭호와 사유 재산만 인정받은 채 퇴위당한다. 이후 영국인 가정교사의 영향으로 신사상에 매료되어 서양 유학을 꿈꾸지만, 1924년 군벌 풍옥상의 쿠데타로 자금성에서 쫓겨나고 청나라 황제의 칭호마저 빼앗긴다.[52]
일본의 획책에 넘어가 만주국의 황제가 되지만, 이는 허울뿐이었고 실권은 일본인들이 쥐고 있었다. 황후는 아편 중독에 빠지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자 푸이는 소련군에 체포되어 중국으로 넘겨진다. 형무소에서 사상교육을 받고 출소한 그는 평범한 정원사로 일하며 과거를 회상한다.[52]
1967년, 문화대혁명의 광풍 속에서 푸이는 홍위병에게 박해받는 과거 수용소 소장을 발견하고 그를 감싸려 하지만 실패한다. 이후 박물관이 된 자금성을 찾아 과거를 회상하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52]
4. 1. 청나라 황제 (1908년 ~ 1912년)
1908년, 푸이는 서태후에 의해 청나라의 황제로 지명되었다. 겨우 세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오른 푸이는 자금성 안에서 황제로 군림한다. 그러나 즉위 3년 만인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푸이는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52]4. 2. 자금성 생활과 망명 (1912년 ~ 1934년)
1924년 군벌 풍옥상의 쿠데타로 푸이는 자금성에서 쫓겨나 청나라 황제의 칭호를 빼앗긴다.[52] 리지널드 존스턴은 영국 대사관에 보호를 요청하지만, 국제 문제가 될 것을 우려하여 거절당하고, 결국 푸이에게 손을 내민 것은 동시대의 천황이 있어 친밀감을 느꼈던 일본 제국이었다.[52]일본의 보호 아래 톈진에서의 생활은 군벌과의 협상은 있었지만, 대체로 즐거웠다. 푸이와 완룽은 「헨리와 엘리자베스」가 되어 사교계의 주목을 받았다. 한편, 문수는 자금성 밖에서는 (사회적으로) 아내로 인정받지 못해 고독한 마음에 이혼을 원했다. 무도회 도중, 장제스의 상하이 장악 소식이 전해지고, 참석한 서구인들이 박수갈채하는 가운데, 푸이에게 '''아마카스 마사히코'''가 일본 공사관 방문을 권유한다. 문수는 차 안에서 이혼 의사를 밝히고, 혼란 속에 가출한다. 친구를 잃은 완룽의 호위를 위해 「동양의 보석」(eastern jewel)인 '''카와시마 요시코'''가 나타난다. 그녀는 푸이의 먼 친척이며, 모든 정보에 정통했다. 그녀는 청동릉이 국민당에 의해 도굴되어 서태후의 시체가 훼손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푸이를 격분시킨다. 그리고 요시코는 완룽에게 아편을 권한다.[52]
1934년, 푸이는 만주국의 황제가 된다.[52] 그러나 만주국 황제라는 칭호는 허울뿐이었고 실권은 일본인들이 쥐고 있었으며, 푸이의 어리석음에 격분한 황후는 아편 중독에 빠진다.[52]
4. 3. 만주국 황제 (1934년 ~ 1945년)
1934년, 아이신기오로 푸이는 일본 제국의 괴뢰 국가인 만주국의 황제가 된다. 그러나 푸이는 실권이 없는 허수아비 황제였다. 즉위 축하 무도회에서 황후 완용은 푸이에게 일본의 꼭두각시라는 현실을 직시하라고 말하며, 더 이상 자신을 안는 일이 없는 이유를 따진다. 푸이는 완용의 아편 중독을 이유로 방일에도 데려가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일본에서 환영받고 귀국한 푸이는 만주국 내 상황이 변했음을 알게 된다. 황제 어용인 요시오카 야스나오의 명령으로 금위군은 무장 해제되고, 국무총리대신 정효서는 아들의 암살을 계기로 사퇴한다. 후임으로 관동군의 추천을 받은 군정부 대신 장징혜가 푸이의 승인을 받으려 한다. 어전회의에서 푸이는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결정된 장의 총리 취임을 인정하지 않고, 여러 외국에서 승인받는 독립국으로서 일본뿐 아니라 여러 나라와 동등한 관계를 맺으려 하지만, 간마스 마사히코, 요시오카 등은 퇴장한다.
만찬회에서 완용은 푸이에게 임신 사실을 알리고, 상대는 만주인 남자이며 푸이를 위한 일이라고 말한다. 간마스와 요시오카는 푸이에게 장 총리 임명 승인에 서명하도록 강요한다. 푸이는 황후의 임신과 만주국 후계자 탄생을 내세우지만, 간마스는 상대 남성의 이름을 알려준다. 결국 푸이는 서명하고, 이후에도 일본에 유리한 칙령을 승인하며 꼭두각시가 된다. 완용은 출산하지만, 아이는 곧 살해되고 완용은 요양을 위해 황궁을 떠난다. 푸이는 필사적으로 쫓아가지만, 궁전 문은 닫히고 만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전으로 만주국은 멸망하고, 푸이는 다시 황제에서 물러난다. 간마스는 자결하고, 푸이는 아이신기오로 푸제의 권유로 일본 망명을 시도한다. 출발 직전, 황궁으로 돌아온 완용과 재회하지만, 아편 중독으로 변해버린 그녀는 푸이와 얼굴을 마주하려 하지 않는다. 푸이는 망명 도중 소련군에 체포된다.[67][68]
4. 4. 전범 수용소와 석방 (1945년 ~ 1967년)
1950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국공 내전이 끝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푸이는 소련에 5년간 억류되었다가 중국으로 송환되어 전범으로 푸순 감옥에 수감된다.[52] 수감 직후 자살을 시도하지만 구조된다.[52]공산당의 정치범 재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푸이는 일본 침략자와의 협력을 부인하도록 심문을 받는다.[52] 푸순 감옥 소장과의 격렬한 논쟁과 일본의 전시 잔학 행위를 보여주는 영화를 본 후, 푸이는 자기반성을 하고 1959년 석방된다.[52]
몇 년 후인 1967년, 마오쩌둥의 개인숭배와 문화대혁명의 혼란 속에서 푸이는 정원사로 일하며 프롤레타리아 생활을 한다.[52] 퇴근길에 홍위병 행렬을 보게 되고, 과거 푸순 감옥 소장이 반혁명분자로 처벌받는 모습을 목격한다.[52]
5. 역사적 배경과 논란
영국 역사학자 알렉스 본 툰젤만(Alex von Tunzelmann)은 영화 《마지막 황제》가 어린 시절 푸이의 잔혹함을 축소하고 왜곡했다고 지적했다.[10] 툰젤만과 《마지막 황제》(1987)의 저자 베어(Behr)에 따르면, 푸이는 즉위 초기에 영화에서 묘사된 것보다 훨씬 심한 잔혹 행위를 궁궐 시종과 신하들에게 저질렀다. 가벼운 범죄나 이유 없이 환관들을 자주 때렸으며, 한번은 환관에게 쇠가루가 든 케이크를 먹이려다 유모의 만류로 그만둔 일도 있었다.[10][11] 툰젤만은 영화가 전기보다 훨씬 인기가 많아 푸이에 대해 들어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황제 통치의 이러한 측면에 대해 잘못된 이해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10]
영화에는 이 외에도 여러 역사적 부정확성이 있다. 푸이는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자금성을 떠났고, 회고록에 따르면 아내들과 성관계를 갖지 않았다. 또한 푸이는 황후의 애인을 살해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고 일본군이 그를 죽이는 것을 막았다. 영화는 베이징 쿠데타를 언급하지만, 대통령이 가택 연금되었음에도 수도에서 도망쳤다고 잘못 주장한다. 푸이가 중국 조사관들에게 한 증언은 도쿄 재판에서 이루어졌다.[12][13][14]
제작자 제러미 토마스(Jeremy Thomas)는 중국 정부의 시나리오 승인 과정이 스튜디오 시스템과 작업하는 것보다 덜 어려웠다고 회상했다. 중국 정부는 각본에 메모를 하고 일부 이름을 변경하라는 참고 사항을 제시했고, 이후 승인 도장이 찍히면서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8]
영화는 푸이의 자서전 『나의 일생』을 원작으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청년 시절 이후의 푸이는 홍콩 출신의 중국계 미국인 배우 존 론이 연기했다.
1908년 서태후에 의한 푸이의 청나라 황제 책봉과 서거 장면으로 시작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전범 수용소에서의 심문 장면을 삽입하면서, 중화민국 시절의 황제 생활, 일본의 협력을 얻은 만주국 황제 즉위와 퇴위, 소련 억류, 문화대혁명 중 평범한 시민으로 사망한 1967년까지의 푸이의 일생을 중심으로 그려진다.
역사적 사실보다는 과감한 창작이 곳곳에 담겨 있으며, 청나라와 만주국을 배경으로 하지만 중국계 미국인 배우들이 주요 배역을 맡고 주요 대사가 영어로 이루어지는 등 독자적인 각색이 많다.[52]
자금성에서 세계 최초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한 것이 개봉 전부터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하루 5만 명이 방문하는 자금성을 중국 공산당 정부의 전폭적인 협조로 수 주간 빌려 촬영을 진행했다. 베르톨루치와 촬영 감독 비토리오 스트라로의 풍부한 색감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53] 특히 자금성 태화전에서의 즉위식 장면은 영화사에 남을 만한 명장면으로 꼽힌다.
1987년 제2회 도쿄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처음 공개되었고,[54] 제60회 아카데미상 작품상[55]과 제45회 골든글로브상 드라마 부문 작품상[56]을 수상했다.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같은 주제의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가 제작되었으나, 당시 중국 정부의 외국 영화 상영 규제가 엄격했기 때문에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인지도는 높지 않다.
이후 219분짜리 오리지널 완전판이 VHS, DVD, 블루레이 소프트웨어로 출시되었다. 2011년부터 2년에 걸쳐 극장 개봉판 필름을 전면 복원하여, 2013년 제66회 칸 국제영화제 클래식 부문에서 3D 버전으로 상영되었고,[57][58] 이탈리아 개봉 후 블루레이화되었다. 2015년 제18회 상하이국제영화제에서도 3D 버전이 중국에서 처음 공개되었다.[59] 2023년 1월 6일에는 일본에서 극장 개봉판 4K 복원 버전이 공개되었고,[60][61] 영국에서는 2월 13일 돌비 비전 HDR 기술을 채용한 4K 울트라 HD 블루레이가 발매되었다.[65]
- 천카이거가 자금성 근위병 대장 역으로, 푸이가 수감되었던 당시 전범 수용소 부소장(후에 소장)이었던 진위안이 푸이에게 특사를 알리는 공산당 간부 역으로 각각 카메오 출연하고 있다.
- 푸이의 즉위식에서는 만주어가 사용되었다.
- 감사역 겸 음악 프로듀서로 사카모토 류이치[75]가 참여했다. 사카모토가 베르톨루치 감독으로부터 음악 제의를 받은 것은 촬영이 끝난 지 반년이나 지난 후였다.
- 쇼와 천황이 출연할 것으로 예상하여 촬영이 진행되었고,[76] 일본에 온 푸이를 도쿄역 승강장에서 맞이하는 연미복 차림이나 푸이와 대면하는 뒷모습 장면이 스틸 사진으로 남아 있지만, 공개 버전, 디렉터스 컷 버전 모두 출연 장면은 삭제되었다.
- 일본에서의 극장 공개에 있어서, 배급사인 쇼치쿠후지는 “푸이가 중화인민공화국 수용소에서 ‘일본군이 실시한 생체 실험’, ‘일본군이 군자금으로 사용한 아편 생산 공장’, ‘일본군에 의한 난징 대학살’[77]의 뉴스 필름을 보는 장면”을 문제시하여 베르톨루치 감독에게 삭제를 요청했다. 그러나 베르톨루치가 전자 2장면만을 삭제했기 때문에, 일본 측은 “난징 대학살 장면”을 베르톨루치 감독에게 무단으로 삭제했다. 시사회를 본 영화 관계자가 베르톨루치에게 연락했고, 그 때문에 베르톨루치 감독에게 격노당했으며, 쇼치쿠후지는 베르톨루치 감독의 조건을 받아들였다.[78]
5. 1. 역사적 배경
서태후가 푸이를 황제로 지명하고 서거한 1908년부터 푸이가 시민으로 생애를 마치는 1967년까지의 기간은 중국 근현대사의 격동기였다. 신해혁명(1911년)으로 청 왕조가 붕괴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었으며, 이후 군벌 시대, 만주국 수립(1932년), 중일전쟁(1937년~1945년), 국공내전(1945년~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년)과 문화대혁명(1966년~1976년) 등 굵직한 사건들이 이어졌다.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배경으로,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푸이의 개인적인 삶을 교차하여 보여준다. 푸이는 1908년 세 살의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올랐으나, 신해혁명으로 불과 3년 만에 퇴위하게 된다. 이후 자금성 내에서만 황제의 칭호를 유지한 채 생활하다가, 1924년 군벌 풍옥상의 쿠데타로 자금성에서 쫓겨나게 된다.
일본은 만주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푸이를 만주국의 황제로 내세웠지만(1934년), 이는 허울뿐인 지위였고 실권은 일본이 장악하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면서 푸이는 소련군에 체포되어 중국으로 송환되었고, 전범 수용소에서 사상 교육을 받은 후 평범한 시민으로 살아가게 된다.
이처럼 영화는 푸이라는 인물을 통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권력의 허망함과 개인의 무력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격변하는 중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짚어내고 있다.
5. 2.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및 논란
영화 《마지막 황제》는 푸이의 자서전 『나의 일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지만,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각색된 부분이 많다.[10]- 푸이는 소련군에 포로로 잡힌 후 자살을 시도하지 않았다.
- 서태후가 푸이를 황제로 지명한 것은 1908년 10월 20일이며, 서거한 것은 11월 15일이다. 영화에서는 푸이를 지명하는 자리에서 서거한 것으로 묘사된다.
- 서태후의 서거 장면은 세트 촬영이며, 실제 서거 장소는 자금성이 아닌 중난하이의 의란전 내 복창전이다.
- 푸이가 자금성 밖으로 나가려다 지붕에서 떨어져 안경을 쓰게 되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 완용 황후가 카와시마 요시코와 동성애 관계였다는 묘사는 사실이 아니다.
- 레지널드 존스턴이 영국으로 돌아갈 때 푸이가 직접 천진항까지 배웅하지 않았다. 실제로는 존스턴이 푸이의 거주지인 "정원"을 방문하여 작별 인사를 했고, 이후에도 푸이와 존스턴은 재회했다.
- 만주국 건국 당시 푸이는 집정에 취임하고 2년 후 황제에 즉위했지만, 영화에서는 이 과정이 생략되었다.
- 실제 사가 히로는 푸이의 만주국 황제 즉위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즉위식은 1934년에 거행되었고, 푸제와 사가 히로의 결혼은 1937년이다.
- 무도회 장면을 촬영한 만주국 황궁의 동덕전은 1938년 준공으로, 푸이 즉위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 아마카스 마사히코는 한쪽 팔만 있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양팔이 모두 있었다. 이는 감독의 설정이며, 배우 사카모토 류이치는 오른팔을 등 뒤로 묶고 촬영했다.
- 아마카스 마사히코가 푸이를 감시하는 역할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요시오카 야스나오가 이 역할을 맡았다.
- 아마카스 마사히코가 카와시마 요시코와 연애 관계였다는 묘사는 사실이 아니다.
- 아마카스 마사히코는 할복 자살하는 것으로 설정되었지만, 실제로는 독극물을 복용하여 자살했다. 사카모토 류이치는 이에 거부감을 느껴 감독을 설득하여 권총 자살로 변경했다.
- 칙령에 서명할 때 푸이는 만년필을 사용하지만, 실제 황제의 서명은 먹붓을 사용했다.
- 정효서는 아들이 공산 게릴라에게 암살당해 국무총리대신직을 사임하고 승려가 되었다고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일본(관동군)을 비판하는 발언을 했기 때문에 해임에 가까운 형태로 사임했고, 사망할 때까지 자택에서 가택연금 상태에 있었다. 또한 정효서의 장남은 아버지의 사임보다 2년 전에 사망했다.
- 장징혜가 마약 거래에 관여하여 국무총리대신이 되었다는 설정은 사실이 아니다.
- 완용이 출산한 딸은 태어난 직후 주사기로 독살당했지만, 실제로는 푸이의 명령을 받은 시종이 보일러에 던져 살해했다.
- 완용은 출산 후 요양을 명목으로 황궁에서 쫓겨나지만, 실제로는 만주국 붕괴 때까지 황궁에서 생활했다.
- 푸제는 푸이의 석방 후 다음 해에 전범 형무소에서 출소하여 자유롭게 면회할 수 있었지만, 영화에서는 이 사실이 언급되지 않았다.
- 석방 후 1960년에 푸이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국회의원에 해당)을 역임한 사실은 언급되지 않고, 베이징 식물원의 정원사로 생을 마감한 것으로 묘사된다.
- 천카이거 감독이 자금성 근위병 대장 역으로, 푸이가 수감되었던 당시 전범 수용소 부소장(후에 소장)이었던 진위안이 푸이에게 특사를 알리는 공산당 간부 역으로 각각 카메오 출연하고 있다.
- 푸이의 즉위식에서는 만주어가 사용되었다.
- 쇼와 천황의 출연 장면은 촬영되었으나, 공개 버전과 디렉터스 컷 버전 모두에서 삭제되었다.
특히, 일본 배급사 쇼치쿠후지는 "일본군이 실시한 생체 실험", "일본군이 군자금으로 사용한 아편 생산 공장", "일본군에 의한 난징 대학살"의 뉴스 필름을 보는 장면을 문제 삼아 베르톨루치 감독에게 삭제를 요청했다.[77] 베르톨루치가 앞의 두 장면만 삭제하자, 일본 측은 무단으로 "난징 대학살 장면"을 삭제했다. 이를 알게 된 베르톨루치 감독은 격노했고, 결국 쇼치쿠후지는 감독의 조건을 수용했다.[78] 이는 일본의 역사 왜곡 문제와 관련된 민감한 부분으로, 한국 관객들에게도 주목할 만한 지점이다.
6. 평가 및 영향
《마지막 황제》는 푸이의 자서전 『나의 일생』을 바탕으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가 감독과 각본을 맡은 영화이다. 존 론이 푸이 역을 맡아 열연했다. 영화는 1908년 푸이가 서태후에 의해 황제로 책봉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전범 수용소에서의 심문 장면을 거쳐, 문화대혁명 시기 평범한 시민으로 생을 마감한 1967년까지 푸이의 일생을 그려낸다.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과감한 창작을 곳곳에 담았으며, 주요 대사가 영어로 이루어진 점[52] 등 독자적인 각색이 많다. 특히 자금성에서 세계 최초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하여 화제를 모았으며,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협조를 받아 촬영된 즉위식 장면은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53]
1987년 제60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등 9개 부문을 석권하고,[55] 제45회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부문 작품상을 수상하는 등[56]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푸이와 만주국이라는 친숙한 소재, 사카모토 류이치의 아카데미 음악상 수상[55] 등이 흥행에 크게 기여했다.
수상 | 부문 | 후보 | 결과 | 참고 |
---|---|---|---|---|
아카데미상 | 작품상 | 제러미 토마스 | [26]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각색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미술상 | 미술: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세트 장식: 브루노 체사리와 오스발도 데시데리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의상상 | 제임스 에이치슨 | |||
편집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공수 | |||
음향상 | 빌 로우와 아이반 샤록 | |||
미국 영화 편집자 조합상 |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align="center"| | |
미국 영화 촬영 감독 협회상 | 극장 개봉 영화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27] | |
아티오스상 | 장편영화 드라마 부문 최우수 캐스팅상 | 조앤나 멀린 | [28] |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29]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작품상 | 제러미 토마스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30]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남우조연상 | 피터 오툴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의상상 | 제임스 에이치슨 | |||
편집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분장상 | 파브리치오 스포르자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공수 | |||
음향상 | 아이반 샤록, 빌 로우, 레스 위긴스 | |||
시각효과상 | 지아네토 드 로시와 파브리치오 마르티넬리 | |||
영국 영화 촬영 감독 협회상 | 극장 장편영화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31] | |
카이에 뒤 시네마 | 최우수 영화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5위 | align="center"| |
세자르 영화제 | 외국어 영화상 | [32] | ||
포스터상 | 필립 르모인 |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최우수 영화상 | [33]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제작자상 | 제러미 토마스, 프랑코 지오발레, 조이스 허리히 | |||
남우조연상 | 피터 오툴 | |||
여우조연상 | 비비안 우 | |||
각본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의상상 | 제임스 에이치슨과 우고 페리콜리 | |||
편집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브루노 체사리, 오스발도 데시데리 | |||
미국 감독 조합상 | 장편 영화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34] | |
유럽 영화상 | 특별 심사위원상 | align="center"| | ||
골든 치악상 | 최우수 영화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align="center" rowspan="5"| | |
감독상 | ||||
각본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브루노 체사리, 오스발도 데시데리 | |||
골든 글로브상 | 드라마 부문 작품상 | [35] | ||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 존 론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각본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마크 펩로, 엔조 운가리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공수 | |||
금계백화상 | 최우수 작품 | 양궈즈/최톈 | align="center"| | |
골드네 카메라 | 골든 스크린 | align="center"| | ||
그래미상 | 최우수 영화/TV용 오리지널 악기 배경 음악상 | 마지막 황제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공수 | [36] | |
호치 영화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align="center"| | |
일본 아카데미 영화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align="center"| | ||
조셉 플라토 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align="center"| | ||
키네마 준포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align="center"| |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영화상 | 2위 | [37]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공수 | |||
나스트로 다르젠토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align="center" rowspan="5"|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 |||
기술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최우수 남성 더빙상 | 주세페 린알디 |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톱 텐 영화 | [38] |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표현의 자유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39] |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영화상 | [40] |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41] | |
닛칸 스포츠 영화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align="center"| | ||
산 조르디 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align="center"| | |
터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align="center"| | ||
미국 작가 조합상 | 최우수 각본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42] |
6. 1. 평가
영화 《마지막 황제》는 1987년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촬영상, 편집상, 음향상, 의상상, 미술상, 음악상 등 9개 부문을 모두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6] 골든 글로브상에서도 드라마 부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음악상을 수상했다.[35]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는 작품상, 의상상, 분장상을 수상했다.[30]비평가들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과 존 론, 조안 첸, 피터 오툴 등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 그리고 사카모토 류이치의 인상적인 음악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세계 최초로 자금성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통해 구현한 화려하고 웅장한 영상미는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꼽힌다.
수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아카데미상 | 작품상 | 제러미 토마스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각색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미술상 | 미술: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세트 장식: 브루노 체사리와 오스발도 데시데리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의상상 | 제임스 에이치슨 | ||
편집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그리고 공수 | ||
음향상 | 빌 로우와 아이반 샤록 | ||
미국 영화 편집자 조합상 |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미국 영화 촬영 감독 협회상 | 극장 개봉 영화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아티오스상 | 장편영화 드라마 부문 최우수 캐스팅상 | 조앤나 멀린 |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작품상 | 제러미 토마스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남우조연상 | 피터 오툴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의상상 | 제임스 에이치슨 | ||
편집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분장상 | 파브리치오 스포르자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그리고 공수 | ||
음향상 | 아이반 샤록, 빌 로우, 그리고 레스 위긴스 | ||
시각효과상 | 지아네토 드 로시와 파브리치오 마르티넬리 | ||
영국 영화 촬영 감독 협회상 | 극장 장편영화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카이에 뒤 시네마 | 최우수 영화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5위 |
세자르 영화제 | 외국어 영화상 | ||
포스터상 | 필립 르모인 |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최우수 영화상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제작자상 | 제러미 토마스, 프랑코 지오발레, 그리고 조이스 허리히 | ||
남우조연상 | 피터 오툴 | ||
여우조연상 | 비비안 우 | ||
각본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의상상 | 제임스 에이치슨과 우고 페리콜리 | ||
편집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브루노 체사리, 그리고 오스발도 데시데리 | ||
미국 감독 조합상 | 장편 영화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유럽 영화상 | 특별 심사위원상 | ||
골든 치악상 | 최우수 영화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감독상 | |||
각본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브루노 체사리, 그리고 오스발도 데시데리 | ||
골든 글로브상 | 드라마 부문 작품상 | ||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 존 론 |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각본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마크 펩로, 그리고 엔조 운가리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그리고 공수 | ||
금계백화상 | 최우수 작품 | 양궈즈/최톈 | |
골드네 카메라 | 골든 스크린 | ||
그래미상 | 최우수 영화/TV용 오리지널 악기 배경 음악상 | 마지막 황제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그리고 공수 | |
호치 영화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일본 아카데미 영화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
조셉 플라토 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
키네마 준포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영화상 | 2위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음악상 | 류이치 사카모토, 데이비드 번, 그리고 공수 | ||
나스트로 다르젠토 | 감독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미술상 | 페르디난도 스카르피오티 | ||
기술상 | 가브리엘라 크리스티아니 | ||
최우수 남성 더빙상 | 주세페 린알디 |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톱 텐 영화 | 2위 |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표현의 자유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영화상 | 3위 |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촬영상 | 비토리오 스토라로 | |
닛칸 스포츠 영화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
산 조르디 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터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4위 | |
미국 작가 조합상 | 최우수 각본상 | 마크 펩로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푸이와 만주국이라는 한국인들에게 매우 친숙한 소재를 다룬 내용이었던 점과, 사카모토 류이치가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점[55] 등이 흥행에 크게 기여했다.
6. 2. 영향
영화 《마지막 황제》는 1987년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등 9개 부문을 수상하며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26] 자금성에서 촬영한 최초의 영화로, 중국 정부의 협조를 받아 촬영한 장엄하고 화려한 즉위식 장면은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이러한 영화의 성공은 중국 역사와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푸이라는 인물에 대한 재조명을 이끌어냈으며, 그의 자서전 《황제에서 시민으로》도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한 영화 음악은 음악상을 수상하는 등[36]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현재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7. 한국어 더빙
8. 기타
영화의 극장 개봉 버전은 163분이었으며, 텔레비전 방영을 위해 218분 분량의 확장판이 제작되기도 했다.[43] 그러나 이 확장판은 텔레비전 미니시리즈로 제작된 것이지, 진정한 "감독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촬영 감독 비토리오 스토라로와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는 밝혔다.[43]
이 영화는 한동안 촬영 당시의 2.35:1 화면비로 DVD 또는 블루레이로 출시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촬영 감독 비토리오 스토라로가 자신의 유니비지움 표준에 맞춰 영화를 수정한 2:1 버전을 고집했기 때문이다.
2013년 칸 영화제에서 3D 버전으로 상영되었으며,[57][58] 2023년에는 4K 복원 버전이 공개되었다.[44] 이 4K 복원본은 원래의 2.35:1 화면비로 복원되어, 여러 국가에서 블루레이와 UHD로 출시되었다.[44]
참조
[1]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5)
https://www.bbfc.co.[...]
1987-11-16
[2]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987)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24-05-08
[3]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https://boxofficemoj[...]
2016-09-29
[4]
간행물
Variety film review
Variety
1987-10-07
[5]
웹사이트
Love And Respect, Hollywood-Style
https://archive.toda[...]
1988-04-00
[6]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 Variety Review
https://www.variety.[...]
2009-05-11
[7]
웹사이트
Producers team on 'Assassins' Redo
https://variety.com/[...]
2009-05-11
[8]
웹사이트
Jeremy Thomas - And I'm still a fan
https://web.archive.[...]
Berlinale Talent Campus
2006-04-11
[9]
웹사이트
Bernardo Bertolucci Dissects Ten of His Classic Scenes
https://www.vulture.[...]
2018-09-22
[10]
뉴스
The Last Emperor: Life is stranger, and nastier, than fiction
https://www.theguard[...]
2009-04-16
[11]
서적
The Last Emperor
Futura
1987
[12]
뉴스
Is 'The Last Emperor' Truth or Propaganda?
https://www.nytimes.[...]
1988-05-08
[13]
웹사이트
A HISTORIAN CRITIQUES 'EMPEROR'
https://www.chicagot[...]
1988-01-07
[14]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life is stranger, and nastier, than fiction
http://www.theguardi[...]
2009-04-16
[15]
웹사이트
FindLaw's California Court of Appeal case and opinions.
https://caselaw.find[...]
2018-01-23
[16]
간행물
The Last Emperor (advertisement)
1987-11-14
[17]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987) - Weekend Box Office Results
https://www.boxoffic[...]
[18]
웹사이트
Cannes Classics 2013 line-up unveiled
http://www.screendai[...]
2013-04-30
[19]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4-05-03
[20]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6-03-28
[21]
웹사이트
Home
https://www.cinemasc[...]
2024-05-04
[22]
뉴스
The Last Emperor Movie Review (1987)
https://www.rogerebe[...]
1987-12-09
[23]
뉴스
The China Syndrome
https://www.chicagor[...]
1987-12-17
[24]
서적
The Rape of Nanking (book)
http://www.irischang[...]
Basic Books
1997
[25]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987)
https://www.criterio[...]
[26]
웹사이트
The 60th Academy Awards (1988)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7]
웹사이트
The ASC Awards for Outstanding Achievement in Cinematography
https://web.archive.[...]
American Society of Cinematographers
[28]
웹사이트
1988 Artios Awards
http://www.castingso[...]
Casting Society of America
[29]
웹사이트
BSFC Winners: 1980s
https://bostonfilmcr[...]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2018-07-27
[30]
웹사이트
BAFTA Awards: Film in 1989
http://awards.bafta.[...]
British Academy Film Awards
[31]
웹사이트
Best Cinematography in Feature Film
https://bscine.com/m[...]
British Society of Cinematographers
[32]
웹사이트
The 1988 Caesars Ceremony
https://www.academie[...]
César Awards
[33]
웹사이트
Cronologia Dei Premi David Di Donatello
http://www.daviddido[...]
David di Donatello
[34]
웹사이트
40th DGA Awards
https://www.dga.org/[...]
Directors Guild of America Awards
[35]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https://www.goldengl[...]
Golden Globe Awards
[36]
웹사이트
31st Annual GRAMMY Awards
https://www.grammy.c[...]
Grammy Awards
2011-05-01
[37]
웹사이트
The 13th Annual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s
http://www.lafca.net[...]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2021-07-05
[38]
웹사이트
1987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National Board of Review
2021-07-05
[39]
웹사이트
1998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National Board of Review
2021-07-05
[40]
웹사이트
Past Awards
https://nationalsoci[...]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2009-12-19
[41]
웹사이트
1987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
https://www.nyfcc.co[...]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2021-07-05
[42]
웹사이트
Awards Winners
http://www.wga.org/a[...]
Writers Guild of America Awards
2010-06-06
[43]
웹사이트
Final Cut
https://criterion.co[...]
The Criterion Collection
2008-01-03
[44]
웹사이트
Review of The Last Emperor 2023 UK Blu-ray
https://www.blu-ray.[...]
[45]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Company credits / Distributors)
https://www.imdb.com[...]
2023-05-19
[46]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Release info / Release Date)
https://www.imdb.com[...]
2023-05-19
[47]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987)
https://www2017.iffa[...]
2020-07-24
[48]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987)
https://www.boxoffic[...]
2011-04-03
[49]
서적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2012
[50]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http://lumiere.obs.c[...]
欧州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オブザーバトリー
2020-04-02
[51]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1987)
https://www2017.iffa[...]
2020-07-24
[52]
뉴스
中国の歴史超大作『ラストエンペラー』を生み出したイタリア人、ベルトルッチとストラーロ
https://cinemore.jp/[...]
太陽企画
2018-01-09
[53]
뉴스
中国の歴史超大作『ラストエンペラー』を生み出したイタリア人、ベルトルッチとストラーロ - (p.3)困難を極めた紫禁城ロケを撮りきった巨匠ヴィットリオ・ストラーロ
https://cinemore.jp/[...]
太陽企画
2018-01-09
[54]
웹사이트
OVERVIEW - 2nd 1987 FESTIVAL
http://history.tiff-[...]
ユニジャパン
2023-05-19
[55]
문서
외부링크에 영상
[56]
웹사이트
The Last Emperor - Awards(Academy Awards, USA / Golden Globes, USA)
https://www.imdb.com[...]
2023-05-20
[57]
웹사이트
Rétrospective - 2013
https://www.festival[...]
2023-05-20
[58]
웹사이트
Prime Focus Brings The Last Emperor into 3D
https://3droundabout[...]
2013-06-26
[59]
뉴스
上海国際映画祭、3D版「ラストエンペラー」が中国初登場へ
http://j.people.com.[...]
人民日報社
2015-05-07
[60]
웹사이트
12ヶ⽉連続 名作上映プロジェクト「12ヶ⽉のシネマリレー」
https://12cinemarela[...]
2024
[61]
웹사이트
『ラストエンペラー』ほか名作12作品を上映!「12ヶ月のシネマリレー」を8月より開催!
https://www.tfc.co.j[...]
東北新社
2022-06-23
[62]
웹사이트
坂本龍一さん関連作を上映する『Ryuichi Sakamoto Premium Collection』 『ラストエンペラー』がラインナップに追加
https://spice.eplus.[...]
イープラス
2023-04-21
[63]
트윗
【上映のお知らせ】 坂本龍一さんが音楽を担当された『ラストエンペラー 劇場公開版 4Kレストア』『シェルタリング・スカイ』の上映が全国の映画館で決定しました。
2023-04-13
[64]
웹사이트
『ラストエンペラー』×『戦場のメリークリスマス』連続上映決定
https://www.tumblr.c[...]
2024
[65]
웹사이트
アカデミー賞9冠の名作が4K化『ラストエンペラー』【海外盤Blu-ray発売情報】 - UK盤『ラストエンペラー』 2023年2月13日リリース
https://online.stere[...]
ステレオサウンド
2022-11-28
[66]
문서
溥儀の身辺に関する歴史的資料として評価が高い。映画公開当時、日本では1935年版を最後に絶版状態だった。
[67]
문서
無残に毟られ食べられる蘭は満洲を象徴する花であり、美貌の妃が流す涙に満洲国の運命が暗示される。
[68]
문서
史実では溥傑と浩の結婚は1937年である。
[69]
문서
登場シーンは公開時から全てカットされた。
[70]
문서
薄儀が収容所でニュース映画を視聴する場面で、日本軍の生物兵器使用に関する説明とアヘン生産工場を説明する部分のみをカットしている。
[71]
뉴스
『ラストエンペラー[オリジナル全長版]』1989年放送の「日曜洋画劇場」吹替版<ソフト未収録>34年ぶり2度目の超貴重な放送&配信が決定!
https://prtimes.jp/m[...]
PR TIMES
2023-01-19
[72]
웹사이트
ラストエンペラー 特別版 映画(ビデオ) KING RECORDS OFFICIAL SITE
https://www.kingreco[...]
[73]
웹사이트
株式会社青二プロダクションによる公式プロフィール
https://www.aoni.co.[...]
[74]
문서
외부 링크에 비디오
[75]
문서
[76]
웹사이트
「ラストエンペラー」から消された“幻のシーン”とは
https://www.buzzfeed[...]
BuzzFeed Japan
2018-11-27
[77]
문서
[78]
간행물
시네프론트 136호, p.28 (아사히 신문, 1988년 1월 24일자 기사 인용)
[79]
문서
외부 링크에 비디오
[80]
웹사이트
고궁
https://www.tobuws.c[...]
2013
[81]
트윗
#坂本龍一 氏に関する大変貴重なものが、当社のアーカイブから発見されました。坂本龍一氏が編集した #写真集『#ラストエンペラー』です。
2023-04-06
[82]
뉴스
동아일보
1988-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