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순환로 (광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순환로 (광주)는 광주광역시의 순환 고속도로로, 1992년 10월 1일 착공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개통되었다. 1구간은 문흥 분기점에서 지원 나들목, 2구간은 지원 나들목에서 효덕 나들목, 3구간은 효덕 나들목에서 서창 나들목, 4구간은 산월 나들목에서 서창 나들목까지이다. 2001년부터 통행료가 징수되었으며, 현재 소태, 송암, 유덕 요금소가 운영되고 있다. 2012년 4월 1일 기준으로 통행료는 구간별로 상이하다. 일부 구간의 정체와 민자 구간 운영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향후 개선 과제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남구의 교통 - 효천역
효천역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경전선 철도역으로, 1930년 보통역으로 개시하여 효천면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경전선 이설 후 현재 위치로 이전, 화물 취급 중지 후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한다. - 광주 남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봉담과천로
봉담과천로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과 과천시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2014년 고시되었으며 왕복 4~8차로로 구성되어 나들목과 분기점을 통해 주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인다. - 광주 동구의 교통 -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9호선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충청남도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200km가 넘는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지나며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는 주요 교통로이지만, 일부 구간은 개선이 필요하다. - 광주 동구의 교통 - 금남로
금남로는 광주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외치며 저항했던 역사적인 공간이자 민주화운동의 상징적인 장소로서, 민주화 이후에는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는 교육 및 역사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며 광주 시민들의 삶과 함께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2순환로 (광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도시고속화도로 |
노선 이름 | 2순환로 |
다른 이름 | 제2순환로 |
총 연장 | 27.81km |
개통 년도 | 1995년 1월 |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
노선 정보 | |
노선 번호 | 77 |
도로 종류 | 광주 도시고속도로 |
도로 이름 | 이순환로 (I Sunhwanro) |
다른 이름 | 광주 2순환로 |
총 길이 | 27.66km |
개통 | 1995년 |
시작점 | 광주광역시 동구 (문흥 분기점), [[File:Korea Expressway No.25.svg|20px]] 호남고속도로 |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 분기점), [[File:Korea Expressway No.25.svg|20px]] 호남고속도로 |
주요 경유지 | |
경유지 | 광주광역시 북구 광주광역시 동구 광주광역시 남구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
연결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
분기점 | [[File:Korea National Route No.29.svg|20px]] 국도 29호선 [[File:Korea National Route No.22.svg|20px]] 국도 22호선 [[File:Korea National Route No.1.svg|20px]] 국도 1호선 강진광주고속도로(2021) [[File:Korea Expressway No.12.svg|20px]] 무안광주고속도로 |
2. 역사
- 1992년 10월 1일 : 1구간 첫 착공[2]
- 1995년 1월 : 1구간 동광주 나들목 ~ 각화 나들목 690m 구간 개통[3]
- 1995년 1월 15일 : 2구간 지원 나들목(당시 명칭 소태 나들목) ~ 효덕 나들목 개통[4]
- 1998년 5월 1일 : 1구간 각화 나들목 ~ 두암 나들목 개통[5]
- 2000년 11월 29일 : 1구간 두암 나들목 ~ 지원 나들목(소태 나들목) 시험 개통[6]
- 2001년 1월 1일 : 1구간 두암 나들목 ~ 지원 나들목 정식 개통, 통행료 징수 개시
- 2002년 3월 5일 : 3구간 풍암 나들목 ~ 서창 나들목 개통[7]
- 2004년 5월 26일 : 2구간 용산 나들목 개통[8]
- 2004년 10월 15일 : 3구간 효덕 나들목 ~ 풍암 나들목 개통[9]
- 2004년 12월 10일 : 1구간 노선 변경 및 착공 (동광주 나들목 ~ 각화 나들목 → 문흥 분기점 ~ 각화 나들목)[10]
- 2007년 5월 15일 : 4구간 산월 나들목 ~ 서창 나들목 개통[11]
- 2007년 9월 19일 : 1구간 변경 노선 문흥 나들목 ~ 각화 나들목 개통[12]
- 2008년 2월 26일 : 2구간 진월 나들목 개통[13]
- 2009년 7월 27일 : 2개 이상 자치구에 걸쳐있는 도로로 '''2순환로'''를 고시[14]
- 2009년 12월 17일 : 1구간 변경 노선 문흥 분기점 ~ 문흥 나들목 개통[15]
- 2016년 7월 1일 : 송암 요금소, 유덕 요금소 하이패스 개통
- 2016년 9월 1일 : 소태 요금소, 학운 나들목 하이패스 개통
- 2025년 : 지산 교차로 개통예정, 오른쪽도로 2차선 이용
2. 1. 건설 배경
1992년 10월 1일에 광주 제2순환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1995년 1월에 동광주 나들목 ~ 각화 구간과 지원 나들목 ~ 효덕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8년 5월 1일에는 각화 나들목 ~ 두암 나들목 구간이, 2001년 1월 1일에는 두암 나들목 ~ 지원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2002년 3월 5일에는 풍암 나들목 ~ 서창 구간이, 2004년 10월 15일에는 풍암 나들목 ~ 효덕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7년 5월 15일에는 산월 분기점 ~ 서창 나들목 구간이, 2009년 9월 19일에는 문흥 분기점 ~ 각화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 2. 건설 과정
1992년 10월 1일 광주 제2순환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1995년 1월 동광주 ~ 각화 구간과 지원 ~ 효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8년 5월 1일 각화 ~ 두암 구간이, 2001년 1월 1일 두암 ~ 지원 구간이 개통되었다.2002년 3월 5일 풍암 ~ 서창 구간이, 2004년 10월 15일 풍암 ~ 효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7년 5월 15일 산월 분기점 ~ 서창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9년 9월 19일 문흥 분기점 ~ 각화 구간이 개통되었다.
2. 3. 연표
- 1992년 10월 1일 : 1구간 첫 착공[2]
- 1995년 1월 : 1구간 동광주 나들목 ~ 각화 나들목 690m 구간 개통[3]
- 1995년 1월 15일 : 2구간 지원 나들목 (당시 명칭 소태 나들목) ~ 효덕 나들목 개통[4]
- 1998년 5월 1일 : 1구간 각화 나들목 ~ 두암 나들목 개통[5]
- 2000년 11월 29일 : 1구간 두암 나들목 ~ 지원 나들목 (소태 나들목) 시험 개통[6]
- 2001년 1월 1일 : 1구간 두암 나들목 ~ 지원 나들목 정식 개통, 통행료 징수 개시
- 2002년 3월 5일 : 3구간 풍암 나들목 ~ 서창 나들목 개통[7]
- 2004년 5월 26일 : 2구간 용산 나들목 개통[8]
- 2004년 10월 15일 : 3구간 효덕 나들목 ~ 풍암 나들목 개통[9]
- 2004년 12월 10일 : 1구간 노선 변경 및 착공 (동광주 나들목 ~ 각화 나들목 → 문흥 분기점 ~ 각화 나들목)[10]
- 2007년 5월 15일 : 4구간 산월 나들목 ~ 서창 나들목 개통[11]
- 2007년 9월 19일 : 1구간 변경 노선 문흥 나들목 ~ 각화 나들목 개통[12]
- 2008년 2월 26일 : 2구간 진월 나들목 개통[13]
- 2009년 7월 27일 : 2개 이상 자치구에 걸쳐있는 도로로 '''2순환로'''를 고시[14]
- 2009년 12월 17일 : 1구간 변경 노선 문흥 분기점 ~ 문흥 나들목 개통[15]
- 2016년 7월 1일 : 송암 요금소, 유덕 요금소 하이패스 개통
- 2016년 9월 1일 : 소태 요금소, 학운 나들목 하이패스 개통
- 2025년 : 지산 교차로 개통예정, 오른쪽도로 2차선 이용
3. 구간
광주광역시의 2순환로는 다음과 같은 구간으로 구성된다.
; 1구간 (문흥 분기점 ~ 지원 나들목)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만나는 문흥 분기점에서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과 교차하는 지원 나들목까지의 구간이다. 이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북구에는 문흥 분기점 외에 도동로와 연결되는 문흥 나들목(문흥 방면 진출입만 가능), 각화대로 및 군왕로와 연결되는 각화 나들목(산월 방면 진출 불가, 문흥 방면 진입 불가), 갈마로 및 진성길과 연결되는 두암 나들목이 있다.
동구에는 의재로와 연결되는 학운 나들목(각 램프에 요금소 설치),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과 연결되는 지원 나들목(구 소태 나들목)이 있다. 이 구간에는 산수터널(산월 방면 연장 565m, 문흥 방면 연장 635.5m), 지산터널(연장 730m), 지원터널(산월 방면 연장 183m, 문흥 방면 연장 192m), 소태터널(산월 방면 연장 374m, 문흥 방면 연장 407m)이 있다. 또한 소태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광주순환도로투자에서 운영한다.
; 2구간 (지원 나들목 ~ 효덕 나들목)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이 교차하는 지원 나들목에서 국도 제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서문대로)이 교차하는 효덕 나들목까지의 구간이다.
동구에는 용대로와 연결되는 용산 나들목이 있고, 남구에는 효우로와 연결되는 진월 나들목(산월 방면 진입 불가, 문흥 방면 진출 불가)과 효덕 나들목이 있다.
; 3구간 (효덕 나들목 ~ 서창 나들목)
국도 제1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이 교차하는 효덕 나들목에서 국도 제22호선과 교차하는 서창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구간 내 주요 시설물로는 금당산터널, 송암터널, 운리교, 풍암 나들목, 서광주역 나들목, 벽진고가교 등이 있다. 특히, 벽진 나들목은 미개통 상태로 강진광주고속도로와 연결될 예정이다. 송암 요금소는 광주순환에서 운영한다.
; 4구간 (산월 나들목 ~ 서창 나들목)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북문대로가 교차하는 산월 나들목에서, 국도 제22호선 상무대로가 교차하는 서창 나들목까지의 구간이다.
광산구에는 하남대로와 연결되는 신가 나들목, 장신로와 연결되는 신창지하차도 나들목이 있다. 서구에는 무진대로와 연결되는 유덕 나들목이 있으며, 유덕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다.
3. 1. 1구간 (문흥 분기점 ~ 지원 나들목)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만나는 문흥 분기점에서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과 교차하는 지원 나들목까지의 구간이다. 이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북구에는 문흥 분기점 외에 도동로와 연결되는 문흥 나들목(문흥 방면 진출입만 가능), 각화대로 및 군왕로와 연결되는 각화 나들목(산월 방면 진출 불가, 문흥 방면 진입 불가), 갈마로 및 진성길과 연결되는 두암 나들목이 있다.
동구에는 의재로와 연결되는 학운 나들목(각 램프에 요금소 설치),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과 연결되는 지원 나들목(구 소태 나들목)이 있다. 이 구간에는 산수터널(산월 방면 연장 565m, 문흥 방면 연장 635.5m), 지산터널(연장 730m), 지원터널(산월 방면 연장 183m, 문흥 방면 연장 192m), 소태터널(산월 방면 연장 374m, 문흥 방면 연장 407m)이 있다. 또한 소태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광주순환도로투자에서 운영한다.
3. 2. 2구간 (지원 나들목 ~ 효덕 나들목)
광주광역시 동구 지원동에서 남구 효덕동을 잇는 구간은 다음과 같은 시설물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전용도로 구간''': (■)
종류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TN | 지원터널 | 광주광역시 동구 | 산월 방면 연장 183m 문흥 방면 연장 192m | |
BR | 지원교 | |||
TN | 소태터널 | 산월 방면 연장 374m 문흥 방면 연장 407m | ||
BR | 소태교 | |||
IC | 지원 |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 | 구 소태 나들목 | |
IC | 용산 | 용대로 | ||
IC | 진월 | 효우로 | 광주광역시 남구 | 산월 방면 진입 불가 문흥 방면 진출 불가 |
IC | 효덕 | 국도 제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서문대로) 효덕로 |
3. 3. 3구간 (효덕 나들목 ~ 서창 나들목)
2순환로의 3구간은 효덕 나들목에서 서창 나들목까지이다. 국도 제1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이 교차하는 효덕 나들목에서 국도 제22호선과 교차하는 서창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구간 내 주요 시설물로는 금당산터널, 송암터널, 운리교, 풍암지구 나들목, 서광주역 나들목, 벽진고가교 등이 있다. 특히, 벽진 나들목은 미개통 상태로 강진광주고속도로와 연결될 예정이다. 송암 요금소는 광주순환에서 운영한다.3. 4. 4구간 (산월 나들목 ~ 서창 나들목)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 분기점에서 광산구 산월 나들목까지를 4구간으로 칭한다. 문흥 분기점에서는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접속되며, 문흥 나들목은 도동로와 연결되지만 문흥 방면 진출입만 가능하다. 이후 각화터널(연장 120m)과 각화1교, 문화대교를 지나 각화 나들목에 이르면 각화대로 및 군왕로와 연결된다. 단, 산월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고 문흥 방면 진입은 불가능하다. 두암교를 지나 두암 나들목(장원교)에서는 갈마로 및 진성길과 접속한다.동구 구간에서는 산수교, 산수터널(산월 방면 565m, 문흥 방면 635.5m), 지산교, 지산터널(730m)을 거쳐 학운 나들목(학운교)에 도달한다. 학운 나들목은 의재로와 연결되며, 각 램프에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다. 소태 요금소는 광주순환도로투자에서 운영한다. 지원터널(산월 방면 183m, 문흥 방면 192m), 지원교, 소태터널(산월 방면 374m, 문흥 방면 407m), 소태교를 지나면 지원 나들목이 나타나며,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와 연결된다. 이곳은 과거 소태 나들목으로 불렸다. 용산 나들목은 용대로, 진월 나들목은 효우로와 연결되지만, 진월 나들목은 산월 방면 진입과 문흥 방면 진출이 불가능하다.
남구 구간을 지나 서구에 들어서면 효덕 나들목이 국도 제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서문대로, 효덕로와 연결된다. 금당산터널(산월 방면 651m, 문흥 방면 673m)을 지나면 송암 요금소가 나타나며, 광주순환에서 운영한다. 송암터널(산월 방면 450m, 문흥 방면 362m)과 운리교를 지나 풍암 나들목(풍암교)에서는 송암로, 풍서좌로, 회재로와 접속한다. 서광주역 나들목은 풍서우로 및 풍서좌로와 연결된다. 벽진 나들목은 강진광주고속도로와 연결될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미개통 상태이다. 벽진고가교를 지나 서창 나들목(서창지하차도)에 이르면 국도 제22호선, 상무대로와 연결된다.
상무대교를 건너 유덕동에 들어서면 유덕 나들목이 무진대로와 연결되며, 산월 방면 진출 램프와 문흥 방면 진입 램프에 유덕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다. 유덕 요금소는 광주제2순환도로주식회사에서 운영한다. 덕흥대교를 지나 광산구로 진입하면 신가 나들목이 하남대로와 연결된다. 신가대교, 신가지하차도를 지나 신창지하차도 나들목은 장신로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산월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북문대로, 첨단월봉로와 접속하면서 4구간이 종료된다.
4. 주요 시설물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29호선 (남문로)
지방도 제55호선 (남문로)
지방도 제60호선 (서문대로)
풍서좌로
(무안광주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