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1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2000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천수이볜이 당선된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선거로, 민주진보당이 제1당으로 부상하고 중국 국민당은 과반수를 잃었다. 이 선거는 지역구, 전국구, 재외국민, 원주민 선거구로 구성되었으며,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와 중선거구제를 통해 입법위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민주진보당은 87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고, 중국 국민당은 68석으로 의석이 감소했다. 친민당과 대만단결연맹이 약진했으며, 신당은 군소 정당으로 전락했다. 국민당의 의석 감소는 친민당과 대만단결연맹으로의 분열, 그리고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입법위원 선거 - 2004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2004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범람연맹이 과반수를 유지하고 범록연맹이 그 뒤를 이었으며 헌법 개정, 총통 탄핵 시도, 국영 기업 명칭 변경 등이 쟁점이 되었고 투표율은 59%를 기록한 선거이다. - 중화민국의 입법위원 선거 - 200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200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임기 만료에 따라 실시되어 중국 국민당이 압승을 거두었으며,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로 치러진 첫 선거로 입법원 의원 정수가 113석으로 감소하였다. - 2001년 12월 - 제52회 NHK 홍백가합전
21세기 첫 홍백가합전인 제52회 NHK 홍백가합전은 '21세기 꿈・새로움'을 테마로 아나운서 사회, 더 드리프터즈 출연, Re:Japan 결성, 코미디 요소 강화 등의 특징을 보였다. - 2001년 12월 - 200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화민국에서 개최되어 14개국이 참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하고 대한민국이 4위를 기록했다.
2001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타이완 |
선거 유형 | 입법부 선거 |
이전 선거 | 1998년 타이완 입법부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98년 |
다음 선거 | 2004년 타이완 입법부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04년 |
투표율 | 66.16% |
선출 의석 수 | 입법원 전체 225석 |
과반 의석 수 | 113석 |
선거 날짜 | 2001년 12월 1일 |
선거 결과 - 민주진보당 | |
![]() | |
지도자 | 셰창팅 |
소속 정당 | 민주진보당 |
연합 | 범록 연맹 |
지도자 임기 시작 | 2000년 4월 20일 |
이전 선거 결과 | 29.56%, 70석 |
획득 의석 수 | 87 |
의석 변동 | 17 |
득표수 | 3,447,740 |
득표율 | 33.38% |
득표율 변동 | 3.82%p |
선거 결과 - 국민당 | |
![]() | |
지도자 | 롄잔 |
소속 정당 | 국민당 |
연합 | 범람 연맹 |
지도자 임기 시작 | 2000년 3월 20일 |
이전 선거 결과 | 46.43%, 123석 |
획득 의석 수 | 68석 |
의석 변동 | 55 |
득표수 | 2,949,371 |
득표율 | 28.56% |
득표율 변동 | 17.87%p |
선거 결과 - 친민당 | |
![]() | |
지도자 | 쑹추위 |
소속 정당 | 친민당 |
연합 | 범람 연맹 |
지도자 임기 시작 | 2000년 3월 31일 |
이전 선거 결과 | - |
획득 의석 수 | 46석 |
의석 변동 | 신설 |
득표수 | 1,917,836 |
득표율 | 18.57% |
득표율 변동 | - |
선거 결과 - 대만단결연맹 | |
![]() | |
지도자 | 황주원 |
소속 정당 | 대만단결연맹 |
연합 | 범록 연맹 |
지도자 임기 시작 | 2001년 8월 12일 |
이전 선거 결과 | - |
획득 의석 수 | 13석 |
의석 변동 | 신설 |
득표수 | 801,560 |
득표율 | 7.76% |
득표율 변동 | - |
선거 결과 - 신당 | |
지도자 | 시에치다 |
소속 정당 | 신당 |
이전 선거 결과 | 11석 |
획득 의석 수 | 1석 |
의석 변동 | 감소 10석 |
득표수 | 269,620 |
득표율 | 2.65% |
득표율 변동 | 감소 4.41%p |
선거 결과 - 대만오당 | |
지도자 | 웨이치주 |
소속 정당 | 대만오당 |
이전 선거 결과 | - |
획득 의석 수 | 1석 |
의석 변동 | 증가 1석 |
득표수 | 3,723 |
득표율 | 0.04% |
득표율 변동 | - |
지도 | |
![]() | |
![]() | |
선거 후 | |
입법원장 | 왕진핑 |
소속 정당 | 국민당 |
2. 배경
2000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민주진보당(민진당) 소속 천수이볜 후보가 승리하면서 중화민국 역사상 최초의 정권교체가 이루어졌다. 이는 중국 국민당(국민당)의 오랜 집권 시대를 마감하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선거는 천수이볜 총통 취임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전국 단위 선거였다.
입법원 위원의 임기는 3년이다.
선거 결과, 민주진보당은 지난 총통 선거의 기세를 이어 득표율을 크게 높이며 입법원 내 최대 정당으로 부상했다. 반면, 중국 국민당은 의석수가 크게 줄어들며 처음으로 과반수를 잃었다.[1] 또한, 국민당에서 분열되어 나온 친민당과 대만단결연맹이 선거에 참여하면서 다당제 경향이 더욱 뚜렷해졌다.
그러나 중국 국민당, 친민당, 신당으로 구성된 범람 연합은 중국 통일을 지향하는 보수 야당 연합으로서, 민주진보당과 대만단결연맹이 형성한 범록 연합에 맞서 근소한 의석수 우위를 확보했다. 이로 인해 천수이볜 총통이 추진하고자 했던 주요 정책들은 이후 3년간 입법원의 반대에 부딪혀 좌초되거나 교착 상태에 빠지는 등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1]
3. 선거 제도
총 의석수는 225석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선거 제도는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지역구는 대선거구제 방식으로, 원주민 선거구는 중선거구제 방식으로 선출한다.
유권자는 20세 이상의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이며, 1인 1표를 행사하여 선거구 후보에게 기호식으로 투표한다. 2001년 선거 당시 유권자 수는 다음과 같다.
4. 선거 결과
2001년 입법위원 선거 결과,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이 87석을 획득하며 사상 처음으로 입법원 제1당으로 부상했다. 반면, 오랜 기간 제1당이었던 중국 국민당(국민당)은 68석으로 의석수가 크게 줄어 과반수를 상실하고 제2당으로 밀려나는 중대한 정치적 변화를 맞았다.
이러한 결과는 2000년 총통 선거 이후 국민당에서 분열된 쑹추위계의 친민당(46석)과 리덩후이 전 총통 지지 세력이 결성한 대만 단결 연맹(대련, 13석)의 등장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보수 및 본토 세력의 표가 분산된 것이다. 신당은 1석 확보에 그쳤고, 무소속은 9석을 차지했다.
선거 결과, 민진당과 대련으로 구성된 범록색 연합은 총 100석을 확보하며 영향력을 크게 넓혔다. 국민당, 친민당, 신당의 범람색 연합은 총 115석으로 과반은 유지했으나 이전보다 세력이 약화되었다. 또한,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는 범람색 연합의 표 분산을 심화시켜 일부 지역에서 의석 손실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총 투표율은 66.16%를 기록했다.
4. 1. 정당별 의석 분포
민주진보당(민진당)은 87석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제1당으로 부상했다. 반면, 기존의 제1당이었던 중국 국민당(국민당)은 46석을 잃어 총 68석에 그치며 과반수를 상실하고 제2당으로 밀려났다. 2000년 총통 선거 이후 국민당에서 분열되어 나온 친민당은 46석, 리덩후이 전 총통 지지자들이 결성한 대만 단결 연맹(대련)은 13석을 확보하며 약진했다. 신당은 진먼 지역구 1석을 얻는 데 그쳐 군소정당으로 전락했으며, 대만 제일당이 1석, 무소속이 9석을 차지했다.선거 결과, 범람색 연합(국민당, 친민당, 신당)은 총 115석으로 과반수를 유지했으나 의석수가 크게 줄었고, 범록색 연합(민진당, 대만단결연맹)은 총 100석을 확보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국민당의 의석 감소는 쑹추위 지지자들이 창당한 친민당과 리덩후이 지지자들이 창당한 대만단결연맹으로의 표 분산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쑹추위는 2000년 총통 선거 출마 선언 후 국민당에서 제명되었고, 리덩후이 역시 대만단결연맹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맡으면서 국민당에서 제명되었다. 이 두 신생 정당은 각각 국민당보다 더 보수적인 입장(친민당)과 급진적인 독립 성향(대만단결연맹)을 나타냈다. 리덩후이 제명 이후, 국민당과 친민당은 관계를 개선하고 선거에서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민진당 역시 대만단결연맹과 협력하여 각각 범람색 연합과 범록색 연합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 하에서 범람색 연합의 후보 단일화 및 표 배분 전략 실패도 국민당 패배의 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예를 들어 화롄 현에서는 국민당 후보들이 얻은 총 득표수가 가장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표가 분산되어 민진당과 친민당 후보에게 각각 1석씩 내주었다. 이는 이후 2004년 선거에서 범람색 연합이 보다 정교한 표 배분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정당 | 선거구 (지역구+원주민) | 비례대표 (전국구) | 재외국민 | 합계 의석 | 득표수 (지역구+원주민) | ||
---|---|---|---|---|---|---|---|
지역구 | 평지 원주민 | 산지 원주민 | |||||
민주진보당 | 69 | 0 | 0 | 15 | 3 | 87 | 3,447,740 |
중국 국민당 | 49 | 3 | 1 | 13 | 2 | 68 | 2,949,371 |
친민당 | 33 | 1 | 1 | 9 | 2 | 46 | 1,917,836 |
대만 단결 연맹 | 8 | 0 | 0 | 4 | 1 | 13 | 801,560 |
신당 | 1 | 0 | 0 | 0 | 0 | 1 | 269,620 |
대만 제일당 | 0 | 0 | 1 | 0 | 0 | 1 | 12,917 |
무소속 및 기타 | 8 | 0 | 1 | 0 | 0 | 9 | 899,254 |
합계 | 168 | 4 | 4 | 41 | 8 | 225 | 10,298,298 |
- '''총 투표율''': 66.16%
- * 여성 당선자: 50명 (선거구 37명, 평지 원주민 1명, 산지 원주민 1명, 전국구 8명, 해외 화교 3명)
4. 2. 지역별 의석 분포
아래는 2001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의 정당별 및 지역별 의석 분포 결과이다.정당 | 지역구·원주민·재외국민 | 비례대표 | 합계 | |
---|---|---|---|---|
민주진보당 | 72 | 15 | 87 | |
중국국민당 | 50 | 13 | 68 | |
친민당 | 37 | 9 | 46 | |
대만단결연맹 | 9 | 4 | 13 | |
신당 | 1 | - | 1 | |
대만우당 | 1 | - | 1 | |
무소속 | 9 | ― | 9 | |
합계 | 184 | 41 | 225 |
지역 | 민주진보당 | 중국국민당 | 친민당 | 대만단결연맹 | 신당 | 대만우당 | 무소속 | 합계 |
---|---|---|---|---|---|---|---|---|
타이베이시 제1 | 4 | 2 | 3 | 1 | 0 | 0 | 0 | 10 |
타이베이시 제2 | 4 | 2 | 3 | 0 | 0 | 0 | 1 | 10 |
타이베이 현 제1 | 4 | 1 | 2 | 1 | 0 | 0 | 0 | 8 |
타이베이 현 제2 | 4 | 3 | 2 | 1 | 0 | 0 | 0 | 10 |
타이베이 현 제3 | 3 | 2 | 3 | 0 | 0 | 0 | 1 | 9 |
지룽시 | 1 | 1 | 1 | 0 | 0 | 0 | 0 | 3 |
타오위안시 | 5 | 5 | 3 | 0 | 0 | 0 | 0 | 13 |
신주 현 | 1 | 1 | 1 | 0 | 0 | 0 | 0 | 3 |
신주시 | 1 | 1 | 1 | 0 | 0 | 0 | 0 | 3 |
먀오리 현 | 1 | 2 | 1 | 0 | 0 | 0 | 0 | 4 |
타이중 현 | 4 | 5 | 1 | 0 | 0 | 0 | 1 | 11 |
타이중시 | 2 | 2 | 2 | 1 | 0 | 0 | 0 | 7 |
장화 현 | 4 | 4 | 1 | 0 | 0 | 0 | 1 | 10 |
난터우 현 | 2 | 1 | 1 | 0 | 0 | 0 | 0 | 4 |
윈린 현 | 2 | 2 | 1 | 0 | 0 | 0 | 1 | 6 |
자이 현 | 2 | 1 | 0 | 0 | 0 | 0 | 1 | 4 |
자이시 | 1 | 1 | 0 | 0 | 0 | 0 | 0 | 2 |
타이난 현 | 5 | 2 | 1 | 0 | 0 | 0 | 0 | 8 |
타이난시 | 3 | 2 | 0 | 1 | 0 | 0 | 0 | 6 |
가오슝시 제1 | 3 | 2 | 0 | 1 | 0 | 0 | 0 | 6 |
가오슝시 제2 | 3 | 0 | 1 | 1 | 0 | 0 | 0 | 5 |
가오슝 현 | 3 | 3 | 2 | 1 | 0 | 0 | 0 | 9 |
핑둥 현 | 4 | 2 | 0 | 0 | 0 | 0 | 1 | 7 |
이란 현 | 2 | 1 | 1 | 0 | 0 | 0 | 0 | 4 |
화롄 현 | 1 | 0 | 1 | 0 | 0 | 0 | 0 | 2 |
타이둥 현 | 0 | 1 | 0 | 0 | 0 | 0 | 0 | 1 |
펑후 현 | 0 | 0 | 0 | 0 | 0 | 0 | 1 | 1 |
진먼 현 | 0 | 0 | 0 | 0 | 1 | 0 | 0 | 1 |
롄장 현 | 0 | 0 | 1 | 0 | 0 | 0 | 0 | 1 |
저지대 원주민 | 0 | 3 | 1 | 0 | 0 | 0 | 0 | 4 |
고지대 원주민 | 0 | 1 | 1 | 0 | 0 | 1 | 1 | 4 |
재외국민 | 3 | 2 | 2 | 1 | 0 | 0 | 0 | 8 |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득표율과 의석 분포가 불일치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화롄 현에서는 중국국민당이 다수 득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후보 간 표 분산으로 인해 민주진보당 후보 1명과 친민당 후보 1명이 당선되었다.[3]
5. 분석 및 영향
2000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천수이벤의 승리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전국 단위 선거로서, 이 선거는 대만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집권당인 민주진보당(민진당)은 의석수를 크게 늘리며 입법원 제1당으로 부상했으나, 오랫동안 집권했던 중국 국민당(국민당)은 창당 이래 처음으로 과반수를 잃고 의석수가 대폭 감소하는 결과를 맞았다.[1] 이는 대만 유권자들의 변화에 대한 열망과 국민당 장기 집권에 대한 피로감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선거 결과, 민진당은 87석(+17석)을 얻어 원내 제1당이 되었고, 국민당은 68석(-55석)으로 크게 위축되었다. 국민당에서 분열되어 나온 친민당과 대만 단결 연맹이 각각 46석과 13석을 확보하며 원내에 진입했고, 신당은 진먼 1석을 제외하고는 의석을 대부분 잃었으며(1석, -10석), 무소속은 9석(-3석)을 유지했다.
국민당의 의석 감소는 상당 부분 쑹추위를 중심으로 한 친민당과 리덩후이 전 총통의 지지자들이 결성한 대만 단결 연맹으로 표가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쑹추위는 2000년 총통 선거 출마 선언 후 국민당에서 제명되었고, 리덩후이 역시 대만 단결 연맹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맡으면서 국민당에서 제명되었다. 이 두 신생 정당은 모두 국민당에서 파생되었지만, 친민당은 국민당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대만 단결 연맹은 급진적인 대만 독립 성향을 보였다.
이 선거를 통해 대만 정치는 양대 진영 구도가 더욱 뚜렷해졌다. 국민당, 친민당, 신당은 중국 통일을 지향하는 보수 성향의 범람 연합을 형성했고, 민진당과 대만 단결 연맹은 대만 독립을 지향하는 진보 성향의 범록 연합을 결성했다. 선거 결과 범람 연합은 총 115석(국민당 68 + 친민당 46 + 신당 1)으로 근소한 차이로 과반수를 유지했지만, 범록 연합이 100석(민진당 87 + 대만 단결 연맹 13)으로 의석을 크게 늘리면서 양 진영 간의 대립은 더욱 심화되었다. 범람 연합이 입법원 다수를 점하면서 천수이벤 총통이 이끄는 민진당 정부의 주요 정책들은 이후 3년간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편, 국민당의 패배에는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의 문제점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제도는 한 선거구에서 여러 명의 의원을 선출하지만 유권자는 한 명의 후보에게만 투표할 수 있어, 같은 정당 후보들 간의 표 분산이 발생하기 쉽다. 실제로 국민당, 친민당, 신당 등 범람 연합은 선거 전략을 효과적으로 조율하지 못해 표가 분산되는 결과를 낳았다. 대표적인 예로 화롄 현에서는 국민당 후보들이 얻은 총 득표수가 가장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표가 여러 후보에게 나뉘면서, 민진당 후보 1명과 친민당 후보 1명이 당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은 2004년 선거에서 범람 연합이 보다 엄격한 후보별 득표 할당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고, 이는 범록 연합의 과반수 확보를 저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 선거는 대만 정치의 다당제 경향을 심화시키고 양대 정치 연합 간의 경쟁 구도를 확립했으며, 선거 제도의 문제점을 드러내며 향후 선거 제도 개혁 논의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Taiwan's 2001 Legislative, Magistrates and Mayors Election: Further Consolidating Democracy?
[2]
웹사이트
選舉資料庫
https://db.cec.gov.t[...]
2024-05-30
[3]
간행물
第 05 屆立法委員選舉(區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4]
간행물
第 05 屆立法委員選舉(平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5]
간행물
第 05 屆立法委員選舉(山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6]
간행물
05屆全國不分區及僑居國外國民立法委員選舉選舉公報
https://bulletin.cec[...]
中選會
[7]
웹사이트
第六屆立法委員名鑑 - 附錄:第五屆立法委員名單
https://lis.ly.gov.t[...]
202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