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는 2006년 7월 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동해상으로 발사한 7발의 미사일 사건을 말한다. 이 발사는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스커드-C, 노동, 대포동 2호 등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이 포함되었다. 특히 대포동 2호로 추정되는 미사일은 발사 후 42초 만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에 대해 국제 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를 통해 북한을 규탄하고 제재를 가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 중국 등 관련 국가들은 외교적 대응과 독자적인 제재 조치를 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사건 -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은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 중이던 대한민국 국민 박왕자 씨가 조선인민군 초병의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금강산 관광 중단과 남북 관계 경색의 원인이 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사건 - 1969년 EC-121 격추 사건
    1969년 EC-121 격추 사건은 1969년 4월 15일 북한 공군이 동해 상에서 미국 해군의 EC-121 정찰기를 격추하여 탑승자 31명 전원이 사망하고 냉전 시대 미-북 관계 악화 및 한반도 긴장 고조를 초래한 사건이다.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06년 10월 9일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지하 핵 실험을 실시하여 성공을 발표했으나 국제 사회의 비난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초래하며 동북아시아 안보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 2006년 7월 - 2006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의 우승, 카드 남발 논란, 그리고 팬 페스트의 성공으로 기억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6년 7월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개요
로동-1 미사일
2006년 7월 5일에 있었던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날짜2006년 7월 5일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화대군 무수단리
결과실패
미사일 상세 정보
미사일 종류대포동 2호 (추정)
로동 1호
스커드 미사일
발사 플랫폼이동식 발사대
사거리대포동 2호: 6,700 km (추정)
로동 1호: 1,300 km
스커드 미사일: 300 ~ 500 km
영향
관련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
일본
대한민국
유엔 결의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695호

2. 시간대별 기록

2006년 7월 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여러 종류의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 미사일들은 모두 동해상에 떨어졌으며, 발사 시간, 장소, 미사일 종류, 탄착 지점 등은 아래와 같다.


  • 03:32 (KST): 깃대령에서 스커드-C 발사, 6분 후 동해상 탄착.
  • 04:04 (KST): 깃대령에서 노동 또는 스커드 발사, 6분 후 동해상 탄착.
  • 04:59 (KST): 무수단리에서 대포동 2호 발사, 35~42초 후 공중 폭발로 실패 추정.[17]
  • 07:13 (KST): 깃대령에서 스커드 발사.
  • 07:30 (KST): 깃대령에서 노동 발사.
  • 08:17 (KST): 깃대령에서 노동 발사.
  • 17:22 (KST): 깃대령에서 노동 또는 스커드 발사, 6분 후 동해상 탄착.


이 미사일들은 일본 홋카이도 서쪽 500~600km,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나홋카 남쪽 약 100km 떨어진 동해 공해상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4] 일부는 러시아 영해에 탄착했다는 보고도 있다.[5]

이 사건으로 동아시아 증시와 원유 가격에 변동이 있었다.[8]

2. 1. 2006년 7월 5일 미사일 발사

2006년 7월 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총 7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다.[4] 발사는 오전 3시 32분(한국 표준시)부터 오후 5시 22분(한국 표준시)까지 이어졌다. 발사된 미사일은 스커드-C, 노동, 대포동 2호 등으로 추정되며, 모두 동해상에 떨어졌다.[4]

미사일이 떨어졌다고 예측되는 장소


특히, 오전 4시 59분(한국 표준시)에 무수단리에서 발사된 대포동 2호는 발사 후 약 42초 만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되나,[17]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은 7분 동안 비행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3]

발사 순서발사 시각 (한국 표준시)발사 지점미사일 종류탄착 시각 (한국 표준시)탄착 지점
103:33깃대령스커드-C03:40동해
204:04깃대령노동/스커드04:10동해
305:01무수단리대포동 2호발사 42초 후동해
407:10깃대령스커드07:20동해
507:30깃대령노동07:36동해
608:20깃대령노동08:30동해
717:22깃대령노동/스커드17:28동해



미사일 발사 시점은 미국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 발사 직전이자 미국 독립기념일과 겹쳐, 미국에 대한 관심과 6자 회담보다는 북미 간 일대일 회담을 시도하려는 의도적인 행동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9]

3. 배경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국제적 고립, 미국과의 갈등 등 복합적인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과 관련하여, 북한은 2003년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서 탈퇴한 후 핵무기 개발을 지속해왔다. 2005년에는 자위용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발표하고 6자 회담 참여를 중단했으며, 2006년에는 첫 번째 핵무기 실험을 실시했다.

미북 관계와 6자 회담 또한 중요한 배경이다. 미국은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며 국제 제재를 추진했고, 북한은 이에 반발했다. 6자 회담을 통해 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양측의 입장 차이로 인해 합의 이행은 난항을 겪었다.

이러한 긴장 상황 속에서 미국은 2006년 6월 태평양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인 발리언트 실드를 실시했다. 이는 베트남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훈련으로, 북한은 이를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시험을 저지하기 위한 무력 시위로 간주하고 강하게 반발했다.[34]

이러한 사건들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단순한 군사적 행동이 아니라, 핵 개발, 국제 관계, 특히 미국과의 갈등이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임을 보여준다.

미사일 발사로 인해 동아시아 증시는 큰 영향을 받았으며, 투자자들은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래의 갈등 발생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미사일 시험 이후 원유 가격도 상승하는 등 국제 정세에도 영향을 미쳤다.[8]

많은 전문가들은 미사일 발사 시점이 미국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발사와 미국 독립기념일에 맞춰진 것이 미국으로부터 관심을 끌고 북한의 핵 능력에 관한 6자 회담보다는 일대일 회담을 시도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이라고 분석했다.[9]

3.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3년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서 탈퇴한 이후 핵무기 개발을 지속해왔다.[18] 2005년 2월 10일에는 자위용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발표하고 6자 회담 참여를 중단했다.[21]

2005년 9월 19일, 6자 회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경제 협력 및 지원을 대가로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기로 합의하고, "핵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 권리를 주장했다. 한편 미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고 공격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핵 경수로 제공은 "적절한 시점"에 논의될 예정이었으며,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시점에 대해 즉시 의견 차이를 보였다.[22]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첫 번째 핵무기 실험을 실시했다.[18]

이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2003년 1월 10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확산 금지 조약 탈퇴[19]
2003년 4월 24일미국,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자 회담 (베이징). 미국은 대북 국제 제재를 경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를 "선전 포고"로 간주할 것이라고 언급.
2003년 5월 12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92년 남북 간 합의(한반도 비핵화) 무효화 선언. 대한민국은 이 협정이 유효하다고 간주.
2003년 8월 28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이징 6자 회담에서 "공식적으로 핵무기 보유국임을 선언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핵무기 운반 수단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곧 핵 능력을 시연하기 위한 핵 실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언급.[20]
2005년 2월 10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위용 핵무기 개발 및 6자 회담 참여 중단 발표.[21]
2005년 9월 19일6자 회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 협력 및 지원을 대가로 핵무기 프로그램 포기 합의. 미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 인정 및 공격 의사 없음을 밝힘.[22]
2006년 4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에 마카오 은행 동결 자산 해제 시 회담 재개 제안.[24] 이 자금은 마약 판매와 위조 미국 화폐로 획득한 것이었다.[25]


3. 2. 미북 관계와 6자 회담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와 6자 회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 개발 문제를 둘러싸고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미국은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며 국제 제재를 가하려 했고, 북한은 이에 반발하며 선전 포고로 간주하겠다고 맞섰다.[19]

2003년, 북한은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서 탈퇴하고[19], 미국, 중국과의 3자 회담에서 핵 개발 의지를 드러냈다. 이후 북한은 6자 회담에서 핵무기 보유국임을 주장하며 핵 능력 시연을 위한 핵 실험을 예고하기도 했다.[20]

2005년, 6자 회담에서 북한은 경제 협력 및 지원을 대가로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고 합의했지만,[22] 이후 합의 이행 과정에서 미국과 이견을 보이며 난항을 겪었다. 특히 미국은 마카오의 한 은행에 동결된 북한 자산 해제를 요구하며 회담 재개를 제안했지만,[24] 이 자금이 마약 판매와 위조 미국 화폐로 획득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25] 문제는 더욱 복잡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6년, 북한은 대포동 2호 미사일에 연료를 주입하기 시작했고,[26] 미국은 미니트맨 III 대륙간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를 실시하며[27]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3. 3. 미국의 군사 훈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발

2006년 6월, 미국은 태평양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인 발리언트 실드를 실시했다.[28] 이 훈련은 2006년 6월 19일부터 5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22,000명의 병력, 280대의 항공기, USS 키티호크, USS 에이브러햄 링컨, USS 로널드 레이건을 포함한 30척의 선박이 참여했다.[28] 이는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이 태평양 해역에서 실시한 가장 큰 군사 훈련이었다.[2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훈련이 새로운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시험을 막기 위한 무력 시위라고 간주했다.[3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사일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는 몇 주간의 추측을 불러일으켰고, 미국과 일본 등은 이러한 시험이 도발적인 행위로 해석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이 공격하거나 다른 국가가 발사 전후에 미사일을 선제적으로 파괴하려 할 경우 "전멸" 핵 공격으로 위협했다.[35]

4. 관련 국가 및 국제기구의 대응

미사일은 무수단리 미사일 시험장에서 발사되었으며, 모든 미사일은 일본 홋카이도 서쪽 500km~600km 지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나홋카 남쪽 약 100km 지점의 동해 공해상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4] 일부는 러시아 영해에 낙하했다고 보고되었다.[5] 대포동 2호무수단리에서, 스커드와 노동 미사일은 김대령, 안변, 강원도에서 발사되었다.[4]

미국 국무부는 대포동 2호가 발사 후 약 42초 만에 실패, 총 2분간 비행했다고 밝혔다.[17] 첫 미사일은 7월 5일 03:33 KST(7월 4일 18:33 UTC)에 발사되었고, 이후 두 발은 각각 04:04, 05:01 (현지 시간)에 발사되었다.

이 사건으로 동아시아 증시가 흔들렸고, 투자자들은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지역의 미래 갈등 가능성을 우려했다. 원유 가격도 상승했다.[8] 관련 국가 및 국제기구는 군사적 대응 대신 외교적, 경제적 대응을 요구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6년 7월 5일 긴급 회의를 소집,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56] 이사국들은 조치가 필요하며 결의안 채택을 위해 재회동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57] 7월 1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695를 채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회원국들에게 관련 물품 및 기술 구매 금지를 요구했다. 이 결의는 일본 주도로 작성, 제안, 성립되었다. 결의 1695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관련 활동 중단을 요구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를 거부하고 자위력 강화를 위한 미사일 발사 지속을 선언했다.

4. 1. 대한민국

노무현한국어 대통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에서 비롯된 일본 각료들의 '대북 선제공격론' 발언에 대해 "일본 정치지도자들의 선제공격 발언 등으로 인해 새로운 상황이 생겼고,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13]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미사일 발사의 목적을 파악하기 위한 긴급 회의를 소집했으며, 통일부 관계자들은 미국과 동맹국들이 북한에 대한 더욱 강력한 경제 제재와 같은 징벌적 조치를 취하도록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50] 그러나 2006년 7월 17일, 조선일보는 추가적인 실험이 없는 한, 정부는 유엔에서 통과된 제재 내에서 모든 경제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어떠한 조치도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보도했다.[51]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는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일본의 자업자득이다. 북한의 발사체가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이는 북한의 정당한 자주적 권리이며, 미일 양국의 대북 적대 정책·전쟁 책동에 대한 자위적 조치이므로 국제사회가 이러쿵저러쿵할 문제가 아니다.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 가운데 한국을 향한 것이 한 발이라도 있었는가. 북한의 미사일은 털끝만큼의 오차도 없이 미국과 일본을 향했다. 우리 민족이 힘을 합치면 우리를 흔들 자는 지구상에 아무도 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77][78][79]

4. 2. 일본

7월 9일 - 누카가 후쿠시로 방위청 장관은 후지TV 프로그램에서 "독립국가로서 일정한 틀 안에서 최저한의 것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은 당연하다"며 헌법의 범위 안에서 가능한 '선제공격' 장비를 확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46][47]

7월 10일 - 일본 정부 대변인인 아베 신조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미사일 발사 기지를 공격하는 것은 헌법의 자위권 범위 안에 있다는 견해가 있는 만큼 논의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며 "일본 국민과 국토, 국가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지의 관점에서 검토,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46][47]

7월 11일 - 일본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발사에 따른 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결의가 부결될 경우 미국을 비롯 제재결의에 찬성하는 국가들과 연대해 추가 대북제재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7월 5일 오전 3시 52분(현지 시각)에 발사 사실을 통보받았다. 아베 신조 관방장관과 누카가 후쿠시로 방위청 장관을 포함한 일본 고위 관리들도 비슷한 시간에 통보를 받았다. 오전 4시 50분까지 총리 공관에서 만나 일본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오전 6시 30분에 집무실에 들어섰고, 20분 후 J. 토마스 쉬에퍼 미국 대사가 회담을 위해 도착했다.[40]

한편, 아소 다로 일본 외무상은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 통화를 갖고 이 문제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회부하기로 합의했다. 아베 신조 또한 후에 일본이 발사 문제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제기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41] 긴급 회의가 1400 GMT에 열릴 것으로 합의되었다.[42]

미사일 발사 후 몇 시간 만에 일본은 북한 관리, 선원, 전세 항공편, 양국 간 유일한 직항 여객선인 만경봉 92호의 입국을 금지하면서 대북 경제 제재를 시작했다.[43] 나카가와 쇼이치 일본 농림수산상은 일본이 북한에 식량 원조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며, 양국 간의 농업 무역 제한을 고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4]

모든 자위대 부대가 경계 태세를 강화했다.[45]

아베 신조와 아소 다로는 이후 공공연하게 타국 기지를 공격하는 일본의 옵션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는 '선제' 공격 계획으로 보고되었고,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호전적이라는 비난을 받았다.[46][47]

4. 3. 미국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 사건에 대해 CDT 오후 4시 40분경(UTC 21시 40분)에 보고받았다. 그는 2006년 7월 5일, 집무실에서 이 시험 발사에 대해 언급하며, 이 실험이 "오로지 북한을 고립시킬 뿐"이라고 말했다.[53] 부시 대통령은 미국이 북한과의 일대일 협상보다는 6자 회담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54]

크리스토퍼 힐 동아시아 및 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2006년 7월 5일 수요일에 이 지역으로 향할 예정이었다. 스티븐 해들리 국가안보 보좌관은 이 시험 발사를 "도발적인 행위"라고 묘사했다. 조지 부시 대통령은 시험 발사가 진행되는 동안 스티븐 해들리,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부 장관,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만났다.[36]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은 앞서 언급했듯이 아소 다로를 포함한 6자 회담의 4명의 상대와 전화 통화를 했다. 콘돌리자 라이스와 스티븐 해들리는 이후 한국의 국가안보 보좌관을 만나 이 발사에 대해 논의했다.[55]

NORAD는 지난 2주 동안 경계 태세를 강화했고, 미국 미사일 방어청은 CNN에 북한의 발사 전에 탄도 미사일 요격용 미사일 2기가 캘리포니아에서 가동되었다고 밝혔다.

4. 4. 중국

2006년 7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류젠차오 외교부 대변인은 "모든 관련 당사자"들에게 자제와 침착함을 거듭 촉구했으며, 모든 측이 한반도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행동도 삼갈 것을 촉구했다.[38]

7월 11일 -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을 방문 중인 양형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나 중국은 한반도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떤 조치도 반대한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뉴욕에서,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유감스럽다"고 말했다.[39]

4. 5. 국제연합 (UN)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6년 7월 5일 긴급 회의를 소집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대응을 논의했다.[56] 이 회의에서 이사국들은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며, 결의안 채택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다시 회동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57]

일본은 미국과 영국의 지지를 받아 대북 제재 결의안을 제안했으나, 거부권을 가진 러시아중국은 이에 반대하며 성명 발표가 더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58] 특히, 중국은 일본이 제출한 대북 제재 결의안이 표결에 부쳐질 경우 거부권을 행사할 것임을 시사했다.[59] 러시아의 유엔 대사 비탈리 추르킨은 제재보다는 1998년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와 유사하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이 비난 성명을 발표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9]

7월 12일, 중국의 왕광야 유엔 주재 대사는 러시아와 공동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결의안을 제출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외교적 노력을 보여야 하지만 아직 반응이 없다고 밝혔다. 7월 13일에는 반기문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장관과 중국의 리자오싱 외교부장이 전화 통화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가 제출한 대북 결의안 처리 방안을 논의했다.

7월 1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유엔 회원국들에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개발을 감시하고 관련 물품 및 기술 구매를 금지하는 내용의 대북 결의(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695)를 채택했다. 이 결의는 일본이 주도적으로 작성, 제안, 성립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의 1695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계획과 관련된 모든 활동 중지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결의를 전면 거부하고 자위력 강화를 위해 미사일 발사를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5. 평가 및 영향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를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특히, 이 사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문제와 더불어 미사일 개발 문제가 국제 안보의 주요 위협 요인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18]

동아시아 증시는 미사일 발사로 인해 크게 흔들렸으며, 투자자들은 이와 같은 움직임이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래의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미사일 시험 이후 원유 가격도 상승했다.[8]

많은 전문가들은 미사일 발사 시점이 미국 시간으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가 발사되려던 7월 4일 정오에 맞춘 것은 미국으로부터 관심을 끌고, 북한의 핵 능력에 관한 6자 회담보다는 일대일 회담을 시도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이라고 분석했다.[9]

미국 국무부대포동 2호 미사일이 발사 후 약 42초 만에 실패했다고 밝혔지만,[17] 2012년 미국 국방부는 대포동 2호가 미사일로 배치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대포동 2호는 은하 우주 발사체의 기술적 기반이며, 대규모 고정 시설에서 장기간 발사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ICBM 기술로 의도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11][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6년에 첫 번째 핵무기 실험을 실시했으며, 화학 무기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어 포병으로 대한민국을 공격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18] 2003년에는 핵확산 금지 조약에서 탈퇴했고,[21] 2005년에는 자위용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21]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제를 해결하려는 외교적 노력은 관련 국가들의 서로 다른 목표와 이해관계로 인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어느 국가도 핵무기를 가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원하지 않지만, 일본과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군사적 행동 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격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붕괴 시 발생할 경제적, 사회적 결과에 대해서도 걱정하고 있다.

미사일 발사 이후, 국제 사회는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오스트레일리아존 하워드 총리는 이번 시험 발사를 "극도로 도발적"이라고 칭하며 규탄했다.[63] 알렉산더 다운러 외무장관은 호주 주재 북한 대사에게 불만을 표명하고, 북한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64]
  • 캐나다피터 매케이 외무장관은 미사일 발사를 "대량 살상 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을 훼손하는 지역의 안정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고 비판하며, 벼랑 끝 전술 사용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65]
  • 체코 외무부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국제 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묘사했다. 체코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6자 회담 복귀를 촉구했다.[66]
  • 헝가리 외교부는 미사일 실험을 강력히 규탄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장거리 미사일 개발 활동을 중단하고 6자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67]
  • 말레이시아 외무장관 사이드 하미드 알바르는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모든 당사자들에게 자제를 촉구하고 협상을 재개할 것을 촉구했다.[68]
  • 뉴질랜드 총리 헬렌 클라크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대북 제재를 지지하며,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무모한 조치"라고 비난했다.[69]
  • 노르웨이요나스 가르 스퇴레 외무 장관은 시험 발사를 "매우 유감스럽다"고 규탄하며, 지역 긴장을 고조시킨다고 비판했다.[70]
  • 필리핀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은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6자 회담 재개를 촉구했다. 필리핀 군 및 국방 관계자들은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한 요격 불가능성을 언급하며, 군 현대화를 촉구했다.[72]
  • 싱가포르 외교부는 미사일 발사를 "도발적인 행위"라고 비난하며, 김정일에게 6자 회담 복귀를 촉구했다.[73]
  • 스웨덴얀 엘리아손 외무부 장관은 스톡홀름 주재 북한 대사를 소환하여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우려와 동아시아 핵무기 경쟁 위험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74]
  • 태국의 깐타티 수파몽콘 외무부 장관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역내 불신을 야기하고 세계 평화를 위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북한에 6자 회담 복귀를 촉구했다.[75]

참조

[1] 뉴스 U.S. Northern Command confirms 7th missile launch by DPRK http://www.northco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06-07-05
[2] 뉴스 How Terrible the Taepo? (within "North Korea: Less than meets the eye") http://thebulletin.m[...]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2003-03
[3] 뉴스 N Korea vows more missile tests http://news.bbc.co.u[...] BBC 2006-07-06
[4] 웹사이트 Where did the North Korea missiles land? http://sun-bin.blogs[...]
[5] 뉴스 With Few N. Korea Facts, a Rumor Got Launched https://www.latimes.[...] 2006-07-07
[6] 뉴스 Missiles for beginners http://www.theage.co[...] 2006-07-05
[7] 뉴스 With Few N. Korea Facts, a Rumor Got Launched https://www.latimes.[...] 2006-07-07
[8] 뉴스 Emerging Asia FX-Weaker on North Korea missile news http://asia.news.yah[...] Yahoo Asia 2006-07-07
[9] 뉴스 '''Financial Times''' – US fears North Korea missile test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10] 간행물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3-05-23
[11] 뉴스 Where's That North Korean ICBM Everyone Was Talking About?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5-03-12
[12] 간행물 Characterizing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http://www.rand.org/[...] RAND Corporation
[13] 뉴스 N.Korea May Try Launching Another Long-Range Missile http://english.chosu[...] Chosun-Ilbo 2006-07-06
[14] 웹사이트 Press Briefing on North Korea Missile Launch https://georgewbush-[...]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The White House 2006-07-04
[15] 웹사이트 Pyongyang fires seven missiles into Sea of Japan https://www.japantim[...] 2006-07-06
[16] 웹사이트 May, June, July 2006 Build-up to the Taep'o-dong-2C/3 Satellite Launch Attempt. https://www.globalse[...] 2006-07-10
[17] 뉴스 Security Council meets on North Korea missile test http://today.reuters[...] Reuters 2006-07-05
[18] 서적 North Korea in Transitio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Rowman & Littlefield
[19] 웹사이트 Paths Diverging? The next decade in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http://www.strategic[...] Th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04-01
[20] 웹사이트 N. Korea Threatens Nuclear Bomb Test https://www.npr.org/[...] 2003-08-28
[21] 웹사이트 WEAPONS AND WORDS https://www.pbs.org/[...] 2005-02-10
[22] 뉴스 Text of N. Korea talks agreement http://www.cnn.com/2[...] Cnn 2005-09-19
[23] 웹사이트 May, June, July 2006 Build-up to the Taep’o-dong-2C/3 Satellite Launch Attempt http://www.globalsec[...]
[24] 뉴스 N Korea offers nuclear talks deal http://news.bbc.co.u[...] BBC 2006-04-13
[25] 뉴스 Rocket man https://www.economis[...] 2006-07-06
[26] 뉴스 Nations press North Korea on missile http://www.cnn.com/2[...] Cnn 2006-06-19
[27] 웹사이트 Minuteman III launch successful http://www.af.mil/ne[...] 2006-07-04
[28] 웹사이트 Valiant Shield Provides Valuable Joint Training Among U.S. Military Forces http://www.news.navy[...] 2006-06-20
[29] 뉴스 U.S. begins massive war games in Pacific http://www.cnn.com/2[...] CNN 2006-06-20
[30] 뉴스 Chinese Observers Watch U.S. Wargames https://www.washingt[...] 2006-06-20
[31] 웹사이트 Military delegation ends trip to Guam http://www.gov.cn/mi[...] The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6-06-21
[32] 웹사이트 Commander says Chinese military more open http://www.wtopnews.[...] 2006-06-13
[33] 뉴스 China pleased after watching U.S. wargames https://www.usatoday[...] 2006-06-22
[34] 웹사이트 Valiant Shield: a display of strength and numbers http://www.marinecor[...] 2006-06-21
[35] 뉴스 U.N. Security Council Meets After North Korea Launches 7th Missile http://www.foxnews.c[...] Fox News 2006-07-05
[36] 뉴스 U.S. officials: North Korea tests long-range missile http://www.cnn.com/2[...] CNN 2006-07-08
[37] 뉴스 Asian Stocks, Currencies Slide on North Korean Missile Launche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6-07-08
[38] 뉴스 http://news.xinhuane[...] China View 2006-07-08
[39] 뉴스 Bush Urges North Korea to Drop Missile Program https://www.nytimes.[...] NYT 2010-04-22
[40] 뉴스 Tension grows in Japan over N. Korea's launch of 6 missiles http://mdn.mainichi-[...] Mainichi Daily News 2006-07-08
[41] 뉴스 Japan to take N. Korea launches to U.N. http://www.cnn.com/2[...] CNN 2006-07-08
[42] 뉴스 UN Security Council to hold emergency session on North Korea http://mdn.mainichi-[...] Mainichi Daily News 2006-07-08
[43] 뉴스 Seventh missile launched: report https://www.smh.com.[...] Sydney Morning Herald 2006-07-08
[44] 뉴스 Japan agriculture minister says no food aid to North Korea http://mdn.mainichi-[...] Mainichi Daily News 2006-07-08
[45] 뉴스 Japan puts troops on higher alert after NKorean missiles tests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 Asia 2006-07-08
[46] 뉴스 S. Korea Denounces Japan's Suggestion of Strike Against North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6-07-14
[47] 뉴스 People's Daily Online – Japanese overreaction multi-purposed http://english.peopl[...]
[48] 뉴스 http://www.interfax.[...] Interfax 2006-07-08
[49] 뉴스 North Korea Rejects Protests on Missile Firing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04-22
[50] 뉴스 Unification Ministry scurrying to determine N.K. intentions http://english.yna.c[...] Yonhap News Agency 2006-07-08
[51] 뉴스 South Korea, No Change in Economic Cooperation for Now http://japanese.chos[...] The Chosun Ilbo 2006-07-17
[52] 뉴스 World News Tonight ABC 2005-07-06
[53] 뉴스 Bush Says Missile Test Would Further Isolate North Korea http://www.voanews.c[...] VOA News 2006-07-08
[54] 뉴스 The World Today – US pushes fo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ttp://www.abc.net.a[...]
[55] 뉴스 Key U.N. members weigh NK sanction http://www.cnn.com/2[...] CNN 2006-07-08
[56] 뉴스 U.N. Security Council Meets After North Korea Launches 7th Missile http://www.foxnews.c[...] Fox News 2006-07-08
[57] 뉴스 UN Council Members agree swift action needed after Korean missile launch https://www.un.org/a[...] UN News Centre 2006-07-08
[58] 뉴스 China, Russia Resist North Korea Sanctions https://abcnews.go.c[...] ABC News Centre 2006-07-08
[59] 영상 UN Newscast http://webcast.un.or[...] United Nations 2006
[60] 뉴스 Government Expresses Concern over N.Korean Missile Tests http://www.telam.com[...] Télam 2006-07-06
[61] 뉴스 UK condemns North Korea missil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7-08
[62] 뉴스 EU strongly condemns N.Korea missile tests http://go.reuters.co[...] Reuters 2006-07-08
[63] 뉴스 Australia calls for condemnation of missile launches http://www.cnn.com/2[...] CNN 2006-07-08
[64] 뉴스 Australia cancels N Korea visit http://www.news.com.[...] News.com.au 2006-07-08
[65] 뉴스 Canada condemns North Korea missiles https://www.cbc.ca/n[...] CBC News 2010-08-07
[66] 간행물 Statement of the MFA on the North Korean Rocket Tests http://www.mzv.cz/ww[...]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zech Republic 2006-07
[67] 간행물 Hungary Condemns North Korean Missile Experiments http://www.mfa.gov.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Hungary 2006-07-05
[68] 간행물 Press Statement b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www.kln.gov.m[...] Malaysian Foreign Ministry 2006-07-07
[69] 간행물 Peters condemns North Korean missile tests http://www.beehive.g[...] Beehive 2006-07-06
[70] 웹사이트 Norwegian concern over North Korean missile tests https://www.regjerin[...] 2021-07-05
[71] 뉴스 Arroyo condemns North Korea missile tests http://newsinfo.inq7[...]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6-07-07
[72] 뉴스 RP helpless against missile attack http://newsinfo.inq7[...]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6-07-07
[73] 뉴스 Singapore 'deeply regrets' North Korea's missile launch http://www.channelne[...] 2006-07-08
[74] 문서 http://www.sweden.go[...]
[75] 뉴스 Thailand concerned at North Korea missile tests http://www.bangkokpo[...] Bangkok Post 2006-07-05
[76]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english.yna.c[...] 2006-07-08
[77] 뉴스 【ミサイル発射】韓総連「米国と日本は自業自得」 http://www.chosunonl[...] 2006-07-06
[78] 뉴스 【ミサイル発射】韓国の市民団体、北を一斉に非難 http://www.chosunonl[...] 2006-07-06
[79] 뉴스 【ミサイル発射】北を擁護する韓総連と民主労総 http://www.chosunonl[...] 2006-07-08
[8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cnn.com/2[...] 2006-07-08
[81] 웹사이트 朝鮮半島問題研究会の分析 http://jinf.jp/sugge[...] "[[国家基本問題研究所]]" 2009-05
[82] 웹사이트 「米国の対北朝鮮政策の根本は不変 日米の圧力政策こそ継続すべき」 https://yoshiko-saku[...] 櫻井よしこブログ 2007-02-10
[83] 웹사이트 第171回国会 外務委員会 第7号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09-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