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2017년 9월 24일에 실시되었으며, 제19대 독일 연방의회 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CDU/CSU) 연합이 제1당을 유지했으나, 1949년 이후 최저 득표율을 기록했다.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2위를 차지했고,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원내 제3당으로 부상했다. 자유민주당(FDP)과 좌파당(Linke), 동맹 90/녹색당(Grüne)도 의석을 확보했다. 선거 후 기민련/기사련과 자민당, 녹색당 간의 자메이카 연정 구성이 실패하고, 사회민주당과의 대연정 협상을 통해 2018년 3월 메르켈의 4선 연임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독일의 선거 - 2017년 독일 대통령 선거
2017년 독일 대통령 선거에서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가 사회민주당 등의 지지를 받아 당선되어 2017년 3월 19일에 취임하였다. - 2017년 독일의 선거 - 2017년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
2017년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는 적녹 연립 정부의 과반수 상실로 인해 조기에 실시되었으며, 사회민주당이 1당을 차지하여 기독교민주연합과의 대연정으로 정부를 구성하게 된 병립형 비례대표제 선거이다. - 앙겔라 메르켈 - 200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200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사회민주당의 패배 이후 조기 총선으로 실시되어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이 사회민주당을 근소하게 앞섰지만 과반수 확보에 실패, 대연정 구성으로 앙겔라 메르켈이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 - 앙겔라 메르켈 - 2009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2009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과 자유민주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여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재집권하고 기민련/기사련-자민당 연립 정부가 출범했으며, 사회민주당은 참패, 좌파당과 녹색당은 약진했다. - 2017년 9월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7년 9월 3일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수소폭탄 시험이라 주장하는 6차 핵 실험을 감행하여 인공 지진과 함께 국제적 비판 및 한반도 긴장 고조를 야기했다. - 2017년 9월 - 허리케인 어마
2017년 8월 말 카보베르데 제도 서쪽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어마는 5등급까지 강화되어 카리브해와 미국 플로리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광범위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여 그 이름이 은퇴되었다.
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독일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2013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13년 |
다음 선거 |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21년 |
선출 의석 수 | 연방의회 전체 709석 (정수 598석, 초과 의석 111석 포함) |
선거 날짜 | 2017년 9월 24일 |
투표율 | 76.2% ( 4.7%p) |
주요 후보 및 정당 | |
후보 1 | 앙겔라 메르켈 |
정당 1 | CDU/CSU |
이전 선거 결과 1 | 41.5%, 311석 |
획득 의석 1 | 246 |
의석 변동 1 | 65 |
득표수 1 | 15,317,344 |
득표율 1 | 32.9% |
득표율 변동 1 | 8.6%p |
후보 2 | 마르틴 슐츠 |
정당 2 | SPD |
이전 선거 결과 2 | 25.7%, 193석 |
획득 의석 2 | 153 |
의석 변동 2 | 40 |
득표수 2 | 9,539,381 |
득표율 2 | 20.5% |
득표율 변동 2 | 5.2%p |
후보 3 | 알렉산더 가울란트 & 알리스 바이델 |
정당 3 | AfD |
이전 선거 결과 3 | 4.7%, 0석 |
획득 의석 3 | 94 |
의석 변동 3 | 94 |
득표수 3 | 5,878,115 |
득표율 3 | 12.6% |
득표율 변동 3 | 7.9%p |
후보 4 | 크리스티안 린트너 |
정당 4 | FDP |
이전 선거 결과 4 | 4.8%, 0석 |
획득 의석 4 | 80 |
의석 변동 4 | 80 |
득표수 4 | 4,999,449 |
득표율 4 | 10.7% |
득표율 변동 4 | 5.9%p |
후보 5 | 디트마 바르취 & |
정당 5 | 좌파당 |
이전 선거 결과 5 | 8.6%, 64석 |
획득 의석 5 | 69 |
의석 변동 5 | 5 |
득표수 5 | 4,297,270 |
득표율 5 | 9.2% |
득표율 변동 5 | 0.6%p |
후보 6 | & 젬 외즈데미르 |
정당 6 | 녹색당 |
이전 선거 결과 6 | 8.4%, 63석 |
획득 의석 6 | 67 |
의석 변동 6 | 4 |
득표수 6 | 4,158,400 |
득표율 6 | 8.9% |
득표율 변동 6 | 0.5%p |
지도 | |
![]() | |
정부 구성 | |
선거 이전 정부 | 제3차 메르켈 내각 |
선거 이전 정당 | CDU/CSU–SPD |
선거 이후 정부 | 제4차 메르켈 내각 |
선거 이후 정당 | CDU/CSU–SPD |
2. 선거일
독일 기본법 39조에 따르면 19대 총선은 제18대 독일 연방의회 개원 후 46개월에서 48개월 사이에 실시되어야 한다. 제18대 연방의회는 2013년 선거 30일 후인 10월 22일 개원했다. 연방선거법 16조에 따르면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가능한 선거일은 8월 27일과 9월 3일, 10일, 17일, 24일, 10월 1일, 3일(독일 통일의 날), 8일, 15일, 22일이다.[62] 2017년 1월 18일 연방정부 제안에 따라 2017년 1월 23일 연방대통령은 제19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일을 2017년 9월 24일로 확정하고, 2017년 1월 26일 독일 관보에 게재하였다.[63]
독일 연방의회는 명목상 598석의 의석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4년이다. 의원 선출은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가 혼합된 혼합식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용제 방식이다. 299명은 지역구에서 소선거구제로 선출하고, 나머지 299명은 전국 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로 선출한다.[5]
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는 정당은 주별 정당 명부와 지역구 후보를 공천하는 방식으로, 개인은 지역구 후보로 출마하는 방식으로 참가할 수 있다. 연방의회나 하나 이상의 주의회에 직전 선거에서 공천하여 당선된 의원의 수가 지속적으로 5인 이상을 유지하지 못한 정당은 선거 참여를 연방선거위원회 위원장에게 알려야 하고(선거일 97일 이전까지), 주 정당 명부와 지역구 후보를 공천하기 위해 지지 서명을 첨부해야 한다.
신임문제로 연방총리가 의회해산을 제안하고, 연방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여 연방의회를 해산하는 경우 조기선거가 실시될 수 있다. 그 경우 의회해산 후 60일 이내에 선거가 실시되어야 한다.
독일 법에 따르면 새로운 독일 연방의회는 지난 연방의회의 첫 회의 후 46개월에서 48개월 사이의 일요일 또는 전국 공휴일에 선출되어야 한다(''기본법'' 제39조 1항).[3] 2017년 1월 당시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은 선거일을 2017년 9월 24일로 결정했다.[4]
3. 선거 제도
유권자는 두 표를 행사하는데, 하나는 지역구 후보에게(제1투표), 다른 하나는 정당 명부에(제2투표) 투표한다. 지역구에서는 단순 다수득표자가 당선된다. 전체 의석은 정당명부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는데, 이때 생-라구에 방식을 사용한다. 특정 정당의 지역구 당선자 수가 정당 득표율에 따른 의석수보다 많으면 초과의석이 발생하며, 이 경우 지역구 당선자 수가 그 정당의 의석수가 된다. 초과의석으로 인한 불비례는 보정의석을 통해 보완한다.[5]
정당이 의석을 배분받으려면 전국 정당명부 투표에서 5% 이상을 득표하거나, 3개 이상의 지역구에서 당선자를 내야 한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정당은 의석 배분에서 제외된다. 다만, 덴마크인, 프리지아인, 소르브인, 로마니족과 같은 공인된 소수 민족 정당은 5% 봉쇄 조항에서 면제된다.[5]
만 18세 이상의 독일 국민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진다. 재외투표 제도도 시행되고 있다.[5]
4. 2013년 연방의회 선거 결과 및 선거전 현황
정당 득표율(%) 기존 득표율(%) 기민련/기사련 32.9 41.5 사민당 20.5 25.7 독일대안 12.6 4.7 자민당 10.7 4.8 좌파당 9.2 8.6 녹색당 8.9 8.4 자유 유권자 1.0 1.0 기타 5.3 6.6
2013년 연방의회 선거에서 자민당은 봉쇄조항 5%를 넘지 못해 원내진출에 실패했다.[1] 그 결과, 기존 연정 구성 정당인 기민련/기사련과 자민당은 원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기민련/기사련은 득표율 증가로 의석을 늘렸지만, 과반 의석에는 5석이 부족했다. 사민당도 득표율을 약간 끌어올렸지만, 적녹연정을 위한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녹색당과 좌파당은 모두 의석이 줄었으며, 좌파당은 근소한 표 차이로 녹색당을 추월해 원내 제3 교섭단체가 되었다.
2013년 4월 창당한 독일대안은 4.7%를 득표하여 원내 진출에 실패했다. 2009년부터 2013년 사이 4개 주에서 원내 진출에 성공했던 해적당은 2.2% 득표에 그쳤다.
2013년 선거에서는 자민당과 독일대안 등이 5% 봉쇄조항을 넘지 못하고 원외 정당에 머무르면서, 전체 투표수의 15.8%에 해당하는 표가 연방의회 의석에 반영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민련/기사련은 사민당과 협상하여 세 번째 대연정을 구성했다.[2]
2017년 1월, 사민당 당 대표 지그마어 가브리엘은 유럽 의회 의장 출신 마르틴 슐츠를 당 대표이자 총리 후보로 추천했다. 그 결과, 사민당 지지율이 상승했지만, 이후 기민련이 다시 우위를 점하며 여론조사에서 사민당보다 13~16% 앞섰다.
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연방 의원 임기 만료에 따라 치러진 선거로, 제3차 메르켈 내각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특히 2015년 유럽 난민 위기 당시 메르켈 총리의 난민 수용 정책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5. 주요 정당 및 후보
다음은 현재 연방의회나 1개 이상의 주의회에 최소 5인의 의원이 있는 정당이다.
총 38개 정당이 적어도 한 개 주에서 투표 용지에 이름을 올렸고, 따라서 (이론적으로) 연방 하원에서 비례대표 의석을 얻을 수 있다.[6] 또한, 단일 의원 선거구에 출마하는 무소속 후보자도 여러 명 있다. 다음은 5% 이상의 득표를 얻거나 (두 번째 투표에서) 단일 의원 선거구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있는 주요 정당들이다.
이름 | 이념 | 2013년 결과 | |||
---|---|---|---|---|---|
득표율 (%) | 의석 | ||||
CDU/CSU | CDU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기독교 민주주의 | 34.1% | rowspan="2"| |
CSU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 7.4% | |||
SPD | 독일 사회민주당 | 사회 민주주의 | 25.7% | ||
Linke | 좌파당 | 민주적 사회주의 | 8.6% | ||
Grüne | 동맹 90/녹색당 | 녹색 정치 | 8.4% | ||
FDP | 자유민주당 | 자유주의 | 4.8% | ||
AfD | 독일을 위한 대안 | 국가 보수주의 | 4.7% |
전통적으로, 서로 자매 정당이라고 지칭하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CDU)과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CSU)은 서로 경쟁하지 않는다. CSU는 오직 바이에른주에서만 선거에 출마하는 반면, CDU는 다른 15개 주에서 선거에 출마한다. 비록 이들 정당이 이전 정부의 이민 정책에 반대하는 CSU의 입장[7]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이 있지만, CDU와 CSU는 기본적인 정치적 목표를 공유하며, 연방 하원 규정에 따라 선거 후 하나의 의원 단체로 통합될 수 있다.[8]
2013년 독일 연방 의회 선거에서 독일 기독교 민주연합 (CDU), 바이에른 기독교 사회연합 (CSU) 및 자유 민주당 (FDP)으로 구성된 현 집권 세력은 과반수 의석을 유지하는 데 실패했다. FDP[1]는 2013년 선거에서 득표율 5%를 넘지 못해 역사상 처음으로 분데스탁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반면 CDU/CSU는 득표율 42%에 육박하고 의석의 50%에 약간 못 미치는 1990년 독일 연방 의회 선거 이후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 후 CDU/CSU는 독일 사회 민주당 (SPD)과 협상하여 세 번째로 대연정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2]
5. 1. 주요 정당의 총리 후보 및 대표 후보
각 정당은 선거를 이끌 대표 후보를 제시한다. 특히 양대 정당(우니온, 사민당)은 총선 결과와 연정 구성에 따라 총리가 될 수 있는 총리 후보를 제시한다. 대표 후보나 총리 후보는 연방선거법에 포함된 법적 개념은 아니다. 연방총리는 유권자 직접선거로 선출되는 것이 아니라 연방의회 의원에 의해 간접선거로 선출된다. 따라서 대표 후보나 총리 후보는 선거에서 상징적 그리고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개별 연방주의 대표 후보는 각 정당 명부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64][65][66][67][68][69][70][71][1][2][7][8]-- | ![]() | ![]() ![]() | --![]() | ![]() | |
메르켈 | 슐츠 | 바르취 바겐크네흐트 | 괴링엑카르트 외츠데미르 | 린트너 | 미정 |
우니온 | 사회민주당 | 좌파당 | 녹색당 | 자유민주당 | 독일을 위한 대안 |
; 우니온
2005년부터 연방총리를 맡고 있는 앙겔라 메르켈은 2016년 11월 20일 4번째 총리직 도전을 선언했다. 2017년 1월 말 기사련 대표 제호퍼도 메르켈이 우니온의 총리 후보가 될 것임을 밝혔다.
; 사회민주당
사민당은 2017년 1월에 총리 후보를 확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당시 당 대표였던 가브리엘과 전 유럽 의회 의장 마르틴 슐츠, 함부르크 시장 올라프 숄츠 등이 총리 후보로 거론되었다. 가브리엘이 슐츠를 후보로 추천하면서 총리 후보 불출마를 선언했다. 2017년 1월 29일 사민당 연방집행위원회는 슐츠를 총리 후보로 선출했다. 공식적으로는 2017년 3월 19일 사민당 임시 연방당대회를 통해 슐츠가 총리 후보와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 좌파당
좌파당은 2016년 12월 연방집행위원회에서 사라 바겐크네흐트와 디트마르 바르취를 2017년 연방의회 선거 대표 후보로 선출하였다. 집행위원회는 또한 선거 후 연정 협상이 있을 경우 공동 당대표인 카차 키핑과 베른트 릭싱어가 이 문제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 녹색당
녹색당은 당원 직접투표와 우편투표를 통해 대표 후보 2인을 포함한 4명의 후보를 선출하였다. 당원 6만여 명 중 58.96%가 총선 후보 선출을 위한 당원 투표에 참여했다. 2017년 1월 18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한 명이 입후보한 여성 명부에는 70.63%의 지지를 얻어 카트린 괴링-엑카르트가 선출되었고, 일반 명부에서는 켐 외츠에미르가 35.96%를 득표했고, 로베르트 하벡은 35.74%, 안톤 호프라이터는 26.19%를 얻어 외츠데미르가 당선되었다.
; 자유민주당
자민당은 2016년 11월에 당 대표인 크리스티안 린트너를 2017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주의회 선거와 2017년 연방의회 선거의 대표 후보로 선출하였다.
; 독일을 위한 대안
독일대안 연방집행위원회는 대표 후보를 내는 대신 "대표팀"을 선거에 내기로 결정했다. 초기에는 프라우케 페트리가 단독 대표 후보로 거론되었다. 팀 구성은 2017년 4월에 결정될 예정이다.
5. 2. 기타 정당
- 자유보수개혁당: 베른트 룩케[72]
- 당: 세르다르 소문쥬[73]
6. 여론 조사
2013년 연방의회 선거 이후 기민/기사련과 사민당이 연립 정부를 구성하였고, 2015년까지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기민/기사련과 사민당의 지지도는 비슷하게 유지되었고, 녹색당과 좌파당은 비교적 높은 지지율을 유지했다. 자민당과 독일대안은 5% 내외의 지지율을 보였다. 2013년 선거에서 해적당의 득표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자, INSA와 GMS를 제외한 여론조사 기관들은 해적당을 여론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두 조사기관도 해적당을 기타 정당으로 분류했다. 2014년 11월 14일, 선거연구그룹은 처음으로 자민당을 별도로 집계하지 않고 기타 정당으로 분류했고, 12월 19일부터는 Infratest dimap도 자민당을 기타 정당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2015년 1월부터 두 조사기관 모두 자민당을 다시 별도로 집계하기 시작했다.
2015년 가을, 유럽 난민 위기로 인해 독일의 정치적 분위기가 크게 변화했다. 집권 연정의 한 축인 우니온의 지지율이 크게 하락했고, 독일대안은 5% 봉쇄 조항을 넘는 지지율을 얻기 시작했다. 2016년 12월, 메르켈 총리가 재선에 도전하기로 하면서 우니온의 지지율이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7년 1월 말, 사민당이 마르틴 슐츠 유럽 의회 전 의장을 총리 후보로 선출하면서 지지율이 크게 상승하여, 기민/기사련의 지지율 회복은 주춤하게 되었다.[74] 2017년 2월에는 일부 여론조사에서 사민당 지지율이 우니온 지지율을 추월하기도 했다.[75] 슐츠의 등장 이후 기민련뿐만 아니라 좌파당, 녹색당, 독일대안의 지지율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민당은 슐츠 효과와 관계없이 안정적인 지지율을 유지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70%;"
|-
! style="text-align:left;width: 9.0em;border-bottom:3px solid #AAAAAA;"| 조사기관
! style="width: 6.0em;border-bottom:3px solid #AAAAAA;"| 날짜
! style="width: 4.5em;border-bottom:3px solid #000000;"| 우니온
! style="width: 4.5em;border-bottom:3px solid #FF0000;"| 사민당
! style="width: 4.5em;border-bottom:3px solid #800080;"| 좌파당
! style="width: 4.5em;border-bottom:3px solid #008000;"| 녹색당
! style="width: 4.5em;border-bottom:3px solid #FFFF00;"| 자민당
! style="width: 4.5em;border-bottom:3px solid #00FFFF;"| 대안
! style="width:4.5em;border-bottom:3px solid #888888;"| 기타
|-
! 선거결과
! 2017.09.24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2.9 %
! 20.5 %
! 9.2 %
! 8.9 %
! 10.7 %
! 12.6 %
! 5.2 %
|-
|style="text-align: left;"| Forschungsgruppe Wahlen INSA[87]
| 2017.09.21~22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3 %
| 21 %
| 11 %
| 8 %
| 9 %
| 13 %
| 4 %
|-
|style="text-align: left;"| Forschungsgruppe Wahlen
| 2017.09.20~21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6 %
| 21.5 %
| 8.5 %
| 8 %
| 10 %
| 11 %
| 5 %
|-
|style="text-align: left;"| Forschungsgruppe Wahlen
| 2017.07.04~06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40 %
| 24 %
| 9 %
| 8 %
| 8 %
| 7 %
| 4 %
|-
|style="text-align: left;"| Forschungsgruppe Wahlen
| 2017.05.16~18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8 %
| 27 %
| 9 %
| 7 %
| 8 %
| 7 %
| 4 %
|-
|style="text-align: left;"| Forschungsgruppe Wahlen
| 2017.04.25~27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7 %
| 29 %
| 9 %
| 8 %
| 6 %
| 8 %
| 3 %
|-
|style="text-align: left;"| Forschungsgruppe Wahlen
| 2017.03.25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3 %
! style="background:#FF0000; color:white;" | 33 %
| 8 %
| 8 %
| 5 %
| 9 %
| 4 %
|-
|style="text-align: left;"| Infratest dimap[88]
| 2017.03.23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2 %
! style="background:#FF0000; color:white;" | 32 %
| 7 %
| 8 %
| 6 %
| 11 %
| 4 %
|-
|style="text-align: left;"| Ipsos[81]
| 2017.03.23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3 %
| 30 %
| 8 %
| 8 %
| 6 %
| 11 %
| 4 %
|-
|style="text-align: left;"| GMS[82]
| 2017.03.23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4 %
| 31 %
| 8 %
| 8 %
| 6 %
| 9 %
| 4 %
|-
|style="text-align: left;"| Forsa[83]
| 2017.03.22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4 %
| 31 %
| 7 %
| 7 %
| 6 %
| 9 %
| 6 %
|-
|style="text-align: left;"| INSA[87]
| 2017.03.20
| 31 %
! style="background:#FF0000; color:white;" | 32 %
| 8.5 %
| 6.5 %
| 6.5 %
| 11.5 %
| 4 %
|-
|style="text-align: left;"| Emnid[86]
| 2017.03.18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3 %
| 32 %
| 8 %
| 8 %
| 5 %
| 9 %
| 5 %
|-
|style="text-align: left;"| Forsa[83]
| 2017.03.15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3 %
| 32 %
| 7 %
| 7 %
| 6 %
| 9 %
| 6 %
|-
|style="text-align: left;"| INSA[87]
| 2017.03.13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31 %
! style="background:#FF0000; color:white;" | 31 %
| 8.5 %
| 6.5 %
| 7 %
| 11.5 %
| 4.5 %
|-
! colspan="9"|
7. 선거 결과
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지역구 | 정당 명부 | 합계 의석 | +/– | ||||||
---|---|---|---|---|---|---|---|---|---|---|
득표수 | % | 의석수 | 득표수 | % | 의석수 | |||||
기독교민주연합 (CDU) | 14,027,804 | 30.2 | 185 | 12,445,832 | 26.8 | 15 | 200 | -55 | ||
사회민주당 (SPD) | 11,426,613 | 24.6 | 59 | 9,538,367 | 20.5 | 94 | 153 | -40 | ||
독일을 위한 대안 (AfD) | 5,316,095 | 11.5 | 3 | 5,877,094 | 12.6 | 91 | 94 | +94 | ||
자유민주당 (FDP) | 3,248,745 | 7.0 | 0 | 4,997,178 | 10.7 | 80 | 80 | +80 | ||
좌파당 (DIE LINKE) | 3,966,035 | 8.6 | 5 | 4,296,762 | 9.2 | 64 | 69 | +5 | ||
동맹 90/녹색당 (GRÜNE) | 3,717,436 | 8.0 | 1 | 4,157,564 | 8.9 | 66 | 67 | +4 | ||
기독교사회연합 (CSU) | 3,255,604 | 7.0 | 46 | 2,869,744 | 6.2 | 0 | 46 | -10 | ||
colspan="10" style="background: #C0C0C0" | | ||||||||||
style="background-color:#007E82;" | | 자유 유권자 | 589,116 | 1.3 | 0 | 463,052 | 1.0 | 0 | 0 | 0 | |
style="background-color:#b5152b;" | | 당 | 245,415 | 0.5 | 0 | 452,922 | 1.0 | 0 | 0 | 0 | |
style="background-color:#00ADEF;" | | 인간 환경 동물 보호 | 22,887 | 0.0 | 0 | 373,278 | 0.8 | 0 | 0 | 0 | |
국가민주당 | 45,239 | 0.1 | 0 | 176,715 | 0.4 | 0 | 0 | 0 | ||
해적당 | 93,173 | 0.2 | 0 | 173,867 | 0.4 | 0 | 0 | 0 | ||
style="background-color:#EB891B;" | | 생태민주당 | 166,132 | 0.4 | 0 | 144,772 | 0.3 | 0 | 0 | 0 | |
Basic Income Alliance | – | – | – | 97,386 | 0.2 | 0 | 0 | 신규 | ||
style="background-color:#99CC33;" | | V-Party | 1,204 | 0.0 | 0 | 64,130 | 0.1 | 0 | 0 | 신규 | |
기타 | 259,424 | 0.4 | 0 | 377,796 | 0.7 | 0 | 0 | – | ||
무효/기권 | 586,726 | 1.2 | – | – | 460,849 | 1.0 | – | – | – | |
합계 | 46,976,341 | 100 | 299 | 46,976,341 | 100 | 410 | 709 | +78 | ||
등록 유권자/투표율 | 61,688,485 | 76.2 | – | 61,688,485 | 76.2 | – | – | – | ||
출처: [https://www.bundeswahlleiter.de/en/bundestagswahlen/2017/ergebnisse/bund-99.html Bundeswahlleiter] |
- 주요 정당:
- 기독교민주연합(CDU)/기독교사회연합(CSU): 246석 (제1당, 앙겔라 메르켈 총리 4선 연임)
- 사회민주당(SPD): 153석 (제2당)
- 독일을 위한 대안(AfD): 94석 (제3당, 연방의회 첫 진입)
- 자유민주당(FDP): 80석 (연방의회 재진입)
- 좌파당(DIE LINKE): 69석
- 동맹 90/녹색당(GRÜNE): 67석
- 득표율 변화:
- 기민/기사련과 사민당은 각각 1949년, 1933년 이후 최저 득표율을 기록했다.
- AfD는 12.6% 득표로 연방의회 진입에 성공, 5% 기준을 두 배 이상 넘겼다.
- 자민당은 10.7% 득표율로 연방의회에 복귀했다.
주별 득표 결과 (정당 명부 투표)
주 | CDU/CSU | SPD | AfD | FDP | Linke | Grüne | 기타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align="left"| | 34.4 | 16.4 | 12.2 | 12.7 | 6.4 | 13.5 | 4.5 |
align="left"| | 38.8 | 15.3 | 12.4 | 10.2 | 6.1 | 9.8 | 7.5 |
align="left"| | 22.7 | 17.9 | 12.0 | 8.9 | 18.8 | 12.6 | 7.0 |
align="left"| | 26.7 | 17.6 | 20.2 | 7.1 | 17.2 | 5.0 | 6.3 |
align="left"| | 25.0 | 26.3 | 10.0 | 9.3 | 13.5 | 11.0 | 4.3 |
align="left"| | 27.2 | 23.5 | 7.8 | 10.8 | 12.2 | 13.9 | 4.5 |
align="left"| | 30.9 | 23.5 | 11.9 | 11.6 | 8.1 | 9.7 | 4.4 |
align="left"| | 33.1 | 15.1 | 18.6 | 6.2 | 17.8 | 4.3 | 4.9 |
align="left"| | 34.9 | 27.4 | 9.1 | 9.3 | 6.9 | 8.7 | 3.6 |
align="left"| | 32.6 | 26.0 | 9.4 | 13.1 | 7.5 | 7.6 | 3.8 |
align="left"| | 35.9 | 24.2 | 11.2 | 10.4 | 6.8 | 7.6 | 3.9 |
align="left"| | 32.4 | 27.2 | 10.1 | 7.6 | 12.9 | 6.0 | 3.9 |
align="left"| | 26.9 | 10.5 | 27.0 | 8.2 | 16.1 | 4.6 | 6.7 |
align="left"| | 30.3 | 15.2 | 19.6 | 7.8 | 17.8 | 3.7 | 5.7 |
align="left"| | 34.0 | 23.3 | 8.2 | 12.6 | 7.3 | 12.0 | 2.7 |
align="left"| | 28.8 | 13.2 | 22.7 | 7.8 | 16.9 | 4.1 | 6.5 |
주 | 총 의석 | 획득 의석 | ||||||
---|---|---|---|---|---|---|---|---|
CDU | SPD | CSU | Linke | AfD | Grüne | FDP | ||
| | | | | | | | | | | | | | ||
바덴-뷔르템베르크 | 76 | 38 | 16 | 6 | 11 | 13 | 12 | |
바이에른 | 92 | 18 | 46 | 7 | 14 | 11 | 12 | |
베를린 | 28 | 4 | 5 | 6 | 4 | 4 | 3 | |
브란덴부르크 | 19 | 9 | 3 | 4 | 5 | 1 | 2 | |
브레멘 | 6 | 1 | 2 | 1 | 1 | 1 | ||
함부르크 | 16 | 1 | 5 | 2 | 1 | 3 | 2 | |
헤센 | 50 | 17 | 12 | 4 | 6 | 5 | 6 | |
니더작센 | 66 | 21 | 20 | 5 | 7 | 6 | 7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16 | 6 | 2 | 3 | 3 | 1 | 1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142 | 42 | 41 | 12 | 15 | 12 | 20 | |
라인란트-팔츠 | 37 | 14 | 9 | 3 | 4 | 3 | 4 | |
자르란트 | 10 | 3 | 3 | 1 | 1 | 1 | 1 | |
작센 | 38 | 12 | 4 | 5 | 11 | 2 | 3 | |
작센-안할트 | 23 | 9 | 3 | 4 | 4 | 1 | 2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26 | 10 | 6 | 2 | 2 | 3 | 3 | |
튀링겐 | 22 | 8 | 3 | 3 | 5 | 1 | 2 | |
합계 | 709 | 185 | 59 | 46 | 5 | 3 | 1 |
각 주의 의석수는 해당 주의 인구에 따라 배분되며, 정당 명부 투표와 지역구 투표 결과를 종합하여 결정된다.
8. 정당별 결과 분석
기민/기사련과 사민당은 연방의회에서 주요 정당으로 남았지만, 2013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보다 훨씬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59]
AfD는 처음으로 연방의회에 진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표를 얻어 득표율 12.6%를 기록했는데, 이는 완전한 의회 지위를 얻는 데 필요한 5%의 기준을 두 배 이상 넘어선 수치이다. 또한, 세 개의 선거구 의석을 얻었는데, 이는 어쨌든 비례대표 의석을 얻을 수 있는 자격이 된다.[59]
자유민주당(FDP)은 10.7%의 득표율로 연방의회에 복귀했다. 약간의 결과 개선으로 인해 의석을 조금 더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좌파당과 녹색당은 의회에서 가장 작은 두 정당으로 남았다.[60]
정당 | 선거구 투표 | 정당 명부 투표 | 의석 | (선거구) | ||||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
rowspan=3 bgcolor="#000000" | | CDU/CSU | 기독교민주연합(CDU) | 14,030,751 | 30.2 | 12,447,656 | 26.8 | 200 | 185 |
기독교사회연합(CSU) | 3,255,487 | 7.0 | 2,869,688 | 6.2 | 46 | 46 | ||
CDU/CSU 소계 | 17,286,238 | 37.2 | 15,317,344 | 33.0 | 246 | 231 | ||
bgcolor="#F0001C" | | 사회민주당(SPD) | 11,429,231 | 24.6 | 9,539,381 | 20.5 | 153 | 59 | |
bgcolor="#00ADEF" | | 독일을 위한 대안(AfD) | 5,317,499 | 11.5 | 5,878,115 | 12.6 | 94 | 3 | |
bgcolor="#FFED00" | | 자유민주당(FDP) | 3,249,238 | 7.0 | 4,999,449 | 10.7 | 80 | 0 | |
bgcolor="#BE3075" | | 좌익당(Linke) | 3,966,637 | 8.6 | 4,297,270 | 9.2 | 69 | 5 | |
bgcolor="#58AB27" | | 동맹 90/녹색당(B90/Gr) | 3,717,922 | 8.0 | 4,158,400 | 8.9 | 67 | 1 |
rowspan="2"| | CDU/CSU | SPD | AfD | FDP | Linke | Grün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0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F0001C"|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00ADEF"|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FFED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BE3075"|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58AB27"| | |
전국 평균 | 32.9 | 20.5 | 12.6 | 10.7 | 9.2 | 8.9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34.0 | 23.3 | 8.2 | 12.6 | 7.3 | 12.0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33.1 | 15.1 | 18.6 | 6.2 | 17.8 | 4.3 |
함부르크주 | 27.2 | 23.5 | 7.8 | 10.8 | 12.2 | 13.9 |
니더작센주 | 34.9 | 27.4 | 9.1 | 9.3 | 7.0 | 8.7 |
브레멘주 | 25.1 | 26.8 | 10.0 | 9.3 | 13.4 | 11.1 |
브란덴부르크주 | 26.7 | 17.6 | 20.2 | 7.1 | 17.2 | 5.0 |
작센안할트주 | 30.3 | 15.2 | 19.6 | 7.8 | 17.7 | 3.7 |
베를린주 | 22.7 | 17.9 | 12.0 | 8.9 | 18.8 | 12.6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32.6 | 26.0 | 9.4 | 13.1 | 7.5 | 7.6 |
작센주 | 26.9 | 10.5 | 27.0 | 8.2 | 16.1 | 4.6 |
헤센주 | 30.9 | 23.5 | 11.9 | 11.5 | 8.1 | 9.7 |
튀링겐주 | 28.8 | 13.2 | 22.7 | 7.8 | 16.9 | 4.1 |
라인란트팔츠주 | 35.9 | 24.1 | 11.2 | 10.4 | 6.8 | 7.6 |
바이에른주 | 38.8 | 15.3 | 12.4 | 10.2 | 6.1 | 9.8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34.4 | 16.4 | 12.2 | 12.7 | 6.4 | 13.5 |
자르란트주 | 32.4 | 27.1 | 10.1 | 7.6 | 12.9 | 6.0 |
서독 지역 평균 | 34.1 | 21.9 | 10.7 | 11.5 | 7.4 | 9.8 |
동독 지역 평균 | 27.6 | 13.9 | 21.9 | 7.5 | 17.8 | 5.0 |
rowspan=3| | 전체 | CDU/CSU | SPD | AfD | FDP | Linke | Grün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000"colspan=3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F0001C"colspan=3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00ADEF"colspan=2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FFED00"colspan=2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BE3075"colspan=2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58AB27"colspan=2 | | ||||||||||||||||||
709 | 299 | 47 | 246 | 231 | 43 | 153 | 59 | 3 | 94 | 3 | 80 | 0 | 69 | 5 | 67 | 1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26 | 11 | 3 | 10 | 10 | 3 | 6 | 1 | 0 | 2 | 0 | 3 | 0 | 2 | 0 | 3 | 0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16 | 6 | 2 | 6 | 6 | 2 | 2 | 0 | 0 | 3 | 0 | 1 | 0 | 3 | 0 | 1 | 0 | ||||||
함부르크 | 16 | 6 | 2 | 4 | 1 | 0 | 5 | 5 | 2 | 1 | 0 | 2 | 0 | 2 | 0 | 2 | 0 | ||||||
니더작센주 | 66 | 30 | 0 | 21 | 16 | 0 | 20 | 14 | 0 | 7 | 0 | 7 | 0 | 5 | 0 | 6 | 0 | ||||||
브레멘주 | 6 | 2 | 1 | 1 | 0 | 0 | 2 | 2 | 1 | 1 | 0 | 0 | 0 | 1 | 0 | 1 | 0 | ||||||
브란덴부르크주 | 25 | 10 | 3 | 9 | 9 | 3 | 4 | 1 | 0 | 5 | 0 | 2 | 0 | 4 | 0 | 1 | 0 | ||||||
작센안할트주 | 23 | 9 | 4 | 9 | 9 | 4 | 3 | 0 | 0 | 4 | 0 | 2 | 0 | 4 | 0 | 1 | 0 | ||||||
베를린주 | 28 | 12 | 0 | 6 | 4 | 0 | 5 | 3 | 0 | 4 | 0 | 3 | 0 | 6 | 4 | 4 | 1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142 | 64 | 0 | 42 | 38 | 0 | 41 | 26 | 0 | 15 | 0 | 20 | 0 | 12 | 0 | 12 | 0 | ||||||
작센주 | 38 | 16 | 3 | 12 | 12 | 3 | 4 | 0 | 0 | 11 | 3 | 3 | 0 | 6 | 1 | 2 | 0 | ||||||
헤센주 | 50 | 22 | 3 | 17 | 17 | 3 | 12 | 5 | 0 | 6 | 0 | 6 | 0 | 4 | 0 | 5 | 0 | ||||||
튀링겐주 | 22 | 8 | 3 | 8 | 8 | 3 | 3 | 0 | 0 | 5 | 0 | 2 | 0 | 3 | 0 | 1 | 0 | ||||||
라인란트팔츠주 | 37 | 15 | 3 | 14 | 14 | 3 | 9 | 1 | 0 | 4 | 0 | 4 | 0 | 3 | 0 | 3 | 0 | ||||||
바이에른주 | 108 | 46 | 7 | 46 | 46 | 7 | 18 | 0 | 0 | 14 | 0 | 12 | 0 | 7 | 0 | 11 | 0 |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96 | 38 | 11 | 38 | 38 | 11 | 16 | 0 | 0 | 11 | 0 | 12 | 0 | 6 | 0 | 13 | 0 | ||||||
자르란트주 | 10 | 4 | 1 | 3 | 3 | 1 | 3 | 1 | 0 | 1 | 0 | 1 | 0 | 1 | 0 | 1 | 0 | ||||||
9. 연립 정부 구성
각종 여론조사 결과, 집권 연정의 연방의회 내 과반수 의석 확보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선거 직후부터 사민당과 기민련 대표들은 대연정을 이어가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76][77][78] 사민당 연방의회 원내대표인 토마스 오퍼만은 2017년 1월 말 대연정 연장에 거부 입장을 표명했고,[76] 사민당 사무총장 카트리나 마르라이도 사민당 내 누구도 대연정 연장을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77] 기민련 정치인 옌스 슈판도 더 이상 대연정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78]
단독 과반 획득에 실패한 우니온은 자민당, 녹색당과 연정을 이루는, 이른바 '자메이카 연정'을 구상했다.[89] 그러나 자민당의 반발로 연정에 실패했다. 자민당의 크리스티안 린너 대표는 "그간 어떤 공동의 비전도, 공동의 신뢰도 쌓을 수 없었다. 잘못 통치하느니, 통치하지 않는 게 낫다."라는 입장을 밝혔다.[90]
마르틴 슐츠 사민당 대표와 다른 당 지도자들은 만족스럽지 못한 선거 결과에 따라 사민당이 현 대연정을 지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28] 이에 따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자민당과 녹색당과 자메이카 연정을 구성해야 할 수도 있다는 추측이 나왔다.[29] 2017년 10월 9일, 메르켈은 10월 18일부터 자민당과 녹색당을 연정 구성 회담에 초대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30][31]
예비 회담 마지막 날, 네 정당은 이민 및 기후 문제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32] 11월 20일 자민당이 회담에서 철수하면서 예비 회담이 결렬되었다.[33] 이후 독일 대통령은 SPD에 강경 입장을 바꾸고 CDU/CSU와의 대연정을 고려해 줄 것을 호소했다.[34] 11월 24일, 슐츠는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과 회담 후, 당원들에게 CDU/CSU와 또 다른 대연정을 구성할지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35] 12월 6일 SPD는 당 대회를 열었고, 당 대의원 대다수가 CDU/CSU와 예비 연정 협상을 시작하는 데 찬성표를 던졌다.[37]
2018년 1월 12일, CDU/CSU와 SPD는 예비 협상에서 돌파구를 마련하여 대연정을 위한 공식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개요 문서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42] 1월 21일, SPD는 임시 당 대회를 열어 예비 협상 결론을 수용하고 CDU/CSU와 공식 연정 협상을 시작하는 데 찬성표를 던졌다.[44] 공식 연정 협상은 1월 26일에 시작되었다.[45][46]
2월 7일, CDU/CSU와 SPD는 차기 정부 구성을 위한 최종 연정 협정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47] 협정에 따르면 SPD는 재무부, 외무부, 노동부를 포함한 6개의 장관직을, CDU는 5개, CSU는 3개의 장관직을 받았다.[48] 연정 협정은 약 46만 명의 SPD 당원들의 우편 투표 승인을 받아야 했다.[54][55] 3월 4일 투표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응답자의 66%가 협정에 찬성했고 34%가 반대했다.[56] 약 78%의 SPD 당원이 우편 투표에 응답했다.[56] 이 결과로 2018년 3월 14일 메르켈의 네 번째 임기에 대한 분데스탁 승인 직후 새 정부가 출범할 수 있었다.[57]
참조
[1]
뉴스
Official German election results confirm Merkel's victory
http://www.dw.com/en[...]
Deutsche Welle
2013-09-23
[2]
뉴스
Bundesregierung: Die Große Koalition ist besiegelt
http://www.zeit.de/p[...]
2013-12-16
[3]
웹사이트
Art 39 GG – Einzelnorm
https://www.gesetze-[...]
[4]
웹사이트
Bundespräsident Gauck fertigt Anordnung über Bundestagswahl aus
http://www.bundespra[...]
[5]
웹사이트
Wahlsystem der Bundestagswahl in Deutschland – Wahlrecht und Besonderheiten
http://www.wahlrecht[...]
[6]
웹사이트
Bundestagswahl 2017 – Übersicht: Eingereichte und zugelassene Landeslisten der Parteien
http://www.wahlrecht[...]
[7]
웹사이트
Angela Merkel's Bavarian allies CSU threaten rightward shift
http://www.dw.com/en[...]
[8]
웹사이트
Deutscher Bundestag - IV. Fraktionen
https://www.bundesta[...]
[9]
웹사이트
Ergebnisse Deutschland - der Bundeswahlleiter
https://www.bundeswa[...]
[10]
웹사이트
Results - The Federal Returning Officer
https://www.bundeswa[...]
[11]
뉴스
Deutscher Bundestag - Startseite
https://www.bundesta[...]
[12]
뉴스
Ein historisches Amt für Wolfgang Schäuble
http://www.sueddeuts[...]
2017-09-25
[13]
뉴스
Deutscher Bundestag - Wolfgang Schäuble mit Abstand dienstältester Abgeordneter
https://www.bundesta[...]
[14]
뉴스
Sitzordnung im Bundestag noch umstritten
http://www.n-tv.de/p[...]
[15]
웹사이트
Künftiger Bundestagspräsident Schäuble: Der Alleskönner
http://www.spiegel.d[...]
2017-09-27
[16]
뉴스
Hans-Peter Friedrich kandidiert zum Bundestags-Vizepräsidenten
http://www.infranken[...]
[17]
웹사이트
Stichwahl in der Fraktion: AfD will Glaser als Bundestags-Vizepräsident
http://www.spiegel.d[...]
2017-09-27
[18]
웹사이트
Bundestagsvizepräsident: Widerstand gegen AfD-Vorschlag
https://www.tagessch[...]
[19]
웹사이트
Neuer Bundestag: Die Grünen wollen Roth sehen
https://www.tagessch[...]
[20]
웹사이트
AfD nominiert Harder-Kühnel als Bundestags-Vize
https://www.tagessch[...]
[21]
웹사이트
Deutscher Bundestag - Startseite
https://www.bundesta[...]
[22]
웹사이트
Bundestag im zweiten Wahlgang gegen AfD-Abgeordnete
https://www.sueddeut[...]
[23]
웹사이트
AfD lawmaker Mariana Harder-Kühnel fails again in vice presidency bid {{pipe}} DW {{pipe}} 04.04.2019
https://www.dw.com/e[...]
[24]
웹사이트
Parlament soll Donnerstag abstimmen: Jetzt schickt die AfD Gerold Otten in die Wahl zum Bundestagsvize
https://rp-online.de[...]
2019-04-09
[25]
웹사이트
Deutschland: AfD scheitert auch mit Kandidat Otten bei Wahl zum Bundestagsvizepräsidenten
https://www.zeit.de/[...]
2019-04-11
[26]
웹사이트
AfD-Kandidat scheitert bei Wahl zum Vize-Bundestagspräsidenten
https://www.neuepres[...]
[27]
웹사이트
AfD-Politiker Gerold Otten scheitert auch im dritten Anlauf als Bundestagsvizepräsident
https://www.welt.de/[...]
2019-06-06
[28]
뉴스
Merkel Humbled as Far-Right Surge Taints Her Fourth-Term Victory
https://www.bloomber[...]
2017-09-24
[29]
뉴스
Germany's Merkel rules out coalition with far left, far right
https://www.reuters.[...]
Reuters
2017-08-29
[30]
뉴스
Koalition: Merkel lädt ab Mittwoch kommender Woche zu Jamaika-Gesprächen
http://www.spiegel.d[...]
2017-10-09
[31]
웹사이트
Angela Merkel Ready to Move Forward with Jamaica Coalition
http://www.politico.[...]
Politico
2017-10-07
[32]
뉴스
Endspurt mit strittigen Themen
https://www.tagessch[...]
tagesschau
2017-11-15
[33]
뉴스
FDP bricht Jamaika-Sondierungen ab
https://www.tagessch[...]
tagesschau
2017-11-20
[34]
웹사이트
German coalition talks: Merkel and Schulz set to meet
http://www.dw.com/en[...]
[35]
뉴스
Germany's SPD is ready for talks to end coalition deadlock
https://www.theguard[...]
2017-11-24
[36]
뉴스
German grand coalition talks unlikely to begin until new year
https://www.theguard[...]
2017-11-27
[37]
웹사이트
SPD agrees to open government talks with Merkel after Schulz pleads for green light
https://www.thelocal[...]
2017-12-10
[38]
웹사이트
German SPD backs talks with Merkel after impassioned Europe speech
https://www.reuters.[...]
2017-12-10
[39]
웹사이트
Martin Schulz seeks backing for grand coalition to end Germany crisis
https://www.theguard[...]
2017-12-10
[40]
웹사이트
Germany's 'grand coalition' could return as Schulz makes U-turn
https://www.thetimes[...]
2017-12-10
[41]
뉴스
Germany's SPD to join talks on resolving government impasse
https://web.archive.[...]
2017-12-10
[42]
웹사이트
German coalition talks reach breakthrough: A look at what comes next
http://www.dw.com/en[...]
2018-01-19
[43]
웹사이트
Germany's Social Democrats vote for formal coalition talks with Angela Merkel
https://www.economis[...]
2018-01-23
[44]
웹사이트
Germany's SPD gives the go-ahead for coalition talks with Angela Merkel's CDU
http://www.dw.com/en[...]
Deutsche Welle
2018-01-23
[45]
웹사이트
Germany: Angela Merkel's conservatives and SPD open grand coalition talks
http://www.dw.com/en[...]
DeutscheWelle
2018-01-27
[46]
웹사이트
The major sticking points in Germany's upcoming coalition talks
http://www.dw.com/en[...]
2018-01-23
[47]
웹사이트
Few cheers at home for Germany's last-resort coalition
https://www.reuters.[...]
2018-02-08
[48]
웹사이트
German conservatives smart at coalition concessions
https://www.ft.com/c[...]
FT
2018-02-08
[49]
웹사이트
Europe, immigration key to Merkel's coalition deal with Social Democrats
http://en.rfi.fr/201[...]
RFI
2018-02-08
[50]
웹사이트
Germany's top parties reach deal
http://www.heraldliv[...]
2018-02-08
[51]
웹사이트
Hero to 'loser': the broken promises of SPD leader Schulz
https://www.thelocal[...]
2018-02-08
[52]
웹사이트
German coalition in crisis as Schulz ditches foreign minister plan
https://www.politico[...]
2018-02-09
[53]
웹사이트
Ein neuer Aufbruch für Europa Eine neue Dynamik für Deutschland Ein neuer Zusammenhalt für unser Land
https://www.cdu.de/s[...]
CDU
2018-02-08
[54]
웹사이트
Germany's Angela Merkel finally reaches coalition deal with SPD
http://www.dw.com/en[...]
DW
2018-02-08
[55]
뉴스
Germany coalition deal reached after months of wrangling
https://www.bbc.com/[...]
2018-02-07
[56]
웹사이트
Germany's Social Democrats endorse grand coalition
https://www.politico[...]
2018-03-04
[57]
웹사이트
Bundestag reelects Merkel as chancellor
https://www.politico[...]
2018-03-14
[58]
서적
ドイツ連邦議会選 メルケル氏が楽勝しなかった場合どうなる
https://www.bbc.com/[...]
BBC
2017-09-19
[59]
뉴스
ドイツ連邦議会選挙 右派政党躍進 議会運営など影響か
http://www3.nhk.or.j[...]
NHK
2017-09-25
[60]
웹사이트
Bundestag: Sieben Parteien im Parlament
http://www.zeit.de/n[...]
디・ツァ이트
2017-09-24
[61]
웹인용
Bundespräsident Gauck fertigt Anordnung über Bundestagswahl aus
http://www.bundespra[...]
2017-01-24
[62]
웹인용
Wahl zum 19. Deutschen Bundestag
https://www.bundeswa[...]
[63]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www.bgbl.de/[...]
[64]
웹인용
Merkel will kandidieren
https://www.cdu.de/a[...]
2016-11-20
[6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7-02-21
[66]
웹인용
Gabriel zur Kanzlerkandidatur. Mit Schulz und Scholz
https://www.tagessch[...]
2016-11-21
[6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pp.handelsbl[...]
2017-02-21
[68]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abendblat[...]
[69]
웹인용
Parteimitteilung
https://web.archive.[...]
2017-02-21
[70]
웹인용
FDP setzt für Wahljahr 2017 auf Christian Lindner
https://web.archive.[...]
2016-11-20
[71]
웹사이트
http://www.tagesspie[...]
[72]
웹인용
Lucke wird Spitzenkandidat für die Bundestagswahl
http://www.zeit.de/p[...]
2016-12-04
[73]
웹인용
Kabarettist Somuncu will Bundeskanzler werden
https://www.merkur.d[...]
2016-12-02
[74]
웹인용
Schulz und Merkel gleichauf
https://www.tagessch[...]
2017-01-30
[75]
웹인용
SPD überholt Union in neuer Umfrage
https://www.welt.de/[...]
2017-02-06
[76]
웹사이트
http://www.zeit.de/p[...]
[77]
웹인용
Interview Barley
http://www.rp-online[...]
[78]
웹인용
CDU kritisiert Sturzgeburt, SPD gibt sich euphorisch
http://www.spiegel.d[...]
2017-01-30
[79]
웹사이트
Weitere Umfragen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0]
웹인용
SPON-Wahltrend: SPD legt unter Schulz deutlich zu
http://www.spiegel.d[...]
2017-02-05
[81]
웹사이트
Wahlumfrage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2]
웹사이트
Wahlumfrage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3]
웹사이트
Wahlumfragen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4]
웹사이트
Wahlumfrage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5]
웹사이트
Wahlumfrage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6]
웹사이트
Wahlumfragen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7]
웹사이트
Wahlumfrage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8]
웹사이트
Wahlumfrage zur Bundestagswahl
http://www.wahlrecht[...]
[89]
웹사이트
vertical portal definition
http://www.newsis.co[...]
[90]
뉴스
http://news.kha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