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는 2020년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이다.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의장을 맡았으며, "모두를 위한 21세기 기회 실현"을 주제로 인적 역량 강화, 지구 보호, 새로운 프론티어 형성에 집중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3월에는 화상 회의 형식의 긴급 정상 회담이 열렸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와 B20 행사 보이콧, 네옴 프로젝트 관련 논란 등도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 | |
---|---|
정상회담 개요 | |
이름 | 2020년 G20 리야드 정상회담 |
원어 제목 | 15th G20 Summit (15차 G20 정상회담) |
![]() | |
개최국 | 사우디아라비아 |
날짜 | 2020년 11월 21일 – 2020년 11월 22일 |
개최 도시 | 부라이다, 리야드, 타부크 (개최); 다양한 장소 (가상) |
참가국 | G20 회원국 |
초청국 | 방글라데시, 세네갈, 코모로, 이집트, 모리셔스 |
이전 정상회담 | 14차 |
다음 정상회담 | 16차 |
슬로건 | 모두를 위한 21세기의 기회 실현 |
의장 | 살만 국왕 |
2. 참석 정상
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에는 G20 회원국 정상들과 초청국 정상들이 참석했다.
구분 | 국가 | 직위 | 이름 |
---|---|---|---|
G20 회원국 | 아르헨티나 | 대통령 |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
오스트레일리아 | 총리 | 스코트 모리슨 | |
브라질 | 대통령 | 자이르 보우소나루 | |
캐나다 | 총리 | 쥐스탱 트뤼도 | |
중화인민공화국 | 주석 | 시진핑 | |
프랑스 | 대통령 | 에마뉘엘 마크롱 | |
독일 | 총리 | 앙겔라 메르켈 | |
인도 | 총리 | 나렌드라 모디 | |
인도네시아 | 대통령 | 조코 위도도 | |
이탈리아 | 총리 | 주세페 콘테 | |
일본 | 총리 | 스가 요시히데 | |
멕시코 | 대통령 |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 |
러시아 | 대통령 | 블라디미르 푸틴 | |
사우디아라비아 | 국왕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대통령 겸 2020 아프리카 연합 의장 | 시릴 라마포사 | |
대한민국 | 대통령 | 문재인 | |
튀르키예 | 대통령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 |
영국 | 총리 | 보리스 존슨 | |
미국 | 대통령 | 도널드 트럼프 | |
유럽 이사회 | 유럽 이사회 의장 | 샤를 미셸 | |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 |
초청국 | 요르단 | 국왕 | 압둘라 2세 |
르완다 | 대통령 겸 2020년 NEPAD 의장 | 폴 카가메 | |
싱가포르 | 총리 | 리셴룽 | |
스페인 | 총리 | 페드로 산체스 | |
스위스 | 대통령 | 시모네타 소마루가 | |
아랍에미리트 | 부통령 겸 총리 겸 2020년 걸프 협력 회의 의장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 | |
베트남 | 총리 겸 2020년 ASEAN 의장 | 응우옌쑤언푹[4] |
2. 1. G20 회원국 정상
2. 2. 초청국 정상
3. 의제
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는 "모두를 위한 21세기 기회 실현"이라는 주제 아래, 인적 역량 강화, 지구 보호, 새로운 프론티어 형성이라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설정했다. 또한, 코로나19 범유행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긴급 정상회의가 화상 통화 방식으로 개최되었다.
3. 1. 사우디아라비아 의장국 주제 및 목표
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 국왕이 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 의장을 맡았다.[5]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은 2019년 12월 G20 의장국을 맡아, 2020년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리야드에서 열리는 정상회의를 이끌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모두를 위한 21세기 기회 실현"이라는 주제로 G20의 활동을 이끌었으며, 공식적으로 다음 세 가지 목표에 집중했다:[6]
- '''인적 역량 강화''': 모든 사람, 특히 여성과 청소년이 생활하고, 일하고, 번영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한다.
- '''지구 보호''': 우리의 글로벌 공유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증진한다.
- '''새로운 프론티어 형성''': 혁신과 기술 발달의 혜택을 공유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과감한 전략을 채택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G20 의장국을 기념하기 위해 20 리얄 기념 지폐를 발행했다.[7]
3. 2. 긴급 정상회의: 코로나19 대응
2020년 3월 26일, G20 회원국들은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며 화상 통화를 통해 긴급 정상 회담을 개최하여,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조율된 글로벌 대응 방안을 계획했다. 2020년 정상 회담을 주재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국왕이 주재한 이 회의는 봉쇄 및 통행 금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이 일자리와 소득을 잃으면서 바이러스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에 대처할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했다.[9]인권 단체 국제앰네스티는 긴급 정상 회담에서 인권 준수 행동 계획이 배제된 것에 대해 실망감을 표명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모든 사람의 정보 접근 보장, 성 평등 관점의 완전한 통합 계획 등 일련의 요구를 했다. 또한, 이 NGO는 가능한 경우 미결수 구금자 석방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라이프 바다위, 루자인 알하들룰, 사마르 바다위와 같은 양심수 석방을 요구하여, 낮은 면역력으로 인해 감옥 내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될 가능성을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4. 논란
2020년 리야드 G20 정상회의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와 네옴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의 베두인 부족 강제 이주 논란이 있었다.
4. 1. 사우디아라비아 인권 문제
2020년 10월 7일, 유럽 의회는 인권 침해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발표했다. 이 결의안은 유럽 의회 의원 (MEP)에 의해 통과되었으며, 예멘에서 후티 반군에 의해 버려진 후 사우디 당국에 의해 구금된 에티오피아 이주민에 대한 왕국의 잔혹한 처우를 강조했다. 또한 유럽 의회 의원들은 여성 및 기타 인권 옹호자들을 구금하고 있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비판하며, 유럽 연합 회원국들에게 리야드 G20 정상회의에서의 외교 및 기관 대표를 격하시킬 것을 촉구했다.[11]G20 리야드 정상회의에서 사우디 아라비아는 B20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었으며, 이는 사우디 아라비아 내 여성 처우 문제로 인해 인권 단체와 민주주의 옹호 활동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활동가들은 외교관, 정치인 및 HSBC, 마스터카드, 펩시코(PepsiCo)와 같은 우량 기업들에게 이 비즈니스 행사를 보이콧할 것을 촉구했으며, 사우디 아라비아의 진정한 변화를 주도하는 인물들은 감옥에 갇혀 전기 충격, 태형, 성폭행을 포함한 지속적인 학대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12]
도미닉 라브 외무·영연방·개발부 장관은 2020년 11월, 왕국의 끔찍한 인권 기록과 다가오는 미래형 메가시티 프로젝트인 네옴 건설을 위해 베두인 부족을 그들의 땅에서 몰아내려는 최근 시도 때문에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를 보이콧하라는 요구를 받았다.[13]
4. 2. B20 행사 보이콧 촉구
유럽 의회는 2020년 10월 7일 사우디 아라비아의 인권 침해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발표했다. 이 결의안은 유럽 의회 의원(MEP)에 의해 통과되었으며, 예멘에서 후티 반군에 의해 버려진 후 사우디 당국에 의해 구금된 에티오피아 이주민에 대한 왕국의 잔혹한 처우를 강조했다. 또한 유럽 의회 의원들은 여성 및 기타 인권 옹호자들을 구금하고 있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비판하며, 유럽 연합 회원국들에게 리야드 G20 정상회의에서의 외교 및 기관 대표를 격하시킬 것을 촉구했다.[11]G20 리야드 정상회의에서 사우디 아라비아는 B20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었으며, 이는 사우디 아라비아 내 여성 처우 문제로 인해 인권 단체와 민주주의 옹호 활동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활동가들은 외교관, 정치인 및 HSBC, 마스터카드, 펩시코(PepsiCo)와 같은 우량 기업들에게 이 비즈니스 행사를 보이콧할 것을 촉구했으며, 사우디 아라비아의 진정한 변화를 주도하는 인물들은 감옥에 갇혀 전기 충격, 태형, 성폭행을 포함한 지속적인 학대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12]
4. 3. 네옴 프로젝트 관련 논란
2020년 11월, 도미닉 라브 외무·영연방·개발부 장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기록과 미래형 메가시티 프로젝트인 네옴 건설을 위해 베두인 부족을 그들의 땅에서 몰아내려는 시도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를 보이콧하라는 요구를 받았다.[13]참조
[1]
웹사이트
Saudi Arabia to host G20 summit in 2020
https://www.thenatio[...]
2017-07-08
[2]
뉴스
Saudi Arabia hosts the 15th G20 Leaders' Summit in 2020
https://www.spa.gov.[...]
2019-04-17
[3]
뉴스
All-virtual G20 summit opens with Saudi Arabia as host
https://www.cbsnews.[...]
2020-11-21
[4]
웹사이트
G20 2020 Saudi Arabia
https://web.archive.[...]
2020-11-22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audi participation in the G20 summits
http://english.alara[...]
2019-07-15
[6]
웹사이트
Presidency Agenda
https://web.archive.[...]
2019-09-01
[7]
웹사이트
New 20 Saudi riyal banknote launched by Saudi Arabia to mark G20 presidency
https://xpressriyadh[...]
2020-10-24
[8]
간행물
First G20 Sherpa Meeting
https://web.archive.[...]
G20
2019-09-01
[9]
뉴스
G20 to hold emergency video summit to discuss coronavirus
https://www.theguard[...]
2020-03-26
[10]
웹사이트
G20: AFTER VIRTUAL SUMMIT, ACTION PLANS MUST BE HUMAN RIGHTS COMPLIANT
https://www.amnesty.[...]
2020-03-27
[11]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n the situation of Ethiopian migrants in detention centres in Saudi Arabia
https://www.europarl[...]
2020-10-07
[12]
뉴스
Saudi G20 event slammed over kingdom's treatment of women
https://www.nbcnews.[...]
2020-10-26
[13]
뉴스
Dominic Raab urged to boycott G20 over Saudi Arabia's bid to evict Bedouin tribe from homeland
https://www.telegrap[...]
2020-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