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식 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9식 전차는 1950년대 후반 소련의 T-54A 전차를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 및 생산된 전차이다. 초기에는 T-54A와 동일한 구조였으나, 이후 야간 투시 시스템, 수직 안정화 장치 등이 추가되었고, 100mm 강선포를 주포로 사용하며, 59식-II와 같은 개량형도 존재한다. 중소 우호 동맹 조약 체결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에 제식 채택되었으며, 69식, 79식, 80식 전차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59식 전차는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인도-파키스탄 전쟁,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실전 경험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85식 전차
85식 전차는 1980년대 파키스탄군의 노후 전력 현대화를 위해 중국과 협력 개발되었으며, 파키스탄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105mm 강선포 장착 초기형과 125mm 활강포 탑재 파생형이 개발, 수출되었고, 방어력 및 사격 통제 시스템 개선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62식 경전차
62식 경전차는 중국이 59식 전차를 경량화하여 남중국 지역의 지형 조건에 맞춰 개발, 생산, 배치한 경전차로, 중월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개량형과 신형 포탑 탑재형이 개발되었고 2013년 초에 퇴역하여 15식 경전차로 대체되었다. - 주력전차 - M48 패튼
M48 패튼은 M46 패튼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미국의 주력 전차로, 90mm 주포에서 105mm 주포로 개량되었고,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항속거리와 연비 효율성을 높였으며, 여러 파생형과 다양한 국가에서 운용 및 개량되어 여러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전차이다. - 주력전차 -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1은 서독에서 개발되어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105mm 주포를 장착한 주력전차로, NATO 회원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현재는 일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었다. - 소련-중국 관계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소련-중국 관계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59식 전차 | |
---|---|
개요 | |
![]() | |
종류 | 주력전차 |
생산 기간 | 1958년–1985년 |
사용 기간 | 1959년–현재 |
생산 대수 | 9,500대 |
제작사 | 내몽고제일기계집단유한공사 노린코 |
제원 | |
승무원 | 4명 |
장갑 | 20–203 mm |
주무장 | 100 mm 강선포 |
부무장 | 2 x Type 59T 7.62 mm 동축 기관총 Type 54 12.7 mm 대공 기관총 |
엔진 | Model 12150L V-12 액체 냉각 디젤 |
엔진 출력 | 520 마력 (390 kW) |
현가 장치 | 토션 바 |
마력 대 중량비 | 14.44 마력/톤 |
항속 거리 | 450 km, 외부 연료 탱크 장착 시 600 km |
사용된 전쟁 |
2. 특징
59식 전차는 소련의 T-54A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형적인 냉전 시대 전차의 특징을 보인다.
59식 전차는 전투실이 앞쪽에, 엔진실이 뒤쪽에 배치되고 반구형 주조 포탑이 차체 중앙에 있는 전형적인 냉전기 전차의 형태를 띈다. 조종수석은 차체 전면 좌측에 있으며, 해치를 통해 출입한다. 조종수는 2개의 페리스코프를 통해 전방과 우측방을 관측할 수 있다. 전차장석은 포수, 장전수와 함께 포탑에 위치하며, 전차장 해치는 포탑 좌측에, 포수는 전차장 앞 아래쪽에 자리한다. 장전수석은 포탑 우측에 있으며, 별도의 해치가 있다. 포탑 내부에는 회전하는 바닥이 없어 승무원이 포탑과 함께 회전하지 않아 작전에 어려움이 있었다.
주포는 100mm 59식 강선포이며, 34발의 포탄을 적재할 수 있다. 부무장으로 7.62mm 59T식 기관총이 주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포수 해치에는 12.7mm 54식 대공 기관총(소련 M1938/46 DShKM의 복제)이 200발의 탄약과 함께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체 전방의 작은 구멍을 통해 7.62mm 59T식 기관총을 발사할 수 있으며, 이는 조종수가 조작한다. 통상적으로 3,500발의 7.62mm 탄약을 적재한다.
초기형 59식 전차는 주포의 상하 조절을 수동으로 조작했지만, 이후 개량형에서는 +17도에서 -4도까지 조절 가능한 전동 시스템으로 교체되었다. 후기 모델에는 기동 간 사격을 위한 수직 안정 장치가 추가되었다. 전차장, 포수, 조종수를 위한 적외선 잠망경이 포함된 적외선 탐조등 기반 야간 투시 장비도 장착되었다.
장갑은 주조 및 용접 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차체 전면 경사부는 99mm, 차체 바닥은 20mm 두께이다. 포탑은 39mm에서 100mm까지 두께가 다양하다.
59식 전차는 2,000rpm에서 520hp를 내는 12150L 12기통 수냉식 디젤 엔진으로 구동되며,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 변속기와 연결된다. 내부에 815리터, 외부에 400리터의 연료를 적재할 수 있어, 내부 연료만으로 430km, 외부 연료까지 합쳐 최대 600km를 주행할 수 있다. 전차 양옆에는 5개의 보기륜이 있으며, 1번과 2번 보기륜 사이에 간격이 넓다. 현가 장치는 토션 바 방식이며, 엔진 배기구는 좌측 펜더에 있다.
2. 1. 장점
59식 전차는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운용 및 정비가 비교적 쉽다는 장점이 있다.[2] 이러한 장점 덕분에 59식 전차는 베트남 전쟁,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중월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등 여러 전쟁에서 활약했다.2. 2. 단점
59식 전차는 포탑 내부에 탄약을 보관하기 때문에, 적의 공격으로 전차 내부가 관통될 경우 유폭될 확률이 높아 승무원의 생존성이 낮다.3. 개발사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이후, 1956년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에 T-54A 전차 생산 공장 설립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1] 초기에는 소련제 부품으로 전차를 조립했지만, 점차 중화인민공화국 자체 생산 부품으로 대체했다. 59식 전차는 1959년 인민해방군의 승인을 받아 제식 채택되었고, 59식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1]
59식 전차는 중화인민공화국 1세대 전차 개발의 시초였다. 이후 59식 전차는 여러 개량을 거쳐 69식 전차, 79식 전차로 발전했으며, 이는 2세대 전차인 80식 전차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59식 전차는 제조사 명칭인 WZ-120으로도 알려져 있다. 1959년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10,000대 이상 생산되었으며, 상당수가 해외로 수출되었다.[1]
4. 계열형
51구경 105mm 강선포 (79식)
7.62mm 기관총×1
대전차 미사일
7.62mm 기관총×1
7.62mm 기관총×1
(일부 복합)
V형 12기통디젤
V형 12기통과급 디젤
V형 12기통 디젤
1,500 hp(A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