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RA 베인티싱코 데 마요 (V-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RA 베인티싱코 데 마요 (V-2)는 아르헨티나 해군이 운용했던 항공모함이다. 원래 영국 해군의 HMS 베너러블로 건조되어, 네덜란드 해군에서 HNLMS 카렐 도어만으로 운용되다 1969년 아르헨티나 해군에 ARA 베인티싱코 데 마요 (V-2)로 명명되어 취역했다. 포클랜드 전쟁에 참여했으나, 연료 부족으로 인해 실제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1980년대 초반까지 아르헨티나 해군의 주력 항공모함으로 활동했으며, A-4 스카이호크 공격기, S-2 트래커 대잠 초계기 등을 함재기로 운용했다. 1996년 퇴역 후, 2000년 인도 알랑에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선박 - USS 요크타운 (CV-10)
    USS 요크타운 (CV-10)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군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침몰한 USS 요크타운 (CV-5)의 이름을 이어받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고 대잠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아폴로 8호의 승무원과 사령선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박물관 함선으로 전환되어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전시되어 있다.
  • 1943년 선박 - LST 문산
    LST 문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 소속 LST-120으로 태평양 전구에서 활동하다 대한민국 해군에 인수되어 문산호로 명명된 상륙함으로, 한국 전쟁 초기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장사상륙작전 기념공원에 모형이 건립되어 보존되고 기념관이 개관하여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있다.
  • 항공모함 - 항공모함 캐터펄트
    항공모함 캐터펄트는 함재기를 짧은 활주로에서 이륙시키는 장치로, 초기에는 화약, 추 등을 이용했으나 유압식을 거쳐 증기식을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항공기 부담을 줄이는 전자기식 발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항공모함 - STOBAR
    STOBAR는 항공모함에서 단거리 이륙 후 어레스팅 와이어를 이용해 착륙하는 방식으로, CATOBAR 방식보다 비용이 적게 들지만 운용 가능 기종과 이륙 중량에 제약이 있어 과도기적 기술로 평가받는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ARA 베인티싱코 데 마요 (V-2)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베인티싱코 데 마요 항공모함
베인티싱코 데 마요
함선 경력 (영국)
국가영국
발주1942년 8월 7일
건조캐멀 레어드
야드 번호1126
기공1942년 12월 3일
진수1943년 12월 30일
취역1944년 11월 27일
퇴역1947년 4월
식별 번호페넌트 번호: R63
운명1948년 4월 1일 네덜란드에 매각
함선 경력 (네덜란드)
국가네덜란드
함명 유래카렐 도르만
획득1948년 4월 1일
취역1948년 5월 28일
퇴역1968년 4월 29일
재정비1955–1958
1965–1966
식별 번호페넌트 번호: R81
운명1968년 10월 15일 아르헨티나에 매각
함선 경력 (아르헨티나)
국가아르헨티나
함명베인티싱코 데 마요
함명 유래5월 25일, 5월 혁명 기념일
획득1968년 10월 15일
재정비1969년
취역1969년 3월 12일
퇴역1997년
작전 중단1990년
모항푸에르토 벨그라노
운명에 예비 부품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2000년에 인도알랑에서 해체됨
함선 특징
함급Colossus급 항공모함
만재 배수량19,900톤
길이192 m (630 ft)
24.4 m (80 ft)
흘수7.5 m (25 ft)
추진4 × 보일러와 증기 터빈
2 × 축
40,000 shp (30,000 kW)
속력24 노트 (44 km/h)
승조원1,300명
무장12 × 40 mm 대공포
함재기21대

2. 함선 역사

영국 해군은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15척을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진수했는데, 그중 4번함 HMS Venerable (R63)은 1948년 네덜란드 해군에, 1968년 아르헨티나 해군에 차례로 중고로 판매되었다. 네덜란드는 이 함선을 20년간 운용한 후 아르헨티나에 매각했고, 아르헨티나는 개조를 거쳐 베인티싱코 데 마요로 명명했다.[2] 1990년 노후화 및 경제 상황 악화로 인해 현역에서 물러났고, 1997년에 제적, 퇴역했다.

ARA ''Veinticinco de Mayo'' 배지. "Juramos con gloria morir"라는 모토가 새겨져 있으며, 이는 "영광스럽게 죽기를 맹세한다"라는 뜻으로 아르헨티나 국가를 인용한다.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버켄헤드의 Cammell Laird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영국 해군에서 3년간 복무 후 네덜란드에 HNLMS 카렐 도어만으로 판매되었다. 보일러실 화재 이후 개조되어 아르헨티나에 판매되었고, ''베인티싱코 데 마요''로 개명되었다.

아르헨티나 해군은 이미 ARA 인데펜덴시아라는 항공모함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인데펜덴시아의 캐터펄트제트기를 발사할 만큼 강력하지 않았다.[3] 반면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네덜란드에서의 개조를 통해 더 강력한 캐터펄트를 장착하여 최대 24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었다.

1982년경 ''베인티싱코 데 마요''에 착륙하는 A-4Q


함재기는 F9F 팬서와 F9F 쿠거 제트기로 시작하여 이후 A-4Q 스카이호크로 교체되었으며, S-2 트래커 대잠전 항공기 및 시코르스키 씨 킹 헬리콥터가 지원했다. 1981년에 레이더, 어레스팅 기어, 증기 캐터펄트가 업데이트되었으나, 캐터펄트 문제로 슈페르 에탕다르 대신 A-4Q 스카이호크를 운용했다.

2. 1. 영국 해군 시절

영국 해군은 만재배수량 18,000톤인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15척을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진수했다. 그중 1945년에 취역한 4번함 HMS Venerable (R63)이 ARA 베인티싱코 데 마요 (V-2)의 전신이다.

이 함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12월 3일 영국 버켄헤드의 Cammell Laird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2]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베너러블(HMS Venerable)'''이라는 이름을 받아 1945년 1월 17일 취역하여 영국 태평양 함대에 소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몇 달 만에 종전을 맞이했고, 종전 후 얼마 동안은 전쟁 포로의 본국 송환에 참여했다. 전쟁 당시에는 항공모함 건조와 배치가 시급했지만, 종전으로 다수의 항공모함을 보유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에 따라 베너러블은 영국 해군 취역 3년 만인 1948년에 네덜란드에 매각되었다.

2. 2. 네덜란드 해군 시절

1948년 5월 28일, 영국 해군에서 구매한 HMS 베네러블(HMS Venerable)은 카렐 도르만으로 이름이 바뀌어 네덜란드 해군에 취역했다. 이 함선은 네덜란드 해군이 운용한 함선 중 가장 큰 규모였다.[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왕복 엔진기를 운용하던 항공모함에서 제트기를 운용할 수 있는 현대적인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작업이 1955년 7월부터 1958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이 개조를 통해 앵글드 데크가 증설되었고, 증기 캐터펄트가 설치되었다.[3]

1968년 4월 28일, 카렐 도르만함의 기관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기관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원래 수년 후 퇴역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수리하지 않고 조기 퇴역하였다.

2. 3. 아르헨티나 해군 시절

영국 해군의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4번함 HMS Venerable (R63)은 1948년 네덜란드 해군에, 1968년 아르헨티나 해군에 차례로 중고로 판매되었다.[2] 네덜란드는 20년간 이 함선을 운용 후 아르헨티나에 매각했고, 아르헨티나는 이 함선을 개조하여 베인티싱코 데 마요로 명명했다.

아르헨티나 해군은 이미 인데펜덴시아라는 콜로서스급 항공모함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인데펜덴시아의 캐터펄트제트기를 발사할 만큼 강력하지 않았다.[3] 반면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네덜란드에서 개조를 거치면서 더 강력한 캐터펄트를 장착했다. 1970년 인데펜덴시아가 퇴역하면서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아르헨티나 함대의 유일한 항공모함이 되었다.

함재기 부대는 F9F 팬서와 F9F 쿠거 제트기로 시작하여, 이후 A-4Q 스카이호크로 교체되었다. S-2 트래커 대잠전 항공기와 시코르스키 씨 킹 헬리콥터가 이를 지원했다. 1980년부터 1981년까지 비행 갑판 면적 증가, 앵글드 데크 연장 등의 개수를 통해 슈페르 에탕다르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으나, 시험 결과 캐터펄트가 슈페르 에탕다르를 발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A-4Q 스카이호크 운용으로 제한되었다.

2. 3. 1. 포클랜드 전쟁

포클랜드 전쟁 당시,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아르헨티나의 초기 상륙을 지원했다.[4] 침공 당일, 스탠리 항구 밖에 1,500명의 육군 병사와 함께 대기했으나, 함재기는 사용되지 않았다.[5] 이후 포클랜드 제도 북쪽의 기동 부대에 배치되었으며, 순양함 ARA General Belgranoes는 남쪽에 있었다. 영국은 ''베인티싱코 데 마요''를 추적하여 필요시 격침하기 위해 핵 추진 잠수함을 배정했다.[6]

1982년 5월 1일, 영국 해군 기동 부대에 대한 공격이 계획되었다. ''베인티싱코 데 마요''의 S-2 트래커가 영국 함대를 탐지하고, 8대의 A-4Q 스카이호크 공격기가 새벽에 이륙할 예정이었으나, 후속 트래커 출격이 영국 함대의 위치를 ​​다시 찾지 못해 공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8]

1982년4월에 시작된 포클랜드 전쟁에서 이 함선은 제조원이자 이전 소속이었던 영국과 싸우게 되었다. 기동 부대에 편성되어 포클랜드 제도 북쪽에 배치되었고, 남쪽에는 순양함 헤네랄 벨그라노가 배치되었다. 영국은 스위프트슈어급 원자력 잠수함 스파르탄에게 베인티싱코 데 마요를 추적하여 필요한 경우 격침하는 임무를 부여했다.

1982년5월 1일, HMS 허미즈와 HMS 인빈시블 2척의 항공모함을 주축으로 하는 영국 기동 부대에 대해 A-4Q 스카이호크의 파상 공격을 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항공모함 간의 전투가 될 뻔했던 이 전투에서, 연료와 무장을 가득 채운 아르헨티나의 함재기는 풍량 부족으로 이륙할 수 없었고, 대결은 실현되지 않았다.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화재 사고 이후 레바이어선에서 가져온 기관의 상태가 좋지 않아 항공기 운용에 필요한 속도를 내기 어려웠다. 항공모함은 함재기 발함 시 바람을 정면으로 맞으며 전속력으로 돌진해야 하는데, 자체 속도가 느리면 만재 상태의 함재기는 이함조차 할 수 없었다.

영국 해군은 아르헨티나군의 항공기 공격으로 구축함 셰필드나 아마존급 프리깃 아덴트 등 다수의 함선을 잃고, 더 이상의 손실을 우려하여 항공모함은 전투 구역 밖에 머물렀다.

아르헨티나 해군 역시 순양함 헤네랄 벨그라노가 처칠급 원자력 잠수함 컨커러에 의해 격침된 이후,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항구로 돌아가 외해로 나가지 않았다.[9] 이 때문에 추적 임무를 맡았던 잠수함 스파르탄은 목표를 잃게 된다.

함재기 A-4Q는 이후 푸에고 섬의 리오그란데 해군 항공 기지에서 이륙하여 아덴트를 침몰시키는 등 전과를 올렸지만, 3대의 A-4가 시 해리어에 격추되었다.

이 전쟁에서 쉬페르 에탕다르에서 발사된 엑조세 대함 미사일이 영국 함정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당시 쉬페르 에탕다르는 베인티싱코 데 마요에의 착함이 승인되지 않아 육상 기지에서 발진했다.

3. 함재기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초기에 F9F 팬더, F9F 쿠거 전투기를 함재기로 사용했다. 이후 1972년 A-4Q 스카이호크 전투기, S-2 트래커 대잠전기, SH-3 시 킹 헬기로 교체되었다.[2]

1969년 8월, 네덜란드에서 아르헨티나로 항해하던 중, 영국 호커 시들리해리어 GR.1을 베인티싱코 데 마요에 착륙시키며 판매를 시도했다. 1980년부터 1981년에는 비행 갑판 면적 증가, 앵글드 데크 연장 등의 개수를 통해 슈페르 에탕다르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4. 독도함 비교

독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강습상륙함이며, 베인티싱코 데 마요함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베인티싱코 데 마요독도함
길이192m199m
만재배수량19,900톤18,800톤
엔진4만 마력4만 마력



베인티싱코 데 마요함은 일자형 항공모함으로, 함재기 착륙 유도를 위해 경사지게 페인트를 하고 어레스팅 와이어를 설치했다. 함수에는 증기식 캐터펄트 1개를 장착했으나, 잦은 고장과 저출력이 문제였다. 캐터펄트가 1개뿐이라 고장나면 헬기 항모로만 이용해야 했다. 베인티싱코 데 마요함은 원래 만재배수량 18,000톤이었으나, 함선 개장 후 19,900톤이 되었다. 함재기는 24대 탑재 가능했다.[1]

5. 비글 분쟁

1978년에서 1980년 사이의 ''베인티싱코 데 마요''


소베라니아 작전 당시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피크톤, 누에바, 레녹스 섬 침공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6. 퇴역과 해체

1983년, ARA 베인티싱코 데 마요는 슈퍼 에탕다르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고,[10] 영국제 CAAIS 전투 데이터 시스템은 아르헨티나 해군의 새로운 구축함과 호환되는 네덜란드 SEWACO 시스템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1986년부터 엔진 문제로 인해 주로 항구에 정박하게 되었고, 운용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11]

1988년, 항공모함 개장을 위한 작업이 시작되어 증기 터빈을 가스터빈으로 교체하고, 선박의 증기 캐터펄트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증기 설비를 제공할 계획이었다. 1994년까지 선박의 기계 장치는 제거되었지만, 자금 부족으로 작업이 중단되었다.[11][12] 1996년 12월, 아르헨티나 해군은 베인티싱코 데 마요를 폐기한다고 발표했다.[13] 이 배는 이미 브라질 항공모함 미나스 제라이스의 예비 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주요 장비가 제거된 상태였다.[14] 미나스 제라이스는 네덜란드에서 대대적으로 개조된 또 다른 콜로서스급 선박이었다.[14] 2000년, 선체는 해체를 위해 인도의 알랑으로 예인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The Falkland Islands – A history of the 1982 conflict http://www.raf.mod.u[...] RAF 2008-09-21
[2] 문서 Ireland
[3] 간행물 Historic Aircraft-The Navy's Frontline in Korea https://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2008-04
[4] 웹사이트 25 de Mayo http://www.globalsec[...] 2005-04-24
[5] 웹사이트 The Falkland Islands Conflict, 1982: Air Defense Of The Fleet https://www.globalse[...]
[6] 서적 The Official History of the Falklands Campaign: War and diplomac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 서적 One Hundred Days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ossus class carrier Minas Gerais (Ex HMS Vengeance) http://www.fleetaira[...] 2012-02-29
[15] 뉴스 Los Super Étendard argentinos estarían operativos en dos años https://www.infodefe[...] Noticias Infodefensa América 2020-06-10
[16] 뉴스 Argentine Air Force faces another hurdle for its re-equipment plans https://en.mercopres[...] 2021-05-26
[17] 뉴스 Argentina busca repuestos para los asientos eyectables de los Super Étendard Modernisé https://www.infodefe[...] Noticias Infodefensa América 2021-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