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VG A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VG A3는 독일 베를린 지하철의 소형 규격 노선에서 운행된 전동차 시리즈이다. 1960년에 도입된 A3형을 시작으로,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한 A3L형, A3L 82형, A3L 92형, 그리고 개조된 A3E형 등이 존재한다. A3형은 강철 차체, A3L형은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했으며, 각 차량은 기술적 특징과 디자인 차이를 보인다. 현재는 A3E와 A3L92 차량이 운행 중이며, 과거 A3-60, A3-64/66, A3L71 등의 차량은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U반 - BVG HK
    BVG HK 차량은 2001년 도입된 베를린 지하철 차량으로, H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고 4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U2 노선에서 주로 운행되며 U1, U3 노선에서도 운행된다.
  • 베를린 U반 - BVG H
    BVG H형 전동차는 독일 베를린 지하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이며, 독일 통일 이후 대중교통 수요에 맞춰 개발되어 완전 압출성형 차체, 플러그인 도어, 롱 시트, 개방형 통로 등의 특징을 가지고 U5, U6, U7, U8, U9 노선에서 운행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BVG A3
기본 정보
1987년 6월 크룸메 랑케 역의 A3 차량
1987년 6월 크룸메 랑케 역의 A3 차량
운영 기관베를린교통공사
노선U1, U2, U3 & U4
제작 회사ABB 헨셸
AEG
오렌슈타인 운트 코펠
지멘스
바곤 유니온
제작 년도1960–1994
운행 시작1960 (A3-60)
1964 (A3-64)
1966 (A3-66)
1966 (A3L66)
1967 (A3L67)
1971 (A3L71)
1982 (A3L82)
1992 (A3L92)
차체 재질알루미늄
연결 장치샤르펜베르크
안전 장치데드 맨 스위치
열차 길이(대차 충돌 방지 장치 포함)
측면 문양쪽 12개 (한쪽 6개)
중량~
동력 장치전기 모터
전력 공급750 V DC 제3궤조
집전 방식접촉 슈
추가 정보
형식복합 유닛
차호A3 60: 984/985–998/999
A3 64: 934/935–982/983
A3 66: 892/893–932/933
A3L 66: 884/885–890/891
A3L 67: 794/795–882/883
A3L 71: 656/657–792/793
A3L 82: 640/641–654/655
A3L 92: 538/539–638/639
편성 당 차량 수2량
동력 방식동력분산식
전기 방식직류 750V 제3궤조
차륜 배열B'B'+B'B' (A3L 92: Bo'Bo'+Bo'Bo')
편성 출력A3: 480 kW
A3L, A3L 82: 420 kW
A3L 92: 712 kW
용도지하철 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2. 개발

BVG A3 차량은 1950년대 서베를린 BVG가 D형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한 소형 규격 차량이다. 1960년 최초 생산분(A3 60)이 반입되었으며, 베를린 장벽 건설 이전 동베를린으로 운행했던 몇 안 되는 서베를린 소속 차량이었다.

이후 A3 60의 경험을 바탕으로 1964년부터 양산형 차량(A3 64, A3 66)이 제작되었다. 이 차량들은 차체 중량이 감소되었고, 창문 아래 장식띠가 있었으나 1980년대에 제거되었다.[7] 1998년 이후 일부 차량은 폐차되었고, 나머지는 개수되어 A3E형으로 운행 중이다. A3형은 강철로 제작되어 많은 전력을 소비했다.

유형시리즈번호차량 수
A3-601960984/985–998/99916
A3-641964934/935–982/98350
A3-661966892/893–932/93342



A3-60은 초기에는 B I선과 A I선에 투입되었으나,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B I선(슐레지셰스 토어 - 루흘레벤)에서만 운행되었다. A3-64는 A III선과 A I선에 투입되었다.

A3L형은 A3를 기반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경량 전동차로, 차체 중량 감소로 전동기 출력이 축소되었다. A3L형 도입으로 서베를린 BVG에서 AI형(1968년), AII형(1973년) 차량은 모두 퇴역했다.[8] 2007년 HK형 전동차 도입으로 A3L 66, A3L 67 차량은 알루미늄 차체 부식으로 폐차되었다. 2011년 중반, BVG는 신형 소형 규격 차량(IK형) 시험 운행을 발표했고, IK형 차량 도입으로 A3L 71 차량은 단계적으로 폐차되어 2022년 3월 운행을 중단했다.[9]

형식시리즈번호차량 수
A3L661966884/885–890/8918
A3L671967794/795–882/88390
A3L711971656/657–792/793138
A3L821982640/641–654/65516
A3L921993-95538/539–638/639102



A3L82형은 DC-DC 컨버터를 채용하여 가감속 성능을 개선했고, F형 차량과 유사한 외관을 적용했다. A3L 92형은 유도전동기가 장착된 최초의 소형 규격 차량이었다. 2018년 여름부터 A3L82형의 폐차가 시작되어 2018년 9월에 마지막 차량이 퇴역했다.[11]

독일의 재통일 이후 U2 노선이 다시 연결되면서 동베를린에서 사용하던 GI/1형 차량을 대체하기 위해 A3L92형이 도입되었다.

높아진 차량 조달 가격으로 인해 BVG는 1990년대 말 A3 64/66 차량 개수를 시작했다. 개수된 차량은 A3E형으로, 유지보수 및 내장재는 A3L 92 수준으로 개선되었고, 저항 제어기가 컨버터 제어기로 교체되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A3-64/66형 28개 편성이 A3E형으로 개조되었다.[2] A3E형과 A3L 92 차량은 병결 운행이 가능하게 변경되었다.

2. 1. A3

당시 종착역이었던 슐레지셰스 토어역의 A3 66, 1987년


1953년 당시 서베를린 BVG는 향후 D형 차량이 될 신형 대형 규격 차량 조달을 시작했다. 1957년 초도 편성 반입 후 바겐 유니온과의 협력으로 D형 차량과 유사한 소형 차량 개발을 시작했고, 이 차량은 A3형이 되었다. 최초 생산분은 1960년에 반입되었고, 동형의 차량 8편성은 A3 60으로 불린다. 이 객차는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 이전에 동베를린으로 운행했던 몇 안 되는 서베를린 소속 차량이기도 했다.

최초 생산분에서 취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1964년부터 양산형 차량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차체는 바겐 유니온 및 오렌슈타인 운트 코펠에서 제작했으며, A3 60에 비해서 중량이 2.6 t 감소했다. 1964년부터 A3 64 25편성, 1966년부터 A3 66 21편성이 반입되어 총 54편성이 재적되어 있었다.

차량 반입 당시에는 A3, A3L 차량의 외부 창문 밑에 장식띠가 있었으나, 1980년대에 유지 보수 소요 감소를 위해서 제거되었다.[7] 병결 운행 시 장식띠의 존재 여부는 중요하게 간주되지 않아서 편성 내부에서도 차이가 있다.

A3형 차량 중 최고령 차량 일부는 1998년 이후에 폐차되었으며, 대부분 차량은 개수 작업을 거쳐서 A3E형 차량으로 계속 운행하고 있다.

A3형은 1960/61년, 1964년, 1966년에 걸쳐 세 차례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열차들은 강철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전기가 필요했다.

유형시리즈번호차량 수
A3-601960984/985–998/99916
A3-641964934/935–982/98350
A3-661966892/893–932/93342



1960년에 A3-60은 처음에는 B I선과 A I선에 투입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A3-60 열차는 B I선(슐레지셰스 토어 - 루흘레벤)에서만 운행이 허용되었다.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 전까지는 판코까지 운행했다. A3-64는 다시 A III선과 A I선에 투입되었다.

2. 2. A3L

A3L형은 A3를 기반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경량 전동차 모델이다. L은 경금속제(Leichtmetallbauweise)를 의미한다.

장식띠가 있는 A3L 66, 크루메 랑케역, 1987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생산된 AI, AII형 차량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총 118편성이 발주되었다. 반입 시기별로 A3L 66, A3L 67, A3L 71로 구분된다. 알루미늄 차체 채택으로 차체 중량이 감소하여 전동기 출력이 축소되었다. A3과 A3L형 차량 도입으로 서베를린 BVG에서 AI형 차량은 1968년, AII형 차량은 1973년에 전부 퇴역했다.[8]

2007년 HK형 전동차 도입으로 1966년, 1967년 생산분 A3L 차량은 알루미늄 차체 부식으로 폐차되었다. 2011년 중반, BVG는 2014년부터 신형 소형 규격 차량(IK형) 시험 운행을 발표했다. IK형 차량은 4량 편성 54편성이 반입되었다. A3L 71 차량 중 초기형은 2010년과 2015년에 폐차되었으며, A3L 67 차량처럼 알루미늄 차체 부식이 발생했다. A3L 71 차량은 계속 폐차되어 2021년 10월 17일에 고별 운행을, 2022년 3월 6일에 마지막 차량 운행을 중단했다.[9]

형식시리즈번호차량 수
A3L661966884/885–890/8918
A3L671967794/795–882/88390
A3L711971656/657–792/793138
A3L821982640/641–654/65516
A3L921993-95538/539–638/639102



A3L66 열차는 1966년에 투입되어 U2 노선에서 운행되던 구형 열차를 대체하고 2000년에 교체되었다. A3와 A3L 차량은 창문 가장자리 아래에 몰딩이 있었으나 1970년대 후반에 제거되었다.

A3L67 열차는 1967년에 투입되어 U3 및 U4 노선에서 구형 A I 열차를 대체하고 2006년에 교체되었다. 알루미늄 차체 마모가 심각하여 업그레이드가 어려웠다.

A3L71 열차는 1971년에 투입되어 U2 노선에서 구형 A II 열차를 대체했다. 2011년 중반 BVG는 신형 IK 시리즈 시험 운행을 발표했고, A3L71 차량은 2010년과 2015년에 단계적으로 폐차되었다.

A3L82 열차는 1982년에 디자인이 약간 수정되었지만 기존 열차와 호환 가능했고, 1호선(슐레지셰스 토르 - 루흘레벤)에 투입되었다.

A3L92 열차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제작되었으며, U1 및 U2 노선에 투입되었다. 3상 전력을 사용하는 최초의 소형 프로파일 열차였다.

2018년 여름, BVG는 A3L82의 운행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2018년 9월에 마지막 두 대의 유닛이 퇴역했다.

2. 3. A3L 82

1973년부터 F형 차량에 적용된 신기술이 A3L 82형 차량에도 적용되었다. DC-DC 컨버터를 채용하여 가감속 성능을 개선했다. A3L 82형은 F76-F79.3 차량과 유사한 외관을 적용했으며, 전두부 행선 안내기의 회송 안내 표지가 단순한 녹색에서 변경되었다.[10] 내부는 A3 차량과 유사하며 출입문 디자인을 사용한다. 계획 단계에서는 2량 편성의 중간에 관절대차를 사용할 계획이었고, 기존 A3와 기술적 차이 때문에 A4라는 형식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1982년 9월 최초 반입되었으나, A3L 82 차량은 8편성만 제작되었다. 당시 소형 규격 노선에서 가장 오래된 차량의 차령은 약 20년이었고, 추가로 소형 규격 노선이 건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소형 규격 차량이 더 필요하지 않았다. 해당 차량은 베를린 보르지히발데에 있었던 WU 공장에서 제작되었고, 편성 제작비는 였다. 차량 번호는 655부터 640호이다.[10]

기술 및 전장품 설계는 지멘스에서 담당했다. AEG는 고전압 계기 및 변압기, 크노르는 압축 공기 및 제동 장치, Wabco는 단락 보호 장치, 티센은 구동 장치, 샤르펜베르크는 연결기를 제작했다. 집전 장치는 이전 세대 차량과 다르게 새로 제작되었다. 상용 제동은 자기 제동, 비상 제동은 전기 제동이 체결된다.[10] 제어기는 편성을 구성하는 두 차량에 동일한 제품으로 탑재되었으며, 사이리스터 제어기는 회생 제동을 지원했다. 전장품은 차량 하부 컨테이너에 수납된 형태로 부착되었으며, 편성별로 주 차단기, 주 변압기, 배터리와 공기 압축기는 1조씩만 장착되었다.[10]

기존 A3L처럼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했으며, 편성 중량은 35.3t이다. 이전 세대 차량보다 10.7% 더 무거워졌다. 운행 최고 속도는 52, 62, 72km/h로 설정 가능했다. 활주 방지와 출입문 개방을 위한 별도 컴퓨터가 장착되었다. 제작 당시 플랩식 행선안내기가 장착되었으며, 각 플랩 배경색은 노선 색상에 맞게 칠해졌다. 차륜에는 소음 방지 구조물이 장착되었다.[10]

A3L 82형 차량, 2006년


A3L 82형 차량은 1983년 6월 14일부터 영업 운행을 시작했고, 640/641편성은 당시 3호선이었던 비텐베르크플라츠-울란트슈트라세 구간 3개 역을 셔틀로 운행했다. 7월 중순에는 두 번째 편성이 반입되어 크루메 랑케 방향 당시 2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9월부터 4편성이 병결된 8량 편성이 가능했으며, 1984년 5월 20일에는 A3L 82(654/655)와 A3L 67(868/869)의 복합 편성이 최초로 운행했다.[10] 제작 당시 A3 및 A3L 차량과 병결 운행이 기계 및 전기적으로 가능했다. 2003년부터 기술 변경을 통해 A3L 92 차량과 병결 운행을 시도했으나, A3L 82 차량 내에서만 병결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2004년 전두부 운전실 창문 형상이 A3L 92형과 다르게 변경되어 A3L 82형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이전에는 행선 안내기로 구분이 가능했으나 A3L 92와 동일한 행선 안내기가 장착되었기 때문이다.

슐레지셰스 토어역의 A3L 82와 A3 66, 1987년


2018년 여름부터 A3L 82형의 폐차가 시작되었고, 646/647, 650/651편성은 운행을 계속할 예정이었다. 나머지 편성은 그루네발트 및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에서 폐차 처리되었다.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던 A3L 82 편성은 2018년 9월에 폐차되었고, 650/651편성은 나머지 차량의 부품 공급용으로 변경되었다.[11]

2. 4. A3L 92

크루메 랑케역의 A3L 92


독일의 재통일 이후 베를린 지하철 U2 노선이 동서로 다시 연결되었다. 동베를린에서 사용했던 GI/1형 차량에 문제가 있어, 일부 차량은 조기에 폐차해야 했고, 나머지 G형 차량을 개량하거나 새 차량을 도입해야 했다. 통일 베를린의 BVG는 GI/1형 차량을 전부 폐차할 계획이었으나 취소되었다.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총 2량 편성 51편성이 도입되었다. A3L 82형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소형 규격에서는 최초로 유도전동기가 장착되었다. 마지막 차량 16량(8편성)은 전기식 출입문이 장착되었다. 부식으로 인해 566/567편성은 조기에 폐차되었다.

A3L92형은 A3L82형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지만, 이전 열차와 달리 나무 패널 대신 내부에 회색 페인트가 칠해졌다. 또한, 3상 전력을 사용하는 최초의 소형 프로파일 열차였다.

형식시리즈번호차량 수
A3L921993-95538/539–638/639102


2. 5. A3E

높아진 차량 조달 가격으로 인하여 BVG에서는 1990년대 말에 운행이 가능했던 A3 64/66 차량의 개수를 시작했다. 유지보수 및 내장재는 A3L 92에 준하는 수준으로 개수되었고, 유지보수 부담이 높은 저항 제어기를 컨버터 제어기로 교체했다. DUEWAG식 구동계는 유지되었으나, 가속 및 제동 성능은 A3L 92와 유사하게 개조되었다. 이에 따라서 A3E 및 A3L 92 차량은 병결 운행이 가능하게 변경되었다. 차량 외형적으로는 외기 유입 덕트 구조가 변경되었다. St-52 강철재로 제작된 차체는 운행 이후에도 크게 손상되지 않았으며, 내시경 진단 결과 잔여 염분이 유입될 수 있는 출입문 구역을 제외하면 부식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운전실로의 외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전면 비상 탈출문 구조가 변경되었다. 차량 개조는 그루네발트 기지의 유휴 공간에서 진행되었다.[12]

2002년, 베를린 시의회가 더 많은 A3형 열차에 대한 자금 지원 요청을 거부한 후, BVG는 강철 차체 A3형의 개조 작업에 착수했다. 이 개조 프로젝트는 A3형의 수명을 20년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알루미늄 차체의 A3L형은 "구조적 피로"로 인해 제외되었다.[1] 2003년에서 2005년 사이에, A3-64/66형 28개 편성(pairs)이 '''A3E형'''으로 개조되었고, 차량 번호는 482/483에서 536/537로 변경되었다.[2] 970/971 편성(pair)은 외관 및 기술 업그레이드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개조 프로그램의 주요 단계가 시작된 2003년에 해체되었다.[3]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개수된 A3 64E 및 A3 66E 편성은 2019년 3월까지 중검수를 진행하여 다시 운행에 투입되었다. 현재 이들 차량은 독일의 U반 차량 중 차령이 약 60년으로 가장 오래된 차량에 속하며, 평균 총 370만 km를 운행했다.[12]

3. 차량

BVG A3형 전동차는 1960년부터 서베를린 BVG에서 도입한 베를린 지하철의 소형 규격 차량이다. A3형은 크게 강철 차체의 A3와 알루미늄 차체의 A3L로 나뉜다.


  • A3 (1960-1966):
  • 1960년 최초 도입된 A3 60은 베를린 장벽 건설 이전 동베를린으로 운행했던 몇 안 되는 서베를린 소속 차량이었다.[7]
  • 이후 A3 64, A3 66 등 추가 도입이 이루어졌다.
  • 1980년대 유지 보수 소요 감소를 위해 창문 아래 장식띠가 제거되었다.[7]
  • 일부 차량은 1998년 이후 폐차되었으며, 나머지는 개수 작업을 거쳐 A3E형으로 계속 운행되었다.
  • A3L (1966-1995):
  • A3L은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차체를 채택한 형식이다.
  • 1966년 A3L 66을 시작으로 A3L 67, A3L 71, A3L 82, A3L 92 등이 도입되었다.
  • A3L 82는 DC-DC 컨버터를 채용하여 가감속 성능을 개선했다.[10]
  • A3L 92는 소형 규격 차량 최초로 유도전동기를 장착했다.
  • 2007년 HK형 전동차 도입으로 일부 A3L 차량이 폐차되었다.
  • 2022년 3월 6일, 마지막 A3L 71 차량이 운행을 중단했다.[9]

  • A3E:
  • A3E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A3형 차량을 개수한 형식이다.
  • A3L 92형에 준하는 내장재로 개조되었으며, 차량 수명이 최대 20년까지 연장되었다.
  • 유지보수 부담이 높은 저항 제어기를 컨버터 제어기로 교체했다.

차량 특징:

  • 모든 차량은 동력차이며, 대차당 전동기가 1개씩(A3L 92는 각 축별 1개) 장착되어 있다.
  • A3형의 전동기 출력은 120kW, A3L형은 100kW, A3L 92형은 89kW이다.
  • 제동장치는 저항 제동, 압축 공기식 디스크 제동 등을 사용한다.
  • 내부 좌석은 롱시트를 사용하며, 초기에는 어두운 녹색, 후기에는 인조 가죽 재질을 사용했다.

A3/A3L 형식별 도입 시기 및 수량:

형식시리즈번호차량 수
A3-601960984/985–998/99916
A3-641964934/935–982/98350
A3-661966892/893–932/93342
A3L661966884/885–890/8918
A3L671967794/795–882/88390
A3L711971656/657–792/793138
A3L821982640/641–654/65516
A3L921993-95538/539–638/639102



2024년 8월 15일 현재, A3E 및 A3L92 차량이 운행 중이다. A3형 차량은 독일 U반 차량 중 차령이 약 60년으로 가장 오래된 차량에 속하며, 평균 총 370만 km를 운행했다.[12]

4. 운행

BVG A3형 전동차는 소형 규격 노선에서만 운행하며, 노선별로 편성 량수가 다르다. U1, U2 노선에서는 8량, U3 노선에서는 6량, U4 노선에서는 2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주말에는 U3 노선에 4량 편성이 운행되기도 한다. 야간에는 U1 노선은 6량, U2, U3 노선은 4량으로 운행하며, U4 노선은 야간 운행을 하지 않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으로 인해 열차들이 심하게 파손되어 새로운 차량 배치가 필요했다. 1957년, BVG-West는 D형 대형 규격 열차 제작에 착수했고, 바겐 유니온과 협력하여 D형과 유사한 소형 규격 열차인 A3형을 개발했다. A3형은 1960년, 1964년, 1966년에 걸쳐 세 차례 제작되었다.

유형시리즈번호차량 수
A3-601960984/985–998/99916
A3-641964934/935–982/98350
A3-661966892/893–932/93342



1960년에 제작된 A3-60형은 처음에는 B I선과 A I선에 투입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에는 B I선(슐레지셰스 토어 - 루흘레벤)에서만 운행이 허용되었다. A3-64형은 A III선과 A I선에 투입되었다.

A3형을 기반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A3L형이 개발되었다.

형식시리즈번호차량 수
A3L661966884/885–890/8918
A3L671967794/795–882/88390
A3L711971656/657–792/793138
A3L821982640/641–654/65516
A3L921993-95538/539–638/639102



A3L66형은 1966년에 투입되어 U2 노선에서 운행되던 구형 열차를 대체했고, 2000년에 교체되었다. A3L67형은 1967년에 투입되어 U3 및 U4 노선에서 구형 A I 열차를 대체했고, 2006년에 교체되었다. A3L71형은 1971년에 투입되어 U2 노선에서 구형 A II 열차를 대체했다. 2011년 중반, BVG는 새로운 IK 시리즈의 사전 생산 열차를 시험 운행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현재(2016년 2월 기준) 두 대만 인도되었다. A3L71 차량은 2010년과 2015년에 단계적으로 폐기되기 시작했다.

1982년에 제작된 A3L82형은 디자인이 약간 수정되었지만 기존 열차와 호환 및 상호 교환 사용이 가능했다. 이 열차는 1호선(슐레지셰스 토르 - 루흘레벤)에 투입되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제작된 A3L92형은 U1 및 U2 노선의 추가 열차를 위해 제작되었다. 3상 전력을 사용하는 최초의 소형 프로파일 열차였다.

2018년 여름, BVG는 A3L82형의 운행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마지막 두 대의 유닛은 2018년 9월에 퇴역했다. 2024년 8월 15일 기준으로, A3E 및 A3L92 차량이 운행 중이다.

마지막 A3-60형 차량은 1999년 12월까지 퇴역했고,[4] 마지막 A3L71 차량은 2022년 3월 6일에 운행을 마쳤다.[5]

참조

[1] 웹사이트 Berlin U-Bahn Train Type A3E http://www.berliner-[...] 2024-08-15
[2] 웹사이트 Upgrade plan: A3 → A3E http://www.berliner-[...] 2024-08-15
[3] 웹사이트 Berlin U-Bahn Train Type A3 http://www.berliner-[...] 2024-08-15
[4] 웹사이트 Timeline of Train Type A3 http://www.berliner-[...] 2024-08-15
[5] 웹사이트 Berlin: Letzter Tag A3L71 bei der BVG https://www.lok-repo[...] Lokomotive Fachbuchhandlung 2024-08-15
[6] 서적 Berliner U-Bahn Alba
[7] 서적 The Berlin U-Bahn Capital Transport
[8] 간행물 Neue Züge für Kleinprofil http://www.bvg.de/in[...] BVG-Kundenheft BVG Plus 2011-07
[9] 웹인용 LOK Report - Berlin: Letzter Tag A3L71 bei der BVG https://www.lok-repo[...] 2022-03-12
[10] 간행물 Rückblick auf die U-Bahn-Baureihe A3L 82 Berliner Verkehrsblätter 2019-11
[11] 서적 Kurzmeldungen – U-Bahn
[12] 서적 Kurzmeldungen – U-Bah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