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DG-991 세종대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DG-991 세종대왕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KDX-III 이지스 구축함으로, 2007년 진수되어 2008년 취역했다.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한국형 수직 발사기를 탑재하여 배수량이 증가했으며, 자체 개발한 천룡 순항 미사일과 홍상어 대잠미사일 등을 운용한다. 2009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탐지했으며, 환태평양 연합훈련(RIMPAC) 등에 참가했다. 2016년 림팩 훈련 중 SM-2 미사일 발사 실패, 과도한 건조 및 유지 비용 등의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대왕급 구축함 - DDG-993 서애류성룡
    서애류성룡함(DDG-993)은 대한민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으로, KDX-III 사업에 따라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어 AN/SPY-1D 레이더와 다양한 미사일 및 어뢰로 무장하고 환태평양 훈련에 참가하는 등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 세종대왕급 구축함 - DDG-992 율곡이이
    DDG-992 율곡이이는 율곡 이이의 이름을 딴 대한민국 해군 KDX-III 이지스 구축함으로, 2010년 취역하여 림팩 훈련 참가, 북한 미사일 발사 실험 대응 등의 활동을 했으며 SPY-1D(V) 레이더 등 최첨단 이지스 전투 체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
  • 2007년 선박 - JS 휴가 (DDH-181)
    JS 휴가 (DDH-181)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헬리콥터 구축함으로, 2009년 취역하여 C4ISTAR 시스템과 수직 발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대잠, 대공 전투 능력과 함께 다수의 헬기 운용 및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 2007년 선박 - SS-073 정지
    SS-073 정지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손원일급 잠수함으로, AIP 시스템을 갖춰 장기간 수중 작전이 가능하며, 무사고 항해 기록을 달성했으나 기술적 결함 및 고장으로 논란이 있었다.
  • 조선 세종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조선 세종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이자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한글 활자본으로, 석가모니의 공덕과 교화를 담고 있으며 국보 제320호로 지정된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DDG-991 세종대왕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8년 10월 7일 부산 국제 관함식 중인 ROKS 세종대왕
함명세종대왕 (세종대왕/世宗大王)
함명 유래세종대왕
함종구축함
세종대왕급
함번DDG-991
건조현대중공업
진수2007년 5월 25일
취역2008년 12월 22일
상태현역
모항(정보 없음)
제원
배수량기준: 8,500톤
만재: 10,000톤
길이166m
21.4m
흘수6.25m
추진 방식COGAG (Combined Gas turbine And Gas turbine)
추진 기관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 터빈 엔진 4기
2개
출력100,000 shp (75MW)
속력30노트 이상
항속 거리5,500해리
항해 지속 시간30일
승조원300명
센서 및 전자 장비
레이다AN/SPY-1D(V) 다기능 레이다
AN/SPG-62 화력 통제 레이다
소나DSQS-21BZ-M 함수 탑재 소나
SQR-220K 예인 배열 소나 시스템
적외선 탐색 및 추적 (IRST) 시스템Sagem IRST
전자전 장비LIG 넥스원 SLQ-200K 소나타 전자전 스위트
무장
함포5인치 (127mm)/L62 구경 Mk 45 Mod 4 함포 1문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골키퍼 CIWS 1문
RAM 블록 1 CIWS 1문
대함 미사일SSM-700K 해성 대함 미사일 16기
어뢰K745 청상어 어뢰용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수직 발사 시스템 (VLS)Mk 41 VLS 80셀 (SM-2 블록 IIIB/IV)
K-VLS 48셀
K-VLS 탑재 미사일K-ASROC 홍상어
현무 III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
항공 전력
함재기슈퍼 링스 또는 SH-60 시호크 2기
항공 시설격납고 및 헬기 착륙 갑판

2. 건함일지

1997년 김영삼 대통령이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응하여 해군 기동함대 건설을 해군참모총장에게 직접 지시하였으나, IMF 사태로 백지화되었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에서 본래 계획보다 적은 이지스함 3척을 진수하고 대신 이지스함의 화력을 높이는 쪽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2007년 5월 25일 울산광역시 현대중공업 제6도크에서 진수식을 가졌으며, 이날 진수식을 가짐으로써 대한민국은 세계 5번째 이지스함 보유국가가 되었다.[14] 행사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장수 국방장관, 송영무 해군참모총장 등 각계 주요 인사가 참석하였다.[15] 노무현 대통령은 축사에서 "오늘 인사문을 준비했는데, 가슴이 벅차 제대로 읽을 수 없다. 오늘은 대한민국 해군이 최고 성능의 배를 가지게 된 날이다."라고 말했다.[16]

함 명칭은 세종대왕의 정신을 이어받겠다는 의미로 '세종대왕함'으로 명명되었다.[17] 「세종대왕」함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된 KDX-III 이지스 시스템 탑재 7,600톤급 구축함으로, 2006년 5월 20일 기공, 2007년 5월 25일 진수, 2008년 12월 22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취역 후 작전 배치되었다.[8]

2010년 7월 환태평양 연합훈련(림팩 2010)에 잠수함 「이억기(SS-071)」와 함께 참가했다. 귀국 도중인 8월 12일, 미야기현 금화산 앞바다 동쪽 약 880km 해상에서 세종대왕함 수병(22세)이 위출혈을 일으켜 한국 대사관을 통해 일본 정부에 구조를 요청했고, 해상자위대의 구난비행정 US-1이 아쓰기 비행장에서 출발하여 수병을 무사히 구조했다.

2012년 12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2012년 12월)에 대응하여 한국 해군 이지스함이 출동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12일 미사일 발사 후 「栗谷李珥(DDG-992)」와 함께 황해 상공을 비행하는 미사일 궤적을 탐지했다.[9] 같은 날 오전, 세종대왕함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서쪽 약 160km 해상에서 미사일 잔해를 발견했고, 잠수함 구난함 「청해진(ASR-21)」이 이를 회수하기 위해 출동했다.[10]

2016년 7월, 림팩에 참가하여 스탠더드 미사일(SM-2) 발사 훈련을 실시했으나, 수동 모드로 발사한 1발이 불발되어, 추후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부터 추궁을 받았다.[11]

2019년 8월 25일-8월 26일, 한국군이 독도 주변에서 실시한 「동해 영토수호훈련」에 참가했다. 이 해역에서 이지스함이 군사훈련에 참가한 것은 처음이었다.[12]

2. 1. 진수 및 취역

1997년 김영삼 대통령이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응하여 해군 기동함대 건설을 해군참모총장에게 직접 지시하였으나, IMF 사태로 백지화되었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에서 본래 계획보다 적은 이지스함 3척을 진수하고 대신 이지스함의 화력을 높이는 쪽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2007년 5월 25일 오후 3시 울산광역시 현대중공업 제6도크에서 진수식이 거행되었으며, 이로써 대한민국은 세계 5번째 이지스함 보유 국가가 되었다.[14] 노무현 대통령과 김장수 국방장관, 송영무 해군참모총장 등 각계 주요 인사가 행사에 참석하였다.[15] 노무현 대통령은 축사에서 "오늘 인사문을 준비했는데, 가슴이 벅차 제대로 읽을 수 없다. 오늘은 대한민국 해군이 최고 성능의 배를 가지게 된 날이다."라고 말했다.[16]

송영무 해군참모총장은 진수식에서 "국민의 안위와 국방력 강화에 힘썼던 세종대왕의 정신을 이어받겠다."는 의미로 함명을 '세종대왕함'으로 명명했다고 밝혔다.[17] 대한민국 해군의 세종대왕함(DDG-991)은 2007년 5월 25일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으며, 2008년 12월 22일 취역하였다.

3. 특징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한국구축함 실험(KDX) 프로그램의 3단계 함정으로, 대한민국 주변 해역을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방어하고 원양 해군으로 발전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표준 배수량 8,500톤, 만재 배수량 10,000톤[3]으로, 대한민국 해군에서 가장 큰 구축함이자 다른 나라 해군의 대부분 구축함보다도 크다.[4] 알레이 버크급이나 아타고급보다 32발의 미사일을 더 수용할 수 있도록 크고 무겁게 건조되어, 일부에서는 구축함보다 순양함으로 분류하기도 한다.[5]

3. 1. 무장

세종대왕급의 기본 선체는 미국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한국형 수직 발사기(KVLS)가 48셀 탑재되었기 때문에 알레이버크급 구축함보다 배수량이 10% 정도 증가하였다. 이곳에는 자체 개발한 천룡 순항 미사일과 홍상어 대잠미사일이 탑재된다.

전투 시스템은 이지스 베이스라인 7.1과 거의 동일하지만 해성 미사일, RIM-116램, 골키퍼 CIWS 등 세종대왕급만의 구별되는 무기 체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ASWCS-K 대잠전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2009년 4월 5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세종대왕함이 15초 만에 탐지해 실시간으로 전파, 위력을 과시했다. 동해상에 함께 전개했던 미국, 일본의 이지스함보다 한 발 앞섰던 것으로 알려졌다.[18] 다만 미국과 일본의 구축함에 장착하는 레이더와 세종대왕급에 장착하는 레이더는 같기에 그저 거리 차이로 더욱 빨리 탐지했다고 생각하면 된다.[18] 본 함정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Baseline 7 Phase 1)과 AN/SPY-1D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다.[1]

3. 2. 탐지 장비

AN/SPY-1D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다.[1] 2009년 4월 5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15초 만에 탐지해 실시간으로 전파, 위력을 과시했다. 동해상에 함께 전개했던 미국, 일본의 이지스함보다 한 발 앞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과 일본의 구축함에 장착하는 레이더와 세종대왕급에 장착하는 레이더는 같기에 그저 거리 차이로 더욱 빨리 탐지했다고 볼 수 있다.[18]

3. 3. 성능

세종대왕급의 기본 선체는 미국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한국형 수직 발사기(KVLS)가 48셀 탑재되었기 때문에 알레이버크급 구축함보다 10% 정도 배수량이 증가하였다. 이곳에는 자체 개발한 천룡 순항 미사일과 홍상어 대잠미사일이 탑재된다.

전투 시스템은 이지스 베이스라인 7.1과 거의 동일하지만 해성 미사일, RIM-116램, 골키퍼 CIWS 등의 세종대왕급만의 구별되는 무기 체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ASWCS-K 대잠전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2009년 4월 5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15초 만에 탐지해 실시간으로 전파, 위력을 과시했다. 동해상에 함께 전개했던 미국, 일본의 이지스함보다 한 발 앞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과 일본의 구축함에 장착하는 레이더와 세종대왕급에 장착하는 레이더는 같기에 그저 거리 차이로 더욱 빨리 탐지했다 생각하면 된다.[18]

본 함정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Baseline 7 Phase 1)과 AN/SPY-1D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다.[1]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대규모 함정 건조 계획인 한국 구축함 실험(KDX) 프로그램의 3단계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주변 해역을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원양 해군으로 발전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표준 배수량 8,500톤, 만재 배수량 10,000톤[3]의 KDX-III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가장 큰 구축함이며, 다른 해군의 대부분 구축함보다 크다.[4] 또한, 32발의 미사일을 더 수용하기 위해 알레이 버크급이나 아타고급보다 약간 크고 무겁게 건조되었다. 따라서 일부 분석가들은 이 함급을 구축함이라기보다는 순양함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5]

항목내용
기준 배수량7,650톤
만재 배수량10,000톤 (+2000~3000톤 예상)
전장165.9m
선폭21.4m
흘수6.25m
추진4 x GE LM2500 (COGAG)
최고 속력30노트
항속 거리5,500해리 (10186km)
승조원300명 내외
탐지 장비
무장


4. 작전 운용

세종대왕함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된 KDX-III 이지스 시스템 탑재 7,600톤급 구축함으로, 2006년 5월 20일 기공, 2007년 5월 25일 진수, 2008년 12월 22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취역 후 작전 배치되었다.[8]

2010년 환태평양 연합훈련(림팩)에 참가 도중 세종대왕함 수병이 위출혈을 일으켜 일본 해상자위대의 도움을 받아 구조되었다.

2012년 12월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에 대응하여 황해 상공을 비행하는 미사일의 궤적을 탐지하고, 미사일 잔해를 발견했다.[9][10]

2019년 8월 25일-26일, 한국군이 독도 주변에서 실시한 「동해 영토수호훈련」에 참가했는데, 이지스함이 이 해역에서 군사훈련에 참가한 것은 처음이었다.[12]

4. 1. 북한 미사일 탐지 및 추적

2009년 4월 5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세종대왕함이 15초 만에 탐지해 실시간으로 전파하여 그 위력을 과시했다. 이는 동해상에 함께 전개했던 미국, 일본의 이지스함보다 한 발 앞섰던 것으로 알려졌다.[18] 다만, 미국과 일본의 구축함에 장착하는 레이더와 세종대왕급에 장착하는 레이더는 같으므로, 거리 차이로 인해 더 빨리 탐지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18]

4. 2. 환태평양 연합훈련 (RIMPAC) 참가

대한민국 해군은 환태평양 연합훈련(RIMPAC)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2010년 6월 23일, 세종대왕함이 림팩 2010에 참가했으며[6], 7월에는 이억기(SS-071)와 함께 참가했다.

2016년에는 세종대왕함이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강감찬함, 이억기함과 함께 림팩 훈련에 참가했다. 이 훈련에서 스탠더드 미사일(SM-2) 발사 훈련 중 수동 모드로 발사한 1발이 불발되기도 했다.[11]

세종대왕함은 2022년 림팩 훈련에 다시 참가했으며[7], 2019년 8월 25일-26일에는 한국군이 독도 주변에서 실시한 「동해 영토수호훈련」에 참가했다. 이지스함이 이 해역에서 군사훈련에 참가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12]

4. 3. 기타 작전

2010년 7월 환태평양 연합훈련(림팩 2010)에 잠수함 「이억기(SS-071)」와 함께 참가했다. 귀국 도중인 8월 12일, 미야기현 금화산 앞바다 동쪽 약 880km 해상에서 세종대왕함 수병(22세)이 위출혈을 일으켰다. 한국 대사관을 통해 일본 정부에 구조를 요청했고, 해상자위대의 구난비행정 US-1이 아쓰기 비행장에서 출발하여 수병을 무사히 구조했다.

2012년 12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2012년 12월)에 대응하여 한국 해군이 보유한 모든 이지스함이 출동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12일, 미사일이 발사되었고 「栗谷李珥(DDG-992)」와 함께 황해 상공을 비행하는 미사일의 궤적을 탐지했다.[9] 같은 날 오전, 세종대왕함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서쪽 약 160km 해상에서 미사일 잔해를 발견했고, 잠수함 구난함 「청해진(ASR-21)」이 이를 회수하기 위해 출동했다.[10]

2016년 7월, 환태평양 연합훈련(림팩)에 참가하여 스탠더드 미사일(SM-2) 발사 훈련을 실시했으나, 수동 모드로 발사한 1발이 불발되어, 추후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부터 추궁을 받았다.[11]

2019년 8월 25일-26일, 한국군이 독도 주변에서 실시한 「동해 영토수호훈련」에 참가했다. 이 해역에서 이지스함이 군사훈련에 참가한 것은 처음이었다.[12]

5. 논란 및 비판

세종대왕함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특별히 알려진 논란이나 비판은 없다.

5. 1. 2016년 RIMPAC 훈련 중 SM-2 미사일 발사 실패

2016년 7월, 림팩(RIMPAC)에 참가하여 SM-2 미사일 발사 훈련을 실시했으나, 수동 모드로 발사한 1발이 불발되어, 추후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부터 추궁을 받았다.[11]

참조

[1] 웹사이트 Sejong the Great Class / KDX-III Class Destroyer https://www.naval-te[...] 2020-08-07
[2] 웹사이트 Sejong the Great Sejongdaewang KDX-III Class AEGIS Destroyer Republic of Korea ROK Navy 세종대왕급 구축함 Yulgok Yi I Seoae Yu Seong-ryong Hyundai Heavy Industries HHI DSME 대한민국 해군 datasheet pictures photos video specifications https://www.navyreco[...] 2020-08-07
[3] 웹사이트 HD HYUNDAI HEAVY INDUSTRIES NAVAL & SPECIAL SHIPS BUSINESS UNIT https://naval-specia[...] 2024-07-28
[4] 웹사이트 Koreas KDX-III AEGIS Destroyers http://www.defensein[...] 2010-03-08
[5] 웹사이트 Sejong the Great Class Guided Missile Destroyer. http://www.military-[...]
[6] 웹사이트 Koreas KDX-III AEGIS Destroyers http://www.defensein[...] Defense Industry Daily 2020-08-07
[7] 웹사이트 RIMPAC 2022 Kicks off in Hawaii with 21 Partner Nation Ships https://news.usni.or[...] 2022-06-29
[8] 뉴스 国内初のイージス艦「世宗大王」が就役式、作戦配置 http://www.wowkorea.[...] 2008-12-22
[9] 뉴스 北朝鮮ミサイル発射 韓米当局の情報判断に問題点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2-12-12
[10] 뉴스 ミサイル:韓国軍、銀河3号の残骸を黄海で発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オンライン 2012-12-14
[11] 웹사이트 韓国軍の誘導ミサイル、9発のうち4発命中せず http://www.japanese.[...] 中央日報 2016-09-26
[12] 웹사이트 韓国軍、独島防御訓練にイージス艦・特戦司を初めて投入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8-26
[13] 뉴스 세종대왕함, 림팩훈련 함포사격 ‘탑건함’ 선정 https://news.naver.c[...] 2010-08-04
[14] 뉴스 국내 첫 이지스함 '세종대왕' 오늘 진수식 (2007년 5월 25일자 SBS뉴스) https://news.naver.c[...] SBS뉴스 2007-05-25
[15] 뉴스 이지스 세종대왕, 500km내 1천개 목표물 동시탐지 (2007년 5월 25일자 매일경제)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7-05-25
[16] 뉴스 現代重, 한국 첫 이지스함 진수 (2007년 5월 25일자 뉴시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5-25
[17] 뉴스 '꿈의 전함' 세종대왕함 진수 … 세계 3번째 보유국 '쾌거' (2007년 5월 25일자 노컷뉴스)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7-05-25
[18]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