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S 이즈모 (DDH-18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S 이즈모 (DDH-18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헬리콥터 탑재 구축함으로, 2015년에 취역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해군 함정 중 최대 규모이며, 헬리콥터와 수직이착륙기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 2018년 이후 F-35B 전투기 운용을 위한 개조가 진행되어, 2021년에는 F-35B의 이착함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즈모는 여러 국가와의 연합 훈련에 참여했으며, 한국 해군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상자위대의 구축함 - JS 이세 (DDH-182)
    JS 이세 (DDH-182)는 휴가급 헬기 탑재 구축함의 후계 함정으로 헬기 탑재 구축함으로 분류되지만 넓은 비행 갑판으로 인해 항공모함으로도 불리며, 수직 발사 시스템과 C4ISTAR 시스템을 갖춰 강력한 대잠 및 대공 능력을 보유하고 다양한 국제 훈련 참가 및 재해 구호 활동에도 참여했다.
  • 해상자위대의 구축함 - 이즈모급 헬리콥터 구축함
    이즈모급 헬리콥터 구축함은 해상자위대가 운용하는 헬리콥터 탑재 구축함으로, 1세대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의 후속함이며, 경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F-35B 전투기 운용을 위한 갑판 개량 및 내부 설비 변경이 진행 중이나 주변국으로부터 군비 경쟁 심화 및 헌법 9조 위반 논란을 야기한다.
  • 2013년 선박 - 머스크 트리플 E 급
    머스크 트리플 E급은 머스크 라인이 대우조선해양에 발주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으로, 해운 시장 경쟁 심화와 유가 상승에 대응하여 연료 효율과 적재 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1세대와 2세대로 나뉜다.
  • 2013년 선박 - USS 제럴드 R. 포드
    USS 제럴드 R. 포드는 제럴드 포드급 항공모함의 1번함으로, A1B 원자로, 전자기식 사출기, 첨단 착함 장치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2017년 취역하여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했다.
JS 이즈모 (DDH-183)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JS 이즈모 (DDH-183), 2021년 10월 3일 촬영
JS 이즈모 (DDH-183). 2021년 10월 3일, 새로운 마킹과 비행 갑판의 내열 코팅이 적용됨.
함명이즈모 (いずも)
함명 유래이즈모 국
소속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
약어JS Izumo (DDH-183)
휘장
건조 비용1208억 엔 (초도비 포함)
함력
국가일본
기공2012년 1월 27일
진수2013년 8월 6일
취역2015년 3월 25일
모항요코스카
상태현재 경항공모함으로 개조하기 위한 1차 개수 공사가 완료됨.
식별 부호함번: DDH-183
MMSI 번호: 431999556
콜사인: JSUM
제원
함급이즈모급 다목적 운용 호위함
배수량경하: 19,950톤
만재: 26,000톤
길이248 미터
38 미터
높이23.5 미터
흘수7.5 미터
동력COGAG 방식, 2축 추진
주기관IHI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IEC형 가스터빈 엔진 4기
출력112,000 마력
속력30노트 이상
승조원970명 (승무원 및 병력 포함)
탑재 능력화물유: 3300 킬로리터
3 1/2톤 트럭: 50대
센서 및 레이더
전투 지휘 체계OYQ-12 전투 지휘 체계
사격 통제 장치FCS-3 사격 통제 장치
레이더OPS-50 AESA 레이더
OPS-28 대수상 수색 레이더
소나OQQ-23 함수 소나
전자전 및 기만
전자전 장비NOLQ-3D-1 전자전 장비
채프 발사기Mark 36 SRBOC
어뢰 기만기대어뢰 기동 기만기 (MOD)
부유식 음향 재머 (FAJ)
무장
CIWS팰렁스 CIWS 2기
SeaRAM CIWS 2기
탑재 항공기
항공기대잠 헬리콥터 7대
탐색 구조 헬리콥터 2대
최대 탑재량28대
탑재 가능 항공기
항공기SH-60J/K 초계 헬리콥터 7기
MCH-101 수송 헬리콥터 2기
F-35B 전투기 10기
최대 탑재량14기

2. 역사

헬리콥터 항공모함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일본에서는 자체적으로 헬리콥터 구축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평화 헌법에 따른 제약과 해석에 관련된 논란이 있다.

함선은 2012년 1월 27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2013년 8월 6일 진수되었으며[32][33], 2015년 3월 25일 취역하여 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에 편입되었다. 정박항은 요코스카이다. 함명은 이즈모국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일본 제국 해군장갑순양함 이즈모에 이어 두 번째로 사용된 이름이다.

취역 이후 이즈모는 다양한 임무와 훈련에 투입되었다.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당시에는 재해 파견 임무를 수행했으며[35], 2017년에는 안전 보장 관련법에 따라 처음으로 평시 미국 해군 함선을 보호하는 '미함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37][38] 같은 해 동남아시아 순방 및 다국적 훈련에도 참가했다.[39][40][41][43]

2018년 10월 제주 국제 관함식 참가가 예정되었으나, 자위함기인 욱일기 게양 문제로 대한민국 해군과 갈등을 빚었다. 한국 측의 게양 자제 요청을 일본 측이 거부하면서 결국 참가를 취소했다.[49][50][51][52] 이는 당시 경색된 한일 관계를 보여주는 사건 중 하나였다.

2019년에는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구상의 일환으로 미국, 인도, 필리핀 등 다국적 해군과의 연합 훈련에 참가했으며[58], 남중국해에서는 미국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 함대와 연합 항해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는 군사 활동을 벌였다. 또한, 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 등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 속에서 부산 입항 계획이 보류되기도 했다.[56]

2021년 10월에는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전투기의 이착함 시험에 성공하여[64][65], 사실상 경항공모함으로서의 운용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동중국해 등에서 활동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모함 랴오닝 전단에 대한 감시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66][67][68][69][70]

2022년에는 RIMPAC 2022[79]를 비롯한 다수의 다국적 훈련에 참가하며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활동 범위를 넓혔다.[74][75] 2023년에는 G7 히로시마 서밋 참석차 방일한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함선을 방문했으며[89][90], 인도 태평양 방면 파견(IPD23) 임무를 수행하며 미국,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 여러 국가와의 연합 훈련을 이어갔다.[91][92][93][94][95][98]

2024년 3월에는 요코스카 기지에 정박 중인 이즈모 상공에서 무인 항공기(드론)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이 중국 소셜 미디어에 유포되어 논란이 되었다.[114][115]

2. 1. 건조 배경

이즈모급 1번함의 건조는 2010년 회계연도 예산에 총 1.139조 (당시 약 15억달러)이 책정되면서 시작되었다.[6] 명명 전에는 2010년도 예산으로 건조되는 헬리콥터 호위함이라는 의미에서 임시로 '22DDH'로 불렸다. 이 함선은 2014 회계연도에 퇴역이 예정된 시라네급 구축함 2척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해상자위대 함정 중 최대 규모이며,[12] 헬리콥터 항공모함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일본 내에서는 평화 헌법상의 제약으로 인해 공식적으로 헬리콥터 구축함으로 분류된다.[12]

건조는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사업소 이소고 공장에서 진행되어, 2012년 1월 27일기공식을 가졌다.[8][9][32] 2013년 7월 16일, 해상막료감부가 진수식 안내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함명 '이즈모'가 사전에 유출되는 일이 있었다.[108][109] 이후 2013년 8월 6일에 공식적으로 명명 및 진수되었다.[8][9][32][33] 함명 '이즈모'는 이즈모국에서 유래했으며, 일본 제국 해군장갑순양함 이즈모에 이어 두 번째로 사용된 명칭이다. 당초 일본 제국 해군전함 이름이었던 '나가토'를 계승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국내외의 논란을 우려하여 채택되지 않았다.[110] 특히 과거 장갑순양함 '이즈모'가 중일 전쟁 당시 상하이에 파견되었던 점 때문에 일부 중국 언론은 이 명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111]

2014년 9월 29일 해상 시험을 시작했으며,[10] 2015년 3월 25일에 취역하여[11] 요코스카를 정박항으로 하는 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에 편입되었다.

2. 2. 취역 후 활동

"이즈모"와 요코하마항(2015년 10월)


헤이세이 31년도 인도 태평양 방면 파견 훈련 부대의 "이즈모"와 "무라사메", "아케보노"


공동 훈련을 실시 중인 "이즈모"(좌)와 영국 해군 항공모함 퀸 엘리자베스(중앙)


일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연합 훈련 (노블 레이븐 24-3)에서 선두를 달리는 "이즈모"와 각국 함정


JS 이즈모는 2015년3월 25일에 취역하여 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에 편입되었고, 정박항은 요코스카이다.[11][32][33]

취역 직후인 2015년 8월, 도쿄에서 실시된 대규모 재해 훈련에 참가하여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과 함께 사상자 수용 및 분류소 역할을 수행했다.[19]

2016년 4월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 때는 취역 후 처음으로 재해 파견 임무를 수행했다. 피해 지역 지원을 위한 육상자위대 북부 방면대 대원 약 160명과 차량 40량을 홋카이도 오타루항에서 싣고 출항했다.[35] 같은 해 5월에는 이세시마 서밋의 경계 감시 임무를 수행했다.[36]

2017년5월 1일, 일본의 안전 보장 관련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평시에 미국 해군 함선을 보호하는 '미함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보소반도 해역에서 미국 태평양 함대 소속 보급선 리처드 E. 버드와 합류하여 시코쿠 해역까지 호송했으며, 이 과정에서 호위함 사자나미도 합류했다.[20][21][22][37][38] 이즈모의 출항 당시 요코스카에서는 일본의 방위 전용 정책 위반을 우려하는 소규모 항의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20][21] 미함 방어 임무 종료 후, 5월 7일부터 10일까지 남중국해에서 미일 공동 훈련을 실시했다.[39] 이후 싱가포르 국제 관함식 및 다국간 해상 훈련 참가[40], 베트남 캄란만 기항 (미국 주도 '퍼시픽 파트너십' 일환)[41], 필리핀 수빅 기항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 시찰)[42], 7월 미일 인도 연합 훈련 (말라바르 2017) 참가[43] 등 활동을 이어갔다. 같은 해 8월 31일에는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요코스카 기지에 정박 중인 이즈모를 시찰했다.[44] 9월 25일에는 함내에서 작업 중이던 민간 업체 직원 등 11명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병원에 이송되는 사고가 발생했다.[45] 12월에는 캐나다 해군 잠수함과 공동 훈련을 실시했다.[47]

2018년 9월 8일, 요코스카 기지 정박 중 항공기용 승강기 고장으로 추정되는 유압 작동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48] 같은 해 10월 제주 국제 관함식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자위함기인 욱일기 게양 문제로 논란이 일었다. 한국 내 욱일기에 대한 비판 여론으로 인해 대한민국 해군이 자제 요청을 했으나, 일본 방위성 및 자위대 수뇌부는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고, 결국 한국 측에 불참을 통보했다.[49][50][51][52] 관함식 불참 직후인 10월 8일부터 10일까지 미국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 등과 공동 훈련을 실시했으며[53][54], 12월에는 미국 및 영국 해군과 공동 훈련을 진행했다.[55]

2019년 4월에는 한국 부산 입항이 보류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 및 한국 측이 주장하는 해상자위대 초계기의 위협 비행 문제 등 한일 관계가 악화된 상황을 고려한 결정으로 알려졌다.[56] 4월 30일부터 7월 10일까지 호위함 무라사메와 함께 인도 태평양 방면 파견 훈련에 참가하여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등을 방문했다.[57] 이 기간 중 5월에는 남중국해 등에서 미국, 인도 해군, 필리핀 해군과 공동 순항 훈련[58]인도양에서 프랑스 해군, 호주 해군, 미 해군과 연합 훈련 (라 페루즈)[59]을 실시했다. 6월에는 남중국해에서 미 항모 로널드 레이건 함대와 연합 항해 훈련을 했고, 캐나다 해군, 베트남 해군, 브루나이 해군, 필리핀 해군 등과도 연이어 공동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과도 훈련했으며[60],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 대원이 승선하여 장기 해상 활동 훈련을 받기도 했다.[61] 5월 싱가포르 국제 해양 방위 장비 전시회(IMDEX) 참가 중에는 일반 공개 행사에서 견학자가 함내 승강기에 갇히는 사고가 있었다.[62]

2020년, F-35B 전투기 운용을 위한 개조 작업에 착수했다. 1단계로 갑판 내열 강화 및 전력 공급 장비 설치가 진행되었고, 2단계로 선수 형상 변경 등 추가 개조가 2024년 말부터 예정되어 있다.[23][24]

2021년 9월, 영국 항공모함 퀸 엘리자베스가 이끄는 항모 타격군(CSG21) 및 네덜란드, 캐나다 해군과 함께 연합 훈련(PACIFIC CROWN 21-4)을 실시했다.[25][63] 10월 3일에는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전투기가 이즈모함에서 처음으로 이착함 시험에 성공했다.[26][64][65] 12월에는 동중국해와 태평양에서 활동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항공모함 랴오닝 전단을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66][67][68][69]

2022년 5월에도 동중국해와 태평양에서 활동하는 중국 해군 랴오닝 항모 전단에 대한 필요한 정보 수집 및 경계 감시 활동을 이어갔다.[70][71][72][73] 6월 13일부터는 호위함 타카나미 등과 함께 인도 태평양 방면 파견(IPD22: Indo-Pacific Deployment 2022) 임무를 시작했다.[74][75] 이 기간 동안 미·일·호 공동 훈련(NOBLE PARTNER 22)[76], 미 해군 주최 다국간 공동 훈련인 RIMPAC 2022[79], 일·미·호·한·가 공동 훈련(PACIFIC VANGUARD22)[83], 미·일·가 연합 훈련(노블 레이븐 22)[84], 일·인도 연합 훈련(JIMEX2022)[85], 일·가 공동 훈련(KAEDEX22)[86] 등 다수의 국제 훈련에 참가하며 115일간의 파견 임무를 마치고 10월 5일 귀항했다.[88]

2023년 5월 18일, G7 히로시마 서밋 참석차 방일한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이즈모를 방문하여 의장대의 명예 예우를 받았다.[89][90] 5월 31일부터는 호위함 사미다레, 시라누이 등과 함께 레이와 5년도 인도 태평양 방면 파견(IPD23) 임무를 시작했다.[91][92] 이 기간 중 미 해군 항모 2척 및 프랑스 해군과 미·일·프 공동 훈련[93], 미·일·가·프 공동 훈련[94], 미·일·가 공동 훈련(노블 레이븐 23)[95], 미·호 주최 다국간 공동 훈련(탈리스만 세이버 23)[98] 등에 참가했다. 6월에는 베트남 캄란만에 기항하여 베트남 인민 해군과 친선 훈련을 실시했으며[96][97], 호주 해군과도 공동 훈련(트라이던트 23)을 진행했다.[98]

2024년 3월 26일, 요코스카 기지에 정박 중인 이즈모 상공에서 무인 항공기(드론)로 촬영된 것으로 보이는 영상이 중국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방위성은 조사를 통해 실제 촬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허가 없이 드론 비행이 금지된 구역에서 발생한 침입 사건이었다.[114][115]

3. 설계 및 특징

이즈모는 헤이세이 22년도 장비 조달 계획에 따라 건조된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이다.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사업소 이소고 공장에서 2012년 1월 27일 건조를 시작(기공)하여 2013년 8월 6일 명명식과 함께 진수되었다.[32][33] 이후 2014년 9월 22일 공시를 거쳐[34], 2015년 3월 25일 정식으로 취역하였다. 취역과 동시에 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에 편입되었으며, 요코스카를 모항으로 사용한다.

3. 1. 기본 제원

헤이세이 22년도 장비 조달 계획에 따라 계획된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으로, 계획 당시 기준배수량은 19,500톤급이었다.[32][33]

3. 2. 항공기 운용 능력

이 함정은 최대 28대의 항공기[3] 또는 14대의 대형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다.[13] 초기 계획으로는 7대의 대잠전(ASW) 헬리콥터와 2대의 수색 및 구조(SAR) 헬리콥터를 탑재하는 것이었다. 비행 갑판에는 5개의 헬리콥터 착륙 지점이 있어 여러 대의 헬리콥터가 동시에 이착륙할 수 있다. 항공기 외에도 다른 작전을 위해 400명의 병력과 50대의 3.5ton 트럭(또는 동급 장비)을 수용할 수 있다.



2010년, 미국의 방산 정보 업체인 Forecast International은 이즈모급의 일부 설계가 벨-보잉 V-22 오스프리나 록히드 마틴 F-35 라이트닝 II와 같은 고정익기 운용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분석했다.[14] 그러나 당시 일본 방위성이나 해상자위대는 고정익 항공기 도입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이 함정에는 고정익 항공기 운용에 필요한 스키 점프대나 항공기 사출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15] 따라서 고정익기를 운용한다면 단거리 이륙 및 수직 착륙(STOVL)이 가능한 기종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후 일본 정부는 2018년 12월, 방위 계획 대강을 개정하면서 이즈모함과 자매함인 JS 카가에서 운용하기 위해 F-35B STOVL 전투기 42대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5][17][18] 이에 따라 2020년부터 이즈모함의 F-35B 운용을 위한 개조 작업이 시작되었다.[23] 개조는 2단계로 진행되는데, 1단계에서는 F-35B의 수직 착륙 시 발생하는 배기열을 견딜 수 있도록 비행 갑판의 내열성을 강화하고 관련 전력 공급 장비를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2단계 개조는 2024년 말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F-35B의 안전한 운용을 위해 함선 앞부분의 모양을 사각형으로 바꾸고 내부 구획을 정비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스키 점프대나 사출기 설치 계획은 없다.[24]

2021년 10월 3일에는 이와쿠니 비행장에 주둔 중인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전투기가 이즈모함에서 이착함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사실상 F-35B 운용 능력을 갖추게 되었음을 보여주었다.[64][65]

3. 3. 방어 체계

이즈모(DDH-183)는 자함 방어를 위해 두 문의 팰렁스 CIWS와 두 기의 씨 램을 탑재하고 있다.

4. 개조 및 항공모함화

일본 정부는 이즈모와 자매함 카가 등 이즈모급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 2척을 사실상의 항공모함으로 개조하여 운용할 계획을 공식화했다. 2018년 12월 결정된 새로운 '방위 계획 대강'에는 이들 함정의 비행갑판 등을 개조하여 미국에서 도입하는 F-35B 수직 이착륙 스텔스 전투기를 탑재·운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5][17][18] 일본은 총 42대의 F-35B를 도입할 예정이다.[117]

이러한 결정은 동아시아 지역의 군비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영국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전문가는 일본의 이즈모급 개조가 시간문제였을 뿐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개조는 F-35B의 고열 배기 가스에 견딜 수 있도록 비행 갑판의 내열 성능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단거리 이륙을 돕는 스키 점프대 설치 계획은 없다.[119]

개조 작업의 일환으로 2021년 10월 3일에는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전투기가 이즈모함에서 성공적으로 이착함 시험을 마쳤다.[64][65][122]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일본 함선에서 고정익 항공기가 운용된 사례로 기록되었다.[123] 이즈모급의 항공모함화는 일본의 전수방위 원칙과의 정합성 논란 및 주변국의 군사적 긴장 고조 우려를 낳고 있다.

4. 1. F-35B 운용을 위한 개조



2018년 12월, 일본 정부는 새로운 방위력 정비 지침인 '방위계획의 대강'을 통해 이즈모급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을 F-35B STOVL 전투기 운용이 가능하도록 사실상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계획을 확정했다.[5][17][18] 이는 동아시아 지역의 군비 경쟁 심화 속에서 예견된 수순이라는 분석도 있다.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닉 차일드 연구원은 "일본의 이즈모 개조는 언제 시작할 것이냐의 문제였지, 개조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는 아니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일본은 개조된 이즈모급에서 운용할 F-35B 전투기 42대를 미국으로부터 도입할 계획이다.[5][17][18][117]

본격적인 개조 작업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다.[23] 2020년도 방위 예산에는 F-35B 운용을 위한 1단계 개조 비용으로 31억이 처음 반영되었다.[116] 1단계 개조는 F-35B의 수직 착륙 시 발생하는 고열 배기 가스로부터 비행 갑판을 보호하기 위한 내열 처리 강화와 이착함 지원을 위한 전력 공급 설비 설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24][118] 이 개조는 2021년 6월 25일 완료되어 이즈모함은 요코스카 기지로 복귀했으며, 비행 갑판에는 미국 해군 규격에 맞춘 F-35B 이착륙용 황색 중심선이 도색되는 등 외관상의 변화가 확인되었다.[118]

2021년 10월 3일, 시코쿠 근해에서 미국 해병대 이와쿠니 비행장의 제242 해병 전투 공격 비행대 소속 F-35B 전투기 2기가 이즈모함에서의 이착함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26][64][65][122] 이는 해상자위대 함정에서 F-35B가 운용된 첫 사례이자,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일본 함선에서 고정익 항공기가 이착함한 최초의 기록이다.[123]

F-35B의 안전한 운용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2단계 개조는 2024년 말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항공기 발진 시 와류 발생을 줄이기 위해 함수 형상을 기존의 사다리꼴에서 직사각형으로 변경하고, 함내 구획을 재정비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24][119] 다만, 단거리 이륙을 돕는 스키 점프대나 항공기 캐터펄트(사출기) 설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24][119]

2021년 8월, 방위성은 레이와 4년도(2022년도) 예산 요구안에 이즈모함 개조 관련 비용으로 착함 유도 장치 선행 취득비 36억, 미군 기술 지원 경비 12억 등을 포함하여 총 61억을 요청했으며[120], 이는 기시다 후미오 내각에서 2021년 12월 24일 그대로 확정되었다.[124] 도입될 착함 유도 장치는 미국 해군레이시온이 공동 개발한 전천후 정밀 접근 및 착륙 시스템인 JPALS(Joint Precision Approach and Landing System영어)이다.[120]

4. 2. 항공모함화 논란

헬리콥터 항공모함으로 분류되지만, 일본에서는 헬리콥터 구축함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즈모는 건조 당시부터 사실상 항공모함 운용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는 이즈모가 강습상륙함 중에서도 항공기 탑재 능력을 극대화한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LHA)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LHA는 헬리콥터와 MV-22 오스프리 수직이착륙기를 이용한 상륙작전 외에도 F-35B 스텔스 전투기, 공격용 헬기를 탑재하여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논란은 2018년 12월 18일, 일본 정부가 새로운 방위력 정비지침인 '방위 계획 대강'과 '중기방위력정비계획'을 결정하면서 현실화되었다. 이 계획에는 이즈모급 헬기 항공모함 2척(이즈모, 카가)의 비행갑판을 개조하여 미국에서 도입하는 수직 이착륙 스텔스 전투기 F-35B를 운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비행 갑판 내열성 강화 등의 개조를 통해 F-35B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일본은 F-35B 42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2021년 10월 3일, 이즈모함은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전투기의 이착함 시험에 성공하며 항공모함으로서의 운용 능력을 실증했다.[64][65]

영국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닉 차일드 해군전력 담당 선임 연구원은 "동아시아 지역 군비경쟁 속도를 생각했을 때 일본의 이즈모 개조는 언제 시작할 것이냐의 문제였지, 개조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는 아니었다"고 평가하며, 이러한 움직임이 주변국의 군비 경쟁 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시사했다. 일본의 이즈모급 항공모함화는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평화헌법 아래 유지해 온 전수방위 원칙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동북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5. 한일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즈모함의 운용 및 개조는 한일 관계에 있어 여러 갈등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2018년 10월 11일부터 개최된 제주 국제 관함식에 이즈모함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대한민국 해군 측이 자위함기(욱일기) 게양 자제를 요청하자 일본 방위성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참가를 일방적으로 취소했다.[49][50][51][52] 이는 욱일기에 대한 한국 내 부정적 여론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일본 측의 태도로 인해 발생한 사건으로, 양국 간의 해묵은 갈등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또한 2019년 4월에는 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 등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예정되었던 이즈모함의 부산 입항이 일본 측의 결정으로 보류되었다.[56] 이는 군사 교류의 중단으로 이어지며 양국 관계의 경색 국면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2021년 10월 3일에는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전투기의 이착함 시험에 성공하면서[64][65], 사실상 경항공모함으로의 운용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평화 헌법 하에서 전수방위 원칙을 표방해 온 일본의 군사력 증강 움직임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독도 영유권 문제 등 민감한 현안이 존재하는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에게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동북아시아의 군비 경쟁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6. 역대 함장

36기 간부후보생[107]오나미 함장
→ 2013.3.22 호위함대 사령부 부속이즈모 함장함장1요시노 아츠시2015.3.25 - 2016.3.27히로시마 수도대학・
36기 간부후보생이즈모 장비원장호위함대 사령부 근무2카이 요시히로2016.3.28 - 2018.4.1방위대 31기통합막료학교 교육과
제1교관실 학교 교관사세보 해상 훈련 지도대 사령3모토야마 카츠요시2018.4.2 - 2020.8.27방위대 34기해상막료감부 총무부 총무과 섭외반장호위함대 사령부 근무
→ 2020.12.1 수상전술 개발 지도대 사령4카와우치 켄지2020.8.28 - 2022.1.11방위대 34기해상훈련지도대군 사령부 수석 막료호위함대 사령부 근무
→ 2022.2.2 수상전술 개발 지도대 사령5코시로 나오토쿠2022.1.12 - 2023.3.30방위대 38기카시마 함장
→ 2021.11.29 호위함대 사령부 근무수상전술 개발 지도대 사령6죠 타케마사2023.3.31 - 2024.5.12방위대 37기제1해상 훈련 지원대 사령
→ 2023.3.27 호위함대 사령부 근무호위함대 사령부 근무
→ 2024.6.20 제2호위대 사령7이시데라 타카히코2024.5.13 - 현직방위대 39기키리시마 함장


7. 기타

함명이 정해지기 전에는 2010년도 예산으로 건조되는 호위함이라는 의미에서 '22DDH'라는 가칭으로 불렸다.

2013년 8월 6일 진수식에서 함명이 공표될 예정이었으나, 7월 16일 해상막료감부가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실수로 함명이 유출되는 사건이 있었다. 검게 칠해져 있던 함명 부분이 컴퓨터 조작으로 보이게 되면서 의도치 않게 공개되었고, 해상막료감부는 즉시 해당 파일을 교체했다[108][109]

함명 선정 과정에서 구 일본 해군전함 이름인 "나가토"를 계승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국내외의 반발을 우려하여 채택되지 않았다[110]。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즈모'라는 이름 역시 구 일본 해군의 장갑순양함 "이즈모"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 함선은 중일 전쟁 당시 제3함대의 기함으로 상하이에 파견된 이력이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중국 언론 등에서는 과거 군국주의 침략의 역사를 연상시킨다며 함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111]。 함내에는 장갑순양함 '이즈모'와의 비교도가 장식되어 있다.

「이즈모」 로고 마크


함명 결정 후 로고 마크 공모를 통해,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야마타노오로치와 아마노무라쿠모노츠루기를 형상화한 디자인이 선정되었다[112]

함내 신사는 함명과 같은 이름의 신사인 이즈모 대사에서 신령을 받아 모시는 방식으로 설치되었으며, 새전함도 마련되어 있다[113]

이즈모함은 해상자위대 함선 중 처음으로 '위생사'가 배치된 함선이다(위생원은 이전부터 존재했다)[113]。 최초 배치된 위생사는 여성이었으며[113], 준간호사와 임상 검사 기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간호사, 진료 방사선 기사, 응급 구조사 자격을 가진 위생원들도 함께 승선하여 의료 지원 능력을 강화했다[113]

참조

[1] 웹사이트 護衛艦「いずも」型 https://www.mod.go.j[...]
[2] 뉴스 IHIMU、防衛省から平成22年度計画ヘリコプター搭載護衛艦を受注 http://release.nikke[...] 2011-09-18
[3] 웹사이트 WorldWideAircraftCarriers.com - 22DDH Class Page https://web.archive.[...] 2015-01-27
[4] 웹사이트 LDP calls for scrapping 1% cap on Japan's defense budget https://web.archive.[...] Asahi Shimbun 2018-05-29
[5] 웹사이트 Japan unveiled new plans for an F-35 aircraft carrier — and it's a Chinese navy killer https://www.business[...] 2019-12-28
[6] 뉴스 IHI、防衛省からヘリコプター搭載護衛艦を800億円で受注 https://web.archive.[...] 2011-04-01
[7] 뉴스 平成21年度政策評価書(事前の事業評価) https://www.mod.go.j[...] 2011-09-18
[8] 웹사이트 国内最大のヘリコプター搭載護衛艦の起工式を開催 (Ground-breaking ceremony of the nation's largest helicopter carriers held) https://web.archive.[...] 2012-01-27
[9] 웹사이트 Japan unveils new carrier-like warship, largest in navy since WWII https://www.foxnews.[...] Fox News 2013-08-06
[10] 웹사이트 Japan puts helicopter carrier Izumo on sea trials https://web.archive.[...] 2014-10-02
[11] 웹사이트 Japan Commissions Largest-Ever Helicopter Carrier https://web.archive.[...] 2015-03-30
[12] 뉴스 Japan plans to send largest warship to South China Sea, sources say https://www.reuters.[...] 2017-03-13
[13] 웹사이트 Japan commissions helicopter carrier Izumo https://web.archive.[...] 2015-05-20
[14] 뉴스 Details of New Japanese 'Helicopter Destroyer' http://www.defenceta[...] 2010-06-21
[15] 뉴스 Japan launches biggest warship since WW2 http://ing.dk/artike[...] Ingeniøren 2013-08-12
[16] Webarchive Does the Izumo Represent Japan Crossing the "Offensive" Rubicon? http://jsw.newpacifi[...] 2017-09-22
[17] 웹사이트 Asia allies take major steps forward with F-35 rollout https://www.defensen[...] 2022-08-07
[18] 웹사이트 Japan Air Self Defense Force Stands Up First F-35A Lightning II Fighter Squadron https://thediplomat.[...] 2019-04-01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9-01
[20] 뉴스 Japan helicopter carrier conducts operation to protect US ships http://asia.nikkei.c[...] 2017-05-17
[21] 뉴스 Japanese helicopter destroyer to escort Navy ship on supply mission https://www.stripes.[...] 2017-05-17
[22] 뉴스 SDF completes 1st US warship escort mission http://manila-shimbu[...] 2017-05-18
[23] 웹사이트 Japan begins refitting first of two Izumo-class carriers to support F-35B operations https://www.janes.co[...] 2021-04-16
[24] 웹사이트 護衛艦「かが」、「いずも」に続き空母へ F35B搭載の改修費231億円要求――スキージャンプ設置せず(高橋浩祐)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1-02-05
[25] 뉴스 Royal Navy flagship HMS Queen Elizabeth woos the Japanese as she joins major military drill in the Pacific https://www.portsmou[...] 2021-09-10
[26] 뉴스 Japan's Largest Warship Launches U.S. Marine F-35s; First Fighters to Fly from Japanese Ship Since WWII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1-10-06
[27] 웹사이트 Japan sending its largest naval vessel to RIMPAC https://www.navalnew[...] 2022-06-04
[28] 간행물 月刊『世界の艦船』2015年5月号(通巻816号)p.2
[29] NHK 護衛艦「いずも」「かが」とは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3-05-19
[30] 서적 平成23年度 行政事業レビューシート 事業番号0036 護衛艦(DDH) https://www.mod.go.j[...] 2012
[31] 뉴스 Japan deploys heli carrier JS Izumo to safeguard Indian, Pacific Oceans https://www.nst.com.[...] ニュー・ストレーツ・タイムズ 2019-06-21
[32] 뉴스 海自最大の「ヘリ空母」進水 護衛艦いずも全長248m http://digital.asahi[...] 2013-08-06
[33] 웹사이트 海上自衛隊最大の護衛艦「いずも」が進水 https://www.youtube.[...] 朝日新聞社 2021-03-05
[34] 뉴스 Japan puts helicopter carrier Izumo on sea trials http://www.janes.com[...] 2014-09-29
[35] 뉴스 海自最大艦「いずも」、初の災害派遣任務 陸自輸送で北海道・小樽出港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4-20
[36] 웹사이트 海自最大の護衛艦も投入 全長248メートル、ヘリ5機が同時発着可能 三重・志摩沖を警戒 https://www.sankei.c[...] 2018-10-16
[37] 뉴스 「海自が初の米艦防護、防衛相が命令…北をけん制」 https://web.archive.[...] 2017-04-30
[38] 뉴스 米艦防護、護衛艦2隻…呉から「さざなみ」 http://sp.yomiuri.co[...] 2017-05-03
[39] 웹사이트 南シナ海で日米が共同訓練 https://www.sankei.c[...] 産経新聞ニュース 2017-05-13
[40] 간행물 シンガポール海軍主催国際観艦式への参加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 2017-04-26
[41] 뉴스 「日米艦船、越カムラン湾に初の同時寄港 中国を牽制…災害救助など共同訓練」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7-05-21
[42] 뉴스 ドゥテルテ大統領、護衛艦「いずも」を視察 ルソン島で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ニュース 2017-06-04
[43] 간행물 日米印共同訓練(マラバール2017)への参加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 2017-06-23
[44] 문서 平成29年8月31日 テレーザ・メイ英国首相による護衛艦「いずも」視察について https://warp.ndl.go.[...] 防衛省
[45] 뉴스 海自護衛艦「いずも」でCO中毒、11人軽症 横須賀基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ニュース 2017-09-25
[46] 웹사이트 Long Range Patrol Submarines http://www.navy-mari[...] カナダ海軍ホームページ 2019-06-23
[47] 간행물 カナダ海軍との共同訓練「KAEDEX」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プレスリリース 2017-12-20
[48] 웹사이트 護衛艦「いずも」で油流出 海自横須賀基地に停泊中 http://www.okinawati[...] 2018-09-28
[49] 웹사이트 海自、旭日旗掲げ韓国観艦式に参加へ 小野寺五典防衛相「国内法令に基づいて対応」 https://www.sankei.c[...] 2018-10-07
[50] 웹사이트 自衛隊の河野統幕長「自衛艦旗は海上自衛官の誇り。降ろすことは絶対にない」 韓国の「旭日旗」掲揚自粛を拒否 https://www.sankei.c[...] 2018-10-07
[51] 웹사이트 護衛艦に旭日旗掲揚=韓国の観艦式-海自トップ https://www.jiji.com[...] 2018-10-07
[52] 웹사이트 観艦式へ不参加 韓国で開催、旭日旗の自粛要請で https://mainichi.jp/[...] 2018-10-07
[53] 웹사이트 海自と空自、CVN-76などと共同訓練 https://flyteam.jp/n[...] 2018-10-12
[54] 웹사이트 米海軍との共同訓練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航空幕僚監部 2018-10-12
[55] 간행물 日米英共同訓練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海上幕僚監部 2018-12-18
[56] 웹사이트 海自護衛艦「いずも」韓国への4月入港見送りへ https://www.yomiuri.[...] 2019-01-27
[57] 간행물 平成31年度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訓練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 2019-04-16
[58] 간행물 日米印比共同巡航訓練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海上幕僚監部 2019-05-09
[59] 간행물 日仏豪米共同訓練(ラ・ペルーズ)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 2019-05-16
[60] 뉴스 海保と海自 南シナ海で訓練/初の共同実施 中国牽制か https://www.asahi.co[...] 2019-06-27
[61] 뉴스 【追跡】南シナ海 中国を警戒 https://mainichi.jp/[...] 2019-07-02
[62] 뉴스 日本の護衛艦「いずも」がシンガポールで大恥を晒したぞ!=中国メディア http://news.searchin[...] 2019-05-23
[63] 간행물 日英米蘭加共同訓練(PACIFIC CROWN 21‐4)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令和3年9月8日) https://www.mod.go.j[...]
[64] 뉴스 海自護衛艦にF35B発着艦 2021-10-06
[65] 뉴스 [New門]F35Bの発着艦試験成功、自衛隊が初の「空母」を持つ理由とは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4-02-05
[66] 문서 報道発表資料の一部訂正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18日) https://www.mod.go.j[...]
[67] 문서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21日) https://www.mod.go.j[...]
[68] 문서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21日) https://www.mod.go.j[...]
[69] 문서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26日) https://www.mod.go.j[...]
[70] 문서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5月2日) https://www.mod.go.j[...]
[71] 간행물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5月4日) https://www.mod.go.j[...]
[72] 간행물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5月11日) https://www.mod.go.j[...]
[73] 간행물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5月13日) https://www.mod.go.j[...]
[74] 간행물 令和4年度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IPD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令和4年5月31日) https://www.mod.go.j[...]
[75] 트윗 6月13日、令和4年度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IPD22)に従事する第4護衛隊群(護衛艦「いずも」、「たかなみ」)は、横須賀基地から出国しました。 2022-06-16
[76] 간행물 日米豪共同訓練(NOBLE PARTNER 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令和4年6月25日) https://www.mod.go.j[...]
[77] 간행물 日米共同訓練(ILEX2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令和4年6月26日) https://www.mod.go.j[...]
[78] 간행물 日仏共同訓練(オグリ・ヴェルニー22-4)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令和4年6月28日) https://www.mod.go.j[...]
[79] 간행물 米海軍主催多国間共同訓練(RIMPAC20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6月28日) https://www.mod.go.j[...]
[80] 간행물 日メキシコ親善訓練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8月7日) https://www.mod.go.j[...]
[81] 간행물 日米共同訓練(ILEX22-6)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8月9日) https://www.mod.go.j[...]
[82] 간행물 日加新共同訓練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8月11日) https://www.mod.go.j[...]
[83] 간행물 日米豪韓加共同訓練(PACIFIC VANGUARD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8月30日) https://www.mod.go.j[...]
[84] 간행물 日米加共同訓練(ノーブル・レイヴン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9月8日) https://www.mod.go.j[...]
[85] 간행물 日印共同訓練(JIMEX20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9月13日) https://www.mod.go.j[...]
[86] 간행물 日加共同訓練(KAEDEX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9月26日) https://www.mod.go.j[...]
[87] 간행물 日米加共同訓練(ノーブル・レイヴン22-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2年10月3日) https://www.mod.go.j[...]
[88] 트윗 10月5日、「いずも」「たかなみ」は115日間にわたる IPD22 派遣を終え帰国しました。 2022-10-06
[89] 뉴스 英首相、護衛艦「いずも」視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05-19
[90] 웹사이트 リシ・スナク英国首相による護衛艦「いずも」視察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 2023-05-18
[91] 트윗 令和5度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IPD23)護衛艦 いずも が横須賀を出港しました。 2023-05-31
[92] 간행물 令和5年度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IPD23)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3年4月18日) https://www.mod.go.j[...]
[93] 트윗 6月8日~10日、護衛艦「いずも」及び「さみだれ」は、「RONALD REAGAN」「NIMITZ」空母打撃群、「B-52戦略爆撃機」及び 「FS LORRAINE」とともに、沖縄東方海域において日米仏共同訓練を実施しました。 2023-06-12
[94] 트윗 6月10日~14日、護衛艦「いずも」及び「さみだれ」は、「RONALD REAGAN」空母打撃群、「MONTREAL」及び「LORRAINE」とともに、沖縄南方海域から南シナ海に至る海空域において、日米加仏共同訓練を実施しました。 2023-06-15
[95] 간행물 日米加共同訓練(ノーブル・レイブン23)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2023年6月20日)
[96] 뉴스 海自最大護衛艦 ベトナムに寄港 中国けん制か https://web.archive.[...] 東京新聞 2023-06-21
[97] 웹사이트 IPD23第1水上部隊(護衛艦「いずも」・「さみだれ」)のベトナム社会主義共和国カムランへの寄港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自衛艦隊 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23-06-26
[98] 간행물 日豪共同訓練(トライデント23)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2023年6月27日)
[99] PDF 米豪主催多国間共同訓練(タリスマン・セイバー23)への参加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3年7月3日) https://www.mod.go.j[...]
[100] PDF 日米豪比共同訓練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3年8月25日) https://www.mod.go.j[...]
[101] PDF 日米加共同訓練(ノーブル・スティングレイ)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3年9月8日) https://www.mod.go.j[...]
[102] 트윗 9月12日、令和5年度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IPD23) 第1水上部隊の護衛艦「いずも」は横須賀基地に帰国しました。 2023-09-13
[103] 트윗 6月3日、インド太平洋方面派遣 IPD24 第2水上部隊 護衛艦 いずも 及び護衛艦 はぐろ が横須賀を出港しました。 2024-06-03
[104] PDF 海上保安庁との共同訓練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4年6月17日) https://www.mod.go.j[...]
[105] PDF 日米共同訓練(ノーブル・レイヴン24-2)について  海上幕僚監部(2024年6月24日) https://www.mod.go.j[...]
[106] PDF 日豪伊独仏共同訓練(ノーブル・レイブン24-3)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幕僚監部 2024-08-30
[107] 문서 防衛大学校|防大29期相当
[108] 웹사이트 平成22年度護衛艦の命名・進水式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13-07-16
[109] 웹사이트 防衛省:新艦名、命名式前にネット流出 サイト、黒塗り「解除」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13-07-17
[110] 뉴스 護衛艦:「長門」命名を見送り 旧海軍の象徴 https://archive.is/2[...] 毎日新聞 2013-07-27
[111] 뉴스 新護衛艦「かが」に中国反発必至か 大きな「加賀」という艦名 https://web.archive.[...] 乗りものニュース 2015-08-27
[112] 웹사이트 海上自衛隊ホームページ・護衛艦「いずも」ロゴマークの募集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113] 간행물 MAMOR 扶桑社 2016
[114] 뉴스 ドローン接近 護衛艦撮影/防衛省分析「極めて深刻」警備強化 https://www.sankei.c[...] 2024-05-10
[115] 뉴스 護衛艦ドローン撮影/海自 監視の不備露呈 https://www.sankei.c[...] 2024-05-10
[116] 웹사이트 護衛艦「いずも」、正真正銘の空母へ。F35Bの発着艦に必要な改修費31億円を計上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19-12-20
[117] 웹사이트 F35戦闘機、105機購入へ うち42機は「空母」向けのF35B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12-13
[118] 웹사이트 「いずも」初回フライトデッキの一部改修を終え横須賀帰還 2021年6月25日 https://www.youtube.[...] 2021-06-26
[119] 웹사이트 護衛艦「かが」、「いずも」に続いて空母へ。F35B搭載の改修費231億円を要求。カタパルトは設置せず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09-30
[120] 뉴스 護衛艦「いずも」と「かが」の軽空母化、F35B搭載の改修費67億円を概算要求 https://news.yahoo.c[...] 2021-08-31
[121] 웹사이트 米海兵隊のF35Bステルス戦闘機が護衛艦「いずも」で11月までに発着艦試験実施へ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09-03
[122] 웹사이트 護衛艦「いずも」へのF-35B発着艦検証作業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 2021-10-05
[123] 웹사이트 米海兵隊のF35B戦闘機が海自護衛艦「いずも」で発着艦試験実施――軽空母化への大きな一歩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10-05
[124] 웹사이트 護衛艦「いずも」と「かが」の軽空母化、F35B搭載の改修費61億円を予算計上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