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ock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rock은 1950년대 후반 주한 미군을 통해 유입된 록 음악을 기반으로, 신중현과 그의 밴드를 통해 한국적인 스타일로 발전하며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는 군사 정권의 검열과 탄압으로 침체기를 겪었으나, 1980년대 헤비 메탈의 부상과 함께 부활, 시나위, 백두산 등이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 이후 민주화와 함께 록 음악은 부흥기를 맞이하여 크라잉 넛, 노브레인 등 다양한 밴드들이 등장했으며,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음악 씬이 다양해졌다. 현재까지 다양한 록 페스티벌이 개최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K-rock 공연 및 프로모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록 음악 - 아파트 (노래)
〈아파트〉는 윤수일이 부른 노래로, 1970년대 후반 한국 사회의 아파트를 소재로 삭막한 아파트와 대비되는 자연을 묘사하며, 한국 프로 스포츠 응원가로 널리 사용되고 여러 차례 리메이크되었으며 2024년에는 〈APT.〉의 발매와 함께 재조명되었다. - 대한민국의 음악 장르 - 건전가요
건전가요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정부 주도로 제작 및 배포되어 반공 이념과 정부 정책 홍보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민주화 이후 법적 의무가 사라져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 나라별 록 음악 - 중국의 록 음악
중국의 록 음악은 1980년대 개혁개방과 함께 시작되어 사회 변화를 반영하며 발전, 최건의 "아무것도 없어" 발표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여 사회적 저항과 자유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고 검열 강화와 해외 음악 유입으로 쇠퇴했으나 2000년대 부흥기를 거쳐 현재까지 중국 사회의 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는 예술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 나라별 록 음악 - 아메리칸 록
아메리칸 록은 1950년대 로큰롤 시대를 시작으로 로커빌리, 두왑, R&B 등 다양한 장르의 융합을 거쳐 브리티시 인베이전, 하드 록, 헤비 메탈, 펑크 록, 뉴 웨이브, 그런지, 팝 펑크, 이모, 개러지 록, 메탈코어, 디지털 전자 록 등 다양한 하위 장르를 통해 발전해 온 미국의 대중음악 장르이다.
K-rock | |
---|---|
K-록 | |
기원 및 발전 | |
기원 | 1950년대 후반, 1960년대 초 미국 로큰롤의 영향 |
발전 | 신중현, 키 보이스, 펄 시스터즈 등 선구자들의 등장 |
1970년대 | 사이키델릭 록, 포크 록의 융성; 대마초 파동으로 인한 침체 |
1980년대 | 헤비 메탈, 하드 록 부흥; 언더그라운드 록 밴드들의 활동 시작 |
1990년대 | 모던 록, 펑크 록 등 다양한 장르의 발전; 인디 록의 부상 |
2000년대 이후 | K팝과의 융합 시도; 다양한 록 페스티벌 개최; 해외 진출 활발 |
주요 장르 | |
초기 록 | 로큰롤, 고고, 사이키델릭 록 |
포크 록 | 어쿠스틱 기타 중심의 서정적인 음악 |
헤비 메탈/하드 록 | 강력한 사운드와 퍼포먼스 |
모던 록 | 다양한 실험적 시도 |
펑크 록 | 저항 정신과 에너지 |
인디 록 | 독립적인 음악 제작 환경 |
록 발라드 | 감성적인 멜로디와 가사 |
팝 록 | 대중적인 멜로디와 록 사운드의 조화 |
퓨전 록 |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 |
주요 뮤지션 | |
1세대 | 신중현, 키 보이스, 펄 시스터즈 |
1980년대 | 부활, 시나위, 백두산, 들국화 |
1990년대 | 넥스트, 자우림, 크라잉넛, 노브레인, 델리스파이스 |
2000년대 이후 | 넬, 피아, 국카스텐, 장기하와 얼굴들, 혁오 |
관련 용어 | |
그룹 사운드 |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초 록 밴드를 지칭하는 용어 |
언더그라운드 | 기성 제도권 밖에서 활동하는 음악가 |
인디 | 독립적인 제작 환경에서 활동하는 음악가 |
록 페스티벌 | 다양한 록 밴드들의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축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등) |
라이브 클럽 | 록 밴드들의 공연이 주로 이루어지는 소규모 공연장 |
특징 | |
다양성 |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록 음악 존재 |
실험성 | 새로운 시도와 융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 |
저항 정신 |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 |
열정적인 공연 문화 | 라이브 공연을 통해 관객과 소통 |
팬덤 문화 | 록 음악을 지지하는 두터운 팬층 |
K-록의 과제 | |
대중성 확보 | K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대중적 인지도 극복 |
해외 진출 확대 | K팝의 성공을 발판 삼아 해외 시장 개척 |
창작 환경 개선 | 록 음악가들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다양한 지원 정책 필요 | 정부 및 관련 기관의 관심과 지원 확대 |
K-ROCK (韓国の音楽) | |
다른 이름 | 韓国ロック (한국 록), Korean rock |
스타일의 기원 | 록 |
문화적 기원 | 195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 대한민국 |
하위 장르 | |
퓨전 장르 | |
일반적인 악기 | |
인기 | |
같이 보기 |
2. 역사
1950년대 후반, 신중현과 그의 밴드는 주한 미군을 통해 들어온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을 받아 한국 록을 시작했다.[14] 신중현은 한국 고유의 스타일로 로큰롤을 발전시켰으며, 1962년 에드 포를 결성했다.[15] 1964년 발표한 "빗속의 여인"은 한국 록의 시초로 평가받는다.[16]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검열로 신중현은 투옥되고, 한대수는 국외로 추방되는 등 록 음악은 탄압받았다.[17]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산울림 등이 활동하며 록 음악의 명맥을 이어나갔다.
1980년대에는 헤비 메탈이 록 음악계를 주도했으며, 부활, 백두산, 시나위가 "빅3"로 불렸다.[18]
1990년대 초, 노태우 정부의 민주화와 함께 록 음악은 다시 부흥기를 맞았다. 해외 음악이 자유롭게 유입되면서, 크라잉넛, 노브레인 등이 "조선 펑크"라는 새로운 장르를 선보였다.[19] 세계화와 인터넷의 발달은 음악적 다양성을 더욱 증진시켰으며, 럭스, 더 긱스 등 다양한 밴드들이 등장했다. 스카 펑크 밴드인 Lazybone, Beach Valley, 스카썩스 등도 활동했다.
2. 1. 1950년대: 태동기
6.25 전쟁 이후 주한미군을 통해 록 음악이 한국에 전파되었으며, 이는 당시 아메리칸 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1957년, 신중현은 미 8군 무대에서 데뷔하여 '한국 록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23][25] 그는 한국 최초의 록 기타리스트로, 미군 기지에서 공연하며 록 음악을 배웠다.[2] 김시스터즈라는 여성 그룹도 미군 기지 무대에서 데뷔하여 실력을 키운 후 미국에서 활동했다. 신중현은 1962년에 한국 최초의 록 밴드 중 하나인 에드 포를 결성했으며,[15] 1964년에 발표한 "빗속의 여인"은 한국 록의 시초로 평가받는다.[16]2. 2. 1960년대: 성장과 억압
1962년, 신중현은 한국 최초의 록 밴드인 애드 훠(Add4)를 결성했다.[25][4] 이후, 키 보이스, HE6(히식스), 펄 시스터즈, 꼬끼리 브라더스 등 '그룹 사운드'라 불리는 록 밴드들이 등장했다.[5] 히식스(HE6)가 발매한 꼬끼리 브라더스에 수록된 "해변으로 가요"는 1960년대 중반에 큰 인기를 얻었다.[26] 이들은 미군 부대에서만 공연하지 않고, 한국 대중 앞에서 공연하며 록 음악을 알렸다.[27][6] 1960년대 그룹 사운드는 당시 미국과 영국 록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신중현을 포함한 한국 록 음악가 1세대가 1960년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7] 그러나 박정희 군사 독재 정부는 록 음악과 히피 문화를 억압했다. 서방 세계와 일본에서 록 음악이 청년 문화를 이끌던 시기였지만, 대한민국은 이러한 흐름과는 거리가 멀었다.[7]
2. 3. 1970년대: 암흑기와 저항
박정희 정권의 검열은 더욱 심화되어, 신중현은 마약 혐의로 구속되었고 한대수는 강제 출국당하는 등 록 음악계는 큰 타격을 입었다.[24] 이러한 탄압 속에서도 산울림 등의 밴드가 등장하여 록의 명맥을 이어나갔다.[7] 축음기 보급과 해적판(불법 복제) 음반 유통으로 인해 음악 카페에서 록 음악과 팝 음악이 인기를 얻으며 록 음악 팬층이 확대되었고, 록 음악 문화가 성장하기 시작했지만,[27] 여전히 창작의 자유는 제한되었다.
2. 4. 1980년대: 헤비메탈의 부상과 민주화
1980년대에는 대중의 음악적 취향이 록 음악에서 멀어졌지만, 헤비 메탈 음악이 록 씬을 지배했다. 특히 부활, 시나위, 백두산은 "빅3"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었다.[8] 1980년 대학가요제에 하드 록 밴드 마그마가 출연하여 대중에게 충격을 주면서, 한국에서도 하드 록과 헤비메탈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부활, 시나위, 백두산은 80년대 한국 록 밴드 트리오라고도 불렸다.[18] 1980년대는 록 음악이 한국 대중음악의 주류에 가장 근접했던 시기로, 록 밴드들이 텔레비전과 라디오의 음악 순위 프로그램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록 음악이 인기를 얻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박정희 정권에 비해 검열이 다소 완화되었기 때문이다.2. 5. 1990년대~현재: 다양성과 인디 씬의 발전
노태우 정부 시기 민주화와 함께 록 음악은 다시 부흥기를 맞았다. 정보가 자유롭게 유입되면서 한국 젊은이들은 짧은 기간 안에 수십 년 동안의 인기 있는 외국 음악에 노출되었고, 일부는 밴드를 결성하기 시작했다.[9] 초기 밴드 중에는 크라잉 넛과 노브레인이 있었는데, 이들은 인디 레이블 '드럭 레코드'를 중심으로 "조선 펑크"라는 현지화된 혼합을 통해 다양한 새로운 장르를 소개했다.
한국 헤비 메탈의 두 번째 물결은 1990년대에 시작되었다.[10] 크래쉬(1989), 시드(1996), 슬픈 전설(1996)과 같은 메탈 밴드들이 신림동의 메탈리카, 홍대의 드럭과 같은 공연장과 소규모 클럽에서 스래시 메탈과 데스 메탈을 공연하는 동안, 한국에는 더 무거운 장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넷 덕분에 블랙 메탈과 그라인드코어와 같은 익스트림 메탈 하위 장르가 칼파(1996), 오딘(1996), 다크 미러 오브 트래지디(2003), 망가니(2013)와 같은 밴드에 영향을 미쳤다. 일부 그룹의 사운드는 해외 그룹의 영향을 받았지만, 다른 밴드는 한국적인 요소를 사운드에 추가했다. 한국의 찬트를 사용하는 데스 메탈 밴드 도깨비, 한국 전통 악기를 사용하는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고스트윈드, 그라인드코어에 한국적 주제를 혼합한 밤섬해적단이 그 예시이다. 언더그라운드 공연은 일반적으로 서울 홍대와 문래동 지역, 부산, 대구에서 열린다. 부산 록 페스티벌(2000년~현재), 동두천 록 페스티벌(1999년~현재)과 같은 일부 페스티벌도 열린다.
2000년대에는 한국의 미디어 매체들이 록 음악을 다루는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한국방송공사(KBS)는 2010년에 부활의 창립자 김태원의 삶을 바탕으로 중학교부터 2003년까지의 삶을 다룬 4부작 뮤지컬 드라마 시리즈 ''록, 록, 록''을 제작했다. 2013년에는 아리랑 TV에서 백두산의 기타리스트 김도균이 진행하는 13부작 시리즈 ''Rock on Korea''[11]가 제작되었으며, 1960년대부터 현재 한국 클럽에서 공연하는 록 밴드까지 한국 록 음악을 연대기적으로 기록했다.
2018년에는 미국인 출신 이안 헨더슨과 마이클 오드와이어가 다큐멘터리 영화 ''K-Pop Killers''[12]를 제작했다. 촬영에 1년이 조금 넘게 걸린 이 영화는 한국 익스트림 메탈 씬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백두산과 마하트마와 같은 익스트림 메탈 밴드의 현재 멤버들이 인터뷰를 진행했다. GBN 라이브 하우스의 이유영, 썬더호스 태번의 커크 권, 3썸스의 제이 리와 같은 공연장 주인들도 인터뷰를 했다.
오늘날 한국에서 대부분의 음악 홍보는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며, 주류의 관심은 미미하고 다운로드 가능한 앨범이 있다.[13] 프로모터는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을 사용하여 팬들에게 예정된 공연을 알린다. 2000년대 초에는 록 서브컬처를 논하고 지역 밴드의 음악 발매를 리뷰하는 팬진이 외국인과 한국인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음악계의 외국인과 신규 참여자의 도움과 관심 덕분에 앨범이 녹음되고, 언더그라운드 밴드 멤버들이 제작하며, 언더그라운드 밴드 멤버들이 설립한 음반 레이블에서 배포된다. 다크 미러 오브 트래지디와 같은 일부 밴드는 해외 레이블과 계약을 맺고 레이블의 지원을 받고 있다.
3. 주요 아티스트
1950년대 후반, 주한 미군이 가져온 미국 GI 문화를 흡수하는 형태로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인 신중현과 그의 밴드에 의해 한국 록이 시작되었다[14]。신중현은 1962년에 한국 초기 록 밴드의 대표적인 존재인 Add 4를 결성했고[15], 1964년에 발표한 "빗속의 여인"은 한국어 록의 원점으로 평가받고 있다[16]。
1970년대에는 한대수가 앨범 2장의 발매가 금지된 후 스스로 고국을 떠나 뉴욕으로 이주했다. 신중현의 투옥은 한국 록의 제작 활동을 침체시켰지만, 산울림처럼 1980년대에 한국 대중음악계를 댄스 음악이 휩쓸기 전인 197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사람들도 있었다.
1980년대에는 헤비 메탈이 록 씬을 지배했으며, 특히 부활, 백두산, 시나위가 "빅3"로 불렸다[18]。
1990년대 초, 노태우 대통령 이후의 민주화를 거치면서 록 음악은 부활했다. 크라잉넛과 노브레인 두 밴드가 먼저 등장하여 다양한 장르를 받아들여 혼합한 "조선 펑크"라는 음악이, 클럽 드럭(Club Drug)을 경영하기도 했던 인디 레이블 드럭 레코드(Drug Records)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럭스 등 젊은 세대의 밴드가 등장했고, 더 긱스는 한국에 스트레이트 엣지 계열의 하드코어 펑크를 소개했다. 스카 펑크도 일찍부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Lazybone 이나 Beach Valley와 같은 밴드를 낳았다. 2006년에는 Skasucks가 결성되어 한국에서의 스카 펑크의 움직임을 견인하게 되었다.
3. 1. 솔로
3. 2. 밴드
밴드명 | 활동 기간 | 주요 멤버 | 장르 | 대표곡/앨범 | 비고 |
---|---|---|---|---|---|
10cm | 인디 팝 | ||||
24Hours | |||||
Achime | |||||
신중현과 엽전들/신중현과 뮤직파워 | 신중현 | ||||
Amor Fati | |||||
Biuret | |||||
푸른새벽 | |||||
부활 | 김태원 | 헤비 메탈 | 80년대 한국 록 밴드 트리오 | ||
Brunch | |||||
불독맨션 | |||||
버스커 버스커 | |||||
버스터즈 | |||||
체리필터 | |||||
씨엔블루 | |||||
크랙샷(Crackshot) | |||||
크래쉬 | 헤비 메탈 | ||||
크라잉넛 | 1995년 ~ 현재 | 펑크 | 조선 펑크 | ||
DAY6 | |||||
딕펑스 | |||||
DREAMCATCHER | |||||
드럭 레스토랑 | |||||
Dog (도그) | |||||
이브(Eve) | |||||
Fatal Fear | |||||
FT Island | |||||
갤럭시 익스프레스 | |||||
더 긱스 | 하드코어 펑크 | 스트레이트 엣지 | |||
글렌체크 | |||||
Goonamguayeoridingstella | |||||
국카스텐 | |||||
Guyz | |||||
HarryBigButton | |||||
활 | |||||
혁오 | |||||
IZ | |||||
잠비나이 | |||||
자우림 | |||||
코리아나 | |||||
백두산 | 김도균 | 헤비 메탈 | 80년대 한국 록 밴드 트리오 | ||
송골매 | |||||
활주로 | |||||
Loveholic/Loveholics | |||||
M&D | |||||
N.EX.T | |||||
엔플라잉 | |||||
넬 | |||||
네메시스 | |||||
노브레인 | 1996년 ~ 현재 | 펑크 | 조선 펑크 | ||
Nunco Band | |||||
오딘 | |||||
오! 부라더스 | |||||
언니네이발관 | |||||
Pure (퓨어) | |||||
피아(Pia) | |||||
The RockTigers | |||||
로맨틱펀치 | |||||
로열 파이럿츠 | |||||
럼블피쉬 | |||||
럭스 | |||||
산울림 | 김창완 | ||||
세이 예스(Say Yes) | |||||
서울 일렉트릭 밴드(Seoul Electric Band) | |||||
시나위(Sinawe) | 신대철 | 헤비 메탈 | 80년대 한국 록 밴드 트리오 | ||
스프링쿨러 | |||||
TRAX | |||||
검정치마 | |||||
칵스 | |||||
The RockTigers | |||||
더 로즈 | |||||
The Strikers | |||||
Thornapple | |||||
바닐라 유니티 | |||||
바셀린 | |||||
Vrose | |||||
...Whatever That Means | |||||
Yada | |||||
YB | |||||
롤러코스터 | |||||
24Hours | |||||
2Z | |||||
3rd Line Butterfly | |||||
9 and the Numbers | |||||
아침 | |||||
Add 4 | |||||
Apollo 18 | |||||
가을방학 | |||||
Biuret | |||||
블루던 | |||||
봉제인간 | |||||
브로콜리 너마저 | |||||
불싸조 | |||||
버스터즈 | |||||
버스커 버스커 | |||||
버즈 | |||||
안녕바다 | |||||
코토바 | |||||
댑다 | |||||
Dark Mirror Ov Tragedy | |||||
디케이드 | |||||
들국화 | |||||
드림캐쳐 | |||||
Drug Restaurant | |||||
더 프릭스 | |||||
게이트 플라워즈 | |||||
그린플레임보이즈 | |||||
Hathaw9y | |||||
홀로그램필름 | |||||
호피폴라 | |||||
아이즈 | |||||
잔나비 | |||||
광프로그램 | |||||
레드애플 | |||||
라이프 앤 타임 | |||||
로로스 | |||||
러브홀릭 | |||||
루시 | |||||
매드먼 에스프리 | |||||
모노톤즈 | |||||
모스콰 쿵 | |||||
못 | |||||
무키무키만만수 | |||||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 |||||
네미시스 | |||||
너드 커넥션 | |||||
노라조 | |||||
노 리스펙트 포 뷰티 | |||||
오드엔 | |||||
ONEWE | |||||
O.O.O | |||||
OurR | |||||
파꼬 | |||||
파라솔 | |||||
폰부스 | |||||
롤링쿼츠 | |||||
Sad Legend | |||||
미역수염 | |||||
새소년 | |||||
실리카겔 | |||||
스카서스 | |||||
슬랜트 | |||||
선결 | |||||
SURL | |||||
The Breeze - 브리즈 | |||||
쏜애플 | |||||
TRPP | |||||
바이브 | |||||
브이로즈 | |||||
웨이브 투 어스 | |||||
위 아 더 나잇 | |||||
아! 세상의 빛 | |||||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 |||||
야다 | |||||
양반들 | |||||
제온파사 | |||||
Zzzaam |
4. 한국의 록 페스티벌
한국에서 개최되는 주요 록 페스티벌은 다음과 같다.
축제명 | 개최지 |
---|---|
부산 록 페스티벌 | 부산 |
ETPFEST | 대한민국 |
동두천 록 페스티벌 | 동두천 |
DMZ 피스 트레인 뮤직 페스티벌 | 철원 DMZ 일대 |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 지산 |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인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 인천 |
5. 일본에서의 한국 록
K-POP에 비하면 규모는 제한적이지만, K-ROCK은 일본에서도 각종 프로모션 활동 및 공연을 펼치고 있다.[20]
최근에는 윤도현이 이끄는 YB가 대표적인 밴드로 일본에 소개되고 있다.[21]
참조
[1]
뉴스
한국의 록
http://terms.naver.c[...]
2018-01-20
[2]
서적
K-Pop: Korea’s Musical Explosion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3]
서적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
뉴스
"'Godfather of rock' unplugged"
http://nwww.koreaher[...]
2018-01-20
[5]
웹사이트
키 보이스 소개
http://www.mnet.com/[...]
2018-01-20
[6]
서적
Globalization and Popular Music in South Korea: Sounding Out K-Pop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The Birth of "Rok" Cultural Imperialism, Nationalism, and the Glocalization of Rock Music in South Korea, 1964–1975
Duke University Press
[8]
뉴스
Discovering Korean Metal: A Rocky Road
http://seoulbeats.co[...]
2014-02-18
[9]
뉴스
Stephen Epstein: Korea's indie rock scholar
http://www.korea.net[...]
2014-02-18
[10]
웹사이트
A History of South Korean Metal and Hardcore Punk Part 2.
http://www.invisible[...]
2019-07-23
[11]
웹사이트
Rock on Korea
http://www.arirang.c[...]
2019-07-22
[12]
웹사이트
"'K-Pop Killers' film explores Korea through heavy metal"
https://www.koreatim[...]
2019-07-23
[13]
웹사이트
A History of South Korean Metal and Hardcore Punk Part 3.
http://www.invisible[...]
2019-07-23
[14]
문서
金成玟(2024) p.45
[15]
웹사이트
한국 락-Rock의 역사
http://www.reportwor[...]
[16]
문서
金成玟(2024) p.46
[17]
문서
金成玟(2024) p.46
[18]
뉴스
Discovering Korean Metal: A Rocky Road
http://seoulbeats.co[...]
2014-02-18
[19]
뉴스
Stephen Epstein: Korea's indie rock scholar
http://www.korea.net[...]
2014-02-18
[20]
웹사이트
K-ROCKは韓流の波に乗れるだろうか?
https://news.kstyle.[...]
Kstyle
2015-08-01
[21]
웹사이트
K-ROCKの至宝YB、ついに来日| RSJ読者には特別優待も!!
http://www.rollingst[...]
2015-08-01
[22]
뉴스
한국의 록
https://terms.naver.[...]
2018-01-20
[23]
서적
K-Pop: Korea’s Musical Explosion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4]
서적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5]
뉴스
"'Godfather of rock' unplugged"
http://nwww.koreaher[...]
2018-01-20
[26]
웹인용
키 보이스 소개
http://www.mnet.com/[...]
2018-01-20
[27]
서적
Globalization and Popular Music in South Korea: Sounding Out K-Pop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