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H-6111 독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PH-6111 독도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대형 수송함으로, 2007년 7월 3일 취역했다. 한진중공업에서 건조되었으며, 헬리콥터 7대, 전차 6대, 상륙돌격장갑차 7대, 병력 700여 명 등을 수송할 수 있다.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수색 구조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구조 지원 본부로 사용되었다. 함명은 동해의 독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은 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독도함은 SMART-L 레이다, RIM-116 램, 골키퍼 CIWS 등의 무장을 갖추고 있으며, 2024년에는 그레이 이글 UAV 시험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도급 대형수송함 - LPH-6112 마라도
LPH-6112 마라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두 번째 대형 수송함으로, 2017년 기공되어 2021년 실전 배치되었으며, 헬기 운용 및 상륙 작전 능력 강화, F-35B 탑재 검토 등을 통해 해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2010년에는 설계 도면이 유출되는 사건이 있었다. - 2005년 선박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2005년 선박 - 코스타 콘코르디아
코스타 콘코르디아는 이탈리아에서 건조된 대형 유람선으로, 2012년 질리오 섬 인근 해상에서 좌초되어 침몰하며 32명의 사망자를 냈고, 선장은 안전 규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인양 및 해체 과정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 사고로,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 - 헬리콥터 모함 - 타라와급 강습상륙함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은 헬리콥터와 상륙정 운용 능력을 갖춘 미국의 강습상륙함으로, 수륙 양용 작전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5척이 건조되어 상륙 부대와 장비를 수송하고 헬리콥터 및 상륙정을 통해 상륙 작전을 수행했으며, 2005년부터 퇴역하여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으로 대체되었다. - 헬리콥터 모함 - HMS 오션 (L12)
HMS 오션 (L12)은 영국 해군 헬리콥터 상륙함으로, 왕립 해병대 대대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18년 퇴역 후 브라질 해군에 매각되어 현재 기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LPH-6111 독도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명 유래 | 독도 |
함번 | LPH-6111 |
진수 | 2005년 7월 12일 |
취역 | 2007년 7월 3일 |
상태 | 현역 |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건조 | 한진중공업 |
가격 | 3,257억 7천만원 (한화) |
제원 | |
함종 | 강습상륙함 |
배수량 | 경하: 14,600톤 만재: 19,000톤 |
길이 | 199m |
폭 | 31m |
흘수 | 6.6m |
추진 방식 | CODAG |
속력 | 최대: 23노트 순항: 18노트 |
승조원 | 330명 |
무장 | |
미사일 방어 | RIM-116 대함 유도탄 방어 체계 1문 |
근접 방어 | 골키퍼 CIWS 근접 방어 무기 체계 2문 |
탐지 장비 | |
레이더 | SMART-L 레이더 MW-08 레이더 |
전자전 장비 | |
전자전 | ESM/ECM: SLQ-200(v)5K SONATA, 채프 발사기 |
탑재 능력 | |
병력 | 720명 해병 |
차량 | 최대 200대 |
전차 | 6대 |
상륙 장갑차 | 7대 |
상륙정 | 2 LSF-II 또는 LCAC |
항공기 | 최대 15대 헬기 (UH-60 블랙호크 15대 또는 SH-60F 오션 호크 헬기 10대) |
헬기 운용 | 기동헬기 UH-60 공격헬기 AH-64E 대잠헬기 KA-32 CH-47 운용 가능 |
2. 역사
2002년 10월 한진중공업이 건조를 시작하여, 2005년 7월 12일 진수, 2007년 7월 3일 대한민국 해군에 취역하였다. 취역 전 대한민국 해군 61주년 기념행사에서 갑판에 '61'을 묘사한 것이 첫 활동이다.
2007년 12월에는 말레이시아 랑카위 섬에서 열린 랑카위 해양 항공 전시회(LIMA)에 참가하였다.[11][12] 2010년에는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실종자 구조를 지휘했고,[13] 같은 해 7월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인 '불굴의 의지(Operation Invincible Spirit)'에 참가했다.[14]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는 구조 지원 본부로 사용되어 실종자 수색을 지휘했다.[15] 2015년 10월 19일에는 대한민국 해군 창설 70주년 기념 관함식에 참가했다.[16]
2024년 11월, 대한민국 해군은 독도함에서 그레이 이글 단거리 이착륙 UAV 시험을 하였다. 그레이 이글 UAV는 독도함에서 이륙하여 "시뮬레이션 착륙 절차"를 수행했지만, 착륙하지는 않았다.[6][7]
2. 1. 건조 및 취역
2002년 10월 말에 한진중공업이 대한민국 해군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건조를 시작한 뒤, 2005년 7월 12일 진수하였고 2006년 5월 22일부터 시운전을 시작하여 2007년 7월 3일 취역하였다. 2010년 3월 천안함 침몰 사고 수색구조 작전에 투입되었다.2. 2. 주요 활동
2007년 7월 3일 취역 후, 대한민국 해군 61주년 기념행사에서 갑판에 인간 문자로 '61'을 묘사했다. 같은 해 8월에는 해군 3함대에서 독도함 공개행사를 가졌다. 12월 2일부터 9일까지 말레이시아 랑카위 섬에서 열린 랑카위 해양 항공 전시회(LIMA)에 전시되었는데, 이는 '독도'의 첫 해외 순항이었다.[11][12]2010년 3월, 천안함 침몰 사고 수색구조 작전에 투입되어 실종자 구조를 지휘했다.[13] 같은 해 7월, 한미연합 훈련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 작전에 참가했다.[5][14] 2011년 5월에는 독도함 지휘 아래 해상 합동상륙훈련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
2014년 4월,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구조 지원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실종자 수색을 지휘했다.[15] 2015년 10월 19일, 대한민국 해군 창설 70주년 기념 관함식에 참가했다.[16]
2024년 11월, 대한민국 해군은 독도함에서 그레이 이글 단거리 이착륙 UAV를 시험했다. 그레이 이글 UAV는 ''독도''에서 이륙하여 선박 좌현 가까이 두 번 비행하며 "시뮬레이션 착륙 절차"를 수행했지만, 선박에 착륙하지는 않았다.[6][7]
3. 명칭
독도함의 정식 명칭은 LPH(Landing Platform Helicopter) 대형 상륙함이며, 대한민국 해군이 추진하는 LPX(Landing Platform Experimental) 사업의 첫 번째 함정이다. 대한민국은 물론 아시아에서 가장 큰 상륙함으로, 미국식 함정 분류에 따르면 LHD(Landing Helicopter Dock)로 분류되기도 한다. 헬기 여러 대가 동시에 이착륙할 수 있는 대형 비행갑판을 갖춘 상륙함을 흔히 강습상륙함(LPH·LHA·LHD)이라고 부른다.[17]
당시 한국 정부는 일본의 독도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LPH의 함명을 독도함으로 명명하였다. 독도라는 이름은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동해의 섬 무리인 리앙쿠르 암초에 대한 한국어 명칭에서 유래했다. 이 섬들의 영유권은 일본과 대한민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 중이다.[3] 일본 외무성은 ''독도'' 명명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4]
ROKS ''독도''는 2007년 7월 3일 대한민국 해군에 배치되었다. 함명은 대한민국 동해의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위치한 섬인 독도에서 따왔다. 이 섬의 귀속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 간에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9] 일본 외무성은 이 함이 독도로 명명된 것에 항의했고, 대한민국 외교부는 이에 유감을 표하며 반박했다.[10] 섬 이름과 구별하기 위해 "독도'''함'''"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4. 특징
독도함은 네덜란드 탈레스사(구 시그널사)의 장거리 3차원 레이다인 SMART-L을 사용하여 전술 탄도 미사일 탐지에 있어 최장거리 레이다 중 하나로 꼽힌다. 대함 순항 미사일 방어를 위한 RIM-116 램 1문과 근접 방어 무기 체계인 골키퍼 CIWS(네덜란드) 2문을 운용한다. 함 내부에는 종합병원 수준의 의료 시설과 지휘 통제실을 갖추고 있어 강습상륙함 이외의 다양한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4. 1. 레이다
독도함에서 사용하는 레이다는 SMART-L 레이다(Signaal Multibeam Acquisition Radar for Tracking, L band)로 네덜란드 기업인 탈레스 네덜란드사(구 시그널 사)가 개발한 장거리 3차원 레이다이다.SMART-L 레이다는 현재 전 세계의 전술 탄도 미사일을 탐지하는 최장거리 레이다 중 하나이다. SMART-L 레이다의 최대 탐지 거리는 스텔스미사일 85km, 전투기 400km, 초계기 600km이며, 최대 동시추적 목표물은 공중목표물 1,000개, 해상목표물 100개, 레이다 기만기 32개이다.
독도함은 2006년 탄도 미사일 방어 최대 탐지거리 실험에서 ELR 모드로 480km의 목표물을 성공적으로 탐지하였다.
4. 2. 무장
독도함은 대함 순항 미사일 방어를 위해 개발된 소형, 경량, 적외선유도 지대공 미사일인 RIM-116 램(RAM) 1문을 운용한다.[18] RIM-116 램 발사대는 설치 중량이 5777kg인 Mk-49 발사대로, 21발의 미사일을 탑재한다.근접 방어 무기 체계로는 골키퍼 CIWS(네덜란드) 2문을 운용한다. 골키퍼는 GAU-8 어벤저 30mm 구경 7총열 개틀링포로, 마하 2의 속도를 갖는 SS-N-22 선번 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자동으로 탐지하여 요격할 수 있다. 탐지에서 자동 요격까지 5.5초가 걸리며, 1500m 거리에서 탐지하여 500m 거리에서 요격한다.
4. 3. 의료 및 지휘 시설
독도함은 종합병원 수준의 의료 장비를 갖춘 의료 시설과 지휘를 위한 지휘 통제실을 갖추고 있어, 강습상륙함 이외의 다양한 작전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8]5. 수송 능력
독도함은 헬리콥터 7대, 전차 6대, 상륙돌격장갑차 7대, 트럭 10대, 야포 3문, LSF-2 등 고속상륙정 2척, 승조원 300명, 상륙군 700여 명을 동시에 수송할 수 있다.[1] 독도함은 LSF-2 (솔개 631) 고속상륙정 2척을 탑재하며,[1] 함미부 격납고 아래에는 길이 26.4m, 폭 14.3m의 공간이 있어 공기부양정이 장비를 싣고 나갈 수 있다.[1] 독도함 안에는 전차, 트럭, 장갑차 등을 실을 수 있는 '덤프(dump)' 또는 '비클 스페이스(vehicle space)'라고 불리는 거대한 지하 주차장이 있고, 이곳은 공기부양정이 들어오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1]
6. 주요 임무
독도함은 상륙작전을 위한 병력 및 장비 수송을 위한 대형수송함으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항공 상륙작전과 전차를 동원한 돌격 상륙작전을 지원한다. 해상기동부대나 상륙부대의 기함으로서 대수상전, 대공전, 대잠수함전 등을 지휘 통제하는 지휘함 기능도 수행한다.[19] 또한 재난 구조, 국제평화유지활동(PKO), 유사시 재외국민 철수 등 국가 정책 지원에도 활용된다.
상륙작전 시 독도함의 대형 비행 갑판에서는 각종 헬리콥터가 해병대 보병을 태우고, 함 내에서는 공기부양정이 도크로 내려진다. 전차 1대와 트럭 2대가 공기부양정 LSF-2 (솔개 631)로 옮겨지고, 함미에서는 LSF-2 공기부양정이 빠져나온다. LSF-2 공기부양정은 시속 60km에서 80km의 속도로 육지까지 이동하여 전차 등을 내려놓고, 이들은 헬리콥터 부대의 엄호를 받으며 적진으로 돌격한다.
독도함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상륙작전 지원: 헬리콥터 및 공기부양정을 이용한 병력, 장비 수송
- 기함 기능: 대수상전, 대공전, 대잠수함전 등 지휘 통제
- 국가 정책 지원: 재난 구조, 국제평화유지활동(PKO), 재외국민 철수 등
독도함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해군 61주년 기념행사: 갑판에 인간 문자 '61' 묘사 (취역 전)
- 랑카위 해양 항공 전시회(LIMA) 참가: 말레이시아 랑카위 섬 (2007년 12월 2일 ~ 9일) [11][12]
- 천안함 피격 사건 실종자 구조 지휘 (2010년) [13]
- 한미 연합 군사 훈련 '불굴의 의지 작전 (Operation Invincible Spirit)' 참가 (2010년 7월) [14]
-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지원 본부로 사용, 실종자 수색 지휘 (2014년) [15]
- 대한민국 해군 창설 70주년 기념 관함식 참가 (2015년 10월 19일) [16]
7. 강습상륙함
헬기 여러 대가 동시에 이착륙할 수 있는 대형 비행갑판을 갖춘 상륙함을 흔히 강습상륙함(LPH·LHA·LHD)이라고 부른다. LPH는 도크 대신 헬기갑판을 갖추고 헬기를 이용해 병력을 상륙시키는 것이 주임무인 상륙함이다. 미국의 LHA와 LHD는 수직 이착륙기인 해리어까지 탑재할 수 있고 배수량도 30,000~40,000톤에 달해 사실상 경항모에 가까운 함정이다.
1960년대 말에 처음 출현한 LHA는 LSD·LPD·LPH 등 기존 대형 상륙함정의 능력을 종합한 만능형 상륙함이다. 도크를 통한 상륙주정 탑재 능력은 물론 헬기 탑재 능력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다. LHD는 LHA와 유사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도크를 통한 상륙주정 탑재 능력이 좀 더 강화됐다.
사실 위와 같은 각급 상륙함정을 모두 갖춘 나라는 미국 해군 등 극소수 국가에 한정된다. 설사 보유하고 있더라도 함정 분류법은 차이가 있다. 도크와 헬기갑판을 모두 갖춘 함정이라도 LPH로 분류하는 경우도 많다. 우리 해군의 독도급 대형수송함은 공식적으로 LPH로 분류된다.
8. 동급 함정
후속 함정으로 LPH-6112 마라도와 LPH-6113 백령도가 예정되어 있었으나[20] 예산 문제로 연기되었다가 2020년까지 마라도함을 건조할 계획이 구체화되었다.[21][22] 독도함 후속 함정은 기존 독도함보다 규모와 배수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설계 중이다.[23]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
LPH-6111 독도 | 2002년 10월 | 2005년 7월 12일 | 2007년 7월 3일 |
LPH-6112 마라도[21] | 2014년 12월 23일 | 2018년 5월 14일 | 2021년 6월 28일 |
LPH-6113 백령도 | - | - | - |
9. 비교
함명 | 국가 | 건조년도 | 길이(m) | 만재배수량(톤) | 함재기 | 속력(노트) | 마력 | 종류 |
---|---|---|---|---|---|---|---|---|
독도함 | style="text-align:left;" | | 2005 | 199 | 19,000 | 15 | 23 | 41,615 | LPH |
타라와함 | style="text-align:left;" | | 1973 | 254 | 44,056 | 43 | 24 | 70,000 | 강습상륙함 |
해남함 | style="text-align:left;" | | 2018 | 237 | 40,000 | 35 | 25 | 87,000 | 강습상륙함 |
휴우가함 | style="text-align:left;" | | 2007 | 197 | 18,000 | 11 | 30 | 100,000 | DDH |
이즈모함 | style="text-align:left;" | | 2013 | 248 | 27,000 | 14 | 30 | 112,000 | DDH |
미스트랄함 | style="text-align:left;" | | 2004 | 199 | 21,300 | 35 | 19 | 48,679 | BPC |
데달도함 | style="text-align:left;" | | 1943 | 190 | 16,416 | 16 | 32 | 100,000 | 경항공모함 |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 style="text-align:left;" | | 1988 | 196 | 17,190 | 29 | 27 | 46,400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 | style="text-align:left;" | | 1985 | 180 | 13,500 | 18 | 30 | 82,000 | 경항공모함 |
인빈시블 | style="text-align:left;" | | 1977 | 209 | 20,700 | 20 | 28 | 97,000 | CVS |
오오스미 | style="text-align:left;" | | 1995 | 178 | 14,000 | 0 | 22 | 26,000 | LST |
짜끄리 나르벳 | style="text-align:left;" | | 1996 | 183 | 11,486 | 14 | 25.5 | 55,450 | 경항공모함 |
10. 사건 사고
- 2007년 8월, 해군 3함대에서 독도함 공개행사를 가졌다.
-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실종자 구조를 지휘했다.[13]
- 2010년 7월,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인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 작전에 참가했다.[14]
- 2011년 5월, 독도함 지휘하에 해상 합동상륙훈련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
- 2013년 9월 10일 어청도 해상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나,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는 구조 지원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실종자 수색을 지휘했다.[15]
- 2015년 10월 19일, 대한민국 해군 창설 70주년 기념 관함식에 참가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Aircraft Carriers or Not? Flattops in the Pacific
https://thediplomat.[...]
2020-04-12
[2]
웹사이트
Dokdo Class Landing Platform Helicopter (LPH)
http://www.naval-tec[...]
2015-03-08
[3]
뉴스
Seoul and Tokyo hold island talks
http://news.bbc.co.u[...]
BBC
2015-03-28
[4]
뉴스
韓国政府、日本に抗議 強襲揚陸艦「独島」命名問題
http://world.kbs.co.[...]
KBS
2020-08-25
[5]
뉴스
US to Use S. Korean Base to Project Power Against China?
http://www.salem-new[...]
Salem-News.com
2015-03-28
[6]
웹사이트
Gray Eagle STOL Drone Flies From South Korean Amphibious Assault Ship
https://www.twz.com/[...]
2024-11-13
[7]
웹사이트
ROK Navy tests Mojave drone aboard ROKS Dokdo
https://www.navalnew[...]
2024-11-13
[8]
뉴스
완전정복’ 함정분류법 <하>군함 분류에도 냉혹한 국제사회 계산법 반영
http://kookbang.dema[...]
2020-08-29
[9]
뉴스
Seoul and Tokyo hold island talks
http://news.bbc.co.u[...]
BBC
2015-03-28
[10]
뉴스
韓国政府、日本に抗議 強襲揚陸艦「独島」命名問題
http://world.kbs.co.[...]
KBS
2020-08-25
[11]
웹사이트
독도함 국제무대 ‘첫선’
http://kookbang.dema[...]
2018-06-28
[12]
웹사이트
독도함, 말聯 국제해양방산전시회 주역
http://kookbang.dema[...]
2018-06-28
[13]
웹사이트
"[천안함 침몰] 1만2000t 독도함 진두지휘… 유례없는 구조작전"
http://news.kmib.co.[...]
2018-04-29
[14]
뉴스
US to Use S. Korean Base to Project Power Against China?
http://www.salem-new[...]
Salem-News.com
2015-03-28
[15]
웹사이트
"<세월호참사> 김관진, 독도함 '군 현장구조지원본부' 방문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
2018-04-29
[16]
뉴스
"[포토] 2015 대한민국해군 관함식 (Republic Of Korea Navy, Fleet Review 2015)"
http://www.newdaily.[...]
뉴데일리
2018-04-29
[17]
뉴스
완전정복’ 함정분류법 <하>군함 분류에도 냉혹한 국제사회 계산법 반영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09-06-06
[18]
두산백과
독도함
https://terms.naver.[...]
[19]
뉴스
대형 수송함 '독도함' 위용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7-05-03
[20]
뉴스
全軍 장성 한자리 ‘무궁화 회의’ 올핸 ‘독도함’서 열린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8-05-20
[21]
뉴스
해군, '제 2독도함' 이어도함 도입
http://news.chosun.c[...]
TV조선
2012-08-18
[22]
뉴스
경항모급 ‘제2 독도함’ 건조한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2-08-29
[23]
URL
http://www.segy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