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ilestones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ilestones》는 1958년에 발매된 마일스 데이비스의 재즈 앨범이다. 이 앨범은 테너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이 데이비스 그룹으로 복귀한 후 모드(mode)를 활용한 실험의 초기 결과물 중 하나로, 재즈 역사에 모달리즘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앨범에는 〈Sid's Ahead〉, 〈Miles〉, 〈Billy Boy〉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올뮤직은 이 앨범을 비밥과 포스트밥 스타일을 모두 갖춘 클래식 음반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음반 - Blue Train (음반)
    존 콜트레인이 1957년 블루 노트 레코드에서 발매한 《Blue Train》은 그의 첫 리더작으로, 리 모건, 커티스 풀러 등 최고의 재즈 뮤지션들이 참여하여 복잡한 화성과 혁신적인 멜로디, "Coltrane Changes" 시도로 즉흥 연주의 가능성을 확장한 하드 밥 스타일의 앨범이다.
  • 1958년 음반 - One Dozen Berrys
    《One Dozen Berrys》는 척 베리의 두 번째 앨범으로, 1957년 1월부터 1958년 2월까지 녹음된 싱글 6곡과 신곡 6곡을 포함한 총 12곡을 담고 있다.
  •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반 - Get Up with It
    마일스 데이비스의 1974년 앨범 Get Up with It은 퓨전 재즈를 기반으로 록, 훵크, 아프리카 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실험적인 작품으로, 듀크 엘링턴 헌정곡을 포함한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어 발매 후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반 - Star People
    마일스 데이비스가 1983년에 발표한 스튜디오 앨범 《Star People》은 존 스코필드, 마이크 스턴, 마커스 밀러 등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했으며 데이비스가 직접 그린 그림이 앨범 재킷에 사용되었고, 빌보드 재즈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하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Milestones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Milestones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마일스 데이비스
Milestones 음반 커버
Milestones 음반 커버
발매일1958년 9월 2일
녹음일1958년 2월 4일, 3월 4일
녹음 장소컬럼비아 30번가 스튜디오 (뉴욕)
장르재즈, 모달 재즈, 비밥
길이47분 36초
레이블컬럼비아
프로듀서조지 아바키안
이전 음반Ascenseur pour l'échafaud (1958년)
다음 음반Porgy and Bess (1959년)
평가
Tom HullB+

2. 구성

1958년 테너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마일스 데이비스의 그룹으로 돌아오면서, 데이비스는 본격적으로 모드 재즈 실험을 시작했다.[44][8][22] 이 시기에 발표된 《Milestones》와 이후의 《Kind of Blue》(1959년)는 1950년대 모던 재즈의 중요한 예시로 평가받는다.[44][8][22] 데이비스는 당시 장조와 단조 외에 다양한 모드 스케일을 활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44][8][22]

앨범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Sid's Ahead"에서 데이비스가 트럼펫 연주 외에 피아니스트 레드 갈란드가 참여하지 않은 부분에서 피아노를 연주한 점[45][9][23], 그리고 "Billy Boy"가 레드 갈란드와 리듬 섹션의 연주를 전면에 내세운 곡이라는 점[45][9][23] 등을 들 수 있다.

2. 1. 수록곡 해설

Side트랙제목작곡가재생 시간
Side one1Dr. Jackle재키 맥린5:55
2Sid's Ahead마일스 데이비스13:13
3Two Bass Hit존 루이스, 디지 길레스피5:19
Side two1Milestones마일스 데이비스[49]5:49
2Billy Boy민요, 아마드 자말 (편곡)7:19
3Straight, No Chaser셀로니어스 몽크10:41


2. 1. 1. Dr. Jackle

"Dr. Jackle"은 재키 맥린이 작곡한 곡이다. 원래 제목은 "Dr. Jekyll"이었으나, 후기 LP 및 CD 발매에서는 "Dr. Jackle"로 표기되었다. 이 곡은 음반 Milestones의 사이드 1 첫 번째 트랙이며, CD 재발매 시에는 1번 트랙에 해당한다. 재생 시간은 5분 55초이고, 1958년 3월 4일에 녹음되었다.

2. 1. 2. Sid's Ahead

"Sid's Ahead"는 마일스 데이비스가 작곡한 블루스 곡이다.[9] 이 곡은 데이비스가 1954년 블루 노트 레코드에서 "Weirdo"라는 제목으로 녹음했던 "Walkin'"을 연상시킨다.[9] 데이비스는 이 곡에서 트럼펫피아노를 모두 연주했다. 앙상블 부분과 트럼펫 솔로에서는 트럼펫을 연주하지만, 피아니스트 레드 갈란드가 참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색소폰 연주자들과 폴 챔버스의 베이스 솔로를 반주하기 위해 피아노로 전환하여 연주했다.[9] 이 곡은 앨범의 사이드 1 두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 재생 시간은 13분 13초이다. 녹음은 1958년 3월 4일에 이루어졌다.

2. 1. 3. Two Bass Hit

"Two Bass Hit"는 존 루이스와 디지 길레스피가 작곡한 곡이다. 원본 LP에서는 사이드 1의 세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 재생 시간은 5분 19초이다. CD로 재발매되었을 때는 3번 트랙으로 포함되었고, 4분 29초 길이의 다른 테이크(alternate take)가 7번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이 곡은 1958년 2월 4일에 녹음되었다.

2. 1. 4. Milestones

앨범의 사이드 2 첫 번째 곡이자 타이틀 트랙이다.[49][35] 작곡가는 마일스 데이비스이며, 재생 시간은 5분 49초이다. 초기 발매 시에는 "Miles"라는 제목이었으나, 이후 LP 및 CD 재발매에서는 "Milestones"로 표기되었다.[15][35]

이 곡은 존 콜트레인이 데이비스의 밴드로 복귀한 시기와 맞물려 발표된 앨범 ''Milestones''에 수록되었으며, 이 앨범과 ''Kind of Blue''(1959)는 1950년대 모던 재즈의 중요한 예시로 평가받는다. 특히 "Milestones"는 마일스 데이비스가 장조와 단조 외의 음계 패턴인 모드(mode)를 실험하며 모달 재즈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곡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8]

1958년 2월 4일에 녹음되었으며, CD 재발매판에는 5분 58초 길이의 다른 테이크(alternate take)가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기도 했다.

2. 1. 5. Billy Boy

전통음악 (민요)을 아마드 자말이 편곡한 곡이다. 이 곡은 피아니스트 레드 갈란드와 리듬 섹션(베이스, 드럼)을 위한 솔로 피쳐링으로, 특히 갈란드의 피아노 솔로가 두드러진다.[45]

2. 1. 6. Straight, No Chaser

"스트레이트, 노 체이서"는 음반의 두 번째 면(Side two) 세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 재즈 피아니스트 셀로니어스 몽크가 작곡했으며, 재생 시간은 10분 41초이다. 이 곡은 1958년 2월 4일에 녹음되었다. 이후 CD 재발매판에는 재생 시간 10분 28초의 별도 테이크(alternate take)가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3. 평가

Milestones》는 발매 당시부터 현재까지 비평가와 대중 모두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음반은 재즈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모달 재즈의 도입과 뛰어난 연주자들의 협연으로 주목받는다.

3. 1. 비평가들의 평가

올뮤직의 톰 주렉(Tom Jurek)은 별 다섯 개 만점 평점을 부여하며, 《Milestones》를 비밥과 포스트밥 스타일의 블루스 소재를 담은 고전적인 앨범으로 평가했다. 특히 타이틀곡 〈Milestones〉는 재즈에 모달 재즈 기법을 도입했으며, 이후 마일스 데이비스 음악의 방향을 제시한 기념비적인 곡이라고 언급했다.[46][10][24]

팝매터스》의 앤디 허먼(Andy Hermann)은 이 앨범이 《Kind of Blue》보다 더 공격적인 스윙감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또한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캐넌볼 애덜리가 함께한 첫 세션으로, 두 사람의 서로 다른 스타일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각 연주자를 더 높은 경지로 끌어올렸다"고 덧붙였다.[47][11][25]

올 어바웃 재즈》의 짐 산텔라(Jim Santella)는 데이비스가 구성한 6중주단(섹스텟)의 연주자 수준이 비록 짧은 기간 활동했지만 "최고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Milestones》를 "재즈 역사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 중요한 앨범"이라고 평가했다.[48][12][26]

《더 펭귄 가이드 투 재즈》는 이 앨범을 "핵심 컬렉션"의 일부로 선정하며 "가장 위대한 모던 재즈 앨범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13][27]

3. 2. 대중적 인기

올뮤직의 톰 쥬렉은 《Milestones》를 비밥과 포스트밥 스타일에 블루스적인 요소를 갖춘 클래식 음반으로 평가했다. 또한 타이틀곡 "Milestones"는 재즈에 모들리즘을 도입하고 이후 데이비스 음악의 방향을 제시한 중요한 곡이라고 언급했다.[46]팝매터스》의 앤디 헤르만은 이 앨범이 유명한 《Kind of Blue》보다 더 공격적인 스윙감을 보여주며,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캐넌볼 애덜리의 첫 협연이 담겨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두 연주자의 서로 다른 스타일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각자를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47]올 어바웃 재즈》의 짐 산텔라는 데이비스가 모은 연주자들이 짧은 기간 활동했지만 "최고 수준"이었으며, 《Milestones》는 "재즈 역사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 중요한 음반"이라고 말했다.[48]

4. 스테레오 리믹스와 리마스터

《Milestones》는 원래 모노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전자적으로 재처리된 의사 스테레오 버전으로도 나왔다.[14][28]

CD 시대가 도래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오리지널 테이프에서 리믹스 또는 리마스터하는 작업이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Milestones》의 오리지널 테이프를 찾는 작업도 진행되었다.

1980년대 중반, 1958년 3월 4일에 녹음된 곡 중 첫 2곡의 3채널 스테레오 멀티 녹음 오리지널 테이프가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988년 미국 컬럼비아 레코드는 해당 2곡만 스테레오로, 나머지 4곡은 의사 스테레오로 수록하여 앨범을 발매했다.[29][30][31]

이후 1990년대 후반, 마일스 데이비스와 존 콜트레인컬럼비아 레코드에서 함께한 모든 녹음(다른 테이크 포함)을 모은 박스 세트 "마일스 & 콜트레인 BOX"[32] 발매 기획 과정에서, 1958년 녹음 세션 중 행방불명이었던 나머지 오리지널 테이프가 모두 3트랙 스테레오 멀티 녹음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2001년, 콜롬비아/레거시 레이블은 앨범 전곡을 스테레오 버전 음원으로 리믹스 및 리마스터하고, 추가로 다른 테이크 3곡을 보너스 트랙으로 더하여 재발매했다.[33][34] 이 스테레오 리믹스 및 리마스터 버전은 《존 콜트레인과 함께 한 마일스 데이비스의 컬럼비아 레코딩 전집》에도 포함되었다.

참고로, 스테레오 버전의 〈Milestones〉 트랙에는 마일스 데이비스가 마지막 테마 재현 부분에서 연주 실수를 한 부분이 편집되지 않은 원본 상태로 남아있다. 반면, 초기에 발매된 모노 버전에서는 이 부분을 앞부분의 같은 선율 부분을 복사하여 붙여넣는 방식으로 편집하여 수정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스테레오 버전이 발매된 이후에도 발표 당시의 편집이 반영된 모노 버전이 계속해서 재발매되기도 한다.

5. 참여 연주자

연주자악기
마일스 데이비스트럼펫
줄리안 "캐논볼" 애덜리알토 색소폰
존 콜트레인테너 색소폰
레드 갈랜드피아노
폴 챔버스더블 베이스
필리 조 존스드럼


5. 1. 마일스 데이비스

마일스 데이비스는 이 음반에서 트럼펫을 연주했다.[45] 또한, 타이틀 곡인 "Milestones"에서는 플루겔호른을 연주하기도 했다.[45] 특히 블루스 곡인 〈Sid's Ahead〉에서는 피아노도 연주했는데, 앙상블과 솔로 파트에서는 트럼펫을 연주했지만, 피아니스트 레드 갈랜드가 참여하지 않는 부분에서 색소폰 연주자들의 반주를 위해 피아노를 맡았다.[45]

5. 2. 존 콜트레인

1958년 테너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마일스 데이비스의 그룹으로 돌아왔다.[44][22] 이는 《Milestones》 앨범 작업 시기와 일치하며, 콜트레인의 복귀는 데이비스가 모드 재즈를 실험하고 발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 발표된 《Milestones》와 《Kind of Blue》(1959년)는 1950년대 모던 재즈의 핵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44][22] 콜트레인은 이 앨범에서 테너 색소폰을 연주하며 데이비스와 함께 모드 재즈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기여했다.

5. 3. 캐넌볼 애덜리

줄리안 "캐논볼" 애덜리는 이 음반에서 알토 색소폰을 연주했다.

5. 4. 레드 갈란드

레드 갈랜드는 이 음반에서 피아노 연주를 담당했다.[45] 다만, 마일스 데이비스가 직접 피아노를 연주한 〈Sid's Ahead〉에는 참여하지 않았다.[45] 수록곡 〈Billy Boy〉는 갈란드와 리듬 섹션(폴 챔버스, 필리 조 존스)을 위한 솔로 연주곡으로, 그의 피아노 연주가 돋보이는 곡이다.[45]

5. 5. 폴 챔버스

폴 챔버스는 이 음반에서 콘트라베이스 연주를 맡았다.

5. 6. 필리 조 존스

필리 조 존스는 이 음반에서 드럼 연주를 맡아 마일스 데이비스 밴드의 리듬 파트를 이끌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ilestones http://www.milesdavi[...] Sony Music 2016-06-11
[2] 서적 The John Coltrane Reference Routledge 2013
[3] 간행물 Down Beat 1958-11-13
[4] 웹사이트 Milestones - Miles Davi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1-29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Jazz (1940s-50s) http://www.tomhull.c[...] 2020-03-03
[7] 서적 Miles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3-11-29
[8] 웹사이트 Milestones –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www.britannic[...]
[9] 문서 2000-10
[10] 웹사이트 Milestones - Miles Davi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1-29
[11] 웹사이트 Miles Davis: Milestones http://www.popmatter[...] PopMatters 2013-11-29
[12] 웹사이트 Miles Davis: Milestones http://www.allaboutj[...] All About Jazz 2013-11-29
[13]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14] 웹사이트 The Complete Miles & Trane Columbia Sessions http://www.cannonbal[...]
[15] 문서
[16] 웹사이트 Milestones http://www.milesdavi[...] Sony Music 2016-06-11
[17] 서적 The John Coltrane Reference Routledge 2013
[18] 웹사이트 Milestones - Miles Davi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1-29
[19] 간행물 Down Beat 1958-11-13
[20] 웹사이트 Jazz (1940s-50s) http://www.tomhull.c[...] 2020-03-03
[21] 서적 Miles https://books.google[...] ':en:Simon & Schuster' 2013-11-29
[22] 웹사이트 Milestones –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www.britannic[...]
[23] 문서 2000-10
[24] 웹사이트 Milestones - Miles Davi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1-29
[25] 웹사이트 Miles Davis: Milestones http://www.popmatter[...] ':en:PopMatters' 2013-11-29
[26] 웹사이트 Miles Davis: Milestones http://www.allaboutj[...] All About Jazz 2013-11-29
[27]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28] 웹사이트 The Complete Miles & Trane Columbia Sessions http://www.cannonbal[...]
[29] 문서
[30] 웹사이트 https://www.discogs.[...]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웹사이트 https://www.discogs.[...]
[35] 문서
[36] 웹인용 Milestones http://www.milesdavi[...] Sony Music 2016-06-11
[37] 서적 The John Coltrane Reference Routledge 2013
[38] 웹인용 Milestones - Miles Davi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1-29
[39] 간행물 Down Beat 1958-11-13
[40]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41] 웹인용 Jazz (1940s-50s) http://www.tomhull.c[...] 2020-03-03
[42]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43] 서적 Miles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3-11-29
[44] 웹사이트 Milestones –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www.britannic[...]
[45] 문서 2000-10
[46] 웹인용 Milestones - Miles Davi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1-29
[47] 웹인용 Miles Davis: Milestones http://www.popmatter[...] PopMatters 2013-11-29
[48] 웹인용 Miles Davis: Milestones http://www.allaboutj[...] All About Jazz 2013-11-29
[4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