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O 보고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ATO 보고명은 군사 동맹인 NATO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군 조직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소련 및 중국 등의 군사 장비에 부여한 코드네임이다. 이 명명 체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 군용기에 사용한 코드네임에서 유래되었으며, 냉전 시대에 소련 장비의 정보 은폐로 인해 널리 사용되었다. 명명 규칙에 따라 고정익 항공기는 엔진 유형에 따라 음절 수가 결정되며, 폭격기는 'B', 수송기는 'C', 전투기는 'F' 등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사용된다. 미국 국방부(DOD)는 NATO 보고명을 확장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소련 조종사들은 자국 장비에 대한 러시아 고유의 별칭을 선호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명규칙 - 헝가리안 표기법
헝가리안 표기법은 변수 이름에 데이터 타입이나 목적을 나타내는 접두사를 붙이는 명명 규칙으로, 찰스 시모니가 고안하여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코드 가독성 향상에 대한 유용성 논란과 함께 최신 IDE 환경에서는 불필요하다는 비판도 있다. - 명명규칙 - 계통명
계통명은 화학, 생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명칭 체계이며, IUPAC, 이명법, 국제천문연맹(IAU) 등 각 분야의 규칙에 따라 물질, 생물, 천체의 이름을 명명한다. - 암호명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암호명 - 크로스로드 작전
크로스로드 작전은 미국이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 핵무기 영향을 평가하고 군사적 활용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핵실험으로, 핵무기 경쟁 심화와 냉전 시대 긴장 고조,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환경 오염 및 건강 문제 야기, 핵무기 사용 윤리 논쟁을 초래했다. - 군사 항공 - 대공전
- 군사 항공 - 낙하산
낙하산은 사람이나 물체의 하강 속도를 늦추는 장치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원리가 인식되었고, 18세기 후반 루이-세바스티앙 르뇌르망이 현대적인 형태를 발명했으며, 군사, 스포츠, 비상 탈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NATO 보고명 | |
---|---|
개요 | |
유형 | 군사 장비 식별 코드 |
목적 | 잠재적 적성국의 군사 장비 식별 |
관리 | 공군 표준화 협조 위원회(ASCC) |
명명 규칙 | |
항공기 | 전투기: F로 시작 폭격기: B로 시작 수송기: C로 시작 헬리콥터: H로 시작 미사일: S (지대공), A (공대공), K (공대지), G (지대지)로 시작 |
해군 함정 | 잠수함: 알파벳 수상함: 단어 |
역사 | |
기원 |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독일, 일본 장비 식별 위해 사용 |
발전 | 냉전 시대 소련, 중국 장비 식별 위해 확장 |
현재 | 러시아, 중국 등 잠재적 적성국 장비 식별 위해 사용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군은 일본군 군용기에 독자적인 별명을 붙여 사용했다. 당시 일본군 군용기 이름은 길었고, 미군은 제조사 이름(예: "미쓰비시", "나카지마")으로 불렀지만, 전투기인지 폭격기인지 구분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전투기에는 남자 이름, 폭격기에는 여자 이름을 붙였다.[4]
NATO 코드네임은 특이하거나 만들어진 이름을 사용하여 혼란을 줄이고 기억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코드네임의 머리글자는 장비의 용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폭격기는 "B", 수송기는 "C"로 시작한다. 항공기의 경우 엔진 종류에 따라 음절 수를 다르게 하여, 왕복 엔진 또는 터보프롭 엔진을 가진 고정익 항공기는 단음절, 제트 엔진을 가진 경우는 이음절 암호명을 사용한다.[2]
NATO 코드네임도 이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 냉전 시기 소련 군용기는 정식 명칭이 항상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은 새로운 군용기를 발견하면 정식 명칭 대신 "보고명(Reporting Names)"으로 코드네임을 사용했다. NATO는 여러 국가의 군사 동맹이므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군 조직 간의 통신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코드네임을 만들었다. 소련이 정보를 숨겼기 때문에, 일부 장비는 정식 명칭이 밝혀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중국 인민 해방군 장비의 NATO 코드네임은 함선이나 일부 항공기에 대해 중국어 단어나 조어를 사용한다. 항공기나 차량에는 영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늘었지만, 예전에는 소련처럼 영단어를 사용했다.
냉전이 끝난 후 정보 공개로 많은 장비의 정식 명칭이 밝혀졌다. 그러나 소련의 부번 체계가 복잡하고, 기존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NATO 코드네임은 계속 사용되고 있다. 러시아제 병기는 정식 명칭과 코드네임을 함께 부르며, 자료에도 같이 쓰는 경우가 많다. 현재 러시아와 중국은 병기 명칭을 숨기지 않고, 새로 개발한 병기 명칭을 처음부터 공개하기 때문에, 새로운 NATO 코드네임을 만들 필요성은 줄어들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NATO와 별도로 소련 병기에 식별 번호를 부여했다. 그래서 소련 병기를 소개할 때 "SS-6, Sapwood영어"처럼 미국 국방부 번호와 NATO 코드네임을 함께 쓰기도 한다. 정보 혼란으로 NATO 코드네임과 미국 국방부 식별 번호가 같은 병기를 가리키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냉전이 끝난 후 정보가 공개되면서 "SS-6 Sapwood영어는 R-7이다"와 같이 구 소련군 제식 번호와 연결되었지만, 분류상 잘못된 코드네임을 부여한 경우 등 오류도 발견되었다.
1947년, 미국 공군은 ASCC(항공기 및 우주 시스템 조정 위원회) 설립 이전부터 소련의 신형 항공기에 "Type ○○" 식별 번호를 부여했지만, 복잡하고 알아보기 어려워 "Type 40"까지만 사용하고 중단했다. 이후 ASCC가 설립되면서 과거 일본 항공기에 연합군이 부여했던 코드네임 명명 시스템과 비슷하게, 용도별로 머리글자를 통일한 영단어를 사용하는 현재의 NATO 보고명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3. 명명 규칙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군은 일본군기에 독자적인 별명을 붙였는데, 전투기에는 남자 이름, 폭격기에는 여자 이름을 붙였다. NATO 코드네임도 이와 유사하게 냉전 시기 소련군 장비의 정식 명칭 대신 널리 사용되었다.[4]
중국 인민 해방군 장비의 NATO 코드네임은 함선이나 일부 항공기에 대해서는 중국어 단어나 조어를 사용하지만, 항공기나 차량에는 영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줄었다. 냉전 종결 후 정보 공개로 많은 장비의 정식 명칭이 밝혀졌지만, NATO 코드네임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NATO와 별도로 소련 병기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기도 했는데, 정보 혼란으로 인해 NATO 코드네임과 DoD 식별 번호가 같은 병기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1947년, 미국 공군은 ASCC(항공기 및 우주 시스템 조정 위원회) 설립 이전부터 소련의 신형 항공기에 "Type ○○" 식별 번호를 부여했지만, 이는 번거로워 중단되었다. 이후 ASCC에서 용도별 머리글자를 통일한 영단어를 사용하는 현재의 NATO 보고명이 사용되게 되었다. 코드네임에 멸시적인 단어가 사용된 예도 있다.
미사일의 경우, 공대공 미사일은 'A', 지대공 미사일은 'G', 공대지 미사일은 'K', 지대지 미사일은 'S'로 시작한다.[4]
3. 1. 항공기
혼란을 줄이기 위해 특이하거나 만들어진 이름이 할당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대화에서 나올 가능성이 적고 기억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익 항공기의 경우 음절 수는 항공기 엔진의 유형을 나타낸다. 단음절 암호명은 왕복 엔진 또는 터보프롭을 나타내고, 이음절 암호명은 제트 엔진을 나타낸다.[2]
코드네임의 머리글자는 해당 장비의 용도를 나타낸다. 항공기의 경우, 프로펠러기에는 한 음절 단어가, 제트기에는 두 음절 단어가 사용되었다.[4]3. 2. 미사일
공대공 미사일은 'A'로, 지대공 미사일은 'G'로, 공대지 미사일은 'K'로, 지대지 미사일은 'S'로 시작한다.[4]
3. 3. 잠수함
1980년대 이전에는 잠수함에 대한 보고 이름이 NATO 철자 문자에서 따왔다. 기존 설계의 수정에는 "Whiskey Long Bin"과 같은 설명적인 용어가 부여되었다. 1980년대부터 새로운 설계에는 "아쿨라(Akula)" 또는 "상어"와 같이 러시아어 단어에서 파생된 이름이 부여되었다. 이 이름들은 소련의 이름과 일치하지 않았다. 우연히도 NATO가 공격 잠수함에 부여한 "아쿨라"는 NATO가 "타이푼급"이라고 명명한 탄도 미사일 잠수함에 대한 실제 소련 이름이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잠수함에 대한 NATO 이름은 중국의 왕조에서 따온다.
3. 4. 전자 장비
레이더, 전자전 장비, 재밍 장치 등 전파 병기, 전자전 지원 장비 등에도 NATO 코드명이 부여되어 있다. 탑 플레이트나 탑 돔 등, 외관상의 특징을 코드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
4. 미국 국방부의 확장
미국 국방부(DOD)는 NATO 보고명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NATO는 육상 기반 시스템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함선 또는 잠수함에 장착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지칭하지만, 미국 국방부는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다른 접두사(SA-N- 대 SA-)를 사용하여 다른 일련의 번호를 할당한다. 편의를 위해 이름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해당 시스템이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이름을 고안한다.
5. 소련의 별명
소련은 자국 항공기에 항상 공식적인 이름을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비공식적인 별명은 흔했다. 일반적으로 소련 조종사들은 NATO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러시아 고유의 별칭을 선호했다. 예외적으로 소련 공군 조종사들은 MiG-29의 코드명 "풀크럼(Fulcrum)"을 소련 방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 높이 평가했다.[3]
6. 목록
- NATO 잠수함 보고 이름 목록
- 나토 보고명 장비 목록
- NATO 보고명 목록 (항공기)
- NATO 보고명 목록 (미사일)
- NATO 코드명 목록 (함선)
- NATO 코드명 목록 (전파병기)
참조
[1]
웹사이트
NATO Code Names for Submarines and Ships: Submarine Classes / Reporting Name
http://www.ais.org/~[...]
Univ. of Michigan, UMCC / AIS
2011-04-29
[2]
웹사이트
Where Do NATO Aircraft Names Come From?
https://nationalinte[...]
The National Interest
2024-03-02
[3]
서적
Fulcrum: A Top Gun Pilot's Escape from the Soviet Empire
Warner Books
1993
[4]
웹사이트
NATO Reporting Names for Aircraft and Missiles
http://www.designati[...]
2020-09-28
[5]
웹인용
NATO Code Names for Submarines and Ships: Submarine Classes / Reporting Name
http://www.ais.org/~[...]
Univ. of Michigan, UMCC / AIS
2011-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