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C 트랜스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C 트랜스포(OC Transpo)는 오타와와 오타와-칼턴 지방 자치구의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1870년 마차 철도 도입을 시작으로 전차, 버스 등을 거쳐 현재는 경전철, 간선급행버스, 일반 버스 등을 운행한다. 1973년 OC 트랜스포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트랜짓웨이와 오트레인 시스템을 구축했다. 현재 컨페더레이션선과 트릴리움선을 운영 중이며, 2단계 연장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잦은 차량 결함, 노사 분쟁, 사고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9년 웨스트보로 버스 추돌사고, 2013년 버스-기차 충돌사고 등 안전 문제도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타리오주의 철도 - 배리선
    배리 선은 1853년 토론토와 배리 간 철도 운행으로 시작되어, 1982년 GO 트랜싯에 편입되었으며, 현재 유니언 역에서 앨런데일 워터프론트 역까지 운행하는 온타리오주 광역 토론토 지역의 통근 열차 노선이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 - 휴론타리오 경전철
    휴론타리오 경전철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와 브램턴을 잇는 18km 길이의 노선으로, 2024년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며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 연계 강화, 도시 개발 촉진,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지만, 설계 변경, 비용 문제, 노선 취소 논란 및 공사로 인한 혼란과 미관 문제가 우려된다.
  • 온타리오주의 버스 교통 - 밀턴 교통
    밀턴 교통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밀턴 지역에서 다양한 버스 노선과 수요 응답형 서비스 Access+를 제공하며, 밀턴 GO 역을 중심으로 브램턴 교통, GO 트랜짓, 미웨이와 연계되어 지역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 온타리오주의 버스 교통 - 브램턴 시내 터미널
    브램턴 시내 터미널은 캐나다 브램턴에 위치한 대중교통 환승 터미널이며, 1865년 철도역에서 시작되어 1976년 브램턴 교통국 신설과 함께 형성되었고, 현재 10개의 승강장에서 다양한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OC 트랜스포
개요
이름OC 트랜스포
원어명OC Transpo
종류시내버스, 경전철, 간선급행버스체계, 장애인 보조교통
본사온타리오주 오타와
1500 St. Laurent Boulevard
운행 지역온타리오주 오타와
퀘벡주 가티노
소유자오타와시 (市)
웹사이트영어 홈페이지
프랑스어 홈페이지
운행 정보
노선 수경전철 2개
버스 170개
정류장 수경전철역 18개역 (27개역 공사 중)
버스 정류장 6,000여개
연간 이용자50,180,000 (2022년)
개업일1948년
차량 정보
차량 수경전철 차량 50량
버스 1,024대
기술 정보
궤간1,435mm (표준궤)
전기 방식1,500V 직류 가공 전차선 (컨페더레이션선)
이미지
OC 트랜스포 몽타주
왼쪽 상단에서 시계방향으로, 컨페더레이션선에서 운행하는 시타디스 스피릿 전동차, 트릴리움선에서 운행하는 코라디아 린트 열차, 알렉산더 데니스 이층버스, 컨페더레이션선 트랑블레역, 웨스트보로역에 정차하고 있는 뉴플라이어 굴절버스
추가 정보
고용 인원3,000명
본사 주소1500 세인트 로렌트 대로
오타와, 온타리오, 캐나다
노선 정보
버스 노선 수170개
경전철 노선 수2개
역 수18개 운영 중
27개 건설 중
운송 형태버스 서비스, 경전철, 간선 급행 버스, 장애인 보조 교통
차량
차량 종류740대 버스, 13대 디젤 동차, 39대 시타디스 스피릿
지도

2. 역사

오타와 최초의 대중교통 시스템은 1886년 마차를 이용해 운영되었다.[87] 1891년 토마스 에이헌이 오타와 전기 철도 회사를 설립하여 시내 중심가를 운행하는 난방 노면전차 서비스를 제공했다.[94] 1885년 5월, 시내에 전기 조명이 설치되었고, 시의회는 오타와 전기 조명 회사와 계약을 맺고 시내 거리에 아크 램프를 설치했다.[93]

1973년까지 오타와 교통 위원회가 오타와 대중교통을 담당했으며, 이후 도시와 교외의 대중교통 서비스가 오타와-칼튼 지방 자치구의 관리하에 이전되었다. 공식 명칭은 '''오타와-칼튼 지역 교통 위원회'''였지만, '''OC 트랜스포'''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으며, OC는 '''O'''ttawa-'''C'''arleton에서 따온 약자이다.

1979년에는 5센트의 임금 격차를 두고 20일간의 파업이 벌어져 "5센트 버스 파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노조는 16.5%의 임금 인상을 거부했다.[13] 1996년 11월 25일부터 12월 16일까지 두 번째 파업이 진행되었고, 중재를 통해 종료되었다.[13]

1999년 4월 6일, 전 직원 피에르 르브론이 OC 트랜스포의 생 로랑 대로 차고에서 총기를 난사하여 4명이 사망하고, 르브론은 자살했다.[15][16] 조사 결과 르브론이 언어 장애로 인해 놀림을 받았고, 회사 측에 대한 불만이 조사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 OC 트랜스포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무관용 정책, 새로운 직원-관리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직장 내 존중 교육 강화를 시행했다.[19]

2001년, OC 트랜스포는 O-트레인 디젤 경전철(DLRT)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같은 해 새로운 지방 정부가 시행되면서 OC 트랜스포는 새로운 시의 부서가 되었다. "OC"는 교체 역 두문자어를 찾지 못해 고아 두문자어가 되었다.

2008년 12월 10일, 아말가메이티드 교통 노동 조합 지부 279 소속 OC 트랜스포 운전기사, 배차 담당자 및 유지 보수 작업자들이 파업을 시작했다.[20] 오타와 시와 노동 조합 간의 일정, 급여 및 근속 연수에 대한 이견이 주요 원인이었다. 2009년 1월 29일, 시와 ATU는 모든 문제를 구속력 있는 중재에 보내기로 합의하여 51일간의 파업을 종료했다.[26]

2020년 3월 16일,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OC 트랜스포는 앞문 탑승과 좌석을 이동 편의가 필요한 승객으로 제한했다. 2020년 6월 15일부터 2022년 6월 10일까지 직원과 승객은 버스와 열차, 모든 역 내부에서 마스크를 착용해야 했다.[37]

오타와 시의 대중교통 시스템은 9시에서 5시까지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해왔으며, 이들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원격 근무로 전환했다. OC 트랜스포는 2023년 현재 70%의 낮은 승객 회복률을 보이고 있다.[42] 낮은 승객 회복률은 OC 트랜스포를 어려운 재정적 상황에 놓이게 했다. 2024년 11월 13일, OC 트랜스포는 모든 승객에 대한 요금 인상을 발표했다.[44]

2. 1. 마차철도

오타와의 대중교통 역사는 1867년 캐나다 연방이 결성되고 오타와가 캐나다 수도로 결정되면서 그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오타와에는 별다른 대중교통이 없었기 때문에 마차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은 어떤 날씨에도 걸어가야 했다. 1870년 7월 21일, 오타와시여객철도회사 (Ottawa City Passenger Railway Company)는 처음으로 마차에 견인되어 정해진 궤도를 달리는 마차철도를 도입하였다.[87] 이 첫 마차철도는 뉴에딘버러를 거쳐 르브레턴플랫츠에 위치한 쇼디에르 계곡까지 이어졌다. 승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그해 말에는 하루에 20대의 마차철도를 이용하는 천여 명 이상의 승객이 있었다. 겨울에는 마차철도를 썰매로 대신하여 연중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87]

그러나 1872년 10월에 발생한 말인플루엔자 유행으로 마차철도는 중대한 문제에 직면하였다. 거의 모든 말이 역병에 걸려 마차 운행에 지장이 생겼다. 철도회사에 따르면 10월 19일에는 6마리를 제외한 모든 말이 전염병에 감염되었다.[87] 이 인플루엔자는 특히 철도로 연결된 도시 지역에 모여 있는 말들에게 감염이 확산되어, 1873년에는 오타와와 토론토 뿐만 아니라 네바다주캘리포니아주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전염병이 발생하였다.[88] 말인플루엔자는 말들의 인후염, 부어오른 선, 식욕 부진, 빠른 맥박, 호흡 곤란, 그리고 기침과 같은 증상을 동반하지만 말들이 대거 폐사하지는 않았으며 사람들이 전염되지는 않았다. 말인플루엔자 대응을 위해 말을 습한 날씨로부터 격리시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따뜻하게 하며, 부드러운 먹이를 제공하고 마구간의 철저한 방역 작업이 필요했다.[89] 이로 인해 마차철도 운행 빈도가 크게 감소했지만 완전히 중단되지는 않았다. 이 전염병으로 철도회사의 말 한 마리가 폐사하였고 마차철도는 2주 뒤에 운행을 재개하였다.[87]

2. 2. 전차의 등장

1885년에 기업가인 토머스 에헌과 워런 소퍼는 쇼디에르 계곡에 지어진 수력발전소를 이용해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거리에 전등을 설치하였다.[93]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에헌과 소퍼는 오타와전기철도회사(OER)를 설립하여 이 수력 자원의 힘을 활용하여 기존의 마차철도를 전차로 변환하였다. 전차는 1891년 6월 20일에 운행을 시작하였다.[94] 수력 발전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석탄 난방이 대체되었으며, 또한 선로에 쌓인 눈을 치우기 위해 오늘날에 쓰이는 기종과 유사한 전동제설기를 도입하였다.[95]

1900년에 오타와전기철도회사(OER)는 오타와의 전차 노선을 도시 서부의 브리태니아로 확장하였다. 당시 브리태니아는 도시 외곽의 조용한 시골 지역으로, OER은 데쉔느호(湖)를 따라 부지를 구입하여 뉴욕의 코니아일랜드와 비슷하게 오타와 주민들을 위한 여름 휴양지로 개발하였다.[90] 이 공원에는 대형 파빌리온, 라이브 음악, 도시 최초의 공공 수영장 및 300m 규모의 부두가 조성되었다. 1900년 5월 25일에 개장한 이 공원은 새로운 전차 노선을 통해 개장 첫날 1만 5천 명의 승객이 브리태니아를 방문하였다.[90]

1901년 2월 22일에는 오타와강을 따라 알렉산드라교(橋)가 개통하면서 오타와북부및서부철도회사 (Ottawa Northern and Western Railway Company)가 퀘벡주의 월섬과 마니와키에서 알렉산드라교를 따라 오타와까지 이어지는 열차를 운행하였고, 이는 이후 OER에서 운행을 맡았다.[96] 알렉산드라교는 증기 기관차 전용 선로 하나, 전차선이 두 개, 차선 두 개와 인도 두 개로 이루어졌다.[97]

1918년에는 스페인 독감 유행이 캐나다에 다다랐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당시 바이러스는 비좁은 곳에서 지냈던 군인과 의무병들 사이에서 퍼졌는데, 이들이 캐나다에 돌아오면서 바이러스가 퍼졌다. 그해 9월, 코로나19 범유행 때와 마찬가지로 오타와 보건위원회는 주민들이 바이러스에 조심할 것을 권고하였고 대규모 모임을 피할 것을 권고하였다.[91] 극장, 학교, 사업체가 문을 닫았지만 전차는 계속해서 운행하였으며, OER은 승객과 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전차의 환기 시설을 개선하였다. OER은 전차 내부를 매일 기존보다 더욱 세심히 청소하였고 훈증 소독을 통해 방역 작업을 이어나갔다.[92]

2. 3. 버스의 등장

오타와는 1924년에 캐나다에서 네 번째로 버스 운행을 개시하였다. OER의 첫 버스 노선은 엘긴 스트리트와 아가일 애비뉴에서 시작해 오타와 동부의 클레그 스트리트까지 운행하였으며,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1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89] 하지만 이 버스 노선은 이후에 전차 선로가 놓이고 전차가 운행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다.[89] 1920년대 내내 노면전차는 오타와에서 선호되는 교통 수단이었으며, 1925년에는 거의 100km에 달하는 노면전차가 도시 곳곳을 연결하였다. 하지만 버스가 천천히 인기를 얻었는데, 지역 주민들이 버스가 더 조용하고 고장이 잘 나지 않아 도로를 막지 않아 점차 버스를 선호하였다.[89]

대공황 이후 1932년에 대중교통 연간 이용객 수는 3백만 명 이상 감소하였다. 오타와 주민들은 이 시기에 돈을 아끼기 위해 걸어다녔고, 노면전차를 타는 것은 사치로 여겼다. OER의 수익 감소는 1933년 4월까지 이어졌는데, 겨울에는 추운 날씨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많았던 만큼 회사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1934년에 OER은 신형 전차 6대를 각각 22000CAD에 구매하였다. 신차는 49인승에 빨간색과 크림색 도색이었고, 별도의 운전실이 있었다. 전차에 오를 때 계단에 불빛이 들어왔고, 바닥은 미끄러지지 않는 리놀륨 재질이었다. 가장 큰 개선점은 부드러운 고무 좌석이었는데, 푹신푹신한 좌석과 은은한 조명이 들어오는 신형 버스도 구매하였다.[89]

1939년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수많은 민간인과 군인들이 캐나다의 수도로 이주하였다. 급속하게 늘어난 인구로 OER은 대중교통 증편이 절실하였는데, 특히 기존에 자가용으로 운전하던 사람들은 휘발유 비축을 위해 한정 수량만 배급하면서 노면전차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1942년 기준 대중교통 이용객 수는 1939년에 비해 78%나 증가했고, 노면전차 승객은 60%, 버스 승객은 무려 347%나 증가하였다.[89] 1939년에 21대가 운행하던 버스는 49대로 늘어났다. 늘어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전시 상황이라 버스를 생산하는 것은 금지되었지만, 예외적으로 버스 다섯 대는 추가로 도입할 수 있었다.[89] OER은 또한 1942년 10월에 버스의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 뒷문 승차를 허용하고 승객 수가 저조한 100여 개의 정류장을 폐지하였다.[89] 1942년에 들어서서 OER은 역대 최대 이용객 수를 경신하였고, 1946년에는 연간 6,182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였다.[89]

2차 세계 대전이 1945년에 종전되면서 캐나다 수도도 점차 일상으로 돌아왔다. 1945년 9월 20일, OER은 전후 서비스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60인승 버스 20대, 신형 전차 도입은 물론 기존 전차를 개량하기로 하였다.[89] 하지만 오타와시의 OER 인수를 앞두고 도입하려던 신차 20대 중에서 4대만 제작되었다.[89]

2. 4. 대중교통 공영화

1946년 1월 중순, 스탠리 루이스 오타와 시장은 시의회 산하 노면철도위원회에 오타와시가 전차 시설을 인수하여 운영하는 데 비용이 얼마나 들고 어떤 시설이나 노선을 개선해야 하는지 확인하였다.[161] 1947년 여름, 오타와시와 철도회사는 요금 인상을 두고 갈등을 빚었는데,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OER 측 주장에 오타와시는 요금 인하를 요구하였다. 시와 회사 간의 요금 협상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자 대중교통 공영화 여론이 거세졌다.[161]

1947년 10월 24일, 오타와 시의회는 OER과의 계약이 만료되는 1948년 8월 13일에 공영화하는 방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하였다.[161] 1948년 2월 16일, 오타와전기철도회사를 6300000USD에 매입하고 이후 시설 개선에 투자하는 방안이 시민투표에 부쳐졌다.[161] 대중교통 공영화는 찬성 80.8%, 반대 19.1%로 시민투표에서 통과되었다.[162] 이에 따라 1948년 8월, 오타와 교통국 (Ottawa Transportation Commission, OTC)이 정식 출범하였고, 기존 OER 전차 130대, 버스 61대, 서비스 차량, 건물, 발전소 및 브리태니아 공원이 오타와시의 소유가 되었다.[162]

승객들이 기존 OER에 대해 불만이 많았던 만큼, 새로 발족한 오타와교통국은 토론토의 교통 전문가인 노먼 윌슨을 고용해 대중교통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대중교통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권고안을 내놓도록 하였다.[168] 한편 오타와가 네피안과 글로스터 타운십 일부를 흡수하면서 오타와교통국은 오타와 지역의 유일한 대중교통 기관으로 자리잡았다. 기존에 네피안버스라인 (Nepean Bus Lines)이 운행하던 지역은 1950년 1월 1일 오타와교통국이 대신 운행하게 되었으며, 업랜즈버스라인 (Uplands Bus Lines Ltd.)과의 계약은 1951년 4월 24일에 체결하였지만 이 지역에도 이미 1950년 7월 1일부터 OTC 버스가 운행하였다.[168] 이스트뷰는 오타와와는 별개의 지자체였지만 1950년 12월 5일에 이스트뷰버스라인 (Eastview Bus Lines) 또한 375000USD에 인수하였다.[168]

노먼 윌슨은 오타와교통국이 처한 재정적 상황을 감안할 때 노면전차를 적어도 앞으로 15년 동안 그대로 운행하고, 이 기간 동안 기존 선로와 차량을 대대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계속 운행하되, 이후 점진적으로 전차 노선을 폐선하여 버스로 대체 운행할 것을 권고하였다.[168] OER이 시작한 대중교통 시설 개선을 이어가던 오타와교통국은 차량 측면에 로고를 번호 위에 부착하는 것 외에도 히터, 서서 가는 승객을 위한 손잡이, 바람막이와 성에제거기를 설치했다. 낡은 철도는 새로 교체되었고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교차로에 새로운 곡선 선로와 스위치가 설치되었다. 승객 수는 여전히 많았던 관계로 토론토에서 들여온 기존 전차는 폐차하지 않고 계속 쓰게 되었다.[168]

2. 5. 노면전차 운행 중단

1946년부터 1953년 사이에 오타와 대중교통 승객은 6,180만 명에서 4,770만 명으로 23% 감소하였지만, 지자체 통폐합으로 교통국의 대중교통 운행 범위는 네 배로 늘어났다. 오타와 또한 북미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자가용이 급증하고 공무원들의 주 5일제가 정착하면서 수요는 물론 요금 수입이 줄어들었다.[1] 재정이 계속 악화되자 오타와는 오타와교통국에 늘어나는 적자를 해결할 방법을 모색할 것을 요청하였다. 1957년, 오타와교통국은 기존에 있던 전차를 버스로 대체하면 1961년 적자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2] 1957년 11월 12일, 오타와시의회는 영국의 컨설팅 업체인 어윅, 커리 (Urwick, Currie Ltd.)에 OC 트랜스포의 모든 업무를 살펴본 다음 향후 5년 동안의 재무 상황을 보고할 것을 요청하였다. 한 달 뒤인 12월 12일, 어윅, 커리는 보고서 초안에서 1961년에 OC 트랜스포의 적자가 2218000CAD까지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3] 이에 따라 1958년 5월 오타와 시의회는 어윅, 커리 보고서의 권고안을 받아들여 오타와의 노면전차를 버스로 전환하기로 하였다.[4]

오타와 곳곳을 운행하던 노면전차 노선은 1959년에 들어서서 하나둘씩 버스로 전환되었고, 1959년 5월 2일, 코우버그 차량기지에서 브리태니아로 가는 전차가 오타와의 마지막 노면전차였다.[5] 오타와 노면전차에 마지막 인사를 하기 위해 수천 명의 시민들이 오타와 시내로 몰려들었고, OC 트랜스포는 1870년부터 이날까지 오타와 대중교통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행진을 개최하였다.[6]

2. 6. 도시 팽창

1960년대에 들어서 오타와는 자가용 보급으로 외곽 지역으로 도시가 급격히 팽창하였고, 이에 따른 도로 정체도 심해졌다. 오타와교통국은 1940년대와 50년대에 오타와로 새로 흡수된 지자체에 버스 운행을 확장하고자 하였지만, OER 인수에 따른 예산 부족과 외곽 지역의 저밀도 성장, 도로 확장에 기반을 둔 자동차 중심 도시 교통 계획, 기존 오타와 시내에 몰려있던 관공서 및 정부청사를 외곽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버스를 외곽 지역에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

오타와는 1955년까지만 해도 별다른 교통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캐나다 총리는 프랑스 건축가 및 도시 설계가인 자크 그레베르에게 캐나다 수도를 위한 도시 계획 수립을 맡겼다. 1950년에 발표된 그레베르의 계획은 기존 임시 청사를 허물고, 시내의 모든 철도와 차량기지를 허물고, 고속도로 및 간선 도로를 확장하고, 연방 관공서를 오타와 시내에서 외곽으로 이전하고, 그린벨트를 설치하여 무분별한 도시 팽창을 막는 자동차 중심의 계획이었다.[2] 1955년에 처음 발간된 교통계획은 도로 확장 위주로 수립되었지만, 자가용 증가로 인한 교통 체증 문제를 인식하고 도시철도 개발과 시내에 활력을 불어주기 위해 시내에 기존 대중교통을 발전시킬 것을 권고하였다.[3] 1965년에 발간된 오타와-헐 지역 교통 연구 또한 고속도로 확장에 초점을 맞추었다.[4]

1969년, 온타리오주는 행정구역 개편의 일환으로 오타와시와 시 바로 외곽에 있는 카를턴 카운티에 오타와 카를턴 지방자치구 (Regional Municipality of Ottawa-Carleton, RMOC)를 오타와시와 카를턴 카운티 등의 상위 지자체로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계획은 오타와시가 아닌 지방자치구에서 수립하였고, 기존에 연방 정부의 산하기관인 국가수도위원회 (National Capital Commission, NCC)로부터 도시 계획 권한을 어느 정도 이양받았다.[5] NCC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지방자치구 주민들은 도로 정체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RMOC의 첫 번째 지역개발계획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점에 모든 지자체가 동의하였다.[6]

1972년 5월, 오타와교통국은 오타와 시내의 단기적인 서비스 운영 개선에 초점을 맞춘 대중교통 개선 연구에 착수하였다. 이후 초점은 오타와 지역 전체로 향해 오타와교통국, 오타와-카를턴 지방자치구, 국가수도위원회, 온타리오주 대표를 포함한 통합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위원회는 오타와 광역권 내 교통 음영지역에 대중교통을 도입하고 기존에 OTC 버스가 운행하던 지역의 대중교통 또한 개선하고자 하였다.[7] 1972년 7월 설문에 따르면 50%가 넘는 응답자들이 대중교통이 더 나아지길 바란다고 응답했고, 이에 따라 오타와 시의회는 시내와 일부 외곽 지역에 대중교통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하였다.[8]

2. 7. OC 트랜스포

1972년, 오타와교통국은 오타와-카를턴 지역교통국 (Ottawa-Carleton Regional Transit Commission)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이듬해에는 오늘날의 OC 트랜스포 (OC Transpo)로 이름을 변경하였다.[89] OC 트랜스포는 승객이 많은 구간은 15분에서 30분 간격으로 버스를 운행하고, 운영 비용의 70% 이상을 승객 요금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간 또한 30분 간격으로 버스를 운행하기로 하였다. 또한 버스 배차 간격은 60분을 넘지 않도록 하였다. 1984년에 들어서서 그린벨트 내에 있는 오타와 시내 대부분은 버스가 평일에 1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고, 네피안, 캐나타 및 오를레앙 지역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버스 노선이 개편되면서 기존에는 시내에 모든 노선이 집중되어 있었지만, 1972년에 노선 개편을 거치면서 쇼핑몰과 같은 승객들이 많이 몰리는 곳에 버스 환승센터를 지은 뒤 저밀도 주택가로 운행하는 다중심적인 허브 앤드 스포크 모델로 바뀌었다. 이 외에도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급행버스, 주요 교차로에만 정차하는 준급행버스, 전화를 걸어서 버스를 호출할 수 있는 호출버스도 등장하였다. OC 트랜스포는 또한 1978년부터 일요일에 교회나 커뮤니티 센터 등 직장과는 다른 곳으로 가는 승객들을 감안하여 일요일에는 특별 노선을 편성했지만 승객들이 기존 노선 체계와 헷갈린다는 이유로 4년 만인 1982년에 폐지하고 평상시 노선으로 원상복귀하였다. 또한 1973년부터 1974년 사이에 오타와 시내에 처음으로 11km 구간의 버스전용차로가 조성되었고, 1974년 3월에는 오타와 서쪽에서 시내로 향하는 급행버스를 위해 오타와 리버 파크웨이 (오늘날의 키치 지비 미건)에 7km의 버스전용차로가 놓였다. 1976년 3월에 1개월권이 도입되어 버스 승차 시 요금 지불이 더 용이해졌다. 승객들의 길찾기 편의를 위해 주요 버스 정류장에는 버스 시간표가, OC 트랜스포 사무실에는 각종 노선도가 비치되고, 1980년과 81년 사이에는 버스 정류장 번호를 입력하면 다음 버스 도착 시각을 알려주는 ARS 번호인 560번이 등장하였다.

1973년까지 오타와 교통 위원회가 오타와 대중교통을 담당했으며, 이후 도시와 교외의 대중교통 서비스가 오타와-칼튼 지방 자치구의 관리하에 이전되었다. 공식 명칭은 '''오타와-칼튼 지역 교통 위원회'''였지만, 서비스는 영어와 프랑스어 모두 '''OC 트랜스포'''라는 이름으로 홍보되었으며, OC는 '''O'''ttawa-'''C'''arleton에서 따온 약자이다. 이 OC 트랜스포로의 명칭 변경은 지역 자치구 이후 단순히 중심 도시의 대중교통 시스템 이름을 유지하는 관행에서 벗어난 것이었다. 이는 토론토의 토론토 교통 위원회와 해밀턴의 해밀턴 스트리트 철도의 경우와 같았다.

1979년 20일간의 파업은 5센트의 임금 격차를 두고 벌어졌으며 "5센트 버스 파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노조는 16.5%의 임금 인상을 거부했다.[13]

1996년 11월 25일부터 12월 16일까지 OC 트랜스포의 두 번째 파업이 진행되었다. 파업은 중재 하에 종료되었다.[13]

1999년 4월 6일, OC 트랜스포의 전 직원인 피에르 르브론은 레밍턴 모델 760 펌프 액션 소총으로 무장한 채 OC 트랜스포의 생 로랑 대로 차고에서 총기를 난사하여 6명을 쏘아 4명을 살해한 뒤 자살했다.[15][16] 르브론은 1997년 8월 해고되었지만 이후 복직했고, 1998년에 퇴사했다.[16][17] 총격 사건에 대한 조사에서 르브론이 그의 언어 장애로 인해 놀림의 대상이 되었고, 회사 측에 대한 불만이 조사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 조사 결과는 "괴롭힘"의 분위기를 드러냈으며, 이는 적대적인 업무 환경으로 고용 평등(캐나다) 관리자에 의해 "유해한" 환경으로 묘사되었다.[16][18] 이에 대응하여 OC 트랜스포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무관용 정책, 새로운 직원-관리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직장 내 존중 교육 강화를 시행했다.[19] 그러나 2003년과 2004년의 연구 결과 부정적인 업무 환경의 요소가 남아 있었고, 1996년 파업 이후 직원-관리 커뮤니케이션이 경색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6]

2001년에 새로운 지방 정부가 시행되면서 OC 트랜스포는 새로운 시의 부서가 되었다. 합병 이후, "OC"의 교체 역 두문자어를 찾았지만, 적절한 후보가 발견되지 않았다. 시대착오적인 약어는 모든 버스, 버스 정류장, 버스 터미널 및 홍보 자료의 데칼을 교체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유지되었다. 따라서 "OC"는 고아 두문자어이다.

아말가메이티드 교통 노동 조합 지부 279 소속의 OC 트랜스포 운전기사, 배차 담당자 및 유지 보수 작업자들은 2008년 12월 10일 오전 12시 01분에 파업을 시작했다.[20] 파업의 주요 원인은 오타와 시와 노동 조합 간의 일정, 급여 및 근속 연수에 대한 이견이었다. 로나 앰브로즈, 캐나다 연방 노동부 장관은 래리 오브라이언 시장의 요청에 따라 2009년 1월 8일 시의 계약 제안에 대한 노동 조합원의 투표를 명령했다.[21] 시와 노동 조합은 각각의 웹사이트에 입장을 발표했다.[23][24] 2009년 1월 9일에 발표된 투표 결과에 따르면 투표 자격이 있는 사람들 중 64%가 제안을 거부했다.[25] 한 달 동안 중재자와 회의가 열렸지만, 협상은 반복적으로 중단되었다. ATU는 일정과 관련이 없는 모든 문제를 중재에 부칠 것을 요청했지만, 시는 모든 문제를 중재인에게 보내기를 요청하면서 거부했다. 파업이 50일째에 접어들자, 앰브로즈는 업무 복귀 법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1월 29일, 시와 ATU는 모든 문제를 구속력 있는 중재에 보내는 합의에 도달하여 51일간의 파업을 종료했다.[26] 2009년 2월 2일, O-트레인 트릴리엄 라인은 파업으로 인해 운행 중단 이후 서비스를 재개했다. 버스는 그 다음 주 월요일인 2009년 2월 9일에 운행을 재개했다. 모든 버스가 한 번에 돌아온 것은 아니며, OC 트랜스포는 2009년 4월 6일까지 모든 버스와 노선이 복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OC 트랜스포는 일주일 동안 무료 대중교통을 제공했다. 12월 정기권 소지자는 3월까지 12월 정기권을 사용하거나 환불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자를 되찾기 위해 3월 정기권에 60% 할인을 받았다.

2020년 3월 16일,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예방 조치로 OC 트랜스포는 앞문 탑승과 좌석을 이동 편의가 필요한 승객으로 제한하기 시작했다. 다른 모든 승객은 버스 뒤쪽에서 탑승해야 했다. 그 결과 버스에서는 현금 요금을 받지도 않았고 시행하지도 않았지만, O-Train 역에서 여행을 시작하려면 유효한 요금이 필요했다. 손 소독제가 모든 1호선 역에 설치되었고, 나중에는 대부분의 트랜짓웨이 역에도 설치되었다. 2020년 6월 15일부터 2022년 6월 10일까지, 이 기관은 직원과 승객이 버스와 열차를 이용할 때, 그리고 모든 역 내부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요구했다.[37]

오타와 시의 대중교통 시스템은 역사적으로 9시에서 5시까지 근무하는 공무원만을 대상으로 해왔으며, 이 인구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원격 근무로 전환되었다. 이는 수십 년간의 투자 부족과 자원 감소와 결합되어 OC 트랜스포가 코로나19 이전의 낮은 승객 회복률을 보이게 되었으며, 2023년 현재 70%에 불과하다.[42] 시의회는 승객 수가 2030년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43]

낮은 승객 회복률은 OC 트랜스포를 어려운 재정적 상황에 놓이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 직원들은 이 프로젝트의 미래에 대해 희망을 품고 있으며, 현 시장인 마크 서트클리프는 어쨌든 연방 또는 주 정부의 자금 지원이 항상 필요했을 것이며, 따라서 OC 트랜스포 예산 부족이 이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43] 시 직원들은 세금 인상, 요금 인상 또는 상위 정부 로비를 통해 추가 자금 조달을 제안했다.[43] 2024년 11월 13일, OC 트랜스포는 모든 승객에 대한 요금 인상을 발표했으며, 노인 및 청소년 승객의 경우 더 큰 인상을 발표했다.[44]

2024년 12월 6일, OC 트랜스포는 2025년 1월 6일부터 트릴리움선 및 4호선의 단계적 재개통을 발표했으며, 주 5일 운행으로 시작하여 그 후 몇 주 동안 6일 및 7일 운행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확장된 노선에는 2호선에 6개의 새로운 역이 포함되며, 오타와 맥도날드-카르티에 국제공항과 연결되는 2개의 역이 추가된다.[10]

2. 8. 트랜짓웨이

오타와는 기존 대중교통의 중축이었던 트랜짓웨이의 대안을 모색하였고, 2001년 10월 15일 기존 캐나다 태평양 철도의 단선 선로를 활용해 베이뷰역과 카를턴역을 잇는 트릴리움선이 개통되었다. 선로는 기존 선로를 활용하였고 역 건물과 대피선만 건설하면 되었기에 공사비는 2100만캐나다 달러로 비교적 저렴했다.[93]

2006년 7월, 오타와 시의회는 디젤 경량 철도 노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오타와 대학교에서 베이뷰역, 리트림, 바헤이븐까지 잇는 계획을 승인하였지만, 같은 해 12월에 계획이 취소되었다.[94][95]

2011년 5월 18일, OC 트랜스포는 200000CAD를 들여 트릴리움선 연장안을 연구하였다. 전동차 6대를 새로 구입하고, 선로를 복선 전철화하여 배차 간격을 15분에서 8분으로 줄이는 계획으로, 사업 비용은 5900만캐나다 달러로 추산되었다.[96]

2013년 중반, 트릴리움선 운행이 4개월 동안 중단되었고 이 사이에 새로운 역 승강장이 추가되었고, 브룩필드와 글래드스톤 근처에 새로운 교행선이 지어졌다.[97] 신호 체계와 열차 제어, 역, 선로 및 차량기지 개선 작업도 이루어졌다. 또한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새로운 열차집중제어장치를 설치하였다.[98]

트릴리움선은 2단계 연장 계획으로 남쪽으로 16km 연장할 계획이며, 오타와 맥도널드 카르티에 국제공항과 EY 센터로 가는 4km 지선과 각종 시설이 추가될 예정이다.[99] 2019년 중반에 착공한 2단계 연장 사업은 2022년 말 개통 예정이었지만 공사 지연으로 2024년 4월로 미루어졌다.[100]

1980년대 초, OC 트랜스포는 간선급행버스 시스템인 트랜짓웨이를 계획하기 시작했다.[14] 여러 해에 걸쳐 다양한 역과 구간의 건설이 이어졌다. 첫 번째 구간은 서쪽 끝의 베이스라인에서 링컨 필즈까지, 동쪽 끝의 리스에서 허드먼까지였다.

2. 9. 트릴리움선

OC 트랜스포는 2001년 10월 15일에 O-트레인 디젤 경전철(DLRT)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남북 노선으로, 칼턴 대학교와 사우스 키스 쇼핑 센터가 주요 지점이다. 2014년 말, 이 노선은 O-트레인 브랜드 확장을 위해 트릴리엄 라인 (O-트레인 2호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2009년 2월 2일, O-트레인 트릴리엄 라인은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서비스를 재개했다.[26]

2. 10. 컨페더레이션선

2012년 12월, 오타와 시의회는 기존의 BRT를 대체하기 위해 시내를 관통하는 12.5km 동서 경전철 노선인 컨페더레이션 선을 건설하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승인했다.[27][28]

2013년 9월 18일 오전 8시 48분, 바라벤에서 오타와 시내로 운행하던 2층 OC 트랜스포 버스가 토론토행 비아 레일 여객 열차와 오타와 남서부 지역 Fallowfield 역 근처 건널목에서 능동형 경고 시스템이 갖춰진 곳에서 충돌했다. 버스에 탑승한 6명(운전자 포함)이 사망하고 최소 30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최소 8명이 중상을 입었다. 열차 승객이나 승무원은 부상자나 사망자가 없었다. 사고 원인은 현재 알 수 없다.[29][30][31] 다음 해,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76번 노선을 폐지하고 72번 노선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2] 우연히도, 이 노선은 2014년 11월 6일 바라벤 크로싱 플라자에서 건널문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바라벤에서 이 건널목이 안전한지에 대한 많은 불안과 질문을 불러일으켰다.[33]

2019년 1월 11일, 또 다른 2층 버스 관련 사고가 발생했는데, 이번에는 웨스트보로역에서 발생했다. 269번 노선을 운행하던 버스가 역의 대피소와 충돌하여 지붕 일부가 잘려나갔다. 3명이 사망했고 (처음에는 승객 2명과 플랫폼에서 구경하던 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나중에 3명 모두 승객으로 정정되었다) 23명이 부상당했다.[34]

여러 차례의 지연 끝에, 컨페더레이션 선은 2019년 9월 14일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 노선은 O-Train 1호선으로도 판매되고 있다.

3. 체계

OC 트랜스포의 체계는 크게 오트레인(O-Train), 트랜짓웨이(Transitway), 시내버스, 그리고 보조교통(Para Transpo)으로 구성된다.
오트레인 (O-Train)오트레인은 오타와 대중교통의 핵심인 경량 철도 체계로, 1호선 컨페더레이션선과 2호선 트릴리움선 두 개의 노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1호선은 오타와 시내를 동서로 잇는 전철 노선이며, 2호선은 오타와 시내 서부 지역을 따라 남북으로 운행하는 디젤 철도 노선이다.
트랜짓웨이 (Transitway)트랜짓웨이는 오타와의 간선 도로와 고속도로를 따라 설치된 간선급행버스체계 (BRT)로, 전용 차로와 도로를 통해 버스를 운행하여 평일 출퇴근 시간에도 정체 없이 빠르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시내버스OC 트랜스포는 오타와 전역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종류설명
-- 급행 노선Transitway에서 운행하는 빈번하고 급행 버스 노선. 파란색 원으로 표시된다.
-- 빈번 노선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5분 간격 또는 그보다 더 자주 운행하는 빈번 노선. 대부분의 노선은 O-Train 노선으로 연결된다. 빨간색 육각형으로 표시되지만, 향후 파란색 육각형으로 대체될 예정이다.[12]
-- 지역 노선저빈도 연결 및 피더 버스 노선. 100번대 노선은 일반적으로 O-Train 1호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회색 직사각형으로 표시된다.
-- 연결 노선지역 사회를 O-Train으로 연결하는 피크 시간대 급행 노선. 200번대로 번호가 매겨진다. 보라색 타원으로 표시된다.
-- 기타 노선300번대: 쇼핑 노선



OC 트랜스포는 944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두 접근성이 좋은 저상 버스이다.[45] 굴절 버스와 2층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보조교통 (Para Transpo)OC 트랜스포는 일반 버스와 철도를 이용하기 힘든 거동이 불편한 승객을 위해 집에서 목적지 사이를 오갈 수 있는 보조 교통 수단인 패러트랜스포 (Para Transpo)를 운행하고 있다.

3. 1. 오트레인 (O-Train)

오트레인은 오타와 대중교통의 핵심인 경량 철도 체계로, 두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오타와 시내를 동서로 잇는 전철 노선인 1호선 컨페더레이션선이고, 다른 하나는 오타와 시내 서부 지역을 따라 남북으로 운행하는 디젤 철도 노선인 2호선 트릴리움선이다.

2012년 12월 19일, 오타와 시의회는 시내를 동서로 잇는 트랜짓웨이를 경전철로 전환하는 방안을 승인했다.[104] 이 사업은 리도 트랜짓 그룹(Rideau Transit Group)이라는 컨소시엄과 계약을 체결하여 진행되었으며,[105] 차량은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으로 선정되었다.[106] 그러나 컨페더레이션선은 2016년 6월 싱크홀 사고와 터널 침수 문제로 개통이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107][108]

2016년 말부터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지만, 열차 부족, 유지 보수 시설 화재, 기술적 문제 등으로 개통이 계속 지연되었다. 결국 2019년 9월 14일에 개통되었으나, 이후에도 잦은 결함으로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2020년 3월, 오타와 시의회는 컨소시엄 업체에 채무 불이행 통지서를 발행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109] 2022년 11월, 경전철 진상규명 보고서에서는 비현실적인 마감 기한, 시험 운행 투명성 부족 등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프로젝트 관리 개선과 기술 개발을 촉구했다.[110]

2020년 5월부터 2단계 연장 계획의 일환으로 2호선은 전 구간 폐쇄되었고, 셔틀버스가 대신 운행하고 있다. 2024년에 개통 예정인 트릴리움선은 남쪽으로 라임뱅크역까지 다섯 정거장 연장되고, 4호선이 오타와 맥도널드 카르티에 국제공항에서 2호선까지 연결될 예정이다.[111] 2026년에는 1호선과 3호선이 동쪽과 서쪽으로 연장되어 총 4개 노선, 41개 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112]

운영 중
노선개통 연도역 수길이노선 유형
컨페더레이션선Confederation LineLigne de la Confédération20191312.5km경전철
트릴리움선Trillium LineLigne Trillium200158km디젤 경량 철도
건설 중
컨페더레이션선Confederation LineLigne de la Confédération2025–20261627km경전철
트릴리움선Trillium LineLigne Trillium20241112km디젤 경량 철도
공항 지선Airport LinkLiaison aéroportuaire202434km디젤 경량 철도


  • 컨페더레이션선은 블레어역에서 터니스패스처역까지 오타와 시내를 동서로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베이뷰역에서 트릴리움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113]
  • 트릴리움선은 베이뷰에서 그린보로까지 남북으로 운행하는 디젤 경량 철도 노선이다. 2단계 연장 사업으로 인해 현재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으며, 2024년 2분기에 개통될 예정이다.[114]


오-트레인(O-Train)(트릴리엄 라인) 칼턴 대학교에서


2001년, 트릴리엄 라인으로 알려진 디젤 동력 경전철 시범 사업이 도입되었다. 이후 오타와는 경전철 확장을 계획했으나, 2006년 12월 14일 오타와 시의회는 오-트레인#북-남 경전철 확장 프로젝트를 취소했다. 2013년에 새로운 경전철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 2023년에 완료될 예정이다.

O-Train 경전철 티켓은 현금 지불 시 2002년에는 2달러(2016년 기준 2.60달러)였으나, 2013년 7월에 버스 현금 요금과 동일한 3.40달러로 인상되었다. Presto 카드를 사용하면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조사모델차량 수비고
알스톰(Alstom)코라디아 LINT(Coradia LINT)6편성 2량2015년부터 트릴리움선(2호선)에서 운행 중. 2023년에는 공항선(4호선)에서 운행 예정
알스톰(Alstom)시타디스 스피릿(Citadis Spirit)34량, 50m 길이의 경전철연방선(1호선)에서 운행 중
슈타들러 레일(Stadler Rail)플리트(FLIRT)7편성 4량2024년 트릴리움선(2호선) 개통 시 운행 예정



OC 트랜스포는 슈타들러 레일에서 제작한 7개의 4량 DEMU 슈타들러 플리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트릴리엄 라인 2단계 개선 완료 후 사용될 예정이다. 알스톰 LINT DMU 열차는 공항 지선에서 운행될 것이다.[71] 또한, 38대의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 LRV가 추가로 제작될 예정이다.[72]

3. 2. 트랜짓웨이 (Transitway)

트랜짓웨이는 오타와의 간선 도로와 고속도로를 따라 설치된 간선급행버스체계 (BRT)로, 전용 차로와 도로를 통해 버스를 운행하여 평일 출퇴근 시간에도 정체 없이 빠르게 운행할 수 있다. 1983년 5개 정류장으로 처음 개통된 트랜짓웨이는 이후 50개 정류장으로 확장되었다. 2015년부터는 시내 구간의 트랜짓웨이 정류장이 오트레인 경전철 및 경량 디젤 철도로 교체되고 있다.[115]

오트레인 및 트랜짓웨이 노선도 (2019년 9월 기준)

  • 동부 트랜짓웨이: 블레어에서 밀레니엄까지 이어지며, 39번 버스가 운행한다. 블레어에서 플라스 도를레앙까지는 174번 도로를 따라 버스 전용 차로로 운행하고, 이후 밀레니엄까지는 도로변에 정류장이 있다.
  • 남동부 트랜짓웨이: 허드맨에서 사우스키스까지 이어지며, 이후 공항, 리트림, 허손 등 세 갈래로 나뉜다. 허드맨에서 사우스키스까지는 전용 버스 도로를 이용하고, 나머지는 일반 도로와 연결된다. 45, 97, 98, 99번 버스가 운행한다.
  • 중부 트랜짓웨이: 터니스패스처에서 링컨필드까지 이어지며, 컨페더레이션선 서부 연장 시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다.
  • 시내 구간: 앨버트와 슬레이터 가에 조성된 버스 전용 차로를 따라 버스가 운행했으나, 2019년 컨페더레이션선 1단계 개통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남서부 트랜짓웨이: 링컨필드에서 베이스라인까지 버스 전용 도로를 이용하며, 팔로우필드 직전까지 버스 전용 차로를 이용한 뒤 팔로우필드에서 바헤이븐 센터까지 다시 버스 전용 도로로 진입한다. 마켓플레이스 동쪽으로는 베아트리스와 리버뷰를 잇는 별도의 버스 전용 도로가 있다. 74, 75번 버스가 운행한다.
  • 서부 트랜짓웨이: 링컨필즈에서 캐나타, 스티츠빌 등으로 이어지는 버스 노선으로, 파인크레스트에서 무디까지 전용 버스 도로가 있지만 컨페더레이션선 연장을 위해 폐쇄된 상태이다. 61, 62, 63번 버스가 운행한다.


OC 트랜스포는 트랜짓웨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115]

  • 래피드 (Rapid): 트랜짓웨이와 고속도로를 경유하여 트랜짓웨이 정거장에만 정차하는 BRT 노선으로, 매일 상시 운행한다.
  • 프리퀀트 (Frequent):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최대 15분 간격으로 간선 도로를 따라 자주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이다.


오타와의 교통 시스템은 O-Train과 트랜짓웨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 네트워크는 주요 환승 지점에서 만나며, 빈번한 지역 버스 노선 및 피크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급행 버스 노선과 연결된다. 급행 교통 노선은 빠른 속도와 높은 빈도로 운행하며, 지도와 안내 표지판에 원형 노선 문장으로 표시된다.

Lycée Claudel역의 노선 표지판


급행 교통망은 주로 시내 중심가와 인근 정부 청사를 중심으로 하며, 급행이 아닌 빈번한 노선은 교외 지역에서 순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타와에서 가장 혼잡한 버스 노선 중 대부분은 빈번 노선(88, 6, 7번 등)으로, 트랜짓웨이를 주로 운행한다.[5] 6개의 급행 버스 노선(57, 61, 75, 39, 45, 97)은 24시간 운행한다.[6]

트랜짓웨이는 시내 중심에서 동쪽, 남동쪽, 남서쪽, 서쪽 등 네 방향으로 뻗어나가 녹지대를 지나 캐나타, 배런헤븐, 오를레앙 외곽 교외 지역으로 진입한다. 트랜짓웨이에서 운행하는 많은 급행 버스 노선은 시내에서 동일한 경로를 공유한 다음, 교외로 분기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BRT 노선 외에도 트랜짓웨이는 다른 급행이 아닌 교통 노선과 비상 차량도 일부 사용하며, 대부분 등급이 분리되어 있다.

width="40px" |O-Train
급행 노선: Transitway에서 운행하는 빈번하고 급행 버스 노선.
빈번 노선: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5분 간격 또는 그보다 더 자주 운행하는 노선. 대부분 O-Train 노선으로 연결.



OC 트랜스포는 일반 도로에서 운행되는 944대의 버스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두 접근성이 좋은 저상 버스이다.[45] OC 트랜스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굴절 버스를 사용한다. 트랜짓웨이에서 운행되는 일부 노선은 굴절 버스(예: 57, 61, 62, 75번 노선)가 거의 전적으로 운행한다.

오타와는 다른 북미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급행 교통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이용률도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트랜짓웨이에서 나타났으며, 시내로 모여드는 트랜짓웨이 노선은 교통 병목 현상을 일으켜 버스가 도시 거리에 심하게 몰려 전체 트랜짓웨이 네트워크의 실제 용량과 빈도를 제한했다. 2019년에 트랜짓웨이 네트워크의 내부 일부가 경전철로 전환되어 시스템의 용량을 대폭 늘리고 OC 트랜스포가 제한된 버스 차량을 다른 곳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재할당할 수 있게 되었다.

3. 3. 시내버스

1960년대에 오타와는 자가용 보급이 늘면서 도시가 외곽으로 빠르게 팽창했고, 도로 정체도 심해졌다. 오타와 교통국은 1940년대와 50년대에 오타와에 새로 편입된 지역에 버스 운행을 늘리려 했지만, 예산 부족과 외곽 지역의 낮은 인구 밀도, 도로 확장에 기반한 자동차 중심 교통 계획, 그리고 기존 오타와 시내에 몰려있던 관공서와 정부 청사의 외곽 이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118]

1972년 5월, 오타와 교통국은 오타와 시내의 단기적인 서비스 개선에 초점을 맞춘 대중교통 개선 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오타와 교통국, 오타와-칼턴 지방자치구, 국가수도위원회, 온타리오주 대표를 포함한 통합위원회가 구성되어 오타와 광역권 내 교통 취약 지역에 대중교통을 도입하고 기존 버스 운행 지역의 대중교통을 개선하고자 했다.[119] 1972년 7월 설문 조사 결과, 50%가 넘는 응답자들이 대중교통 개선을 원했고, 오타와 시의회는 시내와 일부 외곽 지역에 대중교통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했다.[119]

OC 트랜스포는 오타와 전역에 걸쳐 자가용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운전자들을 위해 17곳의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일부 주차장은 무료이며, 일부는 무료와 유료 주차 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일부는 주차 정기권을 소지한 운전자만 이용할 수 있다. 정기권은 일반 정기권과 골드 정기권 두 종류가 있다.[116]

OC 트랜스포는 오타와의 외곽 시골 지역에서 평일 아침에 오타와 시내로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을 위해 외곽 환승 주차장도 마련해두었으며, 모든 외곽 주차장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117]

급행 교통망은 주로 시내 중심가와 인근 정부 청사를 중심으로 하며, 급행이 아닌 빈번한 노선은 교외 지역에서 순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6개의 급행 버스 노선(57, 61, 75, 39, 45, 97)은 24시간 운행한다.[6]

종류설명
-- 급행 노선Transitway에서 운행하는 빈번하고 급행 버스 노선. 파란색 원으로 표시됩니다.
-- 빈번 노선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5분 간격 또는 그보다 더 자주 운행하는 빈번 노선. 대부분의 노선은 O-Train 노선으로 연결됩니다. 빨간색 육각형으로 표시되지만, 향후 파란색 육각형으로 대체될 예정입니다.[12]
-- 지역 노선저빈도 연결 및 피더 버스 노선. 100번대 노선은 일반적으로 O-Train 1호선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회색 직사각형으로 표시됩니다.
-- 연결 노선지역 사회를 O-Train으로 연결하는 피크 시간대 급행 노선. 200번대로 번호가 매겨집니다. 보라색 타원으로 표시됩니다.
-- 기타 노선300번대: 쇼핑 노선



OC 트랜스포는 일반 도로에서 운행되는 944대의 버스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버스들은 모두 접근성이 좋은 저상 버스이다.[45] OC 트랜스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굴절 버스를 사용한다. 도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버스 노선을 포함하여 트랜짓웨이에서 운행되는 일부 노선은 굴절 버스(예: 57, 61, 62, 75번 노선)가 거의 전적으로 운행한다. 피크 시간대 연결 노선은 주로 2층 버스로 운행된다.

OC 트랜스포는 170개의 버스 노선(2019년 10월 6일 기준)[53]을 운영하며, 이 노선들은 번호와 함께 시스템 지도 및 버스 정류장 깃발에 표시되는 색상으로 분류된다.

2호선과 4호선 개통으로 인해 2024년 봄 또는 여름에 대대적인 노선 개편과 네트워크 변경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기존 노선의 대부분이 변경될 예정이며, 일부 노선은 완전히 폐지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많은 새로운 노선도 생길 것이다.

교통망에서 운행 중인 OC 트랜스포 D60LFR 굴절 버스


오타와의 대중 교통 네트워크는 주로 중간이 꺾이는 18.5m 길이의 굴절 버스에 의존하고 있다. 이 버스들은 시스템의 주력으로 간주되며 최대 110명까지 수송할 수 있다.[54] 시는 또한 굴절 버스와 비슷한 전체 수용 능력을 갖지만 훨씬 더 많은 좌석을 갖춘 2층 Alexander Dennis Enviro500 MMC 버스도 사용한다. 또한 시는 12.5m 길이의 소규모 저용량 일반 버스도 보유하고 있다. 모든 버스는 대부분 저상 버스이며, 두 세트 또는 세 세트의 문을 갖추고 있다.[55]

뉴 플라이어 D60LFR은 2010년 8월 뉴 플라이어와 시가 맺은 계약으로 버스 네트워크에 채택되었으며, 이는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 구매한 노후된 저출력 60피트 D60LF 굴절 버스 226대를 최신 D60LFR 모델로 교체하는 내용이었다. 버스 교체는 2011년 3월에 완료되었다. OC 트랜스포는 이 계약의 일환으로 구형 버스 반납 시 할인 및 신규 부품 크레딧 등 인센티브를 받았다. 또한 뉴 플라이어에서 D60LFR 굴절 버스 80대를 추가로 구매하여 총 306대의 버스를 확보했다.[61][62] 2001-2004년형 D60LF는 현재 모두 퇴역했다. 일부 구형 뉴 플라이어 D60LF 60피트 굴절 버스는 엔진 과열로 인해 2006년 여름과 2010년 여름/가을에 화재가 발생하여 운행이 중단되었다.

2011년 7월 12일, OC 트랜스포는 남은 모든 하이 플로어 버스가 퇴역했음을 발표했으며,[63], 따라서 현재 모든 OC 트랜스포 버스는 로우 플로어이며, 유모차와 보행자를 위해 더 낮출 수 있고, 휠체어를 위한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다.

오타와는 2012년 8월 24일에 버스 fleet에 75대의 2층 버스를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10월에 운행을 시작했다. 이 버스는 이전에 2006년과 2007년에 시험 운행을 거쳤다. 이 버스는 주로 기존 굴절 버스에 비해 더 많은 좌석 수(86석 대 55석)를 확보하기 위해 fleet에 추가되었으며, 주로 통근형 "Connexion" 노선에 투입된다. 이 버스의 도입은 시스템의 승차율을 높일 수 있는 볼거리로 여겨진 데 기인하며, 실제로 승객과 운전자의 41%는 2층 버스를 선호하고, 30%는 1층 버스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2층 버스 구매 결정은 굴절 버스보다 운행 비용이 저렴하고 도로 공간을 덜 차지한다는 점도 뒷받침되었다.[64][65]

현재, OC 트랜스포는 7대의 버스 모델로 구성된 740대의 버스 fleet을 보유하고 있다.[68]

제조사모델fleet 내 수량비고
노바 버스LFS (4세대)249
뉴 플라이어D40i 인베로55일부는 퇴역 진행 중
뉴 플라이어D60LF51굴절 버스
뉴 플라이어XE40 Charge4전기 버스
뉴 플라이어D60LFR304굴절 버스
알렉산더 데니스알렉산더 데니스 엔비로500 MMC782층 버스
GMC (상표)글라발 타이탄82Para-Transpo 미니버스



2022년 1월에 촬영된, 정식 운행 시작 전 노선 테스트 중인 전기 버스


OC 트랜스포는 4대의 전기 뉴 플라이어 XE40 버스를 구매했으며, 2021년 11월에 인도되어 2022년 초에 운행을 시작했다.[69] 2021년 6월 7일, 승인될 경우 2027년까지 450대의 전기 버스를 구매하고, 2036년까지 전체 차량을 전동화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70]

OC 트랜스포는 수년 동안 "Rack & Roll" 캠페인의 일환으로 일부 노선에서 자전거 캐리어를 운영해 왔다. 이 랙은 버스 앞쪽에 최대 두 대의 자전거를 실을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버스에 접혀진다. 2021년 현재, 차량의 모든 버스에 자전거 랙이 장착되어 있다.[48] 자전거 이용자는 버스에 공간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랙을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랙은 4월부터 10월까지만 이용 가능했으며 연중 프로그램 지속 여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 자전거는 연중 언제든지 오-트레인에 실을 수 있다. 그러나 2023년 현재 영구적인 겨울 시범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49][50]

OC 트랜스포가 2023년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평균 통행 시간은 51분이었다. 같은 설문 조사에서 참가자(승객 및 운전자 모두)가 제공한 피드백은 무엇보다도 더 나은 신뢰성에 대한 강한 요구를 나타냈다.[51] 또한 오타와는 최근 몇 년 동안 대중교통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운송 인구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52]

옹호자들과 버스 운전자 모두 OC 트랜스포가 신뢰성과 이용률을 유지하고 늘리기 위한 조치로 도시 전역에 더 많은 버스 전용 차선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52][51]

3. 4. 환승 주차장

OC 트랜스포는 일반 버스와 철도를 이용하기 힘든 거동이 불편한 승객을 위해 집에서 목적지 사이를 오갈 수 있는 보조 교통 수단인 패러트랜스포 (Para Transpo)를 운행하고 있다. 패러트랜스포는 사전 예약을 통해 소형 버스와 택시를 통해 오타와 시내, 외곽 및 가티노 헐 지역으로 승객을 실어나른다.[118]

패러트랜스포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라이프마크 건강 그룹에 신청서를 보내야 하며, 일련의 심사를 거쳐 보조 교통 수단을 이용할 자격이 있다는 결정이 나는 대로 이용할 수 있다. 보조 교통 수단은 일반 대중교통과 요금이 동일하며, 보조 교통 수단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일반 대중교통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118]

3. 5. 보조교통

오타와의 모든 버스와 경량 철도역은 휠체어 및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저상 버스 및 열차로 손쉽게 승차할 수 있다. 각 버스와 열차에는 휠체어나 보조 도구 및 장비를 놓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118] OC 트랜스포는 일반 버스와 철도를 이용하기 힘든 거동이 불편한 승객을 위해 집에서 목적지 사이를 오갈 수 있는 보조교통인 패러트랜스포 (Para Transpo)를 운행하고 있다. 패러트랜스포는 사전 예약을 통해 소형 버스와 택시를 통해 오타와 시내, 외곽 및 가티노 헐 지역으로 승객을 실어나른다.[118]

패러트랜스포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라이프마크 건강 그룹에 신청서를 보내 심사를 거쳐야 한다. 보조교통 이용 자격이 있다는 결정이 나는 대로 보조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보조교통은 일반 대중교통과 요금이 동일하며, 보조교통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일반 대중교통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118]

'''파라 트랜스포'''는 일반적인 OC 트랜스포 노선을 이용하기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오타와 승객들을 위해 제공되는 접근 가능한 파라트랜짓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자격을 갖춘 사용자들이 최소 하루 전에 콜센터를 통해 예약하면, 사용자들의 거주지로 직접 제공된다. 파라 트랜스포 운전기사는 지정된 차량에 탑승하고 건물 입구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승객에게 제공한다.[82]

파라 트랜스포 운영은 이전에 Laidlaw가 운영하던 First Student Canada에 위탁되었다. 2008년 1월 1일, 오타와 시는 이 서비스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82]

2008년의 대중교통 파업은 파라 트랜스포 서비스에는 지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파라 트랜스포 서비스는 파업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로 인해 지연을 겪었다.

4. 요금

OC 트랜스포의 요금은 현금, 프레스토 카드, 신용카드직불카드를 이용한 오페이먼트(O-Payment), 장애인 보조교통 요금인 패러페이(ParaPay)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불할 수 있다.

오타와 버스 이용 시 현금으로 어른, 청소년, 노인 1회권 요금과 1일권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현금은 캐나다 달러로 지불해야 하며, 어른과 만 13세 이상 청소년은 3.85CAD, 만 65세 이상 노인은 2.95CAD를 지불해야 한다. 만 12세 이하 아동은 무료이다. 현금 지불 시 정확한 액수를 현금 계수기에 넣어야 하며, 거스름돈은 제공되지 않는다.

OC 트랜스포 요금 변동 내역(1996–2018)


1976년에 도입된 월간 이용권은 OC 트랜스포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방법이다. 2017년부터 종이 이용권이 중단되고, Presto 월간 이용권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OC 트랜스포는 1998년 7월 1일에 1일권(DayPass)을 도입하였다.[76] 2009년 7월 1일부터 1일권 바우처는 판매가 중단되어, 버스에서 현금 및 티켓으로만 지불할 수 있다.

1일권과 함께 출시된 가족 1일권(Family DayPass)은 처음에는 일요일과 공휴일에만 이용 가능했으나, 2009년 7월 1일 1일권 바우처가 중단되면서 토요일에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79]

2018년 1월 1일, OC 트랜스포는 3일, 5일, 7일권(Multi-DayPass)을 출시하여, 최대 1주일까지 1일권 서비스를 미리 구매하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일 이용권은 가족 1일권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Presto 카드에 탑재할 수 없고 종이 환승권으로 발급된다. 이용권은 구매 즉시 활성화된다.

2024년 7월 19일 현재 OC 트랜스포 장기 및 1일 이용권[75]
기간이용권당 가격1일당 가격종류
1일$11.75개인/가족
3일$28.50$9.50개인
5일$45.75$9.15개인
7일$54.25$7.75개인
1개월$43.25$1.44액세스/커뮤니티
$49.00$1.63시니어 (65세 이상)
$58.25$1.94EquiPass
$99.25$3.31청소년 (13–19세)
$128.75$4.29성인



익스프레스 요금은 OC 트랜스포에서 프리미엄 피크 시간대 버스 노선에 적용되었던 요금이다. 2017년 1월 1일에 익스프레스 요금은 폐지되었고, 익스프레스 노선은 Connexion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농촌 익스프레스 요금은 2002년 7월 2일에 일부 노선에 도입되었다가 2012년 7월 2일에 폐지되었고, 해당 노선들은 익스프레스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Para Transpo는 농촌 요금 구역을 계속 운영하고 있다.

4. 1. 환승

OC 트랜스포를 이용할 때 현금 외에도 교통카드프레스토 카드, 신용카드직불카드를 통한 오페이먼트 (O-Payment), 장애인 보조교통 요금인 패러페이 (ParaPay)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레스토 카드는 오타와뿐 아니라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프레스토 카드에 요금이나 1개월 정기권을 충전하여 버스나 경전철 이용 시 단말기에 찍으면 잔액이 차감되거나 정기권 사용이 표시된다. 프레스토 카드 사용 시 어른과 만 13세 이상 청소년의 1회 요금은 3.8캐나다 달러이고, 만 65세 이상 노인은 2.9캐나다 달러이다. 자주 이용하는 승객은 1개월 정기권을 구매할 수 있는데, 만 20세 이상 어른은 128.75CAD, 만 13-19세 청소년은 99.25CAD, 만 65세 이상 노인은 49CAD에 충전 가능하다.[119]

프레스토 카드는 [https://www.prestocard.ca/en/ 프레스토 카드 홈페이지]나 고객센터(1-877-378-6123), OC 트랜스포 티켓 자판기, 오타와시 관공서(서비스오타와 시청, 캐나타, 벤 프랭클린 지점), OC 트랜스포 고객센터, 쇼퍼스 드러그 마트, 로블로스, 리얼 캐네디언 슈퍼스토어 지점에서 4CAD에 구매할 수 있다. 초기에는 무기명 카드로 발급되며, 도난/분실 방지 및 소득공제 영수증 발급을 위해 홈페이지에 등록하면 기명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119]

프레스토 카드는 홈페이지, iOS/안드로이드 앱, 티켓 자판기, OC 트랜스포 고객센터, 쇼퍼스 드러그 마트, 로블로스, 리얼 캐네디언 슈퍼스토어 지점에서 충전할 수 있다. 온라인 충전 시 최소 10CAD 이상 충전해야 하며, 잔액은 1000CAD를 넘을 수 없다. 온라인 충전 시 잔액 업데이트에 최대 24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대중교통 이용 전 충분한 시간을 두어야 한다.[119]

잔액 부족 방지를 위한 자동 충전 기능은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 후 오토로드(Auto-load) 기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잔액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설정된 금액만큼 자동 충전되며, 30일 내 단말기에 카드를 찍으면 적용된다. 1개월 정기권도 자동 갱신 가능하며, 다음 달 1일 6일 전에 자동이체된다. 자동 갱신된 정기권은 매달 1일 이후 단말기에 찍어야 충전된다.[119]

청소년, 아동, 노인은 OC 트랜스포 고객센터나 쇼퍼스 드러그 마트 지점에서 프레스토 카드를 연령에 맞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신분증 등 증빙 서류가 필요하다.[119]

OC 트랜스포 요금은 현금, 프레스토 카드, 직불 카드, 신용 카드 또는 모바일 지갑으로 지불할 수 있다. 할인 요금과 정기권은 프레스토 카드에만 충전 가능하며, 은행 카드와 휴대폰 지갑에서는 일일 및 월간 정기권 요금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상한선이 적용된다. 환승은 무료이며, 터치 후 90분에서 105분 동안 유효하다.

환승권은 탑승 시 운전자가 인쇄해 주며(현금만 해당), 전자 지갑 사용 시 환승은 프레스토 카드에 통합된다. 환승 유효 시간은 다음과 같다.[74]

구분환승 유효 시간
평일/토요일 오전 6시 30분 ~ 오후 6시90분
일요일/주중 오전 2시 45분 ~ 오전 6시 30분/오후 6시 ~ 오후 10시 30분105분
자정 ~ 오전 2시 45분당일 오전 4시 30분까지
오후 10시 30분 ~ 오후 11시 59분다음 날 오전 4시 30분까지



1951년 OC 트랜스포 요금은 10센트(1.22CAD)였다. 이후 요금은 정기적으로 인상되었으며, 이전에는 티켓으로 할인 요금을 이용할 수 있었다. 2012년에는 2캐나다 달러의 노인 요금이 도입되었지만, 이후 인상되었다.

2024년 1월 1일 현재 요금은 다음과 같다.[75]

구분요금
성인(18세 이상) 및 청소년(13~17세)3.85CAD
노인2.95CAD
이퀴패스 및 커뮤니티(프레스토 카드 전용)1.75CAD
12세 이하 어린이무료



성인, 청소년 및 노인 요금은 현금 요금 기준이며, O-Payment(신용 카드), 프레스토(실물 카드만 허용), 파라페이 또는 직불 카드로 결제하면 5센트 할인된다.[75]

4. 2. 할인 요금

OC 트랜스포를 이용하려면 현금 뿐만 아니라 교통카드프레스토 카드, 신용카드직불카드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오페이먼트 (O-Payment), 장애인 보조교통을 이용할 때 지불하는 요금인 패러페이 (ParaPay) 등 다양한 요금 지불 수단이 존재한다.

패러트랜스포 보조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오타와 지역의 장애인 및 교통약자는 패러페이라는 보조교통 요금 충전 사이트에 가입할 수 있다. 패러페이 계정을 등록하려면 OC 트랜스포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패러트랜스포 등록 시 받은 등록번호를 제시하면 패러페이에 어떻게 등록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보조교통 요금으로 1개월 정기권인 패러패스 (ParaPass)와 일정 요금을 충전해 요금을 차감하는 패러펄스 (ParaPurse)가 존재하는데, 정기권이나 잔액을 충전하려면 패러페이 홈페이지, 고객센터 사무실이나 전화, 우편을 통해 충전할 수 있다. 요금을 충전하면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교통편을 예약하면서 요금이 차감되고, 취소할 경우에는 요금이 환불된다. 패러펄스 잔액을 충전할 때에는 최소 10USD 이상 충전해야 하며, 해당 잔액은 이용할 때마다 차감되거나, 아니면 패러패스 구매를 위해 차감할 수 있다. 패러패스와 패러펄스는 OC 트랜스포의 버스나 경전철 등의 요금을 지불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120]

OC 트랜스포 요금은 현금, 프레스토 카드, 직불 카드, 신용 카드 또는 모바일 지갑으로 지불할 수 있다. 할인 요금과 정기권 구독은 프레스토 카드에만 충전할 수 있으며, 은행 카드와 휴대폰 지갑에서는 일일 및 월간 정기권 요금에 도달하면 요금이 자동으로 상한선으로 제한된다. 환승은 무료이며, 터치 후 90분에서 105분 동안 유효하다.

환승권은 승객이 탑승할 때 운전자가 인쇄해 주며(현금만 해당), 전자 지갑을 사용할 때는 환승이 프레스토 카드에 통합된다. 이러한 환승 유효 시간은 다음과 같다.[74]

구분환승 유효 시간
평일 또는 토요일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90분
일요일 또는 주중 오전 2시 45분부터 오전 6시 30분까지 또는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30분까지105분
자정부터 오전 2시 45분까지같은 날 오전 4시 30분까지
오후 10시 30분부터 오후 11시 59분까지다음 날 오전 4시 30분까지



1951년 OC 트랜스포 요금은 10센트였으며, 2024년 달러 가치로 환산하면 1.22USD에 해당한다. 이후 요금은 정기적으로 인상되었으며, 이전에는 티켓으로 할인 요금을 이용할 수 있었다. 2012년에는 2USD의 노인 요금이 도입되었지만, 이후 몇 년 동안 인상되었다.

2024년 1월 1일 현재 요금은 다음과 같다.[75]

구분요금
성인(18세 이상) 및 청소년(13~17세)3.85USD
노인2.95USD
이퀴패스 및 커뮤니티(프레스토 카드 전용)1.75USD
12세 이하 어린이무료



성인, 청소년 및 노인 요금은 현금 요금으로 구성된다. O-Payment(신용 카드), 프레스토(실물 카드만 허용), 파라페이 또는 직불 카드로 결제하면 5센트 할인을 받을 수 있다.[75]

5. 차량 및 시설

OC 트랜스포는 장애인 및 교통약자를 위해 패러트랜스포 보조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는 패러페이(ParaPay)라는 요금 충전 사이트에 가입하여 요금을 관리할 수 있다. 패러페이 계정 등록은 OC 트랜스포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패러트랜스포 등록 시 받은 등록번호를 제시하면 된다.

패러페이에서는 1개월 정기권인 패러패스(ParaPass)와 일정 요금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패러펄스(ParaPurse)를 이용할 수 있다. 요금 충전은 패러페이 홈페이지, 고객센터 사무실, 전화, 우편을 통해 가능하다. 충전된 요금은 교통편 예약 시 차감되며, 취소 시 환불된다. 패러펄스는 최소 10달러 이상 충전해야 하며, 잔액은 이용 시마다 차감되거나 패러패스 구매에 사용될 수 있다. 단, 패러패스와 패러펄스는 OC 트랜스포의 일반 버스나 경전철 요금 지불에는 사용할 수 없다.[120]

패러트랜스포와 일반 대중교통을 모두 자주 이용하는 승객은 액세스 패스(Access Pass)를 구매하여 패러페이를 통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액세스 패스는 OC 트랜스포 고객센터를 통해 패러페이에 추가할 수 있다.[121]

5. 1. 차량

OC 트랜스포는 오타와 시내와 외곽을 잇는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수단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는 오트레인(경전철), 트랜짓웨이(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일반 버스, 그리고 거동이 불편한 승객을 위한 보조교통 수단인 패러트랜스포가 포함된다.

  • 오트레인 (O-Train): 오트레인은 2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1호선인 컨페더레이션선은 동서를 잇는 경전철 노선으로, 시내 구간은 지하 터널로 운행된다. 2호선인 트릴리움선은 남북을 잇는 디젤 동력 경전철 노선으로, 현재 확장 공사 중이다.
  • 트랜짓웨이 (Transitway): 트랜짓웨이는 버스 전용 도로와 차로를 이용하여 버스를 빠르게 운행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이다. 1983년 첫 개통 이후 50개 정류장으로 확장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오트레인으로 전환되고 있다.
  • 일반 버스: 오타와는 1924년 캐나다에서 네 번째로 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1948년 오타와 교통국(OTC) 출범 이후 버스 노선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노선과 차종을 운영하고 있다.
  • 요금: 2023년 9월부터 신용카드나 모바일 지갑을 이용한 요금 지불 방식인 오페이먼트(O-Payment)가 도입되었다.[122] 저소득층을 위한 에퀴패스(EquiPass) 할인 제도도 운영 중이다.[125]
  • 차량 현황: OC 트랜스포는 944대의 버스와 3개 노선의 오트레인 철도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68] 버스는 대부분 저상 버스이며, 굴절 버스와 2층 버스도 운행된다. 오트레인 차량은 전기 경전철과 디젤 동력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종류대수비고
버스노바 버스 LFS (4세대)249대
뉴 플라이어 D40i '인베로'55대일부 퇴역 진행 중
뉴 플라이어 D60LF51대굴절 버스
뉴 플라이어 XE40 'Charge'4대전기 버스
뉴 플라이어 D60LFR304대굴절 버스
알렉산더 데니스 엔비로500 MMC78대2층 버스
GMC (상표) 글라발 타이탄82대Para-Transpo 미니버스
오트레인알스톰 코라디아 LINT6편성 2량2015년부터 트릴리움선(2호선) 운행, 2023년 공항선(4호선) 운행 예정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34량 (50m)컨페더레이션선(1호선) 운행
슈타들러 레일 플리트7편성 4량2024년 트릴리움선(2호선) 개통 시 운행 예정


  • 패러트랜스포 (Para Transpo): 일반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승객을 위한 보조교통 서비스로, 사전 예약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118]

5. 1. 1. 오트레인

2012년 12월 19일, 오타와 시의회는 오타와 시내를 동서로 잇는 트랜짓웨이를 경전철로 전환하는 방안을 승인하였다.[104] 경전철 사업은 리도 트랜짓 그룹 (Rideau Transit Group)과 계약을 체결하였고,[105] 경전철 차량은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으로 선정되었다.[106] 하지만 컨페더레이션선은 2016년 6월 싱크홀 사고와 터널 침수로 인해 개통이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107][108]

컨페더레이션선의 시험 운행은 2016년 말에 시작되었으나, 열차 부족, 유지 보수 시설 화재 및 여러 기술적 문제로 개통이 계속 지연되었다. 2019년 9월 14일에 개통하였으나, 이후에도 잦은 결함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2020년 3월, 오타와 시의회는 컨소시엄 업체에 채무 불이행 통지서를 발행하였고, 2022년 11월, 경전철 진상규명 보고서에서는 시 공무원들과 컨소시엄 양쪽에 대해 비현실적인 프로젝트 마감 기한, 시험 운행 투명성 부족 등 다양한 문제를 비판하였다.[110]

2001년에는 트릴리엄 라인으로 알려진 최초의 오-트레인(O-Train)인 디젤 동력 경전철 시범 사업이 도입되었다. 2006년 12월 14일, 오타와 시의회는 오-트레인#북-남 경전철 확장 프로젝트를 취소했다. 2013년에 시작하여 2023년에 완료될 도시 전체의 통합 경전철 시스템을 갖춘 새로운 프로젝트 모델이 만들어졌다. 연방선이라고 불리는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시내 지하철을 포함하여 터니의 목초지와 블레어 사이의 12.5 km의 철도를 포함한다.

OC 트랜스포는 현재 슈타들러 레일에서 제작한 7개의 4량 DEMU 슈타들러 플리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트릴리엄 라인 2단계 개선이 완료될 때 사용될 예정이다. 또한 라인 1에서 사용하기 위한 2단계 차량 추가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38대의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 LRV로 구성된 확장 차량이 제작될 예정이다.[72]

제조사모델차량 수비고
알스톰(Alstom)코라디아 LINT(Coradia LINT)6편성 2량2015년부터 트릴리움선(2호선)에서 운행 중. 2023년에는 공항선(4호선)에서 운행 예정
알스톰(Alstom)시타디스 스피릿(Citadis Spirit)34량, 50m 길이의 경전철연방선(1호선)에서 운행 중
슈타들러 레일(Stadler Rail)플리트(FLIRT)7편성 4량2024년 트릴리움선(2호선) 개통 시 운행 예정



O-Train 경전철 티켓은 현금 지불 시 2002년에는 2달러에 판매되었고, 버스 현금 요금 2.50달러보다 저렴했지만, 당시 티켓 요금 1.70달러보다는 비쌌다. O-Train 티켓 가격은 2013년 7월까지 버스 현금 요금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며, 이때 OC 트랜스포는 O-Train 티켓 가격을 버스 현금 요금과 동일하게 만들었다.

항목가격
PRESTO 카드$4.00 + 최소 충전 $0.05
골드 퍼밋 주차권$65/월
일반 파크 앤 라이드 주차권$28.75/월
Bikesecure$6.00 키 탭 + $10.00/월


5. 1. 2. 시내버스

오타와는 1924년에 캐나다에서 네 번째로 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89] OER의 첫 버스 노선은 엘긴 스트리트와 아가일 애비뉴에서 시작해 오타와 동부의 클레그 스트리트까지 운행하였으며,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1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하지만 이 버스 노선은 이후에 전차 선로가 놓이고 전차가 운행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1920년대 내내 노면전차는 오타와에서 선호되는 교통 수단이었지만, 버스가 더 조용하고 고장이 잘 나지 않아 도로를 막지 않아 점차 버스를 선호하는 지역 주민들이 늘어났다.[89]

대공황 이후 1932년에 대중교통 연간 이용객 수는 3백만 명 이상 감소하였다. 오타와 주민들은 이 시기에 돈을 아끼기 위해 걸어다녔고, 노면전차를 타는 것은 사치로 여겼다. OER의 수익 감소는 1933년 4월까지 이어졌는데, 겨울에는 추운 날씨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많았던 만큼 회사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1934년에 OER은 신형 전차 6대를 각각 22000CAD에 구매하였다. 신차는 49인승에 빨간색과 크림색 도색이었고, 별도의 운전실이 있었다. 전차에 오를 때 계단에 불빛이 들어왔고, 바닥은 미끄러지지 않는 리놀륨 재질이었다. 가장 큰 개선점은 부드러운 고무 좌석이었는데, 푹신푹신한 좌석과 은은한 조명이 들어오는 신형 버스도 구매하였다.[89]

1939년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수많은 민간인과 군인들이 캐나다의 수도로 이주하였다. 급속하게 늘어난 인구로 OER은 대중교통 증편이 절실하였는데, 특히 기존에 자가용으로 운전하던 사람들은 휘발유 비축을 위해 한정 수량만 배급하면서 노면전차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1942년 기준 대중교통 이용객 수는 1939년에 비해 78%나 증가했고, 노면전차 승객은 60%, 버스 승객은 무려 347%나 증가하였다. 1939년에 21대가 운행하던 버스는 49대로 늘어났다. 늘어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전시 상황이라 버스를 생산하는 것은 금지되었지만, 예외적으로 버스 다섯 대는 추가로 도입할 수 있었다. OER은 또한 1942년 10월에 버스의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 뒷문 승차를 허용하고 승객 수가 저조한 100여 개의 정류장을 폐지하였다.

2차 세계 대전이 1945년에 종전되면서 캐나다 수도도 점차 일상으로 돌아왔다. 1945년 9월 20일, OER은 전후 서비스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60인승 버스 20대, 신형 전차 도입은 물론 기존 전차를 개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오타와시의 OER 인수를 앞두고 도입하려던 신차 20대 중에서 4대만 제작되었다.

1946년 1월 중순, 스탠리 루이스 오타와 시장은 시의회 산하 노면철도위원회에 오타와시가 전차 시설을 인수해서 운영하는 데 얼마나 들어가고 개선해야 할 시설이나 노선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였다. 1947년 여름, 오타와시와 철도회사는 요금 인상을 두고 씨름을 벌였는데,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OER 측 주장과는 다르게 오타와시는 요금 인하를 요구하였다. 시와 회사 간에 요금을 둔 협상이 진전을 보지 못하자 대중교통을 공영화하자는 여론이 물살을 탔다. 1948년 2월 16일, 오타와전기철도회사를 6300000CAD에 매입하고 이후 시설 개선에 투자하는 방안이 시민투표에 부쳐졌다. 대중교통 공영화는 찬성 80.8%, 반대 19.1%로 시민투표에서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1948년 8월, 오타와교통국 (OTC)이 정식 출범하였고, 기존 OER 전차 130대, 버스 61대, 서비스 차량, 건물, 발전소 및 브리태니아 공원이 오타와시의 소유가 되었다.

승객들이 기존 OER에 대해 불만이 많았던 만큼 새로 발족한 오타와교통국은 토론토의 교통 전문가인 노먼 윌슨을 고용해 대중교통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대중교통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권고안을 내놓도록 하였다. 한편 오타와가 네피안과 글로스터 타운십 일부를 흡수하면서 오타와교통국은 오타와 지역의 유일한 대중교통 기관으로 자리잡았다. 기존에 네피안버스라인이 운행하던 지역은 1950년 1월 1일 오타와교통국이 대신 운행하게 되었으며, 업랜즈버스라인과의 계약은 1951년 4월 24일에 체결하였지만 이 지역에도 이미 1950년 7월 1일부터 OTC 버스가 운행하였다. 이스트뷰는 오타와와는 별개의 지자체였지만 1950년 12월 5일에 이스트뷰버스라인 또한 375000CAD에 인수하였다.

노먼 윌슨은 오타와교통국이 처한 재정적 상황을 감안할 때 노면전차를 적어도 앞으로 15년 동안 그대로 운행하고, 이 기간 동안 기존 선로와 차량을 대대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계속 운행하되, 이후 점진적으로 전차 노선을 폐선하여 버스로 대체 운행할 것을 권고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오타와는 자가용이 보급화되면서 외곽 지역으로 도시가 급격히 팽창하였고, 이에 따른 도로 정체도 가속화되었다. 이에 대해 오타와교통국은 1940년대와 50년대에 오타와로 새로 흡수된 지자체에 버스 운행을 확장하고자 하였지만 OER 인수에 따른 예산난과 외곽 지역의 저밀도 성장, 도로 확장에 기반을 둔 자동차 중심 도시 교통 계획은 물론 기존 오타와 시내에 몰려있던 관공서 및 정부청사를 외곽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버스를 외곽 지역에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난항을 겪었다.

1969년, 온타리오주는 행정구역 개편의 일환으로 오타와시와 시 바로 외곽에 있는 카를턴 카운티에 오타와 카를턴 지방자치구를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계획을 오타와시가 아닌 지방자치구에서 수립하였다.

1972년 5월, 오타와교통국은 오타와 시내의 단기적인 서비스 운영 개선에 초점을 맞춘 대중교통 개선 연구에 착수하였다. 이후 초점은 오타와 지역 전체로 향해 오타와교통국, 오타와-카를턴 지방자치구, 국가수도위원회, 온타리오주 대표를 포함한 통합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위원회는 오타와 광역권 내 교통 음영지역에 대중교통을 도입하고 기존에 OTC 버스가 운행하던 지역의 대중교통 또한 개선하고자 하였다. 1972년 7월 설문에 따르면 50%가 넘는 응답자들이 대중교통이 더 나아지길 바란다고 응답했고, 이에 따라 오타와 시의회는 시내와 일부 외곽 지역에 대중교통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하였다.

1974년 RMOC 광역개발계획에 따르면 오타와 지역에 일종의 도시교통체계를 짓는 것을 권장했지만 어떤 교통 수단으로 지어야할 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이후 몇 차례의 타당성 연구 용역 끝에 오타와의 새로운 도시교통체계는 간선급행버스체계, 즉 BRT로 확정되었다. 오타와가 경전철이나 지하철이 아닌 BRT를 선택한 이유는 그린벨트에 있었다. 오타와의 지리상 그린벨트 밖에 있는 저밀도의 교외 지역과 그린벨트 안에 있는 저밀도와 중밀도 지역에서 시내로 승객들을 수송해야 했다. 시내에 있는 연방 관공서 등지로 직장인들을 실어나르는 게 오타와의 주된 목표였다. 지방자치구에서는 교통 수단을 결정할 때 단순히 빠른 속도 뿐만이 아니라 자본 및 운영 비용, 운행 간격, 준비 유연성 및 환경 영향 등 다각도에서 이 사업을 살펴보았다. 자치구는 당시 지역 주민들이 그린벨트를 지나 오타와 시내까지 장거리를 경전철을 타고 가는 것에 내키지 않았으며, BRT가 경전철에 비해 오타와 도시 형태에 맞게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다고 이유를 들었다.

트랜짓웨이의 첫 구간은 1983년에 도시 남서쪽의 링컨필즈에서 베이스라인까지, 도시 동쪽의 리스에서 허드맨까지 개통하였다. 이후 1999년에는 베이스라인역에서 바헤이븐의 팔로우필드역까지 착공되었고, 이후 점차 노선을 확장하여 50개 역까지 늘어났다. 트랜짓웨이는 BRT로 시작했지만, 설계 당시부터 추후에 수요가 늘어나 경전철과 같이 더 많은 승객을 실어나를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변환할 가능성을 염두하고 경전철 규격으로 지어졌다.

2023년 9월부터 OC 트랜스포 승객들은 버스와 오트레인에서 신용카드 또는 모바일 지갑을 카드 단말기에 찍어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오페이먼트 (O-Payment), 또는 오페망 (O-Paiement)이라고 부른다.[122]

오페이먼트는 프레스토 카드와 다르게 하루에 최대 1일권 요금, 한 달에 최대 1개월권 요금을 초과하여 차감되지 않으며, 모바일 지갑과 실제 카드는 별도의 일련번호로 인식되므로 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한 가지 지불 수단으로 계속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오페이먼트는 가티노의 STO나 보조교통인 패러트랜스포 요금으로 지불할 수 없기 때문에 STO나 패러트랜스포로 갈아타는 승객은 프레스토 카드 등 다른 요금 수단을 이용해야 한다.[123]

에퀴패스 (EquiPass)는 가구 소득이 연방 정부가 정하는 소득 하한선에 미치지 못하는 저소득층 오타와 주민들을 위한 대중교통 요금 할인 제도로, 할인을 받는 승객은 1회 1.75CAD, 한 달에는 58.25CAD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캐나다에 새로 정착한 난민이나 캐나다에 소득 신고를 한 적이 없는 오타와 지역 주민도 에퀴패스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온타리오주 장애 지원 프로그램 (ODSP) 수당을 받거나, 65세 이상 노인들의 경우에는 커뮤니티 요금이나 노인 요금을 이용하면 에퀴패스보다 적은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온타리오주에서 교통수당을 받는 경우에는 교통수당을 더 이상 받지 않을 때에만 이용할 수 있다.[125]

에퀴패스를 신청하려면 OC 트랜스포 홈페이지에서 에퀴팩스 신청 양식을 다운로드 받거나, 담당 부서 (613-560-5000)에 전화해서 신청 양식을 우편으로 받아 보내거나, 오타와 시청, 오를레앙, 네피언 및 캐나타에 있는 오타와시 민원서비스센터 또는 오타와시 커뮤니티 및 사회복지센터에서 양식을 받을 수 있다. 신청서와 더불어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캐나다 국세청의 작년 또는 재작년 세금 신고서가 필요하고, 미성년자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캐나다아동수당 (CCB)이나 온타리오주아동수당 (OCB) 영수증도 필요하다. 캐나다에서 소득 신고를 하지 않은 오타와 주민은 지난 12개월 동안 일했던 직장의 최근 급여명세서 세 장이나 작년이나 재작년에 받은 T4나 T4A와 같은 세금 영수증을 제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12개월만 유효하다. 캐나다에 새로 정착한 난민이나 캐나다에 다른 경우로 정착해서 아직 소득 신고를 하지 않은 사람은 캐나다 이민국에서 발급한 도착 기록서 (IMM 1000)와 스폰서 동의서, 난민지원프로그램 수당 영수증 등이 필요하며, 현재 캐나다에 직업이 있는 경우 최근 급여명세서 세 장이나 T4나 T4A와 같은 세금 영수증을 제출하면 되고, 이 경우에도 12개월만 유효하다.[125]

에퀴패스 신청서는 팩스, 우편, OC 트랜스포 고객센터나 오타와시 민원서비스센터에 위와 같은 증빙서류를 지참해 신청할 수 있으며, OC 트랜스포와 오타와시 커뮤니티 및 사회복지 담당자가 서류를 확인한다. 에퀴패스 신청에는 최소 6주 이상이 걸리며, 승인된 경우 에퀴패스 할인이 적용된 프레스토 카드가 자택으로 배송된다. 에퀴패스 할인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증빙 서류와 더불어 프레스토 카드 번호를 제시하면 카드 할인 혜택이 갱신된다.[125]

오타와 교통 시스템은 O-Train과 Transitway 네트워크의 급행 교통망을 중심으로 구축되었으며, 급행 교통 노선 자체는 빠른 속도와 높은 빈도로 운행하며, 지도와 안내 표지판에 원형 노선 문장으로 표시된다.

급행 교통망은 주로 시내 중심가와 인근 정부 청사를 중심으로 하며, 급행이 아닌 빈번한 노선은 교외 지역에서 순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급행 교통이 아니며 일정표가 정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타와에서 가장 혼잡한 버스 노선 중 대부분은 빈번 노선 88번, 6번, 7번과 같이 Transitway를 주로 운행한다.[5] 6개의 급행 버스 노선(57, 61, 75, 39, 45, 97)은 24시간 운행한다.[6]

고용량 O-Train 1호선은 연방선이라고도 불리며, 네트워크의 핵심을 형성하며, 세 개의 주요 Transitway 환승 지점, 한 개의 O-Train 2호선 환승 지점, 그리고 한 개의 비아 철도 간선역을 따라 운행한다.

O-Train 2호선(Trillium선)은 도시의 세 개의 주요 남북 급행 교통 회랑 중 하나이며, 노선 길이의 일부 구간에서 남동쪽 Transitway를 중복 운행한다. 이 노선의 주요 통행 수요 발생지는 칼턴 대학교이며, 이 노선은 베이뷰에서 1호선과 환승하며, 병행 구간을 따라 다양한 Transitway 노선과 환승한다.

Transitway는 시내 중심에서 동쪽, 남동쪽, 남서쪽, 서쪽 등 네 방향으로 뻗어나가 녹지대를 지나 캐나타, 배런헤븐, 오를레앙 외곽 교외 지역으로 진입한다. Transitway에서 운행하는 많은 급행 버스 노선은 시내에서 동일한 경로를 공유한 다음, 교외로 분기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BRT 노선 외에도 Transitway는 다른 급행이 아닌 교통 노선과 비상 차량도 일부 사용한다. Transitway는 대부분 등급이 분리되어 있다.

노선설명
O-Train: 빈번한 철도 서비스.
급행 노선: Transitway에서 운행하는 빈번하고 급행 버스 노선. 파란색 원으로 표시됩니다.
빈번 노선: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5분 간격 또는 그보다 더 자주 운행하는 빈번 노선. 대부분의 노선은 O-Train 노선으로 연결됩니다. 빨간색 육각형으로 표시되지만, 향후 파란색 육각형으로 대체될 예정입니다.[12]
지역 노선: 저빈도 연결 및 피더 버스 노선. 100번대 노선은 일반적으로 O-Train 1호선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회색 직사각형으로 표시됩니다.
연결 노선: 지역 사회를 O-Train으로 연결하는 피크 시간대 급행 노선. 200번대로 번호가 매겨집니다. 보라색 타원으로 표시됩니다.



OC 트랜스포(OC Transpo)는 일반 도로에서 운행되는 944대의 버스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버스들은 모두 접근성이 좋은 저상 버스이다.[45] OC 트랜스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굴절 버스를 사용한다. 도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버스 노선을 포함하여 트랜짓웨이(Transitway)에서 운행되는 일부 노선은 굴절 버스(예: 57, 61, 62, 75번 노선)가 거의 전적으로 운행한다. 피크 시간대 연결 노선은 주로 2층 버스로 운행된다.

2001년에 오늘날 트릴리엄 라인으로 알려진 최초의 오-트레인(O-Train)인 디젤 동력 경전철 시범 사업이 도입되었다. 지방 정부는 오타와 맥도날드-카르티에 국제공항까지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오타와의 다른 지역으로 경전철 확장을 계획한다고 발표했다.

슬레이터 거리에서 버스 떼지어 운행.


오타와는 다른 북미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급행 교통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이용률도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처음에는 전용 도로와 차선에서 버스가 운행되는 버스 급행 수송 시스템인 트랜짓웨이에서 나타났다. 시내로 모여드는 트랜짓웨이 노선은 교통 병목 현상을 일으켜 버스가 도시 거리에 심하게 몰려 전체 트랜짓웨이 네트워크의 실제 용량과 빈도를 제한했다. 2019년에 트랜짓웨이 네트워크의 내부 일부가 경전철로 전환되었으며, 여기에는 시내 철도 터널이 포함되어 시스템의 용량을 대폭 늘리고 OC 트랜스포가 제한된 버스 차량을 다른 곳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재할당할 수 있게 되었다.

OC 트랜스포는 수년 동안 "Rack & Roll" 캠페인의 일환으로 일부 노선에서 자전거 캐리어를 운영해 왔다. 이 랙은 버스 앞쪽에 최대 두 대의 자전거를 실을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버스에 접혀진다. 2021년 현재, 차량의 모든 버스에 자전거 랙이 장착되어 있다.[48] 자전거 이용자는 버스에 공간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랙을 사용할 수 있다. 자전거는 연중 언제든지 오-트레인에 실을 수 있다. 그러나 2023년 현재 영구적인 겨울 시범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49][50]

도시에 4개의 버스 차고가 있다. 가장 크고 본사는 세인트 로랑 대로 1500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두 개의 다른 작은 차고는 168 Colonnade Road (Merivale Garage)와 Queensview Drive (Pinecrest Garage)에 위치해 있으며 자주 사용된다. 2010년에 문을 연 새로운 주요 유지보수 차고는 Industrial Avenue에 있다.

OC 트랜스포가 2023년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평균 통행 시간은 51분이었다. 같은 설문 조사에서 참가자(승객 및 운전자 모두)가 제공한 피드백은 무엇보다도 더 나은 신뢰성에 대한 강한 요구를 나타냈다.[51] 또한 오타와는 최근 몇 년 동안 대중교통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운송 인구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52]

옹호자들과 버스 운전자 모두 OC 트랜스포가 신뢰성과 이용률을 유지하고 늘리기 위한 조치로 도시 전역에 더 많은 버스 전용 차선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52][51]

오타와의 대중 교통 네트워크는 주로 중간이 꺾이는 18.5m 길이의 굴절 버스에 의존하고 있다. 이 버스들은 시스템의 주력으로 간주되며 최대 110명까지 수송할 수 있다.[54] 시는 또한 굴절 버스와 비슷한 전체 수용 능력을 갖지만 훨씬 더 많은 좌석을 갖춘 2층 버스도 사용한다. 또한 시는 12.5m 길이의 소규모 저용량 일반 버스도 보유하고 있다. 모든 버스는 대부분, 하지만 전부는 아니며, 저상 버스이며, 두 세트 또는 세 세트의 문을 갖추고 있다.[55]

O-Train은 세 종류의 철도 차량을 가지고 있다. 오타와는 1호선에서 맞춤형 전기 경전철 차량을 사용한다. 2호선에서는 유럽형 열차 모델이 사용된다. 현지에서는 경전철이라고 불리지만, 2호선 열차는 실제로는 중철도 차량이다.[47][56] O-Train 차량은 버스 차량보다 훨씬 더 높은 수송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1호선 열차는 672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55]

오타와 시의 굴절 버스는 후륜 구동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버스의 뒷부분이 나머지 부분을 앞으로 "밀어" 움직이는 방식을 의미한다.[57] 이는 중간 차축에 동력이 전달되어 굴절 부분을 "끌어당기는" 굴절 버스와 대조적이다.

푸셔 방식의 굴절 버스는 접지력이 떨어질 경우 꺾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오타와에서 겨울철에 관찰된다. 이때 굴절 버스 차량의 상당수가 도로에 갇혀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54][57] 2022년, OC 트랜스포는 30cm 이상의 적설량 또는 다른 악천후가 예보될 경우 굴절 버스 운행을 선제적으로 중단하는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58]

1호선의 시타디스 스피릿 열차는 프랑스 철도 차량 제조업체 알스톰이 맞춤 제작했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언론과 대중 모두에게 좋지 않은 평판을 얻었다. 운행 초기 2년 동안 탈선, 컴퓨터 고장, 바퀴 균열 등 반복적인 결함이 발생했다.[59]

뉴 플라이어 D60LFR은 2010년 8월 뉴 플라이어와 시가 맺은 계약으로 버스 네트워크에 채택되었으며, 이는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 구매한 노후된 저출력 60피트 굴절 버스 226대를 최신 D60LFR 모델로 교체하는 내용이었다. 버스 교체는 2011년 3월에 완료되었다. OC 트랜스포는 이 계약의 일환으로 구형 버스 반납 시 할인 및 신규 부품 크레딧 등 인센티브를 받았다. 또한 뉴 플라이어에서 D60LFR 굴절 버스 80대를 추가로 구매하여 총 306대의 버스를 확보했다.[61][62]

2011년 7월 12일, OC 트랜스포는 남은 모든 하이 플로어 버스가 퇴역했음을 발표했으며[63], 따라서 현재 모든 OC 트랜스포 버스는 로우 플로어이며, 유모차와 보행자를 위해 더 낮출 수 있고, 휠체어를 위한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다. 전체 버스 fleet은 오타와의 짧고 덥고 습한 여름을 위해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오타와는 2012년 8월 24일에 버스 fleet에 75대의 2층 버스를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10월에 운행을 시작했다. 이 버스는 이전에 2006년과 2007년에 시험 운행을 거쳤다. 이 버스는 주로 기존 굴절 버스에 비해 더 많은 좌석 수(86석 대 55석)를 확보하기 위해 fleet에 추가되었으며, 주로 통근형 "Connexion" 노선에 투입된다.

현재, OC 트랜스포는 7대의 버스 모델로 구성된 740대의 버스 fleet을 보유하고 있다.[68]

제조사모델fleet 내 수량비고
노바 버스LFS (4세대)249
뉴 플라이어D40i 인베로55일부는 퇴역 진행 중
뉴 플라이어D60LF51굴절 버스
뉴 플라이어XE40 Charge4전기 버스
뉴 플라이어D60LFR304굴절 버스
알렉산더 데니스알렉산더 데니스 엔비로500 MMC782층 버스
GMC (상표)글라발 타이탄82Para-Transpo 미니버스



OC 트랜스포(OC Transpo)는 4대의 전기 버스를 구매했으며, 2021년 11월에 인도되어 2022년 초에 운행을 시작했다.[69] 2021년 6월 7일, 승인될 경우 2027년까지 450대의 전기 버스를 구매하고, 2036년까지 전체 차량을 전동화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70]

제조사모델차량 수비고
알스톰(Alstom)코라디아 LINT(Coradia LINT)6편성 2량2015년부터 트릴리움선(2호선)에서 운행 중. 2023년에는 공항선(4호선)에서 운행 예정
알스톰(Alstom)시타디스 스피릿(Citadis Spirit)34량, 50m 길이의 경전철연방선(1호선)에서 운행 중
슈타들러 레일(Stadler Rail)플리트(FLIRT)7편성 4량2024년 트릴리움선(2호선) 개통 시 운행 예정



OC 트랜스포는 현재 슈타들러 레일에서 제작한 7개의 4량 DEMU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트릴리엄 라인 2단계 개선이 완료될 때 사용될 예정이다. 이 열차가 도입되면 알스톰 LINT DMU 열차는 사우스 키스역과 공항역 사이의 공항 지선에서 운행될 것이다.[71]

또한 라인 1에서 사용하기 위한 2단계 차량 추가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38대의 알스톰 시타디스 스피릿 LRV로 구성된 확장 차량이 제작될 예정이다.[72]

5. 1. 3. 보조교통

OC 트랜스포는 일반 버스와 철도를 이용하기 힘든 거동이 불편한 승객을 위해 집에서 목적지 사이를 오가는 보조교통인 패러트랜스포 (Para Transpo)를 운행하고 있다.[118] 패러트랜스포는 소형 버스와 택시를 통해 오타와 시내, 외곽 및 가티노 헐 지역으로 승객을 실어나르며, 사전 예약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118]

패러트랜스포를 이용하려면 라이프마크 건강 그룹에 신청서를 보내 심사를 거쳐야 하며, 이용 자격이 있다는 결정이 나면 이용할 수 있다.[118] 요금은 일반 대중교통과 동일하며, 필요에 따라 일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도 있다.[118]

2023년 9월부터 OC 트랜스포 승객들은 버스와 오트레인에서 신용카드나 모바일 지갑을 카드 단말기에 찍어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오페이먼트 (O-Payment)라고 부른다.[122] 현재 사용 가능한 지불 수단은 비자, 마스터카드, 구글 페이Apple Pay이다.[123]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은 사용할 수 없다.[123]

오페이먼트는 프레스토 카드와 달리 하루에 최대 1일권 요금, 한 달에 최대 1개월권 요금을 초과하여 차감되지 않으며, 모바일 지갑과 실제 카드는 별도로 인식되므로 한 가지 지불 수단으로 계속 이용하는 것이 좋다.[123] 또한 오페이먼트는 가티노의 STO나 패러트랜스포 요금으로 지불할 수 없다.[123]

오페이먼트를 이용하는 승객은 OC 트랜스포 홈페이지에서 신용카드나 모바일 지갑을 등록하여 이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계정 등록을 위해서는 오트레인이나 버스에서 요금을 1회 이상 지불해야 하며, 하루나 이틀 뒤 신용카드 결제 내역에서 서비스 레퍼런스 일련번호 (SRID)를 확인해야 한다.[123]

온타리오주 장애 복지 프로그램 (ODSP) 수당을 받는 오타와 주민들은 커뮤니티 패스를 통해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커뮤니티 패스는 1개월 정기권의 절반 수준이며, 오트레인, 버스, 패러트랜스포에서 이용할 수 있다. ODSP 수당을 받는 사람은 OC 트랜스포 고객센터에 전화해 ODSP 번호와 프레스토 카드 번호 등을 제공하여 등록 절차를 밟아야 한다. 커뮤니티 패스는 10일 이내에 승인되며, 승인 후에는 만 65세까지 이용할 수 있다.[126]

'''파라 트랜스포'''는 일반적인 OC 트랜스포 노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오타와 승객들을 위해 제공되는 파라트랜짓 서비스이다. 자격을 갖춘 사용자들이 최소 하루 전에 콜센터를 통해 예약하면, 해당 사용자들의 거주지로 직접 제공된다. 파라 트랜스포 운전기사는 지정된 차량에 탑승하고 건물 입구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승객에게 제공한다.[82]

파라 트랜스포 운영은 이전에 Laidlaw가 운영하던 First Student Canada에 위탁되었다. 2008년 1월 1일, 오타와 시는 이 서비스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82] 2008년 대중교통 파업은 파라 트랜스포 서비스에는 지장을 주지 않았지만, 교통량 증가로 인해 지연을 겪었다.

5. 2. 경전철역

O-Train 경전철 티켓은 현금 지불 시 2002년에는 2USD에 판매되었고(2016년 기준 2.6달러), 버스 현금 요금 2.5달러보다 저렴했지만, 당시 티켓 요금 1.7달러(2016년 기준 2.21USD)보다는 비쌌다. 열차 티켓은 OC 트랜스포 버스에 탑승하여 버스 환승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O-Train 티켓 가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상되었지만, 2013년 7월까지 버스 현금 요금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며, 이때 OC 트랜스포는 O-Train 티켓 가격을 2.85USD에서 3.4달러로 인상하여 버스 현금 요금과 동일하게 만들었다. 이는 19% 이상의 인상을 나타낸다. Presto 카드는 O-Train 역에서 더 저렴한 열차 요금으로 사용 가능하다. 버스 티켓과 데이패스 바우처는 O-Train에서 사용할 수 없지만, 버스 환승권은 사용할 수 있다.[127]

2013년 1월 18일, OC 트랜스포는 NEXT-ON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Presto 카드 배포 최종 테스트를 시작했다. 만 명의 고객이 온라인으로 Presto 카드를 주문하거나 일부 OC 트랜스포 환승역에서 픽업하여 활성화하고 OC 트랜스포의 충전 가능 카드 최종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었다. 2013년 1월 현재 10,000개 이상의 Presto 카드가 배포되었다. 제한된 수의 Presto 카드가 2013년 1월 22일 Baseline 역에서, 2013년 1월 24일 Fallowfield 역에서 사용 가능했다. 오타와에서 Presto의 최종 정식 출시일은 2013년 5월 18일이었다. 카드는 현금을 충전하여 티켓처럼 사용하거나, 사진 패스와 달리 가족 및 친구가 사용할 수 있는 월간 패스로 충전할 수 있다. 2017년 현재 연간 및 월간 사진 패스는 O-Train을 따라 설치되는 새로운 요금 게이트에서 허용되지 않으므로 중단되었다.[127]

2014년에는 리더가 셀룰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루 최대 6번 새로 고침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 현재 모든 O-Train 역에 새로운 요금 게이트와 티켓 자동 판매기가 있다. TTC 및 GO 트랜싯 시설과 달리, OC 트랜스포는 2017년 11월까지 정식 Presto 티켓 자동 판매기를 출시하지 않았으며, 이 시점에 O-Train 2호선의 모든 역(Bayview 제외)에 새로운 요금 게이트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정식 자동 판매기를 통해 승객은 탑승 전에 카드를 확인하고 재충전할 수 있다.[127]

5. 3. 트랜짓웨이

오타와는 기존 대중교통의 중축이었던 트랜짓웨이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교통수단을 모색하였고, 이 과정에서 2001년 10월 15일, 기존 캐나다 태평양 철도의 단선 선로를 활용해 베이뷰역과 카를턴역을 잇는 트릴리엄선이 개통되었다. 선로는 기존 선로를 활용하였고 역 건물과 대피선만 건설하면 되었기에 공사비는 2100만달러로 비교적 저렴했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트릴리움선은 3량으로 구성된 봄바디어 탤런트 BR643 저상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였다. 하지만 오타와는 이를 '경량 철도'라고 불렀는데, 이는 트릴리움선이 장기적으로 트램처럼 오타와 시내로 연장될 수 있고, 보통 유럽 본선에서 쓰는 봄바디어 탤런트는 북미 열차보다 작은 편이라 북미의 다른 노선과는 달리 1인 승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93]

2006년 7월, 오타와 시의회는 기존에 단선으로 운행하던 디젤 경량 철도 노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오타와 대학교에서 베이뷰역, 리트림, 바헤이븐까지 잇는 계획을 승인하였지만, 같은 해 12월에 계획이 취소되면서 시범으로 운행하던 디젤 동차는 계속 운행하게 되었다.[94][95]

2011년 5월 18일, OC 트랜스포는 200000USD를 들여 트릴리움선 연장안을 연구하였다. 전동차 6대를 새로 구입하고, 선로를 복선 전철화하여 기존에 배차 간격이 15분이었던 이 노선은 8분으로 줄어들고, 사업 비용은 5900만달러로 추산되었다.[96]

2013년 중반, 트릴리움선 운행이 4개월 동안 중단되었고 이 사이에 새로운 역 승강장이 추가되었고, 브룩필드와 글래드스톤 근처에 새로운 교행선이 지어졌다.[97] 신호 체계와 열차 제어, 역, 선로 및 차량기지 개선 작업도 이루어졌다. 또한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새로운 열차집중제어장치를 설치하였다.[98] 기존의 봄바디어 탤런트 차량을 대체할 알스톰 코라디아 린트 차량 여섯 대와 교행선 두 개의 설치로 운행하는 열차 수를 두 대에서 네 대로 늘렸다.

트릴리움선은 2단계 연장 계획으로 남쪽으로 16km 연장할 계획이 있으며, 오타와 맥도널드 카르티에 국제공항과 EY 센터로 가는 4km 지선과 각종 시설이 추가적으로 개선될 예정이다.[99] 2019년 중반에 착공한 2단계 연장 사업은 2022년 말 개통을 앞두고 있었지만 공사 지연으로 2024년 4월로 개통일이 미루어졌다.[100] SNC-라블랑의 자회사인 트랜짓넥스트 (TransitNEXT)가 시공하는 이 사업은 입찰 절차와 입찰의 기술 점수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공사에 진전을 나타냈다.[101][102] 트릴리움선 연장은 선로 용량 확보와 연결성 향상을 목표로 하며 새로운 열차, 확장된 승강장, 개선된 철도 신호 체계, 보행자 접근 편의성 향상 등이 포함된다.[103]

5. 4. 본사, 차고지, 사무실

OC 트랜스포는 차량 수용 및 유지보수를 위해 5개의 버스 차고와 2개의 철도 야드를 운영하고 있다.[73]

  • 생로랑 차고 (St. Laurent Garage): 1959년에 개장했으며 275대의 버스를 수용할 수 있다. OC 트랜스포 본사가 이 부지에 위치해 있다.
  • 생로랑 노스 차고 (St. Laurent North Garage): 1987년에 개장했으며 207대의 버스를 수용할 수 있다. 생로랑 차고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인더스트리얼 차고 (Industrial Garage): 2010년에 167대의 2층 버스와 굴절 버스를 위해 특별히 건설되었다.
  • 파인크레스트 차고 (Pinecrest Garage): 1976년에 개장했으며 193대의 버스를 수용할 수 있다. 파인크레스트 로드 (Pinecrest Rd.)와 고속도로 417 인근에 위치해 있다.
  • 메리베일 (콜로네이드) 차고 (Merivale (Colonnade) Garage): 1978년에 개장했으며 215대의 버스를 수용할 수 있다. 메리베일 로드 (Merivale Rd.)와 프린스 오브 웨일스 드라이브 (Prince of Wales Dr.) 사이의 네피언에 위치해 있다. 이전에는 콜로네이드 로드 사우스에 위치해 있어 콜로네이드 차고로 알려져 있었다.
  • 워크리 야드 (Walkley Yard): O-Train 트릴리엄 라인 DMU 차량을 수용한다. 알비온 로드 노스 (Albion Rd. North)에서 CNR 워클리 야드에 위치해 있으며, 2001년에 개장했다.
  • 벨파스트 야드 (Belfast Yard): O-Train 컨페더레이션 라인 LRV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2018년에 완공되었으며, 벨파스트 로드 (Belfast Road)에 위치해 있으며, 철도 접근로는 트렘블레이 역과 생로랑 역 사이에 있다.

6. 승차량

OC 트랜스포의 모든 차량은 저상 버스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나 교통약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정류장을 안내하는 방송이 나온다.[130]

7. 미래 계획

OC 트랜스포는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된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 오트레인 노선 확장: 2024년 봄 또는 여름에 2호선과 4호선 개통으로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예정되어 있다. 기존 노선 대부분이 변경되거나 폐지되고, 새로운 노선이 추가될 예정이다.
  • 버스 노선 개편: 2호선 및 4호선 개통과 더불어, 2024년 봄 또는 여름에 대대적인 버스 노선 개편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트릴리움선 재개통: 2025년 1월 6일부터 트릴리움선 및 4호선의 단계적 재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주 5일 운행으로 시작하여 점차 6일 및 7일 운행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확장된 노선에는 2호선에 6개의 새로운 역이 추가되고, 오타와 맥도날드-카르티에 국제공항과 연결되는 2개의 역이 추가된다.[10]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OC 트랜스포는 낮은 승객 회복률과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시의회는 승객 수가 2030년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세금 인상, 요금 인상, 상위 정부 로비 등을 통해 추가 자금 조달을 모색하고 있다. 2024년 11월 13일, OC 트랜스포는 모든 승객에 대한 요금 인상을 발표했으며, 노인 및 청소년 승객의 경우 더 큰 인상을 발표했다.[44]

7. 1. 오트레인 2단계 연장

알스톰이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제작한 시타디스 스피릿 차량 38량이 연방선에서 운행한다.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전동차는 1량에 120석이 있으며 최대 336명까지 이용할 수 있다. 시타디스 스피릿 차량은 겨울을 대비해 단열이 강화되었고, 이중 파노라마식 창문과 차량 바닥을 포함한 히터가 각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131]

트릴리움선은 오트레인 2단계 연장 공사로 인해 버스로 운행이 대체된 상태이지만, 연장 개통 후에는 스위스의 슈타들러 레일에서 제작한 디젤 하이브리드 열차인 FLIRT가 운행될 예정이다. 슈타들러 FLIRT는 길이가 80m로 총 42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한 쪽에 출입문이 8개 있어 승객 편의를 증진하였다. 또한 저상 열차로 휠체어나 유모차 등 교통약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다.[133]

7. 2. 오트레인 3단계 연장

스위스슈타들러 레일에서 제작한 디젤 하이브리드 열차인 FLIRT가 코라디아 린트를 대체할 예정이다. 슈타들러 FLIRT는 길이가 80m로 총 420명을 수용할 수 있는데, 한 쪽에 출입문이 총 8개가 있어 승객의 출입 편의를 증진하였다. 또한 저상 열차로 휠체어나 유모차 등 교통약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열차 내부에는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CCTV가 설치되어 있다.[133]

7. 3. 칼링 애비뉴 경전철

컨페더레이션선에는 알스톰이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제작한 시타디스 스피릿 차량 38량이 운행한다. 2량 1편성으로 이루어진 전동차는 1량 내부에 120석이 있으며 336명까지 이용할 수 있다. 시타디스 스피릿 차량은 겨울을 대비해 단열이 강화되었으며, 이중 파노라식 창문에 각 차량에는 차량 바닥을 포함해 히터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차 내부에는 다음 정차역을 안내방송과 스크린을 통해 알려주며, 비상 시에는 기관사와 통화할 수 있는 인터콤이 있고, 저상 열차에 넓은 출입문으로 거동이 불편한 승객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손잡이가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해있고, 출입문 근처에 8개의 교통약자 우선석이 마련되어 있다.[131]

컨페더레이션선은 총 13개의 경전철역으로 이루어졌고, 이 중에서 네 곳은 지하역이다. 13개의 경전철역에서 100여 개가 넘는 버스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으며, 터니스패스처, 베이뷰, 허드맨, 베이뷰역에서는 버스 터미널이 역 개찰구 내부에 위치해있어서 별도의 환승 태그 필요 없이 환승이 가능하다. 모든 경전철역에는 티켓을 구입하거나 교통카드를 충전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가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역 직원과 화상 통화가 가능하다. 역에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계단을 통해 지상에서 승강장까지 이어지며, 안내방송은 물론 전광판을 통해 다음 열차가 언제 오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판과 블록도 마련되어 있다.[135]

자전거 이용객을 위한 자전거 거치대가 있고, 일부 역에는 자전거를 손쉽게 끌고 가기 위해 계단에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다. 승객의 안전을 위해 역 내부는 CCTV 카메라는 물론 역무원과 통화할 수 있는 비상 인터콤, 심정지 상태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줄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도 구비되어 있다. 유오타와, 터니스패스처, 트랑블레, 피미시, 라이언, 팔러먼트, 리도역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고, 터니스패스처, 허드맨, 블레어역에는 오타와의 커피 체인점인 해피 고트 커피가 입점해있다. 환승 주차장이 블레어역에서 도보 5~10분 거리에 위치해있고, 심야 버스 정류장이 블레어, 허드맨, 세인트로런 및 터니스패스처역에 위치해있다.[135]

7. 4. 가티노 트램

Gatineau프랑스어 트램은 현재 제안된 OC 트랜스포와 루타와 교통 공사를 연결하는 경전철 시스템이다. 이 노선은 시내와 가티노 도심을 연결하는 프린스 오브 웨일스 다리를 건너 오타와 강을 건너는 노선이다.

8. 사건사고

OC 트랜스포에서는 여러 사건사고가 있었다. 1996년에는 파업이 발생했고,[13] 1999년에는 전직 직원의 총기 난사 사건으로 4명이 사망했다.[15][16] 이 직원은 언어 장애로 인한 직장 내 괴롭힘에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다.[16][18]

2008년에는 51일간의 파업이 발생했으며,[20][26] 이는 시와 노동 조합 간의 갈등이 원인이었다.[26] 2013년에는 바라벤에서 2층 버스와 비아 레일 열차가 충돌하는 사고로 6명이 사망했고,[29][30][31] 2019년에는 웨스트보로역에서 2층 버스가 대피소와 충돌하여 3명이 사망했다.[34]

연방선은 2020년 초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고,[35] 2021년에는 두 차례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38][39][40][41] 트릴리움선은 2020년 5월부터 확장 공사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10] 2025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재개통될 예정이다.[10]

8. 1. 노사분쟁 및 파업

OC Transpo영어의 두 번째 파업은 1996년 11월 25일부터 12월 1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중재를 통해 종료되었다.[13]

1999년 4월 6일, 전직 OC Transpo영어 직원이었던 피에르 르브론이 레밍턴 모델 760 소총으로 OC Transpo영어의 생 로랑 대로 차고에서 총기를 난사하여 4명을 살해하고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5][16] 조사 결과, 르브론은 언어 장애로 인해 직장 내에서 괴롭힘을 당했고, 회사 측에 제기한 불만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16][18] 이러한 사건의 여파로 OC Transpo영어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무관용 정책을 시행하고, 직원과 관리자 간의 소통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등 직장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19] 그러나 2003년과 2004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정적인 업무 환경이 여전히 남아있었고, 1996년 파업 이후 직원과 관리자 간의 소통이 경색된 것으로 나타났다.[16][19]

아말가메이티드 교통 노동 조합 지부 279 소속의 OC Transpo영어 운전기사, 배차 담당자 및 유지 보수 작업자들은 2008년 12월 10일 파업을 시작했다.[20] 파업의 주요 원인은 오타와 시와 노동 조합 간의 일정, 급여, 근속 연수 등에 대한 의견 차이였다. 캐나다 연방 노동부 장관이었던 로나 앰브로즈는 래리 오브라이언 시장의 요청으로 2009년 1월 8일 조합원들에게 시의 제안에 대한 투표를 명령했지만,[21] 투표 결과, 투표 자격이 있는 조합원 중 64%가 제안을 거부했다.[25]

이후 한 달 동안 중재자와의 회의가 계속되었지만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아말가메이티드 교통 노동 조합(ATU)는 일정과 관련 없는 모든 문제를 중재에 부칠 것을 요구했지만, 시는 모든 문제를 중재인에게 보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거부했다. 파업 50일째, 앰브로즈 장관은 업무 복귀 법안을 제출하겠다고 발표했지만, 2009년 1월 29일, 시와 ATU는 모든 문제를 구속력 있는 중재에 회부하기로 합의하면서 51일간의 파업이 종료되었다.[26] 파업으로 중단되었던 O-트레인 트릴리엄 라인은 2009년 2월 2일에 운행을 재개했고, 버스는 2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운행을 재개하여 4월 6일까지 모든 버스와 노선이 정상화되었다. 파업 기간 동안의 불편을 겪은 시민들을 위해 OC Transpo영어는 일주일 동안 대중교통을 무료로 제공하고, 12월 정기권 소지자에게는 3월 정기권 요금을 할인해 주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전미 교통 연합(Amalgamated Transit Union) 279 지부는 OC Transpo영어 소속 직원들의 노조로, 버스 및 철도 운전사, 정비공 등 1,800명 이상의 조합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8. 2. 오타와 총기난사

1999년 4월 6일 화요일, OC 트랜스포의 전 직원인 피에르 르브론은 레밍턴 모델 760 펌프 액션 소총으로 무장한 채 OC 트랜스포의 생 로랑 대로 차고에서 총기를 난사하여 6명을 쏘아 4명을 살해한 뒤 자살했다.[15][16] 르브론은 1997년 8월 해고되었지만 이후 복직했고, 1998년에 퇴사했다.[16][17]

총격 사건 조사 결과, 르브론은 언어 장애로 인해 놀림을 받았고, 회사 측에 대한 그의 불만이 조사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 조사 결과는 괴롭힘 분위기를 드러냈으며, 이는 적대적인 업무 환경으로 고용 평등(캐나다) 관리자에 의해 "유해한" 환경으로 묘사되었다.[16][18] 이에 대응하여 OC 트랜스포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무관용 정책, 새로운 직원-관리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직장 내 존중 교육 강화를 시행했다.[19] 그러나 2003년과 2004년의 연구 결과 부정적인 업무 환경 요소가 남아 있었고,[19] 1996년 파업 이후 직원-관리 커뮤니케이션이 경색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6]

8. 3. 2013년 버스-기차 충돌사고

2013년 9월 18일 오전 8시 48분, 바라벤에서 오타와 시내로 운행하던 OC 트랜스포 2층 버스가 토론토행 비아 레일 여객 열차와 오타와 남서부 Fallowfield 역 근처 건널목에서 충돌했다. 이 건널목은 능동형 경고 시스템이 갖춰진 곳이었다.[29][30][31] 이 사고로 버스에 탑승한 6명(운전자 포함)이 사망하고 최소 30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최소 8명이 중상을 입었다. 열차 승객이나 승무원 중에는 부상자나 사망자가 없었다. 사고 원인은 현재 밝혀지지 않았다.[29][30][31] OC 트랜스포는 다음 해,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76번 노선을 폐지하고 72번 노선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2]

2014년 11월 6일, 바라벤 크로싱 플라자에서 해당 노선의 건널문 아래에서 문제가 발견되었다.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 바라벤에서 이 건널목의 안전성에 대한 많은 불안과 질문이 제기되었다.[33]

8. 4. 2019년 웨스트보로 버스 추돌사고

2019년 1월 11일, 웨스트보로역에서 2층 버스와 관련된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하였다. 269번 노선을 운행하던 버스가 역의 대피소와 충돌하여 지붕 일부가 잘려나갔다. 이 사고로 3명이 사망하였고, 23명이 부상을 입었다.[34] 처음에는 승객 2명과 플랫폼에서 구경하던 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나중에 3명 모두 승객으로 정정되었다.[34]

8. 5. 경전철

2단계 연장이 모두 끝나는 대로 3호선을 무디 드라이브에서 캐나타의 헤이즐딘 로드까지 연장하고, 1호선을 앨곤킨 대학에서 바헤이븐 타운 센터까지 연장한 뒤, 바헤이븐에 새로운 경전철 차량기지를 짓는 방안은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상태이다.[145][146] 3단계 연장은 아직 착공하지 않은 상태로, 2031년 이후에 개통을 앞두고 있으며,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자금 지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연방선은 2020년 1분기 내내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35] 이는 낮은 이용률과 다른 기술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으로 더 나은 신뢰성을 보인 트릴리움선과는 대조적이다.[36] 이에 대한 대응 및 2020년의 낮은 이용률로 인해 OC 트랜스포는 1호선을 여러 차례 임시 폐쇄하여 리도 교통 유지보수팀이 노선을 정비하고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했다. 정비 기간 동안 R1 버스 노선이 열차 서비스를 대체했다.

2020년 5월 3일, 트릴리움선은 건설 및 확장을 위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버스 대체 서비스는 베이뷰에서 사우스 키스역까지 2번 노선으로 제공된다.

2021년 8월 8일, 연방선에서 빈 열차가 터니스 파스처를 출발한 후 궤도 전환 중 10개의 차축 중 하나가 탈선했다. 부상자는 없었다.[38]

2021년 9월 19일, 연방선에서 승객을 태운 열차가 두 번째 차량에서 두 개의 차축이 이탈된 후 트럼블레이역 진입 전에 탈선했다.[39] 탈선 상태로 트럼블레이역을 출발한 후 열차는 35km로 속도를 높여 리버사이드 드라이브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너 신호 기둥과 스위치 히터를 들이받고 결국 열차 자체의 비상 제동을 사용하여 트럼블레이역과 허드먼역 사이에서 멈췄다. 부상자는 없었다.[40][41]

2024년 12월 6일, OC 트랜스포는 2025년 1월 6일부터 트릴리움선 및 4호선의 단계적 재개통을 발표했으며, 주 5일 운행으로 시작하여 그 후 몇 주 동안 6일 및 7일 운행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확장된 노선에는 2호선에 6개의 새로운 역이 포함되며, 오타와 맥도날드-카르티에 국제공항과 연결되는 2개의 역이 추가된다.[10]

참조

[1] 웹사이트 City of Ottawa, Main Administrative Structure http://ottawa.ca/cit[...] Ottawa.ca 2013-01-22
[2] 웹사이트 Egan: How to social distance on a crowded OC Transpo bus. Start the car?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1-09-28
[3] 웹사이트 New Ways to Bus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2024-03-29
[4] 웹사이트 ’I am done’: Amid rider woes, is Ottawa's transit system a victim of its own success? https://ottawacitize[...] 2024-01-03
[5] 웹사이트 Data shows buses on busiest Ottawa routes late about one-third of the time https://capitalcurre[...] 2023-04-05
[6] 웹사이트 Night Service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2024-08-07
[7] 웹사이트 O-Train Line 1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2024-03-30
[8] 웹사이트 Alstom's Citadis Dualis tram-trains begin commercial service on the Tram 4 extension between Clichy and Montfermeil https://www.alstom.c[...] 2024-03-30
[9] 웹사이트 LRT Stage 2: What Ottawa will get for $4.66B https://www.cbc.ca/n[...] CBC
[10] 웹사이트 Trillium Line to reopen in stages starting Monday, Jan. 6 https://www.cbc.ca/n[...] 2024-12-09
[11] 웹사이트 Ottawa LRT Projects Advancing https://www.railwaya[...] 2022-03-22
[12] 웹사이트 New Ways to Bus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2024-11-03
[13] 뉴스 Ottawa transit talks break off, strike looms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08-12-09
[14] 웹사이트 Ottawa, Ontario: BRT Case Study http://onlinepubs.tr[...] 2020-04-16
[15] 뉴스 Gunman opens fire in Ottawa, killing five https://www.cbc.ca/n[...] CBC News 1999-04-06
[16] 뉴스 Workplace mistrust persists, 10 years after OC Transpo shooting: driver https://www.cbc.ca/n[...] CBC News 2009-04-06
[17] 뉴스 Memorials planned for Ottawa transit shooting victims https://www.cbc.ca/n[...] CBC News 1999-04-08
[18] 뉴스 OC Transpo inquest wraps up https://www.cbc.ca/n[...] CBC News 2000-11-11
[19] 뉴스 Dying for a job – Health-care workers beware http://www.cbc.ca/ne[...] CBC News 2006-04-24
[20] 뉴스 Push to call transit 'essential' fails; Ottawa bus strike continues https://www.cbc.ca/n[...] CBC News 2008-12-10
[21] 뉴스 Don't 'bow down,' striking transit workers told http://www.canada.co[...] Ottawa Citizen 2009-01-05
[22] 뉴스 Ambrose orders Ottawa transit union to vote on strike resolution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09-01-01
[2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City's Final Offer of Settlement to ATU http://www.octranspo[...] OC Transpo 2009-01-30
[24] 뉴스 Ottawa Transit Strike – Amalgamated Transit Union, Local 279 http://www.ottawatra[...] Amalgamated Transit Union 2008-01-29
[25] 뉴스 Ottawa transit strike still on as union members reject contract offer https://www.cbc.ca/n[...] 2009-01-09
[26] 뉴스 City, union reach deal to end Ottawa transit strike https://www.cbc.ca/n[...] 2009-01-29
[27] 웹사이트 1. DESIGN, BUILD, FINANCE AND MAINTENANCE OF OTTAWA'S LIGHT RAIL TRANSIT (OLRT) PROJECT http://app05.ottawa.[...] Ottawa City Council 2012-12-19
[28] 웹사이트 LRT won't be ready to roll until 2019 https://www.cbc.ca/n[...] 2018-09-11
[29] 뉴스 5 dead in Ottawa train-bus collision http://www.cnn.com/2[...] 2012-09-18
[30] 뉴스 At least five killed, several injured after Via train collides with city bus in Ottawa https://www.theglobe[...] 2012-09-18
[31] 뉴스 VIA train and Ottawa city bus collide during morning commute, six dead http://news.national[...] 2012-09-18
[32] 웹사이트 City to retire OC Transpo Route 76 to commemorate bus-train crash anniversary https://ottawacitize[...] Postmedia Network Inc. 2014-07-11
[33] 웹사이트 Close call with OC Transpo bus at Fallowfield crossing http://ottawa.ctvnew[...] 2014-11-06
[34] 뉴스 3 dead in bus crash at Ottawa transit station https://www.cbc.ca/n[...] 2019-01-11
[35] 웹사이트 Search Results (LRT) https://ottawa.ctvne[...] 2020-03-10
[36] 웹사이트 Why the Trillium Line keeps chugging along while the Confederation Line keeps breaking down https://www.cbc.ca/n[...] 2020-02-18
[37] 웹사이트 Masks no longer required to ride OC Transpo starting Saturday https://www.cbc.ca/n[...] 2022-06-08
[38] 웹사이트 LRT wheel derailed while switching tracks: TSB https://ottawa.ctvne[...] 2021-08-09
[39] 웹사이트 LRT shut down again after 2nd train derailment since August https://www.cbc.ca/n[...]
[40] 웹사이트 LRT train derailed before entering station, then travelled across a bridge, says TSB https://www.cbc.ca/n[...] 2021-09-21
[41] 웹사이트 Rail transportation safety investigation R21H0121 Main-track train derailment https://www.tsb.gc.c[...] 2021-10-06
[42] 웹사이트 Want better public transit, Ottawa? Invest in it https://ottawacitize[...] 2023-11-13
[43] 웹사이트 OC Transpo financials 'much worse' than expected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 2023-09-18
[44] 웹사이트 OC Transpo scrapping youth discount fares, increasing seniors passes 120% in 2025 budget https://ottawa.ctvne[...] 2024-11-13
[45] 웹사이트 OC Transpo – Bus Fleet http://www.octranspo[...] octranspo.com 2010-12-31
[46] 웹사이트 With Love from Ottawa: Lessons on Challenges of Upgrading BRT to LRT - Raise the Hammer https://www.raisethe[...]
[47] 웹사이트 Ottawa Weighs BRT-to-LRT Conversion https://www.thetrans[...] 2009-05-01
[48] 웹사이트 Rack & Roll is gearing up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49] 웹사이트 Service changes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50] 웹사이트 Bikes on our network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51] 웹사이트 Bus Route Review - As We Heard It https://pub-ottawa.e[...] OC Transpo
[52] 웹사이트 Data shows buses on busiest Ottawa routes late about one-third of the time https://capitalcurre[...] 2023-04-05
[53] 웹사이트 OC Transpo Routes & Maps http://www.octranspo[...] OC Transpo
[54] 웹사이트 Egan: First trains won't go, then OC's articulated buses stuck all over town https://ottawacitize[...] 2020-02-28
[55] 웹사이트 Vehicles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56] 웹사이트 5 things to know about the Trillium Line's new Stadler trains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 2022-07-16
[57] 웹사이트 OC Transpo buses struggle during Wednesday storm https://www.cbc.ca/n[...] 2013-02-28
[58] 웹사이트 OC Transpo to reduce service, cut articulated buses in bad winter weather https://www.cbc.ca/n[...] 2022-11-25
[59] 웹사이트 TVO Today {{!}} Current Affairs Journalism, Documentaries and Podcasts https://www.tvo.org/[...]
[60] 웹사이트 Ottawa's Transit Gong Show {{!}} The Walrus https://thewalrus.ca[...] 2023-02-22
[61] 뉴스 Ottawa Citizen story on new articulated bus purchase https://ottawacitize[...]
[62] 웹사이트 New Flyer story on new articulated bus purchase http://newflyer.com/[...] Newflyer.com 2010-04-28
[63] 웹사이트 OC Transpo – News http://www.octranspo[...] octranspo.com
[64] 웹사이트 Why OC Transpo added double-decker buses to its fleet https://ottawacitize[...]
[65] 웹사이트 OC Transpo – NEW Double Decker buses arriving in 2012 http://www.octranspo[...] octranspo.com
[66] 웹사이트 Condensation means 'rain' inside double-decker buses, passengers complain https://ottawacitize[...] Ottawacitizen.com 2012-12-18
[67] 웹사이트 Welcome to OC Transpo http://www.octranspo[...] octranspo.com 2013-01-01
[68] 웹사이트 OC Transpo Fleet http://www.octranspo[...]
[69] 웹사이트 OC Transpo preps first battery-electric buses to enter service https://www.masstran[...] 2021-11-29
[70] 웹사이트 Ottawa plans to become 1st Canadian city with a fully electric bus fleet by 2036 https://globalnews.c[...]
[71] 뉴스 Swiss manufacturer Stadler wins $106M deal to supply trains for Trillium LRT extension https://obj.ca/artic[...] Ottawa Business Journal 2019-07-04
[72] 뉴스 Alstom to supply 38 Citadis Spirit Light Rail Vehicles for Stage 2 of Ottawas O-Train Confederation Line https://www.alstom.c[...] Alstom Press Release 2019-07-04
[73] 웹사이트 OC Transpo Stats http://www.octranspo[...] 2019-07-17
[74] 웹사이트 Then Ride http://www.octranspo[...] OC Transpo 2013-05-13
[75] 웹사이트 Prices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OC Transpo 2023-01-16
[76] 웹사이트 New Fares http://205.250.109.3[...] 1998-05-01
[77] 웹사이트 New Fares http://www.octranspo[...] 2000-07-01
[78] 웹사이트 New Fares http://www.octranspo[...] 2003-07-01
[79] 웹사이트 New Fares http://www.octranspo[...] 2009-07-01
[80] 웹사이트 Council OKs average 7.5% bus fare hike http://www.canada.co[...] Canada.com 2013-01-22
[81] 웹사이트 Keep your bike safe with the Bikesecure parking program {{!}} OC Transpo https://www.octransp[...] 2021-10-12
[82] 웹사이트 Accessible Transit http://www.octranspo[...] Octranspo.com 2013-01-22
[83] 웹사이트 Station Safety Features https://www.octransp[...] www.octranspo.com
[84] 웹사이트 OC Transpo-How we work http://www.octranspo[...] 2019-07-17
[85] 웹인용 Performance measures https://www.octransp[...] OC Transpo 2023-12-28
[86] 웹인용 Vehicles https://www.octransp[...] 2023-12-28
[87] 웹인용 The Great Epizootic: 12 October 1872 https://www.historic[...] 오타와역사학회 2024-01-07
[88] 저널 The Great Epizootic of 1872-73: Networks of Animal Disease in North American Urban Environments https://yorkspace.li[...] American Society for Environment History, Forest History Society 2024-01-05
[89] 웹인용 Timeline https://www.octransp[...] OC Transpo 2024-01-05
[90] 웹인용 Britannia-on-the-Bay: 24 May 1900 https://www.historic[...] 오타와역사학회 2024-01-07
[91] 웹인용 The Spanish Flu Epidemic https://www.historic[...] 오타와역사학회 2024-01-07
[92] 뉴스 The Deadliest Disease in History https://macleans.ca/[...] 2024-01-07
[93] 웹인용 O-Train Line 1 and Line 2 System Comparison https://www.baywardb[...] 2024-01-27
[94] 웹인용 North-South Corridor Light Rail Transit Project Contract Award for Design, Construction and 15-year Maintenance https://app06.ottawa[...] 오타와 시의회 2024-01-27
[95] 뉴스 Ottawa council kills light rail project https://www.cbc.ca/n[...] 2024-01-27
[96] 뉴스 Ottawa O-Train extension proposed https://www.railwayg[...] 2024-01-27
[97] 뉴스 Ottawa's O-Train back on track https://ottawa.ctvne[...] CTV Ottawa 2024-02-03
[98] 웹인용 New Trains improve O-Train Trillium Line service https://rileybrockin[...] 오타와시 2024-02-03
[99] 웹인용 Stage 2 FAQs: Stage 2 LRT Contract Award https://www.stage2lr[...] 오타와시 2024-02-03
[100] 뉴스 Trillium Line launch delayed until spring 2024 https://ottawa.ctvne[...] 2024-02-03
[101] 웹인용 TransitNEXT finalizes Contract for Trillium Line Extension Project https://www.newswire[...] SNC-Lavalin 2024-02-03
[102] 뉴스 SNC-Lavalin failed to meet technical threshold for $1.6B LRT contract: sources https://www.cbc.ca/n[...] 2024-02-03
[103] 뉴스 'Proof is in the pudding': OC Transpo won’t commit to opening date for Trillium Line https://ottawa.ctvne[...] 2024-02-03
[104] 뉴스 Ottawa City Council unanimously approves new LRT project https://ottawa.ctvne[...] 2024-02-03
[105] 웹인용 City of Ottawa issues default notice to Confederation Line LRT contractors https://canada.const[...] 2024-02-03
[106] 뉴스 Alstom finalizes Ottawa LRT contract https://www.railwaya[...] Railway Ages 2024-02-03
[107] 뉴스 Massive sinkhole closes Rideau Street in downtown Ottawa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2-03
[108] 뉴스 How the Rideau Street sinkhole opened up critical rifts in LRT deal between city, RTG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2-03
[109] 뉴스 RTG 'misrepresented' its ability to build light rail, city says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2-03
[110] 뉴스 ‘Egregious’: Public inquiry finds ‘deliberate malfeasance’ plagued Ottawa LRT project https://www.thestar.[...] 토론토 스타 2024-02-03
[111] 웹인용 Line 2 closing for O-Train expansion https://www.octransp[...] 2024-02-04
[112] 웹인용 Welcome to your future O-Train network https://www.octransp[...] 2024-02-04
[113] 뉴스 Ottawa’s colossal LRT debacle: A brief-ish history https://www.tvo.org/[...] TVO 2024-02-04
[114] 뉴스 Trillium Line opening date slips toward summer 2024, Ottawa transit commission told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4-02-04
[115] 웹인용 Service types https://www.octransp[...] 2024-02-09
[116] 웹인용 Park & Ride https://www.octransp[...] 2024-02-09
[117] 웹인용 Rural Park & Ride https://www.octransp[...] 2024-02-09
[118] 웹인용 Para Transpo https://www.octransp[...] 2024-02-09
[119] 웹인용 Fares - Presto Card https://www.octransp[...] 2024-02-11
[120] 웹인용 Fares - Parapay https://www.octransp[...] 2024-02-11
[121] 웹인용 Access Pass https://www.octransp[...] 2024-02-11
[122] 뉴스 Tap and ride: OC Transpo customers can now pay the fare with credit cards or mobile wallet https://ottawa.ctvne[...] CTV News 2024-02-11
[123] 웹인용 O-Payment https://www.octransp[...] 2024-02-11
[124] 웹인용 Transfers https://www.octransp[...] 2024-02-11
[125] 웹인용 EquiPass https://www.octransp[...] 2024-02-11
[126] 웹인용 Community Pass https://www.octransp[...] 2024-02-11
[127] 웹인용 Youth and Child fares https://www.octransp[...] 2024-02-11
[128] 웹인용 U-Pass https://www.octransp[...] 2024-02-16
[129] 웹인용 Senior fares https://www.octransp[...] 2024-02-16
[130] 웹인용 Vehicles https://www.octransp[...] 2024-02-16
[131] 웹인용 Alstom Citadis Spirit trains https://www.octransp[...] 2024-02-16
[132] 웹인용 O-Train Line 2 https://www.octransp[...] 2024-02-16
[133] 웹인용 Have you met our newest train? https://www.octransp[...] 2024-02-16
[134] 웹인용 Zero-Emission Bus https://www.octransp[...] 2024-02-18
[135] 웹인용 Stations https://www.octransp[...] 2024-02-18
[136] 뉴스 OC Transpo LRT train partially derails at Belfast depot https://globalnews.c[...] Global News 2024-02-25
[137] 웹인용 OC Transpo Industrial Garage https://www.durisol.[...] 2024-02-25
[138] 웹인용 The history of Walkley Yard https://beachburg.bl[...] 2024-02-25
[139] 웹인용 O.C. Transpo Garage 164 Colonnade Road https://canada.const[...] 2024-02-25
[140] 웹인용 Pinecrest Garage - 2550 Queensview Drive, Ottawa City, Ontario https://www.accessen[...] 2024-02-25
[141] 웹인용 How we work https://www.octransp[...] 2024-02-25
[142] 웹인용 Performance measures https://www.octransp[...] 2024-03-01
[143] 뉴스 OC Transpo ridership hits 66 per cent of pre-pandemic levels in 2023 https://ottawa.ctvne[...] CTV News 2024-02-08
[144] 웹인용 O-Train Extension https://www.octransp[...] 2024-03-01
[145] 뉴스 Future western LRT extension gets committee's OK https://www.cbc.ca/n[...] CBC News 2018-03-09
[146] 웹인용 Barrhaven Light Rail Transit (Baseline Station to Barrhaven Town Centre) and Rail Grade-Separations Planning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Study https://ottawa.ca/en[...] 2024-03-01
[147] 웹인용 Transportation Master Plan 2013 https://documents.ot[...] 2013-11-01
[148] 웹인용 Tramway Gatineau-Ottawa https://sto.ca/proje[...] 2024-03-01
[149] 뉴스 Another transit tunnel? Planners weigh options for Outaouais-to-Ottawa commuters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0-05-15
[150] 뉴스 Gatineau tramway study prefers tunnelling under Sparks Street to bring trains into Ottawa Author of the article: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1-05-14
[151] 뉴스 City braces for transit strike as union rejects final offer Ottawa Citizen 2008-12-09
[152] 뉴스 Bus dispute a flashback to tumultuous 1996 strike Ottawa Sun 2009-01-11
[153] 뉴스 Strike timeline 2008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4-03-01
[154] 뉴스 Striking transit workers urged to vote down contract https://ottawa.ctvne[...] CTV News 2024-03-01
[155] 뉴스 Ottawa transit strike still on as union members reject contract offer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1
[156] 뉴스 City, union reach deal to end Ottawa transit strike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1
[157] 웹인용 Ottawa Massacre https://www.thecanad[...] 2024-03-01
[158] 뉴스 Remember This? The OC Transpo massacre https://ottawa.cityn[...] CityNews 2024-03-01
[159] 뉴스 OC Transpo inquest wraps up https://www.cbc.ca/n[...] OC Transpo 2024-03-01
[160] 웹인용 Rail transportation safety investigation R13T0192 https://www.tsb.gc.c[...] 2024-03-03
[161] 뉴스 OC Transpo driver likely distracted by video monitor before deadly bus-train crash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62] 뉴스 Bus route 76 involved in Ottawa bus-train crash to be retired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63] 뉴스 Memorial Park unveiled at Fallowfield Station for bus-train crash victims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64] 뉴스 Ottawa bus-train crash survivor launches $4M lawsuit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65] 뉴스 City still facing lawsuits from 2013 double-decker bus crash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66] 뉴스 3 dead in bus crash at Ottawa transit station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67] 뉴스 Victims of Westboro Station bus crash identified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4-03-03
[168] 뉴스 Experts call on TSB to investigate fatal Ottawa bus crash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24-03-03
[169] 뉴스 OC Transpo driver faces dozens of criminal charges in Westboro bus crash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24-03-03
[170] 뉴스 Ottawa bus driver acquitted of all charges in fatal Westboro crash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71] 뉴스 Massive sinkhole closes Rideau Street in downtown Ottawa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72] 뉴스 LRT tunnel work to resume this week after sinkhole flooding https://nchca.ca/wp-[...] CBC News 2024-03-03
[173] 뉴스 City not to blame for Rideau Street sinkhole: memo https://ottawa.ctvne[...] CTV News 2024-03-03
[174] 뉴스 'Unreliable' LRT trains can't handle Ottawa winters, internal reports reveal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3-03
[175] 뉴스 Metrolinx not concerned about Ottawa LRT issues, despite having order in for the same vehicles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24-03-03
[176] 뉴스 Dirty train roofs caused New Year's Eve LRT delays https://www.cbc.ca/n[...] 2024-03-03
[177] 뉴스 RTG tries to make headway on recurring LRT problems but jolted by one-off mishaps https://ottawacitize[...] 2024-03-08
[178] 뉴스 Ottawa’s LRT up to 5 trains short Thursday as electrical, wheel issues continue https://globalnews.c[...] 2024-03-08
[179] 뉴스 Mayor calls for regular updates on payments to RTG after confusion over September cheque https://ottawa.ctvne[...] 2024-03-08
[180] 뉴스 LRT wheel derailed while switching tracks: TSB https://ottawa.ctvne[...] 2024-03-08
[181] 뉴스 Why the bumpy, two-year ride of Ottawa’s multibillion-dollar LRT system is sparking calls for a public inquiry https://www.thestar.[...] 2024-03-08
[182] 웹인용 Rail transportation safety investigation R21H0121 - Main-track train derailment https://www.tsb.gc.c[...] 2024-03-08
[183] 뉴스 LRT train derails on Confederation Line near Tremblay Station https://ottawa.ctvne[...] 2024-03-08
[184] 뉴스 ‘Workmanship,’ loose bolts blamed for Ottawa LRT derailment https://globalnews.c[...] 2024-03-08
[185] 뉴스 Ottawa LRT expected to resume partial service Friday https://www.cbc.ca/n[...] 2024-03-08
[186] 뉴스 Several LRT trains taken off tracks after wheel hub assembly fails https://www.cbc.ca/n[...] 2024-03-08
[187] 뉴스 Lightning damage may be causing partial Ottawa LRT shutdown https://www.cbc.ca/n[...] 2024-03-08
[188] 뉴스 Transit riders must wait until at least Monday for O-Train return-to-service plan https://ottawa.ctvne[...] 2024-03-08
[189] 뉴스 OC Transpo gives the green light for full O-Train service to resume on Monday https://ottawa.ctvne[...] 2024-03-08
[190] 뉴스 Double-car LRT service to return Monday, city says https://www.cbc.ca/n[...] 2024-03-08
[191] 뉴스 Province to launch public inquiry into Ottawa LRT network https://www.cbc.ca/n[...] 2024-03-08
[192] 뉴스 Province threatens to withhold $60M in Ottawa LRT funding https://ottawa.ctvne[...] 2024-03-08
[193] 뉴스 Ontario names appeal judge to head LRT inquiry commission https://www.cbc.ca/n[...] 2024-03-08
[194] 웹인용 Public Hearings https://www.archives[...] 2024-03-08
[195] 뉴스 Ottawa’s colossal LRT debacle: A brief-ish history https://www.tvo.org/[...] 2024-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