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K vs. 캡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NK vs. 캡콤은 SNK와 캡콤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크로스오버 작품들을 통칭한다. 1999년 네오지오 포켓용 카드 게임과 대전 격투 게임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 아케이드와 콘솔 게임으로 출시되었다. SNK의 도산 이후, 두 회사의 캐릭터들은 다른 게임에 함께 등장하며, 2024년에는 SNK와 캡콤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신작 발표와 기존 작품의 재출시가 이루어졌다. 게임 시리즈로는 'SNK vs. CAPCOM 격돌 카드파이터즈'와 '최강 파이터즈 SNK VS. CAPCOM' 등이 있으며, 캡콤 제작 게임으로는 'CAPCOM VS. SNK MILLENNIUM FIGHT 2000' 등이 있다.
이 시리즈의 기원은 게임 잡지 아케디아의 기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과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3''를 함께 다룬 기사의 표지를 독자들이 "KOF vs. SF"로 잘못 해석하여, 두 시리즈의 캐릭터가 대결하는 게임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오해한 사건이 있었다. 이 해프닝을 계기로 캡콤과 SNK는 1999년에 각자 두 개의 격투 게임을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디지털 수집 카드 게임인 ''카드 파이터즈'' 시리즈는 이 계약 조건에서 제외되었다.
SNK와 캡콤 양사의 다양한 게임 시리즈에서 많은 인기 캐릭터들이 SNK vs. 캡콤 시리즈에 참전했다. 각 게임마다 참전하는 캐릭터 구성이 다르며, 특정 게임에서만 등장하는 캐릭터도 존재한다.
2. 역사
계약에 따라 1999년 SNK는 첫 작품으로 네오지오 포켓용 카드 게임 『SNK vs. 캡콤: 카드 파이터즈 클래시』를 출시했고, 이어 네오지오 포켓 컬러 전용 대전 격투 게임 『정상결전 최강 파이터즈 SNK VS. CAPCOM』을 발매했다. 캡콤 측에서는 2000년 아케이드 게임으로 『캡콤 vs. SNK: 밀레니엄 파이트 2000』을 출시하며 크로스오버에 참여했다. 그러나 계약 구조상 게임을 개발하고 유통한 회사가 이익의 대부분을 가져갔기 때문에, 캡콤이 개발한 게임의 수익은 당시 재정난을 겪던 SNK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2000년 SNK가 파산을 신청하고 2001년 10월 최종 도산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SNK 도산 전후로 양사는 후속작들을 출시했는데, 캡콤은 『캡콤 vs. SNK Pro』(2001)와 『캡콤 vs. SNK 2: 밀레니엄 파이트 2001』(2001)을, SNK는 『SVC: 카드 파이터즈 2 익스팬드 에디션』(2001)을 내놓았다. SNK 도산 이후,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은 SNK 플레이모어(이후 2대 SNK)가 승계했다. SNK 플레이모어는 계약 이행의 일환으로 『SNK vs. 캡콤: SVC 카오스』(2003)와 『SVC: 카드 파이터즈 DS』(2006)를 발매했다.
한편, 캡콤의 디렉터 이츠노 히데아키는 2021년 Polygon과의 인터뷰에서 SNK의 파산으로 인해 3D 그래픽 기반의 후속작 ''Capcom vs. SNK 3'' 기획이 취소되었다고 밝혔다. 당시 제작된 3D 모델링 일부는 이후 취소된 다른 프로젝트인 ''Capcom Fighting All-Stars''에 재사용될 예정이었으며, 이 게임에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의 주인공 쿠사나기 쿄가 게스트 캐릭터로 포함될 계획이었다.[1][2]
''카드 파이터즈 DS'' 출시 이후 한동안 두 회사 간의 새로운 크로스오버 타이틀은 나오지 않았다. SNK 측에서는 캡콤과의 계약 갱신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으나,[3] 양사가 더 이상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도 있었다.[4] 그럼에도 2009년 ''스트리트 파이터 IV''의 프로듀서 오노 요시노리는 팬들의 요구가 있다면 세 번째 게임 제작에 관심을 표명했다.[5] 이 시기 동안 두 회사의 캐릭터들은 반다이 남코의 ''철권 7'', 닌텐도의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Cygames의 ''그랑블루 판타지'' 등 다른 개발사의 게임에 함께 등장하기도 했다.
2021년과 2022년에 걸쳐 ''SNK vs. 캡콤: 천년의 싸움''과 ''SNK vs. 캡콤: 카드 파이터즈 클래시''가 윈도우 및 닌텐도 스위치로 재출시되었고,[6] 2022년 3월에는 넷마블과 SNK의 모바일 게임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올스타''에 스트리트 파이터 캐릭터들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8월, EVO 2022를 기념하여 SNK와 캡콤의 아티스트 오구라 에이스케와 신키로가 양사 캐릭터가 함께 등장하는 특별 포스터를 제작하면서 시리즈 부활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높아졌다. 이후 SNK 프로듀서 오다 야스유키는 인터뷰에서 "양측 모두" 시리즈 부활에 관심이 있으며,[7] EVO 아트워크가 추가 협력의 문을 열었다고 언급했다.[8]
2024년 들어 SNK와 캡콤 간의 협력이 다시 활발해졌다. 6월 서머 게임 페스트에서는 ''아랑전설'' 시리즈의 테리 보가드와 마이 시라누이가 ''스트리트 파이터 6''의 두 번째 시즌 DLC 캐릭터로 발표되었는데, 이는 메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최초의 서드파티 게스트 캐릭터 참전이다.[9] 7월 EVO 2024에서는 ''SNK vs. 캡콤: SVC 카오스''가 윈도우,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로 재출시되었고,[10] 8월에는 캡콤 개발 타이틀들(''캡콤 vs. SNK'', ''캡콤 vs. SNK Pro'', ''캡콤 vs. SNK 2'', ''캡콤 vs. SNK 2 EO'')이 2025년 출시 예정인 ''캡콤 파이팅 컬렉션 2''에 포함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1] 9월 도쿄 게임 쇼에서는 ''스트리트 파이터''의 켄 마스터즈와 춘리가 ''용호의 권: 시티 오브 더 울브스''의 첫 시즌 DLC 캐릭터로 발표되어, ''용호의 권'' 시리즈 최초의 서드파티 게스트 참전 사례가 되었다.[12] 이러한 활발한 교류는 시리즈의 완전한 부활에 대한 기대를 높였으며, 캡콤 프로듀서 마츠모토 슈헤이와[13] SNK 프로듀서 오다 야스유키 모두 팬들의 높은 관심을 인지하고 있으며 부활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시사했다.[14]
2. 1. SNK 제작 게임
SNK는 캡콤과의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양사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여러 게임을 제작했다. SNK가 제작한 게임은 일반적으로 제목에 'SNK'가 먼저 표기되며, 이는 캡콤이 제작한 게임('캡콤 vs. SNK')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SNK는 이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주로 디지털 수집 카드 게임과 대전 격투 게임을 선보였다. 대표적인 카드 게임으로는 카드 파이터즈 시리즈가 있으며, 격투 게임으로는 네오지오 포켓 컬러로 출시된 정상결전 최강 파이터즈 SNK VS. CAPCOM과 네오지오 아케이드 및 가정용으로 출시된 SNK vs. 캡콤: SVC 카오스가 있다. 각 게임 시리즈 및 작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1. 카드 파이터즈 시리즈
2. 1. 2. 격투 게임
SNK 측에서는 1999년 12월 22일 네오지오 포켓 컬러 전용 대전 격투 게임으로 『정상결전 최강 파이터즈 SNK VS. CAPCOM』을 발매했다.
한편, 캡콤 측에서는 2000년 8월 18일 아케이드 게임용 대전 격투 게임 『CAPCOM VS. SNK MILLENNIUM FIGHT 2000』을 출시했으며, 같은 해 9월 6일에는 드림캐스트로 이식되었다. 캡콤은 이 게임을 공식적으로 "'''SNK VS. CAPCOM from CAPCOM'''"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후 2001년에는 『CAPCOM VS. SNK MILLENNIUM FIGHT 2000 PRO』와 『CAPCOM VS. SNK 2 MILLIONAIRE FIGHTING 2001』을 연이어 발매했다.
2001년 10월 SNK (구 회사)가 도산한 후,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승계한 SNK 플레이모어 (이후 2대 SNK)에서 "SNK VS. CAPCOM" 타이틀을 사용한 대전 격투 게임 『SNK VS. CAPCOM SVC CHAOS』를 발매했다.
2. 2. 캡콤 제작 게임
캡콤이 제작한 SNK와의 크로스오버 게임들은 일반적으로 회사 이름인 CAPCOM이 SNK보다 먼저 표기되는 '''CAPCOM vs. SNK'''라는 제목 형식을 따른다. 이는 SNK가 제작한 게임들이 'SNK vs. Capcom'으로 표기되는 것과 구별된다. 캡콤의 공식 정보 사이트에서는 이를 "'''SNK VS. CAPCOM from CAPCOM'''"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2. 2. 1. CAPCOM vs. SNK 시리즈
캡콤이 주도하여 개발한 SNK vs. 캡콤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이 시리즈는 캡콤과 SNK가 각자 두 개의 격투 게임을 만들기로 한 1999년 계약에 따라 제작되었다. 이는 당시 게임 잡지에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과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3''를 함께 다룬 기사를 독자들이 두 게임의 크로스오버로 오해한 사건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 계약 구조상 게임을 개발하고 유통한 회사가 수익 대부분을 가져갔기 때문에, 캡콤이 개발한 이 시리즈의 수익은 당시 재정난을 겪던 SNK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한편, 캡콤의 디렉터 이츠노 히데아키는 Polygon과의 인터뷰에서 3D 그래픽 기반의 후속작 ''Capcom vs. SNK 3''를 기획했으나, SNK의 파산으로 인해 취소되었다고 밝혔다. 이때 제작된 3D 모델링 일부는 이후 취소된 다른 프로젝트인 ''Capcom Fighting All-Stars''에 재사용될 예정이었으며, 이 게임에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의 주인공 쿠사나기 쿄가 게스트 캐릭터로 포함될 계획이었다.[1][2] SNK 측에서는 캡콤과의 계약 갱신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으나,[3] 양사는 ''SNK vs. 캡콤: 카드 파이터즈 DS''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4] 그러나 2009년 ''스트리트 파이터 IV''의 프로듀서 오노 요시노리는 팬들의 요구가 있다면 세 번째 작품 제작에 관심을 보인 바 있다.[5]
3. 등장 캐릭터
아래는 주요 격투 게임 시리즈 작품별 등장 캐릭터 목록이다.[1][2][3][4][5][6][7][8][9][10][11][12][13][14]캐릭터 진영 SNK 개발 캡콤 개발 MotM SVC Chaos CvS CvS2 이치죠 아카리 SNK O X X X 아쿠마 캡콤 O O O O 아테나 SNK X O X X 아사미야 아테나 SNK O X X O 베이비 본니 후드 캡콤 O X X X 발로그 캡콤 X O O O 니카이도 베니마루 SNK X X O O 블랑카 캡콤 X X O O 캠미 캡콤 X X O O 장거한 SNK X X X O 최번개 SNK X O X 어시스트 (Capcom vs. SNK 2에서 최번개는 별도로 플레이할 수 없지만, 전투 중 장거한을 끊임없이 동반하며 장거한의 기술의 일부로 상대를 공격한다.) 춘리 캡콤 O O O O 단 캡콤 O O O (Pro) O 데미트리 막시모프 캡콤 X O X X 달심 캡콤 X O O O E. 혼다 캡콤 X X O O 이글 캡콤 X X X O 어스퀘이크 SNK X O X X 고우류 캡콤 O X O O (Home) 펠리시아 캡콤 O X X X 기스 하워드 SNK O O O O 키바가미 겐쥬로 SNK X O X X 갓 루갈 SNK X X X O 괴니츠 SNK X O X X 가일 캡콤 O O O O 하오마루 SNK O X X O 타카네 히비키 SNK X X X O 본기니 낫타 미스터 가라데 SNK X O X X 휴고 캡콤 X O X X 야가미 이오리 SNK O O O O 죠 히가시 SNK X X O (Pro) O 토도 카스미 SNK X O X X 켄 캡콤 O O O O 김갑환 SNK X O O O 킹 SNK X X O O 쿠사나기 쿄 SNK O O O O 카가미 쿄스케 캡콤 X X X O 레오나 하이데른 SNK O X X X M. 바이슨 캡콤 O O O O 시라누이 마이 SNK O O O O 마키 캡콤 X X X O 마즈 피플 SNK X O X X 모리건 앤슬랜드 캡콤 O X O O 미스터 가라데 SNK X O X X 나코루루 SNK O X O O 라이덴 SNK X X O O 레드 아리마 캡콤 X O X X 록 호워드 SNK X X X O 롤렌토 캡콤 X X X O 루갈 번스타인 SNK X X O O 사카자키 료 SNK O O O O 류 캡콤 O O O O 토도 류하쿠 SNK X X X O 야마자키 류지 SNK X X O O 사가트 캡콤 X O O O 사쿠라 캡콤 O X O O 시키 SNK X O X X 신 아쿠마 캡콤 X O X O 테리 보가드 SNK O O O O 테사 캡콤 X O X X 베가 캡콤 X O O O 바이스 SNK X X O O 폭력적인 켄 캡콤 X O X X 와일드 이오리 SNK O O O O (Home) 윤 캡콤 X X X O 사카자키 유리 SNK O X O O 장기에프 캡콤 O X O O 제로 캡콤 X O X X 합계 | 22 36 35 48
''카드 파이터즈 DS'' 이후 새로운 ''SNK vs. 캡콤'' 타이틀은 출시되지 않았지만, 두 회사의 캐릭터들은 반다이 남코의 ''철권 7'', 닌텐도의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Cygames의 ''그랑블루 판타지'' 등 다른 개발사의 게임에 함께 등장하기도 했다.
2022년 3월에는 넷마블과 SNK의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올스타''에 스트리트 파이터 캐릭터들이 추가되었으며,[6] 같은 해 8월에는 EVO 2022 개최를 기념하여 SNK의 오구라 에이스케와 캡콤의 신키로 아티스트가 협력하여 양사 캐릭터가 등장하는 특별 포스터를 제작하기도 했다.[7]
2024년에는 SNK와 캡콤 간의 크로스오버가 더욱 활발해졌다. 6월 서머 게임 페스트에서는 아랑전설의 테리 보가드와 시라누이 마이가 ''스트리트 파이터 6''의 시즌 2 DLC 캐릭터로 참전하는 것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메인 스트리트 파이터 게임에 등장하는 최초의 서드파티 게스트 캐릭터이다.[9] 7월 EVO 2024에서는 ''SNK vs. 캡콤: SVC 카오스''가 윈도우,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로 재출시되었고,[10] 8월에는 캡콤 개발 타이틀들이 2025년 출시 예정인 ''캡콤 파이팅 컬렉션 2''에 포함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1] 9월 도쿄 게임 쇼에서는 스트리트 파이터의 켄 마스터즈와 춘리가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의 시즌 1 DLC 캐릭터로 참전하는 것이 발표되었으며, 이 역시 아랑전설 게임에 등장하는 최초의 서드파티 게스트 캐릭터가 되었다.[12] 이러한 움직임은 시리즈 부활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13][14]
3. 1. 주요 등장 캐릭터 (SNK)
SNK 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캐릭터들이 시리즈에 등장한다.
일부 게임에서는 와일드 이오리(폭주 이오리), 갓 루갈(갓 루갈 또는 오메가 루갈), 본기니 낫타 미스터 가라데(진지해진 미스터 가라데)와 같은 강화된 버전의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한다.
3. 2. 주요 등장 캐릭터 (캡콤)
SNK vs. 캡콤 시리즈에 등장하는 캡콤 측 캐릭터는 주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출신 인물들이 중심을 이룬다. 대표적인 캐릭터로는 류, 켄, 춘리, 가일, 달심, 단 등이 있으며, 보스급 캐릭터인 M. 바이슨, 발로그, 사가트, 베가, 아쿠마 등도 등장한다. 이 외에도 블랑카, 캠미, E. 혼다, 사쿠라, 장기에프 등 다양한 스트리트 파이터 캐릭터들이 참전했다.
다크스토커즈 시리즈의 캐릭터들도 등장하는데, 모리건 앤슬랜드와 데미트리 막시모프, 베이비 본니 후드, 펠리시아가 대표적이다.
또한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의 로렌토, 휴고, 마키와 같은 캐릭터들도 등장하며, 그 외 사립 저스티스 학원의 카가미 쿄스케, 마계촌 시리즈의 레드 아리마, 록맨 X 시리즈의 제로, 레드 어스의 테사 등 다양한 캡콤 게임의 캐릭터들이 참전하여 게임의 폭을 넓혔다.
3. 3. 레이셔 시스템 (캡콤 VS SNK)
''Capcom vs. SNK: Millennium Fight 2000''에서는 각 캐릭터에게 '레이셔(Ratio)'라는 등급을 부여하여 팀 구성에 전략적인 요소를 더했다. 플레이어는 1 크레딧당 주어지는 4의 레이셔 포인트를 가지고 팀을 구성해야 하며, 선택한 캐릭터들의 레이셔 총합은 4를 넘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레이셔 3 캐릭터를 선택하면 남은 1 레이셔로 레이셔 1 캐릭터만 추가할 수 있고, 레이셔 4 캐릭터는 단독으로만 팀을 구성할 수 있다.
각 레이셔 등급별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캐릭터 |
---|---|
캡콤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고우키 |
SNK | 달밤에 오로치의 피에 미친 이오리 |
구분 | 캐릭터 |
---|---|
캡콤 | 류, 켄 마스터즈, 춘리, 가일, 에드몬드 혼다, 장기에프, M. 바이슨, 모리건 앤슬랜드 |
SNK | 쿠사나기 쿄, 야가미 이오리, 테리 보가드, 료 사카자키, 아사미야 아테나, 하오마루, 나코루루, 시라누이 마이, 김갑환 |
후속작인 ''Capcom vs. SNK 2: Mark of the Millennium 2001''부터는 플레이어가 직접 캐릭터의 레이셔를 조정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4. 기타
데미트리 막시모프 (캡콤)
화성인 (화성인, SNK)
기스 하워드 (SNK)
폭주 이오리 (이오리, 1차 보스가 캡콤 출신이거나 켄을 상대했을 경우)
고우키 (2차 보스가 세뇌된 켄일 경우)
아테나 (S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