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TX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X는 1976년 쌍용중기로 설립되어 디젤 엔진 전문 생산업체를 거쳐 2001년 STX로 상호를 변경한 기업이다. 조선, 해운, 에너지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했으며, 한때 한국의 주요 조선 기업 중 하나였다. 2013년 자금난으로 채권단 관리에 들어갔으며, 2016년에는 대표 연임 청탁 논란이 있었다. STX는 무역 사업을 하고 있으며, 과거 과도한 접대비 사용, 삼성그룹 인사에 개입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용의 이전 자회사 - S-OIL
    S-OIL은 1976년 설립되어 사우디 아람코의 투자를 통해 성장한 대한민국의 정유, 석유화학, 윤활 부문 기업으로, S-가솔린, S-디젤 등의 연료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석유화학 제품, 그리고 드래곤, S-OIL SEVEN 등의 윤활유 제품을 생산한다.
  • 쌍용의 이전 자회사 - 흥국화재해상보험
  • 197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현대위아
    현대위아는 1976년 기아산업의 일부로 시작하여 현대그룹 계열사를 거쳐 현재 기계, 자동차 부품, 방위 산업, 모빌리티 솔루션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4년 주차 로봇을 상용화했다.
  • 197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CJ씨푸드
    CJ씨푸드는 위키백과 페이지 본문 내용이 없어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 창원시의 기업 - 현대위아
    현대위아는 1976년 기아산업의 일부로 시작하여 현대그룹 계열사를 거쳐 현재 기계, 자동차 부품, 방위 산업, 모빌리티 솔루션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4년 주차 로봇을 상용화했다.
  • 창원시의 기업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담수 플랜트 등을 제작하는 중공업 기업으로, 두산그룹 인수 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 사명 변경을 거쳐 에너지 전환 시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했으며, 원자력 발전소 기자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STX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개요
창립일1976년 12월 24일
유형공개 회사
소재지[[파일:Flag of South Korea.svg|25px]] 경상남도 창원시
핵심 인물박상준 (회장)
산업중장비
제품무역
자회사STX 마린 서비스
STX 리조트
STX 에어로서비스 주식회사
웹사이트STX Corporation
직원 수44,000명 (STX 전체, 2008년 기준)
자산230억 미국 달러 (2008년 2분기 기준)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자본금71,553,635,000원 (2021년 9월 기준)
매출액975,567,048,052원
영업 이익-493,100,944원
순이익-20,448,069,363원
자산 총액617,564,209,592원 (2020년 12월 기준)
주식 정보
주식 시장(1990년 9월 12일 상장)
주요 주주에이피씨머큐리 유한회사: 78.87%
기타
종업원 수85명 (2020년 12월 기준)

2. 연혁

STX의 연혁 중 2001년 이후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001년 5월 25일, STX메탈의 전신인 ENPACO를 단순분할하여 설립했다.[1] 2002년 11월 23일 산단열병합발전(주)을 인수했고,[1] 2005년 10월 25일 (주)포스를 소규모 합병했다.[1]

2006년 10월에는 STX(대련)조선유한공사 투자를 결정하고,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 개발사업 참여를 결정했다.[1] 2007년 1월 해외전환사채를 전환했고,[1] 같은 해 3월 STX Middle East Inc. 설립 투자를 진행했다.[1]

대표이사 변경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11년 4월 1일 STX마린서비스(주)를 물적분할했다.[1] 2016년 서충일 대표는 삼성 장충기에게 대표 연임을 청탁하는 문자를 보냈고, 이후 1년 연임되었다.[1] 2023년 9월 1일 (주)STX그린로지스를 물적분할했다.[1]

2. 1. 쌍용중공업 시절 (1976년 ~ 2001년)

쌍용그룹은 1976년 12월 쌍용중기 주식회사를 설립했다.[1] 1978년 12월에 공장을 준공했고,[1] 1980년 10월 디젤 엔진 전문생산업체로 선정되면서 쌍용중공업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했다.[1] 1988년 11월에는 특수용 엔진 전용 공장을, 1989년 5월에는 엔진 기술 연구소를 설립했다.[1] 1990년 9월에는 기업을 공개했다.[1]

2000년 12월 15일 최대 주주가 쌍용양회공업(주)에서 한누리투자증권(주)으로 변경되었고,[1] 2001년 1월 2일 쌍용그룹에서 계열 분리되었다.[1]

2. 2. STX 출범 (2001년 ~ 현재)

2001년 1월 2일 쌍용그룹으로부터 계열분리 되었고, 2001년 5월 1일 사명을 쌍용중공업에서 (주)STX로 변경하였다.[1] 2001년 12월에는 대동조선(주)(현, 케이조선)을 인수하였다.[1]

2004년 4월에는 지주회사 STX (STX출범한국어, 영어: STX Corporation)를 설립하였다.

2013년 5월, 자금 사정이 악화되어 채권 은행단의 관리 하에 들어갔다.

STX 출범 (2001년 ~ 현재)
날짜내용
2001년 1월 2일쌍용그룹으로부터 계열분리[1]
2001년 5월 1일쌍용중공업에서 (주)STX로 사명 변경[1]
2001년 12월대동조선(주)(현, 케이조선) 인수[1]
2002년 11월 23일산단열병합발전(주) 인수[1]
2004년 4월지주회사 STX(STX출범한국어, 영어: STX Corporation) 설립
2005년 10월 25일(주)포스 합병(소규모합병)[1]
2006년 10월STX(대련)조선유한공사 투자 결정[1]
2006년 10월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 개발사업 참여 결정[1]
2007년 1월해외전환사채 전환[1]
2007년 3월STX Middle East Inc. 설립 투자[1]
2008년 3월 21일대표이사 변경: 강덕수, 홍경진 → 강덕수, 이종철[1]
2010년 3월 26일대표이사 변경: 강덕수, 이종철 → 강덕수, 이종철, 김대유[1]
2011년 3월 25일대표이사 변경: 강덕수, 이종철, 김대유 → 강덕수, 이종철, 김대유, 추성엽[1]
2011년 4월 1일STX마린서비스(주) 물적분할[1]
2016년 1월 16일서충일 대표, 삼성 장충기에게 "형님"이라 부르며 대표 연임을 청탁하는 문자를 보냄[1]
2016년 3월 31일서충일 대표, 1년 연임[1]
2013년 5월자금 사정 악화로 채권 은행단의 관리 하에 들어감
2023년 9월 1일(주)STX그린로지스 물적분할[1]


3. 사업 분야

STX는 무역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STX건설, STX조선해양, STX엔진, STX중공업, STX에너지, STX팬오션, ㈜STX, STX유럽, STX술(엠파코) 등의 계열사를 두고 있었다. STX조선해양은 1962년 대한조선으로 시작해 2014년 상장 폐지되었고, STX중공업은 1976년 쌍용중공업, STX에너지는 1984년 산단에너지로 시작했다. STX팬오션은 1966년 설립되었으나 2013년 도산했다.[4]

3. 1. 글로벌 사업 확장

STX는 STX 조선해양(1962년 1월 대한조선으로 시작, 2014년 4월 상장 폐지), STX 중공업(1976년 12월 쌍용중공업으로 시작), STX 엔진, STX 에너지(1984년 12월 산단 에너지로 시작) 등 그룹 계열사들을 통해 글로벌 사업을 확장했다.[4]

특히 조선 사업에서 STX는 선박 건조량 기준 세계 5위 안에 드는 한국의 주요 조선 기업 중 하나였다. 유럽(노르웨이), 아시아(중국·다롄, 창싱다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 조선소를 소유하거나 건설하며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4]

일본 해사 협회와 40만 톤급 초대형 광석 운반선(VLOC) 공동 연구 및 개발 협정을 체결하는 등 일본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5]

4. 재무

STX의 총 매출액은 2006년 8억달러, 2007년 17.4억달러, 2008년 24억달러(28조)이었다.[1]

4. 1. 매출액 추이

연도매출액 (USD)매출액 (KRW)
2006년8억달러
2007년17.4억달러
2008년24억달러28조


5. 논란 및 사건사고

STX는 채권단 자율협약 당시 과도한 접대비 사용으로 논란이 되었다.[1]


  • 과도한 접대비 사용: STX는 기업 회생 절차 중에도 불구하고 법인카드를 흥청망청 사용하며 접대비를 과도하게 지출했다. 특히 감사 부서조차 접대비를 부당하게 사용했으며, 내부 문제 제기는 묵살되었다.[2]
  • 언론 접대: STX는 언론사 기자들에게도 접대비를 사용하며 하룻밤에 수백만 원을 쓴 것으로 드러났다.[3]
  • 인사 개입 의혹: 장충기 전 삼성그룹 사장이 산업은행을 통해 STX 인사에 개입한 정황이 뉴스타파의 '[https://www.youtube.com/watch?v=IsJriLQGlyc 장충기 문자 대공개]'를 통해 보도되었다.

6. 본점 및 지점

참조

[1] 웹사이트 Top News, Latest headlines, Latest News, World News & U.S News http://www.upiasia.c[...] Upiasia.com 2015-04-02
[2] 뉴스 造船所労働者、造船産業特別委の設立を要求…現代重労組が共同の動き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4-04-02
[3] 기사 韓国STXグループ、造船不振で銀行管理拡大一筋のサラリーマン出身オーナーが窮地に http://jbpress.ismed[...] JP press 2013-06-03
[4] 웹사이트 百度百科:STX http://baike.baidu.c[...]
[5] 뉴스 STX造船と日本海事協会、大型鉱石運搬船共同開発へ https://www.wowkorea[...] wowKorea 2009-04-08
[6] 뉴스 STX중공업, 관리종목 지정에 하락 조선일보 2014-03-25
[7] 뉴스 STX, 감자 결정에 이틀째 '하한가 추락' 한국경제 2014-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