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렉싱턴 (CV-1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S 렉싱턴 (CV-16)은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원래 캐봇(Cabot)으로 명명되었으나, 1942년 6월 16일 침몰한 렉싱턴 (CV-2)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변경하여 취역했다. 1943년 2월 취역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그리고 훈련 항공모함으로 사용되었다. 렉싱턴은 태평양 전선에서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많은 적기를 격추하고 가미카제 공격을 견뎌냈으며, 종전 후에는 예비역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현대화 개수를 거쳐 제7함대에 배치되어 대만 해협 위기를 지원했으며, 1960년대에는 훈련 항공모함으로 사용되었다. 1991년 퇴역 후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에 박물관선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여러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등장하기도 했다. 렉싱턴은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과 11개의 전투 별 등 다수의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주의 국립역사기념물 - 페어 파크
페어 파크는 텍사스 주 박람회를 위해 1886년 조성된 박람회장으로 시작하여 아르 데코 양식으로 탈바꿈하고 국립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연례 행사, 텍사스 주 박람회, 아프리카계 미국 박물관 등을 포함하는 공원이다. - 텍사스주의 국립역사기념물 - 딜리 플라자
딜리 플라자는 댈러스 발상지에 조성되어 뉴딜 정책으로 완공된 역사적인 광장으로,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현장이자 국립 역사 랜드마크이다. - 1942년 선박 - USS 아이오와 (BB-61)
USS 아이오와(BB-61)는 "빅 스틱"으로 불리는 미국 해군의 아이오와급 전함 1번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대통령 수송 임무를 수행했으며 강력한 화력과 미사일 탑재 능력을 갖추었으나 포탑 폭발 사고 후 박물관으로 전환되어 로스앤젤레스에 전시 중이다. - 1942년 선박 - USS 에식스 (CV-9)
USS 에식스 (CV-9)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태평양 전역에서 활약하고 냉전 시기 대잠 지원 항공모함으로 활동하다 1969년 퇴역했다. - 에식스급 항공모함 - USS 오리스카니 (CV-34)
USS 오리스카니(CV-34)는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건조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현대화 개장을 통해 함재기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 후 퇴역, 현재는 멕시코만 해저에 침몰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가 되었다. - 에식스급 항공모함 - USS 요크타운 (CV-10)
USS 요크타운 (CV-10)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군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침몰한 USS 요크타운 (CV-5)의 이름을 이어받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고 대잠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아폴로 8호의 승무원과 사령선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박물관 함선으로 전환되어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전시되어 있다.
2. 함력
1941년 7월 15일, 렉싱턴은 당초 카봇(Cabot)이라는 함명으로 매사추세츠 주 퀸시의 베들레헴 스틸 주식회사에서 기공되었다.[31] 1942년 5월 초, 산호해 해전에서 렉싱턴(CV-2)이 침몰하자,[37] 건조에 참여한 노동자들은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에게 CV-16의 함명을 렉싱턴으로 변경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는 즉시 승인되었다.[31] 1942년 6월 16일, 렉싱턴으로 함명이 변경되었고,[38][39] 1942년 9월 23일, 시어도어 더글러스 로빈슨 해군성차관 부인의 주관으로 진수되었다. 1943년 2월 17일, 초대 함장 펠릭스 스탬프 대령의 지휘 아래 렉싱턴이 취역하였다. 당초 1944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조선소의 전시 생산 체제 덕분에 건조 기간이 1년 단축되었다.
1943년 8월 9일, 렉싱턴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여 진주만에 도착했다. 9월 말 타라와 환초와 웨이크 섬을 공격하고 진주만으로 돌아와 길버트 제도 전역 준비에 들어갔다. 11월 19일부터 24일까지 마셜 제도에서 수색 및 출격을 진행하며 길버트 제도 상륙을 지원했고, 11월 23일과 24일에는 함재기들이 29대의 적기를 격추했다.(길버트 제도 해전)
1943년 12월 4일, 콰잘레인 환초 공격에 참가하여 화물선 켄부 마루를 파괴하고 순양함 2척에 피해를 입혔으며, 적 항공기 30대를 격추했다. 그러나 이날 밤 일본군 97식 함상 공격기와 덴잔 뇌격기의 공격을 받아 우현에 어뢰를 맞아 조타 장치가 고장나고 9명이 사망했다. 함미가 약 1.52m 침하되고 연기를 뿜으며 좌현으로 회전하기 시작했지만, 피해 통제반의 노력으로 응급 수동 조타 장치를 마련하여 12월 9일 진주만에 도착했다. 이후 12월 22일 브레머턴(워싱턴주)으로 이동하여 1944년 2월 20일까지 수리를 받았다. 이 공격 이후, 일본의 도쿄 로즈는 렉싱턴이 격침되었다고 보도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43]
1944년 3월 8일, 마크 미처 소장이 제58기동부대 지휘를 맡으면서, ''렉싱턴''은 마주로에서 기함 역할을 수행했다. 기동부대는 밀리 환초 공격 후, 4월 13일 육군의 자야푸라 상륙을 지원하고 4월 28일 추크 제도를 공격했다. ''렉싱턴'' 함재기는 17기의 적기를 격추했으나, 일본군은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45][46][47]
1944년 6월 11일, ''렉싱턴''은 사이판 전투 초반 공격에 참여하여 일본군 기지를 공습, 38기에서 100기의 일본기를 격파했다. 6월 16일에는 괌에서 출격한 일본군 뇌격기의 공격을 받았으나 피해는 없었고, 일본은 세 번째로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1944년 6월 19일, 마리아나 해전에서 ''렉싱턴''은 제1기동함대와 격돌했다.[48]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냥"이라 불린 전투에서 ''렉싱턴''의 편대장 알렉산더 브라시우 중위는 8분 만에 6기를 격추하는 큰 공을 세웠다. 마크 미처 제독은 야간에 전 함에 점등을 명령하여 공격대의 안전한 귀환을 도왔고, ''렉싱턴''은 다른 항공모함 소속 함재기들도 회수했다.
윌리엄 홀시 주니어 대장이 지휘하는 제3함대 소속 제38기동부대로 개칭된 후, ''렉싱턴''은 1944년 9월 초 다바오 오보 사건으로 동요하는 일본군을 공격하고, 9월 24일 세부 섬을 습격했다.[50] 10월 10일 십・십 공습으로 오키나와를, 10월 12일에는 대만 해전에서 대만을 공격했다.
1944년 10월 24일과 25일, 레이테 만 해전이 발발했다.[51] ''렉싱턴''은 24일 시부얀 해 해전에서 일본 전함 함대를 공격했고, 다음 날 엔가뇨 곶 해전에서는 지토세를 격침시키고, ''렉싱턴'' 소속 제19항공모함 항공군 사령관 T. 휴 윈터스 주니어 중령의 지휘 하에 즈이카쿠, 즈이호, 지요다(마무리는 후속 미 순양함 부대) 격침에 기여했다.
1944년 11월 5일, ''렉싱턴''은 클라크 공군 기지를 기습하여 마닐라 만에서 중순양함 나치를 격침했다. 그러나 같은 날 가미카제 특별공격대의 공격을 받아 함교 후부에 피해를 입어 약 50명이 사망하고 132명이 부상당했다. 일본은 또다시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도쿄 로즈는 ''렉싱턴'' 격침을 4번이나 방송했지만, 이후 목격 정보가 나올 때마다 "또 푸른 유령이 나타났다"라고 표현했다.[52]
1945년년, "렉싱턴"은 루손과 타이완의 비행장을 공격하고, 남중국해에서 일본 선박과 항공 시설을 공격했다. 사이판, 인도차이나 깜라인 만, 홍콩, 펑후 제도, 타이완을 대상으로 공격이 이루어졌고, 1월 12일 깜라인 만에서는 호송선단에서 4척의 상선과 4척의 호위함을 격침시키고, 다른 호송선단에서 최소 12척을 파괴했다.[13] 1월 20일 중국해를 떠나 1월 21일 타이완을, 1월 22일 오키나와를 다시 공격했다. 울리시 환초에서 보급을 받은 후, 2월 10일 도쿄 근처의 비행장을 공격하기 위해 2월 16일에 출항했고, 2월 17일에는 이오지마 상륙에 대한 반대를 최소화했다. ''렉싱턴''은 2월 19일부터 22일까지 공격 부대를 근접 지원한 후, 일본 본토와 난세이 제도에 대한 추가 공격을 위해 출항하기 전에 퓨젯 사운드에서 정비를 받았다.
1945년 5월 22일, ''렉싱턴''은 산 페드로 만에서 토마스 L. 스프라그 소장의 기동 부대에 합류,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일본 본토를 강타하는 마지막 공습 작전에 참여했다. 마지막 공습은 일본 항복 소식을 듣고 폭탄을 버리고 ''렉싱턴''으로 귀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혼슈와 홋카이도 비행장, 요코스카와 구레 해군 기지를 공격하여 일본 함대의 잔해를 파괴했다. 구레에서의 작전에서 ''렉싱턴''에서 출격한 F4U-1D 콜세어는 전함/항공모함 하이브리드인 ''이세''를 격침시켰다. 또한 도쿄 지역의 산업 목표물에 대한 폭격 공격도 수행했다.
적대 행위가 종료된 후, "렉싱턴"의 항공기는 일본 상공에서 공중 순찰을 계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해군 축소에 따라 "렉싱턴"은 1947년 4월 23일, 브레머턴에서 퇴역하여 국가 방위 예비 함대에 편입되었다.[14] 그러나 냉전이 시작되고, 한국 전쟁에서 동형함들이 활약하자, "렉싱턴"도 현역 복귀가 결정되었다. 1952년 10월 1일 공격 항공모함(CVA-16)으로 변경되었고, 1955년 SCB-27C 개장과 SCB-125 개장을 동시에 받아 함의 모습이 크게 바뀌었다.
1955년 8월 15일 재취역한 렉싱턴은 제7함대 소속으로 태평양에 배치되어 요코스카와 고베 등에 기항했다.[14] 1958년 제2차 대만 해협 위기와 1961년 라오스 위기 상황에서 AGM-12 불펍 유도 미사일로 무장한 항공기를 탑재하고 대기하기도 했다.
1962년, 대잠 항공모함(CVS-16)으로 함종이 변경되어, 앤티텀을 대신하는 연습 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다. "렉싱턴"은 펜사콜라, 코퍼스 크리스티, 뉴올리언스를 거점으로 활동하며 비행 훈련을 실시했다. 1967년 10월 17일 200,000번째 착함을 기록했고, 1969년 연습 항공모함(CVT-16), 1978년 착함 연습함(AVT-16)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대규모 정비를 받았으나, 걸프 전쟁 발발로 1991년까지 현역으로 남았고, 같은 해 11월 8일 퇴역했다. "렉싱턴"은 에식스급 항공모함 중 가장 오랜 기간(48년) 운용되었으며, 총 착함 횟수는 493,248회이다.
2. 1. 취역
렉싱턴은 당초 카봇(Cabot)이라는 함명으로 1941년 7월 15일 매사추세츠 주 퀸시의 베들레헴 스틸 주식회사에서 기공했다.[31] 1942년 6월 16일에 렉싱턴으로 개명되었고,[38][39] 1942년 9월 23일에 해군성차관 시어도어 더글러스 로빈슨 부인에 의하여 진수되었으며, 1943년 2월 17일에 초대함장 펠릭스 스탬프 대령의 지휘하에 취역하였다.CV-16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당초 대륙 해군의 최선임함 "카보트(USS Cabot (1775))"의 이름을 본함에 잇게 하려고 생각했다.[31] 그러나 건조 중이던 1942년 5월 상순의 산호해 해전에서 항공모함 "렉싱턴 (USS ''Lexington'', CV-2) "이 침몰했다.[37] CV-16의 건조에 관련된 종업원들은 해군 장관 프랭크 녹스에게 "CV-16에 '렉싱턴'의 이름을"이라고 요구했고, 이는 즉시 승인되어 6월 16일에 개명되었다.
9월 23일에 해군성 차관 Theodore Douglas Robinson|세오도어 더글러스 로빈슨영어의 미망인 헬렌 (선대 "렉싱턴"의 명명자이기도 하다)에 의해 명명 및 진수되었고, 1943년 2월 17일에 초대 함장 펠릭스 스탬프 대령의 지휘 하에 취역했다. 원래 1944년 완공 예정이었지만, 조선소는 전시 생산 체제에 의해 1년 단축하는 데 성공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8월 9일, 렉싱턴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여 진주만에 도착했다. 9월 말 타라와 환초와 웨이크 섬을 공격하고 진주만으로 돌아와 길버트 제도 전역 준비에 들어갔다. 11월 19일부터 24일까지 마셜 제도에서 수색 및 출격을 진행하며 길버트 제도 상륙을 지원했고, 11월 23일과 24일에는 함재기들이 29대의 적기를 격추했다.(길버트 제도 해전)12월 4일 콰잘레인 환초 공격에 참가하여 화물선을 파괴하고 순양함 2척에 피해를 입혔으며, 적 항공기 30대를 격추했다. 그러나 이날 밤 일본군 뇌격기의 공격을 받아 우현에 어뢰를 맞아 조타 장치가 고장났다. 함미가 약 1.52m 침하되고 연기를 뿜었으나, 피해 통제반의 노력으로 12월 9일 진주만에 도착, 12월 22일 브레머턴(워싱턴주)으로 이동하여 1944년 2월 20일까지 수리를 받았다.
1944년 3월 8일, 마크 미처 소장이 제58기동부대 지휘를 맡으면서 ''렉싱턴''은 마주로에서 기함 역할을 수행했다. 기동부대는 밀리 환초 공격 후, 4월 13일 육군의 자야푸라 상륙을 지원하고 4월 28일 추크 제도를 공격했다. ''렉싱턴'' 함재기는 17기의 적기를 격추했으나, 일본군은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6월 11일, ''렉싱턴''은 사이판 전투 초반 공격에 참여하여 일본군 기지를 공습했고, 16일에는 괌에서 출격한 일본군 뇌격기의 공격을 받았으나 피해는 없었고, 일본은 세 번째로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마리아나 해전에서 미처 제독은 야간에 전 함에 점등을 명령하여 공격대의 안전한 귀환을 도왔다.
윌리엄 할시 주니어 대장이 지휘하는 제3함대 소속 제38기동부대로 개칭된 후, 9월 초 일본군을 공격하고, 24일 세부 섬을 습격했다. 10월 10일 십・십 공습으로 오키나와를, 12일에는 대만 해전에서 대만을 공격했다.
10월 24일과 25일, 레이테 만 해전에서 ''렉싱턴''은 24일 시부얀 해 해전에서 일본 전함 함대를 공격했고, 다음 날 엔가뇨 곶 해전에서는 지토세, 즈이카쿠, 즈이호, 지요다 격침에 기여했다.
11월 5일, 클라크 공군 기지를 기습하여 마닐라 만에서 중순양함 나치를 격침했으나, 가미카제 특별공격대의 공격을 받아 함교 후부에 피해를 입어 약 50명이 사망하고 132명이 부상당했다. 일본은 또다시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1945년년, "렉싱턴"은 루손과 타이완의 비행장을 공격하고, 남중국해에서 일본 선박과 항공 시설을 공격했다. 사이판, 인도차이나 깜라인 만, 홍콩, 펑후 제도, 타이완을 대상으로 공격이 이루어졌고, 1월 12일 깜라인 만에서는 호송선단에서 4척의 상선과 4척의 호위함을 격침시키고, 다른 호송선단에서 최소 12척을 파괴했다. 1월 20일 중국해를 떠나 1월 21일 타이완을, 1월 22일 오키나와를 다시 공격했다. 울리시 환초에서 보급을 받은 후, 2월 10일 도쿄 근처의 비행장을 공격하기 위해 2월 16일에 출항했고, 2월 17일에는 이오지마 상륙에 대한 반대를 최소화했다. 2월 19일부터 22일까지 공격 부대를 근접 지원한 후, 일본 본토와 난세이 제도에 대한 추가 공격을 위해 출항하기 전에 퓨젯 사운드에서 정비를 받았다.
5월 22일 산 페드로 만으로 향하여, 토마스 L. 스프라그 소장의 기동 부대에 합류,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일본 본토를 강타하는 마지막 공습 작전에 참여했다. 마지막 공습은 일본 항복 소식을 듣고 폭탄을 버리고 ''렉싱턴''으로 귀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혼슈와 홋카이도 비행장, 요코스카와 구레 해군 기지를 공격하여 일본 함대의 잔해를 파괴했다. 구레에서의 작전에서 ''렉싱턴''에서 출격한 F4U-1D 콜세어는 전함/항공모함 하이브리드인 ''이세''를 격침시켰다. 또한 도쿄 지역의 산업 목표물에 대한 폭격 공격도 수행했다.
적대 행위가 종료된 후, "렉싱턴"의 항공기는 일본 상공에서 공중 순찰을 계속했다.
2. 2. 1. 1943년
1943년 8월 9일, 렉싱턴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여 진주만에 도착했다. 9월 말에는 타라와 환초와 웨이크 섬을 공격하고 진주만으로 돌아와 길버트 제도 전역 준비에 들어갔다. 11월 19일부터 24일까지 마셜 제도에서 수색 및 출격을 진행하며 길버트 제도 상륙을 지원했고, 11월 23일과 24일에는 함재기들이 29대의 적기를 격추했다.(길버트 제도 해전)12월 4일에는 콰잘레인 환초 공격에 참가하여 화물선 켄부 마루를 파괴하고 순양함 2척에 피해를 입혔으며, 적 항공기 30대를 격추했다. 그러나 이날 밤, 일본군 97식 함상 공격기와 덴잔 뇌격기의 공격을 받아 우현에 어뢰를 맞아 조타 장치가 고장나고 9명이 사망했다. 함미가 약 1.52m 침하되고 연기를 뿜으며 좌현으로 회전하기 시작했지만, 피해 통제반의 노력으로 응급 수동 조타 장치를 마련하여 12월 9일 진주만에 도착했다. 이후 12월 22일 브레머턴(워싱턴주)으로 이동하여 1944년 2월 20일까지 수리를 받았다. 이 공격 이후, 일본의 도쿄 로즈는 렉싱턴이 격침되었다고 보도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43]
2. 2. 2. 1944년
마크 미처 소장이 1944년 3월 8일에 제58기동부대 지휘를 맡으면서, ''렉싱턴''은 마주로에서 기함 역할을 수행했다. 기동부대는 밀리 환초 공격 후, 4월 13일 육군의 자야푸라 상륙을 지원하고 4월 28일 추크 제도를 공격했다. ''렉싱턴'' 함재기는 17기의 적기를 격추했으나, 일본군은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45][46][47]6월 11일, ''렉싱턴''은 사이판 전투 초반 공격에 참여하여 일본군 기지를 공습, 38기에서 100기의 일본기를 격파했다. 6월 16일에는 괌에서 출격한 일본군 뇌격기의 공격을 받았으나 피해는 없었고, 일본은 세 번째로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6월 19일, 마리아나 해전에서 ''렉싱턴''은 제1기동함대와 격돌했다.[48]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냥"이라 불린 전투에서 ''렉싱턴''의 편대장 알렉산더 브라시우 중위는 8분 만에 6기를 격추하는 큰 공을 세웠다. 미처 제독은 야간에 전 함에 점등을 명령하여 공격대의 안전한 귀환을 도왔고, ''렉싱턴''은 다른 항공모함 소속 함재기들도 회수했다.
윌리엄 할시 주니어 대장이 지휘하는 제3함대 소속 제38기동부대로 개칭된 후, ''렉싱턴''은 9월 초 다바오 오보 사건으로 동요하는 일본군을 공격하고, 9월 24일 세부 섬을 습격했다.[50] 10월 10일 십・십 공습으로 오키나와를, 10월 12일에는 대만 해전에서 대만을 공격했다.
10월 24일과 25일, 레이테 만 해전이 발발했다.[51] ''렉싱턴''은 24일 시부얀 해 해전에서 일본 전함 함대를 공격했고, 다음 날 엔가뇨 곶 해전에서는 지토세를 격침시키고, ''렉싱턴'' 소속 제19항공모함 항공군 사령관 T. 휴 윈터스 주니어 중령의 지휘 하에 즈이카쿠, 즈이호, 지요다(마무리는 후속 미 순양함 부대) 격침에 기여했다.
11월 5일, ''렉싱턴''은 클라크 공군 기지를 기습하여 마닐라 만에서 중순양함 나치를 격침했다. 그러나 같은 날 가미카제 특별공격대의 공격을 받아 함교 후부에 피해를 입어 약 50명이 사망하고 132명이 부상당했다. 일본은 또다시 ''렉싱턴'' 격침을 발표했다. 도쿄 로즈는 ''렉싱턴'' 격침을 4번이나 방송했지만, 이후 목격 정보가 나올 때마다 "또 푸른 유령이 나타났다"라고 표현했다.[52]
2. 2. 3. 1945년
1945년 첫 9일 동안, "렉싱턴"은 제58.2 기동 부대(TG 58.2)의 기함으로 루손과 타이완의 비행장을 공격했으며, 적의 저항은 거의 없었다. 그 후, 기동 부대는 남중국해에서 일본 선박과 항공 시설을 공격했다. 사이판, 인도차이나의 깜라인 만, 홍콩, 펑후 제도, 타이완을 대상으로 공격이 이루어졌다. 1월 12일 깜라인 만에서는 한 호송선단에서 4척의 상선과 4척의 호위함을 격침시키고, 다른 호송선단에서 최소 12척을 파괴했다.[13] 1월 20일 중국해를 떠나 북쪽으로 항해하여 1월 21일 타이완을, 1월 22일 오키나와를 다시 공격했다. 울리시 환초에서 보급을 받은 후, TG 58.2는 1945년 2월 10일 도쿄 근처의 비행장을 공격하기 위해 2월 16일에 출항했고,[13] 2월 17일에는 2월 19일의 이오지마 상륙에 대한 반대를 최소화했다. ''렉싱턴''은 2월 19일부터 22일까지 공격 부대를 근접 지원한 후, 일본 본토와 난세이 제도에 대한 추가 공격을 위해 출항하기 전에 퓨젯 사운드에서 정비를 받기 위해 항해했다.''렉싱턴''은 5월 22일 다시 전투에 투입되어 산 페드로 만으로 향하기 위해 앨러미다와 진주만을 경유했는데, 그곳에서 토마스 L. 스프라그 소장의 기동 부대에 합류하여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일본 본토를 강타하는 마지막 공습 작전에 참여했다. 마지막 공습은 일본 항복 소식을 듣고 폭탄을 버리고 ''렉싱턴''으로 귀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혼슈와 홋카이도 비행장, 그리고 요코스카와 구레 해군 기지를 공격하여 일본 함대의 잔해를 파괴했다. 구레에서의 작전에서 ''렉싱턴''에서 출격한 F4U-1D 콜세어는 전함/항공모함 하이브리드인 ''이세''를 격침시켰다. 심한 적의 공격을 받으면서, 부대 지휘관 레스터 월 주니어 소령은 1,000파운드 폭탄을 연통에 떨어뜨려 보일러를 폭파시키고, 4년 전 진주만의 USS 애리조나 파괴와 같은 대폭발로 함선의 용골을 파괴했다. 월 소령과 그의 비행대원 몇 명은 이 작전으로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또한 그녀는 도쿄 지역의 산업 목표물에 대한 폭격 공격도 수행했다.
적대 행위가 종료된 후, "렉싱턴"의 항공기는 일본 상공에서 공중 순찰을 계속했다. 앞서 언급된 월 소령은 혼슈의 일본군에 의해 버려진 포로 수용소를 처음 찾아내어 물자 투하를 지휘했다. 그는 이 임무로 공군 훈장을 받았다.
2. 3.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후 해군 축소에 따라 "렉싱턴"은 다른 에식스급 항공모함과 마찬가지로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냉전이 시작되고, 한국 전쟁에서 동형함들이 활약하자, "렉싱턴"도 현역 복귀가 결정되었다. 1952년 10월 1일 공격 항공모함(CVA-16)으로 변경되었고, 1955년 SCB-27C 개장과 SCB-125 개장을 동시에 받아 함의 모습이 크게 바뀌었다.
개장 후 "렉싱턴"은 제7함대에 소속되어, 1958년 제2차 대만 해협 위기와 1961년 라오스 위기 상황에서 부대를 전개했으며, 요코스카, 고베 등에도 기항했다.
1962년, 대잠 항공모함(CVS-16)으로 함종이 변경되어, 앤티텀을 대신하는 연습 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다. "렉싱턴"은 펜사콜라, 코퍼스 크리스티, 뉴올리언스를 거점으로 활동하며 비행 훈련을 실시했다. 1967년 10월 17일 200,000번째 착함을 기록했고, 1969년 연습 항공모함(CVT-16), 1978년 착함 연습함(AVT-16)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대규모 정비를 받았으나, 걸프 전쟁 발발로 1991년까지 현역으로 남았고, 같은 해 11월 8일 퇴역했다. "렉싱턴"은 에식스급 중 가장 오랜 기간(48년) 운용되었으며, 총 착함 횟수는 493,248회이다.
2. 3. 1. 냉전 시기
렉싱턴은 1947년 4월 23일 브레머턴에서 퇴역하여 국가 방위 예비 함대에 편입되었다.[14] 1952년 10월 1일 공격 항공모함(CVA-16)으로 재지정되었고, 1953년 9월 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에서 SCB-27C와 SCB-125 개장을 동시에 받아 제트 항공기 운용 능력을 확보했다. 주요 개장 내용은 경사 갑판, 증기식 캐터펄트, 새로운 아일랜드, 허리케인 선수 설치 등이었다.1955년 8월 15일 재취역한 렉싱턴은 제7함대 소속으로 태평양에 배치되어 요코스카와 고베 등에 기항했다.[14] 1958년 제2차 대만 해협 위기와 1961년 라오스 위기 상황에서 AGM-12 불펍 유도 미사일로 무장한 항공기를 탑재하고 대기하기도 했다.
1962년 1월, 렉싱턴은 멕시코만에서 안티에탐을 항공 훈련 항공모함으로 교대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1962년 10월 1일 대잠항모(CVS-16)로 재지정되었다.[15][16] 그러나 쿠바 미사일 위기로 인해 공격 항공모함 임무를 재개했고, 1962년 12월 29일 플로리다주 펜서콜라에서 ''안티에탐''을 교대했다.
1969년까지 렉싱턴은 펜서콜라, 코퍼스 크리스티 등에서 학생 조종사 및 현역, 예비역 해군 조종사 훈련 임무를 수행했다. 1967년 10월 17일 20만 번째 착륙을 기록했고, 1969년 1월 1일 연습항모(CVT-16)로, 1978년 7월 1일에는 착함 연습함(AVT-16)으로 재지정되었다.[15][16] 1980년 8월 18일에는 미국 해군 역사상 최초로 여성 승무원이 탑승한 항공모함이 되었다.[17] 1991년 11월 8일 퇴역할 때까지 훈련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
3. 박물관으로서
1991년 11월 26일, 미국 해군은 ''렉싱턴''을 코퍼스 크리스티 시에 넘겼다. 1992년 6월 15일, 이 함선은 박물관으로 기증되었고, 현재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 노스 쇼어라인 대로 2914번지에 위치한 "USS ''렉싱턴'' 만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방 항공기 엘리베이터 공간에는 아이맥스와 유사한 MEGA극장이 추가되었다. ''렉싱턴''은 2003년에 국립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 함선은 세심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이전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구역들이 몇 년마다 대중에게 공개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공개된 구역 중 하나는 캐터펄트실이다.
함선의 제2차 세계 대전 시대 포대는 폐기된 함선에서 회수된 포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있다.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중순양함의 해체 과정에서 보존된 5"/38 DP 주포 포탑이다. 이들은 함선의 제2차 세계 대전 시대 원래 장착의 일부로 유사한 마운트가 한때 존재했던 대략적인 위치에 장착되었다. 해안 경비대 커터 ''돈틀리스''의 개조 후, 그녀의 3"/50 구경 포가 ''렉싱턴''에 전시되었다.[22]
2010년 2월 5일, ''렉싱턴''은 17번째 연례 "스테이지도어 캔틴"을 개최했다.[23]
국립 해군 항공 박물관은 펜서콜라 해군 항공 기지에 작은 항공모함 갑판 모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 모형의 비행 갑판은 ''렉싱턴''에서 회수한 갑판 판자로 건설되었다.
"렉싱턴"의 퇴역 이후, 여러 도시가 박물관선으로 보존하기 위한 유치를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훈련 기지가 있었던 코퍼스 크리스티에서는 지역 경제계와 관계자들이 프로젝트 "Landing Force 16"을 결성하여 300만달러의 채권을 예정하고 해군 장관에게 기획을 제시하는 등 강력하게 추진한 결과, 1년 정도 만에 유치에 성공했다. 1992년 1월에는 해군이 박물관으로서의 기증을 공식 발표했으며, "렉싱턴"은 예인되어 6월 15일에 코퍼스 크리스티에 도착했다. 11월 14일 박물관 개관식에는 연방 정부와 해군의 고위 관계자들도 참석했으며, 이후 매년 25~30만 명이 방문하는 인기 명소가 되었다.
관내에서는 갑판의 항공기를 비롯한 역사적인 전시품 외에도, 아이맥스 극장도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격납 갑판에서는 대규모 이벤트도 개최 가능하다. 2003년에는 미국 국립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 요코스카시의 기념함 "미카사"에는 "렉싱턴"의 플레이트가 전시되어 있다.
"렉싱턴"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공으로 수훈 부대장을 수여받은 9척의 항공모함 중 한 척이며[59], 11개의 종군 성장을 수여받았다.
4. 대중매체
렉싱턴은 몇 편의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배우"로도 알려져 있다. 1975년 영화 ''미드웨이''와 1987년 TV 미니시리즈 ''전쟁과 추억''의 촬영 장소로 사용되었고,[24] 2001년 영화 ''진주만'' 촬영에도 사용되었다.[24]
2007년 7월에는 TV 프로그램 ''고스트 헌터스''가 ''렉싱턴''에서 유령을 찾는 촬영을 했으며,[25] 2014년 펩시는 2015년 슈퍼볼 광고 촬영에 이 배를 사용했다.[26]
4. 1. 영화
- 1970년 영화 《도라 도라 도라!》에서 일본 항공모함 아카기를 연기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카기가 아닌 자매함 요크타운이 촬영에 사용되었다.[24] 렉싱턴은 경사갑판을 갖췄고 아카기와 함교 위치가 좌우 반대였지만 이 점은 무시되었다. 촬영을 위해 프롭기인 AT-6 택산 및 발티 BT-13을 개조하여 준비하였고, 재현한 일본 해군 비행기(제로 전투기, 99식 함상폭격기, 97식 함상공격기)를 적재하였으며, 실제로 해상에서 발진하여 당시 화제가 되었던 여명의 출격 장면을 촬영하였다. 극중에 등장하는 항모 렉싱턴은 이 배의 한 세대 전이었던 다른 항모(CV-2)이다.
- 1976년 영화 《미드웨이》에서 미 해군 요크타운급 항공모함 3척을 연기했다.[24] 대전 중 렉싱턴의 파트너였던 실제 F4F 와일드캣 등을 발착시켰다.
- 2001년 영화 《진주만》에서 다시 한번 아카기를 연기했고,[24] "도라 도라 도라!"에 사용되었던 재현된 일본 비행기와 다시 만났다. (제로 전투기는 비행 가능했던 실제 기체였다.) 영화에서는 아카기의 좌측 함교를 재현하기 위해 일부러 함의 앞뒤를 바꾸어서 발진 장면을 촬영했고, 카메라 워크를 이용하여 경사갑판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도 있었다.
4. 2. TV 프로그램
렉싱턴은 다음과 같은 TV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1987년 TV 미니시리즈 《전쟁과 추억》에서 USS 엔터프라이즈 (CV-6)를 연기했다.[24]
- 2007년 7월, TV 프로그램 《고스트 헌터스》가 렉싱턴에서 유령의 증거를 찾는 촬영을 했다.[25]
- 2009년 12월, 디스커버리 채널의 《고스트 랩》 에피소드에 등장했다.[25]
- 2014년, 펩시는 2015년 슈퍼볼 광고 촬영에 렉싱턴을 사용했다. "작전 할프타임"이라는 제목의 이 광고에는 컨트리 음악 가수 블레이크 쉘턴이 참전용사와 그 가족을 위해 공연하는 모습이 담겨있다.[26]
5. 수상
렉싱턴의 승무원들은 일본군에 맞서 용감하게 싸운 공로로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11개의 전투 별과 그 외 여러 훈장을 받았다.[8]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 ||
공로 부대 표창 (1개의 근무 별 포함) | 해군 원정 훈장 | 중국 봉사 훈장 |
미국 전역 훈장 | 아시아-태평양 전역 훈장 (11개의 별 포함)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 |
해군 점령 봉사 훈장 ("아시아" 버클 포함) | 국가 방위 복무 훈장 (1개의 별 포함) | 군대 원정 훈장 (2개의 별 포함) |
특수 작전 봉사 리본 |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 필리핀 해방 훈장 (2개의 별 포함) |
참조
[1]
웹사이트
Lexington, USS (Aircraft Carrier)
https://tps.cr.nps.g[...]
National Park Service
2012-09-04
[2]
간행물
[3]
뉴스
Workers Name New Lexington
https://newspaperarc[...]
1942-06-17
[4]
웹사이트
NavSource Online: Aircraft Carrier Photo Archive
https://www.navsourc[...]
2021-09-18
[5]
DANFS
Lexington V
https://www.history.[...]
2012-01-20
[6]
서적
A Hero Perished: The Diary and Selected Letters of Nile Kinnick
University of Iowa Press
1992-09
[7]
웹사이트
Everybody's All-America
https://www.espn.com[...]
2010-04-25
[8]
서적
Nimitz
Naval Institute Press
[9]
웹사이트
Imperial Flattops
http://www.combinedf[...]
2024-05-21
[10]
서적
USN Carriers vs IJN Carriers: The Pacific 1942 (Duel)
Osprey Publishing
2007-11-20
[11]
서적
Kamikaze To Die for the Emperor
Pen & Sword Books Ltd
2014
[12]
웹사이트
https://www.history.[...]
2024-03-10
[13]
웹사이트
Catfight Over Chiba
https://www.tailhook[...]
2012-09-04
[14]
웹사이트
USS Lexington CV-16
https://www.navy.mil[...]
navy.mil
2012-09-04
[15]
웹사이트
Pensacola's Flattops
https://www.navalavi[...]
National Naval Aviation Museum
2014-07-09
[16]
웹사이트
Aircraft Carrier Photo Index: USS LEXINGTON (CV-16)
https://www.navsourc[...]
[17]
웹사이트
LEX Trivia
https://www.usslexin[...]
2020-09-14
[18]
웹사이트
https://thomas.loc.g[...]
[19]
웹사이트
Plane Manned By Student Pilot Crashes on Deck of Aircraft Carrier; 5 Killed
https://apnews.com/a[...]
[20]
웹사이트
Lexington Aircraft Crash Oct. 1958
https://video.yahoo.[...]
video.yahoo.com
2010-04-25
[21]
뉴스
Lexington's Crew Praised
https://news.google.[...]
1989-10-31
[22]
웹사이트
Harold A. Skaarup web pages
https://silverhawkau[...]
2021-04-01
[23]
웹사이트
17th Annual "Stagedoor Canteen"
https://www.usslexin[...]
2010-04-25
[24]
웹사이트
Bringing 'Pearl Harbor' to Corpus Christi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14-01-10
[25]
웹사이트
Ghost Lab Visits USS Lexington
https://thecelebrity[...]
CelebrityCafe.com
2010-04-25
[26]
웹사이트
Blake Shelton Performs "Halftime Show" For Veterans – Watch Video!
https://www.gossipco[...]
2014-11-20
[27]
웹사이트
Commanding Officers
http://www.navsource[...]
[28]
웹사이트
新レキシントン號の進水式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42-09-24
[29]
서적
大東亞時局語
https://dl.ndl.go.jp[...]
朝日新聞社
1944-02
[30]
서적
米海軍
https://dl.ndl.go.jp[...]
木村書店
1944-10
[31]
웹사이트
Loss of Ships Counterbalanced By New Fleet
https://hojishinbun.[...]
Hawaii Times, 1943.01.23
[32]
간행물
戦力増強の諸問題
https://dl.ndl.go.jp[...]
朝日新聞社
1944-12
[33]
간행물
海軍作戰史 ― 大東亞戰爭第一年 ―
https://dl.ndl.go.jp[...]
西東社
1943-05
[34]
웹사이트
Ship Nicknames
http://www.zuzuray.c[...]
2019-06-03
[35]
웹사이트
レキシントンは幽靈船
https://hojishinbun.[...]
Taihoku Nippō, 1942.03.02
[36]
웹사이트
The Naval Officers Club of Australia
http://www.navaloffi[...]
2019-03-19
[37]
서적
大東亞戰爭 海軍作戰寫眞記録 II
大本営海軍部
1943-12
[38]
웹사이트
建造中の航母をレキシントンと命名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2-06-19
[39]
웹사이트
建造中の米國空母 レキシントンと命名
https://hojishinbun.[...]
Tairiku Shinpō
1942-06-19
[40]
서적
A Hero Perished: The Diary and Selected Letters of Nile Kinnick
University Of Iowa Press
1992
[41]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恒文社
[42]
간행물
エセックス級のメカニズム (特集 米空母エセックス級)
海人社
[43]
문서
"[[#大本営発表S18(2)]] pp.28-29(6/12 十六、〇〇)"
[44]
웹사이트
USS Lexington (CV 16)
https://www.navysite[...]
2019-04-28
[45]
문서
"[[#大本営発表S19(1)]] p.26"
[46]
문서
"[[#大本営発表、昭和19年(1)]] pp.8-9"
[47]
문서
"[[#大本営発表S19(1)]] pp.26-27"
[48]
웹사이트
敵出動空母百隻と豪語
https://hojishinbun.[...]
Tairiku Shinpō
1944-06-24
[49]
문서
"[[#大本営発表S19(1)]] p.43(6月23日、マリアナ沖海戦発表)"
[50]
웹사이트
「垣情速報 第19号 昭和19年10月5日」、第16師団情報記録 昭和19年7月16日~19年10月13日
https://www.jacar.ar[...]
防衛省防衛研究所
[51]
웹사이트
比島沖海戰に参加の米軍艦
https://hojishinbun.[...]
Manira Shinbun
1944-11-02
[52]
서적
Blue Ghost Memoirs: USS Lexington CV-16, 1943-1945
Turner
[53]
문서
Friedman 1983, p.152
[54]
웹사이트
Report on Service Experience with Six Caliber .50 Gun Mounts, Mark 31 mod. 0,Forwarding of.
http://www.researche[...]
2019-10-14
[55]
서적
Essex Class Carriers: Of the Second World War (Shipcraft)
Seaforth Pubns
[56]
서적
Carrier Lexington
Texas a & M Univ Pr
[57]
웹사이트
The Digital Collections of the National WWII Museum-AERIAL VIEW OF UNIDENTIFIED AMERICAN POW CAMP
https://www.ww2onlin[...]
2019-10-14
[58]
웹사이트
米空母レ號上でお茶の會催す
https://hojishinbun.[...]
Hawaii Times
1956-08-15
[59]
웹사이트
NavSource Online: Aircraft Carrier Photo Archive USS Lexington (CV-16)
https://www.nav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