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SS 에식스 (CV-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S 에식스 (CV-9)는 1942년 취역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태평양 전역에서 여러 전투에 참여하여 13개의 전투 별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에서는 제1항공모함 기동전단의 기함으로 활약했다. 냉전 시기에는 대잠 지원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활동했고,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해상 봉쇄 작전에 참여했다. 1969년 퇴역하여 1975년 스크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선박 - USS 렉싱턴 (CV-16)
    USS 렉싱턴 (CV-16)은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훈련 항공모함으로 사용되었으며,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많은 훈장을 수여받고 현재는 박물관선으로 보존되어 있다.
  • 1942년 선박 - USS 아이오와 (BB-61)
    USS 아이오와(BB-61)는 "빅 스틱"으로 불리는 미국 해군의 아이오와급 전함 1번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대통령 수송 임무를 수행했으며 강력한 화력과 미사일 탑재 능력을 갖추었으나 포탑 폭발 사고 후 박물관으로 전환되어 로스앤젤레스에 전시 중이다.
  • 한국 전쟁의 미국 항공모함 - USS 오리스카니 (CV-34)
    USS 오리스카니(CV-34)는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건조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현대화 개장을 통해 함재기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 후 퇴역, 현재는 멕시코만 해저에 침몰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가 되었다.
  • 한국 전쟁의 미국 항공모함 - 에식스급 항공모함
    에식스급 항공모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이 건조한 항공모함으로, 태평양 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냉전 시대,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고, 일부는 개조되어 헬리콥터 상륙함이나 대잠수함 항공모함으로 활용되거나 우주선 회수 임무를 수행했으며 현재 일부는 박물관이나 인공 어초로 보존되어 있다.
  • 에식스급 항공모함 - USS 오리스카니 (CV-34)
    USS 오리스카니(CV-34)는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건조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현대화 개장을 통해 함재기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 후 퇴역, 현재는 멕시코만 해저에 침몰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가 되었다.
  • 에식스급 항공모함 - USS 요크타운 (CV-10)
    USS 요크타운 (CV-10)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군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침몰한 USS 요크타운 (CV-5)의 이름을 이어받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고 대잠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아폴로 8호의 승무원과 사령선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박물관 함선으로 전환되어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전시되어 있다.
USS 에식스 (CV-9) - [배(Ship)]에 관한 문서
함선 정보
1967년 6월의 USS 에식스
USS 에식스 (1967년 6월)
함명에식스
함명 유래에식스
별칭해군의 가장 맹렬한 함선
모토E Navibus Pugnissima
건조뉴포트 뉴스 조선소
발주1940년 7월 3일
기공1941년 4월 28일
진수1942년 7월 31일
취역1942년 12월 31일
재취역1951년 1월 15일
퇴역1947년 1월 9일
재퇴역1969년 6월 30일
재분류CVA-9 (1952년 10월)
CVS-9 (1960년 3월)
제적1973년 6월 1일
운명1973년, 고철 처리
가격7,800만 미국 달러
일반 사항
함급에식스급 항공모함
기준 배수량27,100 톤
만재 배수량36,380 톤
길이수선: 820 피트 (250 m)
전체: 872 피트 (270 m)
93 피트 (28 m)
흘수34 피트 2 인치 (10.4 m)
동력보일러: 바브콕 & 윌콕스 보일러 8기
마력: 150,000 shp
추진증기 터빈: 웨스팅하우스 증기 터빈 4기
스크류 프로펠러: 4축
속력33 노트
항속 거리20 노트에서 14,100 해리 마일
승조원장교 및 사병 2,600명
무장
주포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12문
대공포40 mm 보포스 대공포 32문
20 mm 오리콘 기관포 46문
장갑
수선대 벨트2.5-4 인치
갑판1.5 인치
격납고 갑판2.5 인치
격벽4 인치
항공기
탑재기그러먼 F4F 와일드캣: 36대
더글러스 SBD 돈틀리스: 36대
그러먼 TBF 어벤저: 18대
항공 장비중앙 엘리베이터 2기, 현측 엘리베이터 1기

2. 건조 및 취역

''에식스''는 1941년 4월 28일 뉴포트 뉴스 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1] 진주만 공격 이후 건조가 가속화되어 1942년 7월 31일에 선체 진수되었고, 1942년 12월 31일 취역했다. 초대 함장은 도널드 B. 던컨 대령이었다.[1]

2. 1. 건조 배경 및 계획

진주만 공격 이후, 뉴포트 뉴스 조선소에서 건조 계약이 수정되어 가속화된 건조 후 1942년 7월 31일 선체 진수되었으며, 당시 해군 항공차관의 아내인 앨리스 트루비 데이비슨이 후원했다.

2. 2. 건조 과정

버지니아주 뉴포트뉴스의 뉴포트 뉴스 조선소에서 1941년 4월 28일 ''에식스''의 기공이 시작되었다.[1] 진주만 공격 이후, USS 요크타운 (CV-10), USS 호넷 (CV-12)과 함께 에식스급 항공모함 건조 계약이 수정되어 건조가 가속화되었다.[1] 1942년 7월 31일 진수되었으며, 당시 해군 항공차관 부인 앨리스 트루비 데이비슨이 후원하였다.[1] 1942년 12월 31일 취역했으며, 도널드 B. 던컨 대령이 초대 함장을 맡았다.[1]

3. 제2차 세계 대전

''에식스''는 빠른 건조 시험과 해상 훈련을 마친 후, 1943년 5월 태평양으로 이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에식스급 항공모함은 태평양 전쟁에서 미 해군 기동부대의 핵심 전력으로 활약하며, 일본 해군과의 주요 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 남은 기간 동안 ''에식스''는 최전선에서 활약하며, 10월 1일 오키나와,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포르모사를 공격했고, 레이테 상륙을 지원했으며, 10월 24일과 25일에 레이테만 해전에 참여했다. 10월 30일까지 일본 함대를 수색한 후, 캐롤라인 제도, 울리시 환초로 돌아와 보급을 받았다. 11월에는 마닐라와 필리핀 북부를 공격했다.

11월 25일, 가미카제가 ''에식스''의 비행 갑판 좌현 가장자리에 명중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15명이 사망하고 44명이 부상당했다.[24]

''에식스''는 1944년 11월 25일 필리핀 근처에서 ''가미카제'' 공격을 받았다.


빠른 수리를 마친 후, 1944년 12월 14일부터 16일까지 민도로섬 전투를 지원했다. 태풍 코브라를 겪은 후, 생존자 수색에 참여했다.

1945년 1월, ''에식스''는 링가옌만 상륙작전을 지원하고, 남중국해에서 일본군 수송선단을 공격했다.[1] 1월 20일~21일에는 세 번째 태풍을 겪은 후, 포르모사, 미야코지마, 오키나와를 공격했다.[1]

''에식스''는 TF 58과 함께 2월 16일과 17일에 도쿄 지역을 공격했고, 2월 25일에는 이오지마 상륙을 지원했다. 3월 23일부터 5월 28일까지는 주로 오키나와 점령을 지원했다.[1]

1945년 7월 10일부터 8월 15일까지, ''에식스''는 일본 본토에 대한 마지막 공습에 참여했다.[1] 일본의 항복 이후, 9월 3일까지 방어적인 전투 초계를 수행했다.[1]

3. 1. 초기 태평양 전역 (1943)

진주만을 출발한 에식스는 제16기동전단(TF 16)과 함께 마커스 섬 공격에 참여했다.[14] 1943년 8월 31일, 제14기동전단(TF 14)의 기함으로 지정되었고, 10월 5일과 6일에는 웨이크섬을 공격했다.[14] 11월 11일, 벙커힐, 인디펜던스와 함께 라바울 공격에 참여하여 제2수뢰전대에 타격을 가했다.[15][16][17][18] 그러나 제3차 부겐빌 섬 항공전에 조우하여 공격을 중단하고 솔로몬 해역에서 철수했다.[19]

이후, 에식스는 제50.3기동부대(TG 50.3)과 함께 타라와 전투에 참여, 길버트 제도를 공격했다. 해상 보급 후, TG 50.3의 기함으로 콰잘레인을 공격하여 시설과 함선에 타격을 입혔다.

3. 2. 중부 태평양 전역 (1944)

마크 미처 소장이 후임 사령관으로 취임하면서 부대 명칭도 "제58임무부대"가 되었다.[20] 「에식스」는 항공모함 「인트레피드」, 「카보트」와 함께 제58.2임무군(몽고메리 소장)에 소속되어, 1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콰잘레인 전투를 지원했다. 작전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자 에니웨토크 전투가 앞당겨 실시되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 트럭 섬 공습이 실시되었다. 「에식스」가 속한 제58.2임무군은 제58.1임무군(존 W. 리브스 소장)[21] 및 제58.3임무군(F.C. 셔먼 소장)[22]과 함께 2월 17일과 18일에 공습을 실시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데 성공했다. 세 개의 임무군은 일단 철수한 후, 2월 23일에 사이판 섬, 테니안 섬 및 을 공격하여 일본 측 보급로에 추가적인 타격을 가했다(마리아나 제도 공습). 일련의 작전을 마치고 「에식스」는 오버홀을 위해 샌프란시스코로 회항했다.

오버홀을 마친 「에식스」는 미국 해군 항공대의 에이스 파일럿인 데이비드 맥캠벨 소령이 이끄는 제15비행단을 탑재하고, 항공모함 「와스프」, 「샌 자시토」와 함께 제58.4임무군을 구성하여, 5월 19일부터 20일까지 남조도를, 5월 24일에는 웨이크섬을 각각 공격했다. 이어진 마리아나-파라오 제도 전투에서는 6월 12일부터 8월 10일까지 마리아나 제도 점령, 6월 19일부터 20일까지의 마리아나 해전, 그리고 9월 6일부터 8일까지 팔라우 제도 점령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항공 지원에 힘썼다. 이 기간 동안 「에식스」가 속한 대함대의 사령관은 제5함대의 스프루언스 대장에서 제3함대의 핼시 대장으로 바뀌었고, 제58임무부대는 제38임무부대로 개칭되었다. 바로 뒤이어 9월 9일부터 10일까지는, 제38.3임무군(F.C. 셔먼 소장)의 한 척으로서 민다나오 섬 공격을 실시하여, 펠렐리우 전투를 지원했다. 「에식스」는 점령한 지 얼마 안 된 울리시 환초로 귀환했다. 10월 2일에 태풍이 덮쳤지만 이를 넘기고, 10월 6일에 남서 제도 및 타이완 공격을 위해 출격했다.

3. 3. 레이테만 해전과 필리핀 전역 (1944-1945)

"에식스"의 함재기는 1944년 10월 10일 오키나와섬을 (십.십 공습),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타이완 각지를 공습하여 미군의 레이테섬 상륙을 지원했다.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레이테만 해전에 참가하여, 전함 무사시 격침 등에 기여했다.[20]

그 후 10월 30일까지 일본 함대를 수색한 후, 울리시 환초로 일단 귀환하여 보급을 받았다. 11월에는 마닐라 공습 등 필리핀 북부 요소를 공습하여 일본군에게 압력을 가했다. 11월 20일, 울리시 환초는 일본 해군의 인간 어뢰 '회천'에 의한 습격을 받아 "에식스"의 눈앞에서 급유함 미시시네와가 폭발, 불탔다.[23] 11월 25일, "에식스"는 가미카제 공격으로 처음 피해를 입었다. 이날 일본군은 영식 함상 전투기, 혜성, 은하를 주력으로 하는 5개의 가미카제 특별 공격대를 발진시켜, 제38.2임무군()의 "인트레피드", "카보트"에 피해를 입혔고, "핸콕"에도 경미한 피해를 입혔다.[24] "에식스"는 특공기 2기의 공격을 받아 1기를 격추했지만, 다른 1기가 비행 갑판에 명중, 15명이 전사하고 44명이 부상당했다. 하지만 심각한 피해는 아니었고, "인트레피드"의 함재기를 일시 수용했다. 핼시 대장은 가미카제 공격으로 인해 11월 26일 공격 중단을 결정했고, 제38임무부대(존 S. 매케인 시니어 중장)는 필리핀 해역에서 일시 철수했다.

"에식스"에 돌입하는 혜성 함폭 (1944년 11월 25일).


울리시 환초에서 수리 후, "에식스"는 12월 14일부터 16일까지 민도로섬 전투를 지원했다. 태풍 코브라를 겪은 후, 생존자 수색에 참여했다. 1945년 "에식스"는 타이완, 선도 제도, 오키나와섬, 루손섬 공격에 참여, 링가옌만 상륙작전을 시작으로 하는 루손섬 전투를 지원했다. 제38임무부대는 남중국해에 진입, 사이공, 하이난섬, 홍콩, 중국 연안부를 공격하여 히86 선단 등을 전멸시켰다(그라티튜드 작전). 1월 20일부터 21일까지 태풍을 겪은 후, 1월 26일부터 27일까지 타이완, 오키나와섬, 미야코섬을 재차 공격하고 울리시 환초로 귀환했다. 이후 핼시 대장은 스푸루언스 대장과 교체, 함대 명칭은 제5함대가 되었고, 제38임무부대는 제58임무부대가 되어 마크 미처 중장이 지휘를 맡았다.

3. 4. 일본 본토 공격과 종전 (1945)

1945년 1월, ''에식스''는 링가옌 만 상륙 작전을 지원하고, 남중국해에서 일본군 수송선단을 공격했다.[1] 1월 20일~21일에는 세 번째 태풍을 겪은 후, 포르모사, 미야코지마, 오키나와를 공격했다.[1] 2월 16일~17일에는 도쿄 지역을 공격하여 일본 본토 공습에 참여했고,[1] 2월 25일에는 이오지마 상륙을 지원했다.[1] 3월 23일부터 5월 28일까지는 주로 오키나와 점령을 지원했다.[1]

1945년 7월 10일부터 8월 15일까지, ''에식스''는 일본 본토에 대한 마지막 공습에 참여했다.[1] 일본의 항복 이후, 9월 3일까지 방어적인 전투 초계를 수행하다가, 워싱턴주 브레머턴으로 이동하여 비활성화 준비를 했다.[1]

4. 한국 전쟁 (1950-1953)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예비역에 있던 에식스는 1951년 1월 16일에 재취역하여 현대화 개조를 받았다. 이 개조를 통해 에식스는 새로운 비행 갑판과 유선형의 함교 상부 구조를 갖추게 되었으며, 제트기 운용 능력을 확보했다.[25] 하와이 해역에서의 짧은 훈련을 거친 후, 에식스는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에식스는 제1 항공모함 기동전단과 제77기동부대의 기함으로 활약했으며, F2H 밴시를 전투 임무에 처음으로 투입한 항공모함이었다.[25] 1951년 9월 16일, 전투 중 손상된 F2H 밴시 한 대가 에식스의 비행 갑판에 추락하여 폭발과 화재가 발생, 7명이 사망했다.[25] 에식스는 요코스카에서 수리를 받은 후, 10월 3일 전선에 복귀하여 압록강까지 공격을 감행하고, UN군에 근접 항공 지원을 제공했다.[25]

에식스는 1951년 8월부터 1952년 3월, 1952년 7월부터 1953년 1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25] 1952년 8월 29일, 에식스의 함재기는 복서의 함재기 및 육상 기지에서 발진한 공군기 약 1,000기와 협력하여 평양을 폭격했다.[25] 9월 1일에는 복서, 프린스턴과 함께 경흥군의 석유 기지를 공격했다.[25] 닐 암스트롱이 에식스에 파일럿으로 배속되어 있었으며, 종군 작가 제임스 미치너는 에식스에 탑승하여 『토코리의 다리』를 집필했다.[25]

미국 해군은 한국 전쟁에 에식스급 항공모함 8척과 코멘스먼트 베이급 항공모함 등의 소형 항공모함 6척을 투입했다.

1953년 12월 1일, 에식스는 동중국해에서 "평화 순찰" 작전을 수행했다.[25]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에식스와 복서에게 프랑스군 구원 준비를 하도록 지시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26]

5. 냉전 시기 (1954-1969)

1961년 4월, ''에식스''는 피그스 만 침공 당시 CIA가 후원하는 폭격기에 공중 지원을 제공하는 비밀 임무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VA-34 소속 A4D 스카이호크 12대가 ''에식스''에 탑재되었다. 이 항공기들은 20mm Mk-12 기관포와 "대전차" 탄두를 장착한 LAU-3a 19발 2.75 FFAR 포드 1개로 무장했으며, 모든 식별 표시는 회색 페인트로 가려졌다. 그러나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명령으로 작전은 마지막 순간에 중단되었고, 승무원들은 기밀 유지를 맹세했다.[28]

250x250픽셀


1961년 후반, ''에식스''는 로테르담, 함부르크, 그리녹을 방문하는 "사람 대 사람" 항해를 북유럽으로 떠났다. 함부르크 방문 동안 백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함선을 찾았으며, 출항 도중 ''에식스''는 얕은 엘베강에서 좌초될 뻔했다. 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는 심한 북대서양 폭풍(1962년 1월)을 만나 주요 구조적 피해를 입었고, 1962년 초 브루클린 해군 조선소에서 대대적인 점검을 받았다.[11]

1962년 10월, ''에식스''는 쿠바 미사일 위기에 대응하여 쿠바 해상 봉쇄(격리) 작전에 참여했다.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에서 해상 시험을 막 마친 ''에식스''는 카리브해에서 한 달 이상 "격리" 임무를 수행하고 추수감사절 직전에 귀국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봉쇄가 전쟁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봉쇄" 대신 "격리"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8]

1962년 촬영된 에식스(후방).

5. 1. 대서양 함대 및 지중해 배치

1957년 가을, ''에식스''는 NATO의 스트라이크백 훈련에 대잠 항공모함으로 참가했다.[27] 이 훈련에는 에식스 외에도 타라와, 와스프, 인트레피드, 아크 로열, 불워크, 이글 등 7척의 항공모함과 아이오와, 위스콘신 등 2척의 전함, 메이컨, 올버니 등 2척의 중순양함, 전술 지휘함 노샘프턴, 3척의 경순양함, 포레스탈, 사라토가 등 2척의 포레스탈급 항공모함, 보스턴, 캔버라 등 2척의 방공 미사일 순양함, 노틸러스, 시울프 등 2척의 원자력 잠수함을 포함하여 총 200척의 함정이 참가했다. 이 훈련은 "노르웨이 북방 해역으로부터의 위협"을 가정하여 진행되었다.

1958년 2월, ''에식스''는 제6함대와 함께 지중해 동부에 배치되었다. 7월 15일에는 이라크의 7월 14일 혁명과 1958 Lebanon crisis|1958년 레바논 위기영어에 대응하여 ''사라토가'', ''와스프'', 미사일 순양함 ''보스턴'', 중순양함 ''데모인''과 함께 베이루트에 상륙하는 미국의 평화 유지군을 지원했으며, 8월 20일까지 초계 활동을 계속했다.[27]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가 발발하자, ''에식스''는 제7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여 타이완 근해로 이동했다. 9월 16일에는 진주만으로 귀환하는 ''미드웨이''를 대신하여 ''샹그릴라'', ''핸콕'', ''렉싱턴'' 등과 함께 타이완 해협에 배치되었다.[27]

임무를 마친 후 ''에식스''는 메이포트로 돌아와 일상적인 항공 업무를 수행했다. 이후 지중해 동부로 다시 이동하여 1959년 가을에는 제2함대 및 영국 함대와 함께 훈련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프랑스 프레쥐에서 발생한 홍수 피해자들을 돕는 활동에 참여했다.

5. 2. 대잠 지원 항공모함으로의 개조

1961년 후반, ''에식스''는 로테르담, 함부르크, 그리녹을 방문하는 "사람 대 사람" 항해를 북유럽으로 마쳤다. 함부르크 방문 동안 백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에식스''를 방문했다. 출항하는 동안 ''에식스''는 얕은 엘베강에서 좌초될 뻔했다. 미국으로 돌아오는 항해에서, 그녀는 심한 북대서양 폭풍(1962년 1월)을 만나 주요 구조적 피해를 입었다. 1962년 초, 브루클린 해군 조선소의 드라이 도크로 들어가 주요 점검을 받았다.[11]

케네디 대통령은 1962년 10월 쿠바에서 발견된 소련 미사일 존재에 대응하여 쿠바에 해군 "봉쇄"를 발동했는데, ''에식스''는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에서 해상 시험을 막 마치고 이 "격리"를 시행하는 미 해군 함선 중 하나로서 카리브해에서 한 달 이상을 보냈고, 추수감사절 직전에 귀국했다. 케네디는 봉쇄가 전쟁 행위가 될 것이고 미국과 쿠바 사이에 전쟁이 선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제법상의 이유로 "봉쇄" 대신 "격리"라는 단어를 사용했다.[11]

5. 3. 피그스 만 침공과 쿠바 미사일 위기

1961년 4월, ''에식스''는 해군 조종사들의 항공모함 자격 획득을 지원하기 위한 "정기 훈련" 항해를 가장하여 피그스 만 침공 동안 CIA가 후원하는 폭격기에 공중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받았다. ''에식스''에는 VA-34 소속의 12대의 A4D 스카이호크가 탑재되었으며, 이 항공기들은 "실탄" 탄약이 장착된 20mm Mk-12 기관포와 "대전차" 탄두가 장착된 LAU-3a 19발 2.75 FFAR 포드 1개로 무장했다. 며칠 동안 ''에식스''의 항공기들은 주간에만 두 대씩 임무를 수행했으며, 모든 식별 표시는 무광 회색 페인트로 가려졌다. 그러나 이 임무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마지막 순간에 중단되었고, ''에식스'' 승무원들은 기밀 유지를 맹세했다.[28]

1962년 10월, ''에식스''는 6개월간의 점검을 마치고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에서 해상 시험을 받던 중, 케네디 대통령이 쿠바에서 발견된 소련 미사일 존재에 대응하여 쿠바에 해군 "봉쇄"를 발동했다. 케네디는 봉쇄가 전쟁 행위가 될 것을 우려하여 "봉쇄" 대신 "격리"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에식스''는 이 "격리"를 시행하는 미 해군 함선 중 하나로서 카리브해에서 한 달 이상을 보냈으며, 추수감사절 직전에 귀국했다.[28]

5. 4. 퇴역

1966년 11월 10일, NATO 훈련 중 에식스는 잠수 중이던 USS 노틸러스와 충돌했다. 잠수함은 돛에 큰 손상을 입고 자력으로 항구로 돌아갔다. 에식스는 선체가 열리고 함선의 속도 지시 장비가 파괴되었지만, 자력으로 항구에 도착할 수 있었다. 이후 에식스는 보스턴 해군 조선소에서 대대적인 정비 및 선체 수리를 받았다.

1968년 5월 25일, 에식스는 노르웨이 해에서 소련 투폴레프 Tu-16 중폭격기의 근접 비행을 4번 받았다. 네 번째 비행에서 비행기 날개가 해면에 부딪혀 비행기가 파괴되었다. 에식스는 구조 헬리콥터를 출격시켰지만, 승무원은 모두 사망했다. 시신 3구와 잔해는 구명정을 통해 소련 구축함으로 옮겨졌다.[7][8]

에식스는 아폴로 1호 우주 임무의 주요 회수 항공모함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1967년 1월 27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발사 단지 34에서 우주선 내 화재로 승무원이 사망하여 임무는 취소되었다. 이후 아폴로 7호 임무의 주요 회수 항공모함이 되어, 1968년 10월 22일 푸에르토리코 북쪽에서 스플래시다운한 아폴로 7호 승무원을 회수했다.[9]
아폴로 7호 승무원이 1968년 에식스에서 환영받는 모습
에식스는 닐 암스트롱이 한국 전쟁 당시 복무했던 주력 함선이었다.

에식스는 1969년 6월 30일 보스턴 해군 기지에서 퇴역했다.[10][11] 1973년 6월 1일 해군 선박 등록부에서 삭제되었고, 1975년 6월 1일 국방 재활용 및 마케팅 서비스(DRMS)에 의해 스크랩으로 판매되어 뉴저지주 키어니에서 해체되었다.[12][11]

6. 수상 내역

에식스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13개의 전투 별과 여러 부대 표창을 받았다.

수상 내역
해군 부대 표창
우수 부대 표창
해군 원정 메달 (3회)
중국 봉사 메달
미국 전역 메달
아시아-태평양 전역 메달 (13개 전투 별)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메달
해군 점령 봉사 메달 (아시아 클래스 포함)
국가 방위 복무 메달 (2회)
한국 봉사 메달 (4개 전투 별)
군사 원정 메달 (2개 전투 별)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필리핀 해방 메달 (2개 전투 별)
유엔 한국 메달
대한민국 참전 기념 메달


참조

[1] 웹사이트 USS Essex (CV-9) http://www.navy.mil/[...] 2017-12-31
[2] 문서
[3] 서적 Kamikaze: To Die for the Emperor Pen & Sword Books Ltd 2014
[4] 뉴스 Big Warships Return From Pacific Sector 1945-09-16
[5] 서적 History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first Indochina War, 1947-1954 https://www.jcs.mil/[...]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1-04-16
[6] 뉴스 U.S. denies Arabian Sea "buzzing" 1960-11-10
[7] 웹사이트 That time a Soviet bomber crashed into the sea after buzzing a US aircraft carrier 14 April 2016 https://theaviationi[...]
[8] 웹사이트 That Time a Soviet Tu-16 Crashed Into Sea After Buzzing USS Essex Aircraft Carrier https://theaviationg[...] 2019-11-05
[9] 뉴스 Apollo 7 returns safely to Earth in 1968, raising hopes that man would soon land on the moon http://www.nydailyne[...] 2016-10-24
[10] 웹사이트 Essex CVS-9 http://www.navsource[...] 2015-05-14
[11] 서적 USS Essex CV/CVA/CVS-9 https://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12] 웹사이트 Essex CVS-9 "{{Naval Vessel Regi[...] 2015-05-14
[13] 웹사이트 CARRIER USS "ESSEX" https://www.ussessex[...] 2019-08-26
[14] 문서 『戦史叢書96』375ページ
[15] 문서 『戦史叢書96』413ページ
[16] 문서 『戦史叢書96』413ページ
[17] 문서 『戦史叢書96』413ページ
[18] 문서 『戦史叢書96』413ページ
[19] 문서 『戦史叢書96』417ページ
[20] 문서 『戦史叢書96』589ページ
[21] 문서 『戦史叢書96』589ページ
[22] 문서 『戦史叢書96』589ページ
[23] 문서 ウォーナー『ドキュメント神風 上』233ページ
[24] 문서 戦史叢書93巻大本営海軍部・聯合艦隊(7)戦争最終期231-232ページ
[25] 웹사이트 USS Essex (CV 9) 18 Jul-4 Sep 1952 https://www.history.[...] 2018-12-15
[26] 뉴스 When Ike Was Asked to Nuke Vietnam https://www.washingt[...] 1982-08-22
[27] 웹사이트 USE OF NAVAL FORCE IN CRISES: A THEORY OF STRATIFIED CRISIS INTERACTION VOLUME II https://apps.dtic.mi[...] 2019-01-02
[28] 웹사이트 JFK’s address on Cuban Missile Crisis shocks the nation {{!}} October 22, 1962 https://www.history.[...] 2018-12-15
[29] 웹사이트 NavSource Online: Aircraft Carrier Photo Archive USS USS ESSEX(CV-9)(later CVA-9 and CVS-9) https://www.nav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