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은 히가시야마 천황의 손자이자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아들로, 나카미카도 천황의 유자를 거쳐 친왕 선하를 받았다. 1753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간인노미야를 계승했으며, 이후 고모모조노 천황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그의 여섯째 아들인 모로히토 친왕이 고카쿠 천황으로 즉위했다. 고카쿠 천황은 아버지인 스케히토 친왕에게 태상천황의 존호를 올리려 했으나, 에도 막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존호 사건). 1794년 사망 후,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쿄코 천황이라는 시호와 태상천황의 존호를 추증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존 천황 - 진구 황후
진구 황후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일본의 전설적인 인물로, 섭정 기간 동안 구마소 정벌과 삼한 정벌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왜곡된 측면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 추존 천황 - 사와라 친왕
사와라 친왕은 나라 시대의 황족이자 간무 천황의 동생으로, 후지와라노 타네츠구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중 사망 후 스도 천황으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미스터리로 남아 원령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고카쿠 천황 - 하무로 요리코
하무로 요리코는 고카쿠 천황의 텐지로서 2남 1녀를 낳았으나 모두 요절했고, 민부쿄 텐지로 불리며 쇼신 법친왕과 손보 법친왕의 양모가 되었으며, 1846년에 사망했다. - 고카쿠 천황 - 가주지 다다코
고카쿠 천황의 후궁이자 닌코 천황의 생모인 가주지 다다코는 간슈지 츠네미치의 딸로, 덴지로 입궁하여 천황을 낳고 사후 준삼후로 추증되었으며, 묘소는 센뉴지 별원에 있다. - 간인노미야 -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은 동산 천황의 여섯 번째 황자이자 간인노미야의 초대 당주로서, 그의 후손인 고카쿠 천황이 황통을 잇는 데 기여했다. - 간인노미야 -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은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 황족이자 군인으로, 간인노미야 가문을 계승하고 러일 전쟁과 청일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난징 대학살과 화학 무기 사용을 승인하는 등 전쟁 범죄에 연루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쿄고 천황 (스케히토 친왕) |
원어 이름 | 慶光天皇 (典仁親王) |
![]() | |
시호 | 쿄고 천황, 쿄고인 |
휘 | 스케히토 |
작위 | 친왕 |
추가 작위 | 태상천황 (추존) |
가문 | 간인노미야 |
출생 | 교호 18년 2월 17일 (1733년 4월 1일) |
사망 | 간세이 6년 7월 6일 (1794년 8월 1일) |
매장일 | 간세이 6년 7월 21일 (1794년 8월 16일) |
묘소 | 로잔지 능 |
![]()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 (히가시야마 천황 황자) |
어머니 | 사누키 |
배우자 (비) | 후사코 내친왕 (시게히토 친왕의 딸) |
배우자 (뇨보) | 오오나카토미 스케노리의 딸, 리테, 시운인, 오사, 오오에 이와시로, 카쿠, 카타노 |
자녀 | 10남 2녀 (간인노미야 하루히토 친왕, 슈닌 법친왕, 요시노미야, 고엔 입도친왕, 야스노미야, 신닌 법친왕, 소쿄 여왕, 고카쿠 천황, 에닌 법친왕, 세이노미야, 코우노미야, 타테노미야) |
2. 약력
히가시야마 천황의 황자 나오히토 친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742년(간포 2년) 나카미카도 천황의 유자가 되었고, 그 다음 해에 친왕 선하를 받았다. 1744년(엔쿄 원년) 원복하여 다자이노소치에 임명되었고, 이후 "소노미야(帥宮)"라고 불렸다. 1748년(칸엔 원년) 조정으로부터 니혼에 서임되었고, 수신 병장을 하사받았다. 다음 해, 나리코 내친왕(나카미카도 천황 황녀)을 비로 맞이했다. 1753년(호레키 3년), 아버지 나오히토 친왕이 훙거하자 간인노미야를 이었다. 1779년(안에이 8년), 고모모조노 천황이 아들 없이 붕어하자, 덴닌 친왕의 여섯째 아들 사토히토 친왕이 천조했다. 1780년(안에이 9년), 덴닌 친왕은 잇폰으로 승진했다.
1789년(칸세이 원년), 고카쿠 천황은 아버지 덴닌 친왕에게 태상천황 존호를 바치려고 나카야마 나리아치카를 에도 막부와 교섭에 임하게 하였다. 그러나,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등은 "황위에 오르지 않은 사람에게 존호를 주는 것은 명분을 어지럽히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조정과 막부의 계속된 교섭에도 불구하고, 1792년(칸세이 4년) 고카쿠 천황은 이를 단념하였다. 이 사건(존호 사건)으로 조정과 막부의 관계는 악화되어,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실각하는 원인이 되었다. 덴닌 친왕은 1794년(칸세이 6년) 7월 6일에 훙거했다. 덴닌 친왕의 첫째 아들인 요시히토 친왕이 간인노미야를 이었다.
1884년(메이지 17년), 메이지 천황의 외조부 나카야마 타다요시는, 덴닌 친왕에게 존호 추증을 발의했다. 같은 해 3월, 덴닌 친왕은 메이지 천황의 고조부(그리고 현재 황실의 조상)라는 이유로, "'''게이코 천황'''"이라는 시호와 "태상천황" 존호를 메이지 천황으로부터 받았다.[1] 이후, 간인노미야 덴닌 친왕이 아니라, 게이코 천황 또는 게이코인이라고 칭해진다. 다만 역대 천황의 대수에는 세어지지 않는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히가시야마 천황의 손자이자, 칸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 1742년(간포 2년), 나카미카도 천황의 유자가 되었고, 이듬해 친왕 선하를 받았다. 1744년(엔쿄 원년), 원복 후 다자이노소치에 임명되어 "소노미야(帥宮)"라 불렸다. 1748년(칸엔 원년), 조정으로부터 니혼에 서임되었고, 수신 병장을 하사받았다. 이듬해 나카미카도 천황의 황녀 나리코 내친왕을 비로 맞이했다.[1]2. 2. 칸인노미야 계승
閑院宮典仁親王|칸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일본어은 호레키 3년(1753년) 아버지 칸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이 사망하자 칸인노미야를 계승하였다.[1]2. 3. 고카쿠 천황 즉위와 존호 사건
1779년 고모모조노 천황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스케히토 친왕의 여섯째 아들 모로히토 친왕(토모히토 친왕)이 고카쿠 천황으로 즉위하였다.[1] 1780년 덴닌 친왕은 잇폰으로 승진했다.[1] 고카쿠 천황은 아버지 덴닌 친왕에게 태상천황 존호를 올리려 했으나, 에도 막부의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등이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존호 사건)[1]1789년 고카쿠 천황은 아버지 덴닌 친왕에게 태상천황 존호를 바치려고 나카야마 나리아치카를 에도 막부와 교섭에 임하게 하였으나,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등이 반대하였다. 조정과 막부의 계속된 교섭에도 불구하고, 1792년 고카쿠 천황은 이를 단념하였다.[1] 1794년 덴닌 친왕이 사망하고, 장남인 간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이 간인노미야를 이었다.[1]
2. 4. 사후 추증
1884년(메이지 17년) 3월, 메이지 천황의 외조부 나카야마 타다요시의 발의로 덴닌 친왕에게 존호 추증이 이루어졌다. 메이지 천황은 덴닌 친왕에게 '''쿄코 천황(慶光天皇)'''이라는 시호와 태상천황 존호를 추증하였다.[1] 쿄코 천황은 역대 천황으로 인정되지는 않으나, 현재 일본 황실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진다.3. 계보
히가시야마 천황의 손자이자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차남으로, 양어머니는 고노에 모토히로의 딸인 후지와라노 슈시이다. 친어머니는 뇨보(女房)인 사누키이다. 나카미카도 천황의 5황녀인 후사코 내친왕(成子内親王)이 미야슨도코로(御息所)였다. 나루히토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은 그의 8대손이다.[1]
- 비 : 후사코 내친왕 (1729년 - 1771년)[1]
- 뇨보일본어 : 오오나카토미 스케노리의 딸[1]
- 장남 : 이타노미야 하루히토 친왕 (1757년 - 1818년) - 3대 간인노미야[1]
- 뇨보일본어 : 리테 (りて)[1]
- 차남 : 토시노미야 모리노리 친왕 (1759년 - 1818년) - 닌나지노미야 후카히토 입도친왕[1]
- 3남 : 카타노미야 야스치카 친왕 (1760년 - 1777년) - 린노지노미야 킨쇼 입도친왕[1]
- 뇨보일본어 : 시운인 (紫雲院)[1]
- 4남 : 요시노미야 야스나리 친왕 (1762년 - 1803년) - 린노지노미야 킨엔 입도친왕[1]
- 장녀 : 야스노미야 (1765년 - 1768년)[1]
- 차녀 : 타카노미야 소우쿄 여왕 (1769년 - 1821년)[1]
- 뇨보일본어 : 오사 (おさ)[1]
- 5남 : 토키노미야 치카칸 친왕 (1768년 - 1805년) - 묘호인노미야 신진 법친왕[1]
- 뇨보일본어 : 오오에 이와시로 (렌죠인)[1]
- 6남 : 사치노미야 모로히토 친왕/토모히토 친왕 (1771년 - 1840년) - 고카쿠 천황[1]
- 7남 : 히로노미야 요시타네 친왕 (1772년 - 1830년) - 쇼고인노미야 에이진 법친왕[1]
- 10남 : 타테노미야 (1778년 - 1780년)[1]
- 뇨보일본어 : 카쿠 (加久)[1]
- 8남 : 세이노미야 (1774년 - 1779년)[1]
- 뇨보일본어 : 카타노 (交野)[1]
- 9남 : 코우노미야 (1776년 - 1777년)[1]

3. 1. 가계도
조상 | |
---|---|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 | 제114대 나카미카도 천황 |
노리히토 친왕 | 제115대 사쿠라마치 천황 |
사토히토 친왕 | 제116대 모모조노 천황 |
제119대 고카쿠 천황 | 제118대 고모모조노 천황 |
가쓰라노미야 요시코 내친왕 | 제120대 닌코 천황 |
제121대 고메이 천황 |
3. 2. 처와 자녀
배우자 | 이름 | 출생 | 사망 |
---|---|---|---|
비 | 후사코 내친왕 | 1729년 | 1771년 |
뇨보 | 오오나카토미 스케노리의 딸 | ||
뇨보 | 리테 (りて) | ||
뇨보 | 시운인 (紫雲院) | ||
뇨보 | 오사 (おさ) | ||
뇨보 | 오오에 이와시로 (렌죠인) | ||
뇨보 | 카쿠 (加久) | ||
뇨보 | 카타노 (交野) |
순서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장남 | 이타노미야 하루히토 친왕 | 1757년 | 1818년 | 3대 간인노미야 |
차남 | 토시노미야 모리노리 친왕 (俊宮 守典親王) | 1759년 | 1818년 | 닌나지노미야 후카히토 입도친왕 (仁和寺宮 深仁入道親王) |
3남 | 카타노미야 야스치카 친왕 (方宮 保和親王) | 1760년 | 1777년 | 린노지노미야 킨쇼 입도친왕 (輪王寺宮公璋入道親王) |
4남 | 요시노미야 야스나리 친왕 (良宮 保業親王) | 1762년 | 1803년 | 린노지노미야 킨엔 입도친왕 (輪王寺宮 公延入道親王) |
장녀 | 야스노미야 (弥数宮) | 1765년 | 1768년 | |
차녀 | 타카노미야 소우쿄 여왕 (孝宮 宗恭女王) | 1769년 | 1821년 | |
5남 | 토키노미야 치카칸 친왕 (時宮 周翰親王) | 1768년 | 1805년 | 묘호인노미야 신진 법친왕 |
6남 | 사치노미야 모로히토 친왕/토모히토 친왕 | 1771년 | 1840년 | 고카쿠 천황 |
7남 | 히로노미야 요시타네 친왕 (寛宮 嘉種親王) | 1772년 | 1830년 | 쇼고인노미야 에이진 법친왕 |
10남 | 타테노미야 (建宮) | 1778년 | 1780년 | |
8남 | 세이노미야 (精宮) | 1774년 | 1779년 | |
9남 | 코우노미야 (鏗宮) | 1776년 | 1777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