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의회는 강원특별자치도의 입법 및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을 수행하는 의결 기관이다. 의장 1명,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되며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된다. 의회는 의회운영위원회, 기획행정위원회 등 6개의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등의 특별위원회, 그리고 사무처로 구성된다. 역대 의장단과 선거 결과를 통해 의회의 구성과 정당별 의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는 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5명의 의원은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선거 - 홍천군수 선거
    홍천군수 선거는 강원도 홍천군의 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민선 군수 선출 이후 4년마다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등의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어 이춘섭, 노승철, 허필홍, 노승락, 신영재 등이 군수를 역임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선거 - 춘천시장 선거
    춘천시장 선거는 강원도 춘천시의 시장을 4년마다 선출하는 선거로, 민선 시장 시기에는 배계섭, 류종수, 이광준, 최동용, 이재수, 육동한 등이 역임했으며, 초기에는 보수정당이 강세였으나 2018년 이후 더불어민주당 당선으로 정치 지형이 변화되었다.
  • 춘천시 소재의 관공서 - 춘천지방검찰청
    춘천지방검찰청은 1948년 11월 9일 개청하여 춘천시, 홍천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을 관할하며 강릉, 원주, 속초, 영월에 지청을 두고 있는 지방검찰청이다.
  • 춘천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춘천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은 강원도의 국립박물관으로서,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유물을 전시하며, 건축 디자인의 우수성을 인정받았고, 전시, 연구, 교육 등의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회 휘장
휘장
원명Gangwon State Council
의회 정보
의회 체제단원제
의회임기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장1칭호의장
의장1김시성
정당1국민의힘
의장2칭호부의장
의장2김용복
정당2국민의힘
의장3칭호부의장
의장3박윤미
정당3더불어민주당
정원49석
의원임기4년
정당구성2국민의힘 (43)
더불어민주당 (6)
선거제1보통선거평등선거직접 선거비밀 선거
선거제2소선거구제 (44석)
비례대표제 (5석)
이전선거12022년 6월 1일
의사당 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사당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사당
의사당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앙로 1
기타
웹사이트강원특별자치도의회

2. 구성

2. 1. 의장단

강원특별자치도의회의 의장은 1명, 부의장은 2명으로 구성된다. 의원들의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의장은 의회를 대표하고 회의를 주재하며, 부의장은 의장을 보좌하고 의장 유고 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역대 의장단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정당임기부의장/정당
초대전반기임용준자유당1956년 9월 - 1958년 8월김진백/자유당
2대이종춘1958년 9월 - 1960년 12월김도준/자유당
2대허만훈무소속1960년 12월 - 1961년 5월김영일/무소속
3대전반기최경식민주자유당1991년 7월 - 1993년 7월정덕중/민주자유당박수복/민주자유당
후반기1993년 7월 - 1995년 6월김형재/무소속이종구/민주자유당
4대전반기윤중국1995년 7월 - 1996년 12월송임수/민주자유당박낙진/민주자유당
후반기최상필신한국당1997년 1월 - 1998년 6월정상철/신한국당박수근/무소속
5대전반기허천한나라당1998년 7월 - 2000년 7월성희직/한나라당이기순/새정치국민회의
후반기2000년 7월 - 2002년 6월이훈/한나라당이상준/새천년민주당
6대전반기이훈2002년 7월 - 2004년 2월이기순/무소속원종익/한나라당
심상기2004년 2월 - 2004년 6월
후반기2004년 7월 - 2006년 6월김원기/한나라당박융길/한나라당
7대전반기이기순2006년 7월 - 2008년 6월최재규/한나라당백선열/한나라당
후반기최재규2008년 7월 - 2010년 6월김기남/한나라당이준연/한나라당
8대전반기김기남2010년 7월 - 2012년 6월고진국/민주당정을권/한나라당
후반기박상수새누리당2012년 7월 - 2014년 6월김시성/새누리당손석암/무소속
9대전반기김시성2014년 7월 - 2016년 6월김동일/새누리당권석주/새누리당
후반기김동일2016년 7월 - 2018년 6월권혁열/새누리당김성근/새누리당
10대전반기한금석더불어민주당2018년 7월 - 2020년 6월박윤미/더불어민주당함종국/자유한국당
후반기곽도영더불어민주당2020년 6월 - 2022년 6월박효동/더불어민주당신도현/미래통합당
11대전반기권혁열국민의힘2022년 7월 - 2024년 6월한창수/국민의힘김기홍/국민의힘
후반기김시성국민의힘2024년 7월 -김용복/국민의힘박윤미/더불어민주당


2. 1. 1. 역대 의장단

wikitable

대수이름정당임기부의장/정당
초대전반기임용준자유당1956년 9월 - 1958년 8월김진백/자유당
2대이종춘1958년 9월 - 1960년 12월김도준/자유당
2대허만훈무소속1960년 12월 - 1961년 5월김영일/무소속
3대전반기최경식민주자유당1991년 7월 - 1993년 7월정덕중/민주자유당박수복/민주자유당
후반기1993년 7월 - 1995년 6월김형재/무소속이종구/민주자유당
4대전반기윤중국1995년 7월 - 1996년 12월송임수/민주자유당박낙진/민주자유당
후반기최상필신한국당1997년 1월 - 1998년 6월정상철/신한국당박수근/무소속
5대전반기허천한나라당1998년 7월 - 2000년 7월성희직/한나라당이기순/새정치국민회의
후반기2000년 7월 - 2002년 6월이훈/한나라당이상준/새천년민주당
6대전반기이훈2002년 7월 - 2004년 2월이기순/무소속원종익/한나라당
심상기2004년 2월 - 2004년 6월
후반기2004년 7월 - 2006년 6월김원기/한나라당박융길/한나라당
7대전반기이기순2006년 7월 - 2008년 6월최재규/한나라당백선열/한나라당
후반기최재규2008년 7월 - 2010년 6월김기남/한나라당이준연/한나라당
8대전반기김기남2010년 7월 - 2012년 6월고진국/민주당정을권/한나라당
후반기박상수새누리당2012년 7월 - 2014년 6월김시성/새누리당손석암/무소속
9대전반기김시성2014년 7월 - 2016년 6월김동일/새누리당권석주/새누리당
후반기김동일2016년 7월 - 2018년 6월권혁열/새누리당김성근/새누리당
10대전반기한금석더불어민주당2018년 7월 - 2020년 6월박윤미/더불어민주당함종국/자유한국당
후반기곽도영더불어민주당2020년 6월 - 2022년 6월박효동/더불어민주당신도현/미래통합당
11대전반기권혁열국민의힘2022년 7월 - 2024년 6월한창수/국민의힘김기홍/국민의힘
후반기김시성국민의힘2024년 7월 -김용복/국민의힘박윤미/더불어민주당


2. 2. 상임위원회

강원특별자치도의회는 의회운영위원회, 기획행정위원회, 사회문화위원회, 농림수산위원회, 경제건설위원회, 교육위원회 등 6개의 상임위원회를 두고 있다. 각 상임위원회는 소관 분야의 조례안, 예산안, 청원 등을 심사한다.

2. 3. 특별위원회

강원특별자치도의회는 특정 안건을 심사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특별위원회를 구성한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예산안과 결산안을 심사하고, 윤리특별위원회는 의원의 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 준수 여부 등을 심사한다.

2. 4. 사무처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사무처는 의정관실, 의사관실, 홍보담당관실, 전문위원 등으로 구성되어 의원의 의정 활동을 지원한다.[1][2]

3. 역대 선거 결과

3. 1. 제1대 강원도의회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5명의 제1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은 자유당 23석, 민주당 1석, 무소속 1석이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style="background:#0066CC;"|자유당23
style="background:#008000;"|민주당1
style="background:#C0C0C0;"|무소속1


3. 2. 제2대 강원도의회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8명의 제2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style="background:#3EB489"|민주당10
style="background:#006400"|신민당1
style="background:#E56717"|재향군인회1
style="background:lightgrey"|무소속16


3. 3. 제3대 강원도의회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4명의 제3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style="background:#F2D43F"|민주자유당34
style="background:#0054FF"|민주당1
style="background:#F25E7A"|민주당1
style="background:#EAEAE9"|무소속18


3. 4. 제4대 강원도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8명의 제4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민주자유당27431
style="background:;"|민주당628
style="background:;"|자유민주연합101
style="background:;"|무소속18-18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민주자유당276,87639.4%4
style="background:;"|민주당139,51719.9%2
style="background:;"|자유민주연합29,9094.3%0
style="background:;"|무소속255,58636.4%-


3. 5. 제5대 강원도의회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7명의 제5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42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color: #006DD2" |한나라당21223
style="background-color: #008000" |새정치국민회의12214
style="background-color: #FF6B00" |자유민주연합314
style="background-color: #DDDDDD" |무소속6-6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color: #006DD2" |한나라당269,98241.5%2
style="background-color: #008000" |새정치국민회의220,70233.9%2
style="background-color: #FF6B00" |자유민주연합76,14611.7%1
style="background-color: #0072BB" |국민신당13,3352.0%0
style="background-color: #DDDDDD" |무소속70,85410.9%-


3. 6. 제6대 강원도의회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6대 강원도의원 43명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9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한나라당31233
style="background:;"|새천년민주당617
style="background:;"|민주노동당011
style="background:;"|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한나라당394,03760.94%2
style="background:;"|새천년민주당140,35221.70%1
style="background:;"|민주노동당55,8898.64%1
style="background:;"|자유민주연합40,6866.29%0
style="background:;"|사회당15,5422.40%0


3. 7. 제7대 강원도의회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0명의 제7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6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으며,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34236
열린우리당112
민주노동당011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나라당은 62.28%의 득표율로 2석, 열린우리당은 25.01%의 득표율로 1석, 민주노동당은 12.70%의 득표율로 1석을 차지하였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412,79162.28%2
열린우리당165,78525.01%1
민주노동당84,18012.70%1


3. 8. 제8대 강원도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8대 강원도의원 47명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8명, 비례대표 의원 4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0066CC;"|한나라당20222
style="background:#008000;"|민주당12214
style="background:gray;"|무소속6-6
style="background:black;"|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0066CC;"|한나라당340,17847.48%2
style="background:#008000;"|민주당277,34638.71%2
style="background:#E51985;"|민주노동당44,3246.18%0
style="background:#FF931E;"|국민참여당30,8494.30%0
style="background:#F87900;"|진보신당17,9162.50%0
style="background:#14B371;"|사회당5,8040.81%0


3. 9. 제9대 강원도의회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4명의 제9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40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으며, 정당별 의석은 다음과 같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color:#fdd; color:#000"|새누리당34236
style="background-color:#3399CC; color:#fff"|새정치민주연합426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color:#000"|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color:#fdd; color:#000"|새누리당443,13358.48%2
style="background-color:#3399CC; color:#fff"|새정치민주연합262,46734.64%2
style="background-color:#8A2F73; color:#fff"|통합진보당18,5442.44%0
style="background-color:#FFD400; color:#000"|정의당16,8872.22%0
style="background-color:#E31C1C; color:#fff"|노동당9,1251.20%0
style="background-color:#62A828; color:#fff"|녹색당7,5090.99%0


3. 10. 제10대 강원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6명의 제10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41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더불어민주당32335
style="background:;"|자유한국당9211



더불어민주당은 이 선거에서 388,465표(48.88%)를 얻어 3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당선시켰고, 자유한국당은 268,114표(33.74%)를 얻어 2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당선시켰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 선거에서 강원도 지역에서 큰 지지를 얻으며, 지역 정치 지형에 변화를 가져왔다.

3. 11. 제11대 강원도의회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9명의 제11대 강원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44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으며,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국민의힘40343
style="background:;"|더불어민주당426



비례대표 선거 결과, 국민의힘은 425,403표(56.85%)를 얻어 3명의 당선자를 냈고, 더불어민주당은 287,704표(38.45%)를 얻어 2명의 당선자를 냈다. 정의당, 진보당, 기본소득당은 의석을 얻지 못했다.

국민의힘이 다수당을 차지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4. 정당별 의석 분포

정당
의석 수정당명
6더불어민주당
43국민의힘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의회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5. 교섭단체

강원특별자치도의회는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5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참조

[1]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2]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3] 웹인용 강원도의회 회의규칙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