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거미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거미강은 절지동물에 속하며, 머리가슴과 배로 나뉘고 다리가 8개인 특징을 가진다. 협각과 촉지를 가지고 있으며, 서폐 또는 기관을 통해 호흡한다. 대부분 육식성이지만, 잡식성 또는 균류를 먹는 경우도 있다. 거미, 전갈, 진드기 등을 포함하며, 다양한 분류군으로 나뉜다. 거미강은 고생대부터 화석으로 발견되며, 멸종된 분류군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미강 - 모낭충
    모낭충은 포유류의 모낭과 피지선에 서식하는 진드기로, 사람에게는 데모덱스 폴리쿨로럼과 데모덱스 브레비스 두 종이 주로 발견되며, 이들은 피부 세포, 호르몬, 피지를 먹고 살고 면역력이 약한 경우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개에게는 모낭충증을 유발할 수 있다.
  • 거미강 - 진드기아강
    진드기아강은 절지동물문 협각아문에 속하며, 몸은 머리가슴과 복부로 구분되고 4쌍의 다리를 가지며, 전 세계에 분포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균식, 부식, 포식, 식물성, 기생성 등 다양한 식성을 보이며, 일부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거나 천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거미강
기본 정보
거미강의 12개 현존 목의 대표
거미강의 12개 현존 목의 대표
학명Arachnida
명명자라마르크, 1801
영어 이름arachnid
어원그리스어 ἀράχνη (arákhnē, 거미)
한국어 이름거미강
거미형강
거미류
생존 시기실루리아기 전기 - 현재
분류
하위 분류본문 참조
리키눌레이목 (Ricinulei)
검미목 (Xiphosura) - 투구게
각궁목 (Eurypterida) - 바다 전갈 (멸종)
가위거미목 (Opiliones) - 가위거미
기생거미목 (Solifugae) - 낙타거미
응애목 (Acariformes) - 다양한 진드기
후기문절목 (Parasitiformes) - 다양한 진드기 및 참진드기
†팔랑기오타르비다목 (Phalangiotarbida) (멸종)
꼬리좀사마귀목 (Palpigradi) - 꼬리좀사마귀

2. 특징

거미강은 곤충류, 갑각류, 다지류와는 달리 촉각이 없고 입의 구조가 다르다.[65] 몸은 전체(머리가슴)와 후체(배) 두 부분으로 나뉘며, 다리는 4쌍(8개)이다. 더듬이와 턱이 없고, 입 주변에는 협각과 촉지라는 부속지가 있다.

거미류의 기본적인 특징으로는 네 쌍의 다리(1)와 머리 가슴(2)과 배(3)로 나뉜 두 개의 태그마를 갖는다는 점이 있다.


대부분의 거미강은 곤충이 6개의 다리를 가진 것과 달리 8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거미류는 먹이를 먹고, 자신을 방어하며, 감각을 느끼기 위해 적응된 두 쌍의 부속지를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 쌍인 협각은 먹이를 먹고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 쌍인 촉지는 먹이를 먹거나, 이동하거나, 번식하는 기능을 한다.[6] 전갈, 유사전갈 등은 촉지가 집게발로 끝나지만, 채찍거미 등은 포식성이며 먹이를 잡는 데 사용된다.[6] 낙타거미의 촉지는 다리와 매우 유사하여 다리가 10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거미류는 촉각이나 날개가 없다는 점에서도 곤충과 구별된다. 몸은 머리가슴과 배라고도 불리는 두 개의 태그마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가슴은 보통 하나의 비분절 등갑으로 덮여 있고, 배는 더 원시적인 형태에서는 분절되어 있지만, 많은 그룹에서 분절 간에 다양한 정도의 융합이 발생한다. 전형적으로는 전배와 후배로 나뉘지만, 이는 전갈에서만 명확하게 보이며, 진드기와 같은 일부 목에서는 복부 부분이 완전히 융합된다.[11]

모든 절지동물과 마찬가지로, 거미류는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연골과 유사한 조직의 내부 구조인 내골격도 가지고 있다. 내골격은 일부 긴다리에서는 석회화되기도 한다.[16]

에른스트 헤켈의 자연의 예술 형태 (1904년)에 실린 "거미류"


거미강은 책폐 또는 기관을 통해 호흡한다. 거미와 채찍거미는 혈림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유압식으로 다리를 뻗는다.[17] 전갈과 일부 거미는 혈액에 헤모시아닌을 포함하고 있어 푸른색을 띤다. 효율적인 기관계를 가진 거미강은 혈액 내에서 산소를 운반할 필요가 없어 순환계가 축소될 수 있다.[34]

배설 기관으로는 앞가슴 옆을 따라 최대 4쌍의 콕사선과 창자를 비우는 1~2쌍의 말피기관이 있다. 많은 거미강은 이 중 한 종류의 배설선만 가지고 있지만, 일부는 두 종류 모두 가지고 있기도 하다. 거미강의 주요 질소성 폐기물은 구아닌이다.[34]

대부분의 거미강은 육식성이며, 곤충과 다른 작은 동물의 소화된 시체를 먹는다. 소화 효소를 먹이에 분비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어 전구강으로 빨아들여 섭취하는 체외 소화를 한다.

거미강은 대부분 육상에서 생활하지만, 물거미, 물진드기와 같이 거미진드기류 중에서는 수생 종도 있다.[63] 진드기는 기생충이거나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작은 동물, 곰팡이, 식물 즙, 썩은 물질 등을 먹기도 한다.[22] 긴다리거미는 썩어가는 식물과 동물, 배설물, 동물, 버섯을 먹는 등 잡식성이며 포식자이자 분해자이다.[23][24][25]

2. 1. 형태

거미강의 몸은 머리가슴과 배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가슴에는 협각, 촉지, 다리 등 주요 부속지가 붙어 있다. 협각은 먹이를 잡거나 씹는 데 사용되며, 촉지는 감각, 먹이 조작, 짝짓기 등에 사용된다.[6] 대부분 홑눈을 가지며, 일부는 겹눈에서 퇴화된 측안을 갖는다.[100] 배에는 부속지가 없거나, 방적돌기, 빗살판 등 특수한 기관으로 변형되어 있다.[15]

대부분의 성체 거미류는 6개의 다리를 가진 성체 곤충과 달리 8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거미류는 먹이 섭취, 방어, 감각 인식을 위해 적응된 두 쌍의 부속지를 더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쌍인 협각은 먹이 섭취와 방어에 사용된다. 다음 쌍인 촉지는 먹이 섭취, 이동 및/또는 생식 기능에 적응되어 있다. 전갈, 유사전갈, 그리고 리시눌레이의 촉지는 집게발로 끝나지만, 채찍거미, Schizomida, Amblypygi, 그리고 대부분의 긴다리에서는 포식성이며 먹이를 잡는 데 사용된다.[6] 낙타거미의 촉지는 다리와 매우 유사하여 이 동물은 다리가 10개인 것처럼 보인다.

거미류는 또한 촉각이나 날개가 없다는 사실로 곤충과 구별된다. 그들의 몸은 prosoma와 opisthosoma로 불리는 두 개의 태그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또한 머리가슴과 배라고도 불린다.

머리가슴은 보통 하나의 비분절 등딱지로 덮여 있다. 배는 더 원시적인 형태에서는 분절되어 있지만, 많은 그룹에서 분절 간에 다양한 정도의 융합이 발생한다. 전형적으로는 전배와 후배로 나뉘지만, 이는 전갈에서만 명확하게 보이며, 진드기와 같은 일부 목에서는 복부 부분이 완전히 융합된다.[11] 꼬리마디는 전갈에 존재하며, 이는 침으로 변형되었고, Palpigradi, Schizomida (매우 짧음), 그리고 채찍전갈에서는 편모로 변형되었다.[12]

모든 절지동물과 마찬가지로, 거미류는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근육 그룹이 부착되는 연골과 유사한 조직의 내부 구조인 내골격도 가지고 있다. 내골격은 일부 긴다리에서는 석회화되기도 한다.[16]

거미류는 두 종류의 눈을 가지고 있는데, 측면 홑눈과 중앙 홑눈이 있다. 측면 홑눈은 겹눈에서 진화했으며, 빛을 수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반사판을 가질 수 있다. 최대 다섯 쌍의 측면 홑눈을 가질 수 있는 전갈을 제외하면, 세 쌍 이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중앙 홑눈은 외배엽의 가로 주름에서 발달한다. 현대 거미류의 조상은 두 종류의 눈을 모두 가졌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대 거미류는 한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눈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26] 눈의 각막 또한 렌즈 역할을 하며, 몸체의 큐티클과 연결되어 있다. 각막 아래에는 투명한 유리체가 있고, 그 아래에는 망막과 반사판이 있으면 반사판이 있다. 대부분의 거미류에서 망막은 눈이 적절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빛 감지 세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34]

눈 외에도, 거의 모든 거미류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거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몸을 덮고 촉감을 제공하는 미세한 감각 털이다. 이것들은 비교적 단순할 수 있지만, 많은 거미류는 모상체라고 불리는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틈새 감각 기관은 얇은 막으로 덮인 틈새 모양의 구멍이다. 구멍 안쪽에는 작은 털이 막의 밑면에 닿아 그 움직임을 감지한다. 틈새 감각 기관은 고유수용성감각과 관련이 있으며, 청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34]

몸은 수많은 체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례로 전체와 후체라는 두 개의 합체절로 묶인다. 전체와 후체의 사이는 잘록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65]。잘록한 것에서는 후체 제1절 유래의 복병으로 양자가 연결되며[66], 잘록하지 않은 것에서도 양자의 구획은 명확한 것이 많지만[67], 진드기에서는 대부분이 매우 강하게 밀착되어 경계를 판별하기 어렵다[65]

전체 (prosoma)는 선두절과 직후 6개의 체절 (제1-6체절)을 포함하는 합체절이다[65]。기능적으로 머리가슴 (cephalothorax)이라고도 불리지만, 유래로는 머리가슴 (머리가슴의 집합)이 아니라, 다른 절지동물의 머리 그 자체에 해당하는 머리 융합절이다.[68][69][70][65]

일반적으로 전체의 모든 체절은 현저하게 유합되어 있으며, 등쪽의 외골격 (등판 tergite)은 단일의 등딱지 (carapace, prosomal dorsal shield, peltidium)이다.

전체는 협각 1쌍, 촉지 1쌍, 다리 4쌍으로, 순서대로 제1-6 체절 유래의 6쌍의 부속지(관절지)를 가진다.[65]

협각(chelicera)은 유일하게 앞에 있는 부속지이다. 2-3마디로 나뉘며 종류에 따라 가위 모양[76] 또는 어금니와 같은 접이식 칼 모양이 된다.[77][65]

협각 바로 뒤에는, 원칙적으로 겉보기상 6마디(기절 coxa, 전절 trochanter, 넓적다리마디 femur, 무릎마디 patella, 종아리마디 tibia, 족절 tarsus)로 나뉜 촉지(pedipalp)가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포식이나 감각 등 보행 이외의 역할을 한다.

촉지 이후에는 4쌍의 다리가 늘어서 있으며, 원칙적으로 겉보기상 7마디(기절, 전절, 넓적다리마디, 무릎마디, 종아리마디, 발마디 metatarsus, 족절)로 나뉘며, 종류나 순서에 따라 6마디나 8마디 이상의 예도 있다.[84][85]

은 위에서 잘 보이지 않는 상순(labrum)과 구상판(epistome, 구상돌기라고도 하며, 다른 절지동물의 두순 clypeus나 하구순 hypostome에 상동)에 덮여 있으며, 협각과 촉지 사이에서 정면에서 전복쪽으로 열린다.[96][65]

전절에서 유래된 은 등딱지 표면에 있으며, 현생 거미강류에서는 모두 홑눈이지만, 그 공통 조상은, 같은 협각류인 투구게류와 바다전갈류에서 볼 수 있듯이, 등딱지 측면에 1쌍의 겹눈인 측안(lateral eye)과 그 사이에 1쌍의 홑눈인 중안(median eye, median ocellus)을 겸비한 절지동물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00]

거미강류의 각 분류군에서 홑눈의 배치와 기원은 다음과 같다 (멸종군은 "†"로 표시)[100]

  • 전갈:등딱지 중앙에 중안 1쌍과 양쪽 앞쪽에 측안 2-5쌍(보통 3쌍).
  • 긴발두름벌레:등딱지 중앙에 중안 1쌍, 혹은 등딱지 양쪽 앞쪽에 측안 1쌍을 갖는다.
  • 빗부채다리:중안・측안 모두 없음.
  • 갈고리벌레:중안 없음, 등딱지 양쪽 앞쪽에 측안 2쌍.
  • 선주름벌레:등딱지 앞쪽 중앙에 중안 1쌍.
  • 진드기(가슴판진드기류): 중안 1쌍과 측안 1-2쌍 (중안은 하나의 눈으로 융합된 경우가 있다).
  • 진드기(흉혈진드기류): 중안 없음, 측안 0-3쌍.
  • 톡토기:중안 없음, 등딱지 양쪽에 흔적적인 측안 1쌍.
  • 거미:중안 1쌍과 측안 3쌍. 대부분의 경우 등딱지 앞쪽 중앙에 집약되며, 배치와 각각의 발달 정도는 과에 따라 다르다.
  • 채찍거미:등딱지 앞쪽에 중안 1쌍과 좌우에 측안 3쌍.
  • 채찍전갈:등딱지 앞쪽에 중안 1쌍과 좌우에 측안 5쌍.
  • 고착성벌레:중안 없음, 등딱지 좌우에 흔적적인 측안 1쌍.


후체 (opisthosoma, 복부 abdomen라고도 하지만, 몸통부에 해당[146])는 제7체절을 기점으로 하여 최대 13절 (제19체절까지)을 포함하는 합체절이다. 체절 구조는 명료한 것이 많지만, 외관상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104][65]

거미류의 후체 부속지는 퇴화되어, 그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기관이 전혀 보이지 않는 군도 있다[107][65]。부속지에서 유래한 기관으로, 군에 따라 개판 (operculum, 서폐와 생식기를 지지하는 판상 기관)・실젖 (spinneret, 거미의 실 뽑는 기관)・빗살판 (pectine, 전갈의 감각기)・생식지 (gonopod, 해충류와 채찍거미의 생식기) 등을 가진 것이 있다[65]

생식구 (gonopore)는 다른 진협각류와 마찬가지로 후체 제2절의 복면에 열리고, 많은 경우 같은 체절의 개판에서 유래한 생식구개 (genital operculum) 혹은 복판에서 유래한 생식판 (genital sternite)으로 덮여 있다[65]

2. 2. 생리

거미강은 책폐 또는 기관을 통해 호흡한다. 거미와 채찍거미는 혈림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유압식으로 다리를 뻗는다.[17] 전갈과 일부 거미는 혈액에 헤모시아닌을 포함하고 있어 푸른색을 띤다. 효율적인 기관계를 가진 거미강은 혈액 내에서 산소를 운반할 필요가 없어 순환계가 축소될 수 있다.[34]

배설 기관으로는 앞가슴 옆을 따라 최대 4쌍의 콕사선과 창자를 비우는 1~2쌍의 말피기관이 있다. 많은 거미강은 이 중 한 종류의 배설선만 가지고 있지만, 일부는 두 종류 모두 가지고 있기도 하다. 거미강의 주요 질소성 폐기물은 구아닌이다.[34]

대부분의 거미강은 육식성이며, 곤충과 다른 작은 동물의 소화된 시체를 먹는다. 소화 효소를 먹이에 분비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어 전구강으로 빨아들여 섭취하는 체외 소화를 한다. 입 뒤에는 펌프 역할을 하는 근육질의 경화된 인두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음식을 식도로 보낸다. 일부 거미강은 식도가 추가 펌프 역할을 하기도 한다. 위는 튜브 모양이며, 여러 개의 게실이 확장되어 소화 효소 생성 및 영양소 흡수에 관여한다. 이는 몸 대부분을 통과하며, 복부 뒷부분의 짧은 창자항문에 연결된다.[34]

호흡기로서 서폐(책폐)와 기관계가 알려져 있다.[65] 일반적으로는 한쪽만 가지고 있지만,[109][65] 거미 중에는 양쪽 모두를 가진 것도 있으며, 비단털거미나 일부 진드기는 호흡 기관을 가지지 않고, 체표만을 통해 가스 교환을 한다.[65]

거미의 서폐(단면)

2. 3. 생태

거미강은 대부분 육상에서 생활하지만, 물거미, 물진드기와 같이 거미진드기류 중에서는 수생 종도 있다.[63] 대부분의 거미강 동물은 육식성으로,[75] 곤충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진드기는 기생충이거나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작은 동물, 곰팡이, 식물 즙, 썩은 물질 등을 먹기도 한다.[22] 긴다리거미는 썩어가는 식물과 동물, 배설물, 동물, 버섯을 먹는 등 잡식성이며 포식자이자 분해자이다.[23][24][25] 긴다리거미와 집먼지 진드기 같은 일부 진드기는 고형물을 섭취할 수 있어, 내부 기생충에 노출되기도 한다.[26] 한 종의 거미는 주로 초식성이다.[27] 전갈, 거미, 의갈은 먹이를 죽이거나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을 분비하며,[28] 이 독은 먹이를 분해하는 소화 효소를 포함하기도 한다.[29][30][31]

깡충거미의 구애 댄스


많은 거미강 동물들은 진정한 교미를 하지 않고, 정포를 전달하여 '''교접'''을 한다. 이때 암수가 춤을 추는 듯한 특별한 배우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긴발거미와 일부 진드기 (먼지진드기, 잎응애 등)는 진정한 교미를 한다.[63][110]

산란을 스스로 지키거나, 알이나 어린 유생을 자신의 몸에 태워 보호하는 육아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3. 하위 분류

거미강은 다양한 목(Order)으로 분류되며, 학계에서는 거미강의 계통 발생과 분류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 분자 계통학 연구 결과, 진드기아강은 측계통군으로 밝혀져, 응애류와 기생진드기류 두 분류군으로 나뉜다.[4]

거미류의 하위 분류는 일반적으로 목으로 취급된다. 역사적으로 진드기와 참진드기는 하나의 목, 즉 응애목으로 취급되었으나,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두 그룹은 단일 분기도를 형성하지 않으며, 형태학적 유사성은 수렴 진화의 결과이다. 따라서 현재는 두 개의 개별 분류군, 즉 응애류와 기생진드기류(목 또는 상목으로 분류)로 취급된다.

현생 거미강은 11개의 목으로 나뉘며, 멸종된 4개의 목을 포함하여 총 15개의 목이 알려져 있다. 거미강의 내부 계통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특히 분자계통분석 결과는 형태학적 분석 결과와 상충되는 경우가 많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56][118][122][123]

거미, 채찍거미, 채찍전갈, 분열거미 등으로 구성된 사폐류는 형태학적, 분자계통학적 분석 모두에서 안정적인 계통군으로 인정받고 있다.[56][117][118][132] 전갈은 과거 여러 계통적 위치가 제안되었으나, 최근에는 사폐류와의 유연 관계가 유력하게 지지받고 있다.[56][117][135]

3. 1. 주요 분류군

거미강은 크게 다음과 같은 주요 분류군으로 나뉜다.

  • 응애류: 진드기 (32,000종)
  • 히파르기: 꼬리 없는 채찍 거미로 앞다리가 최대 25cm 이상인 채찍 모양의 감각 구조로 변형됨 (250종)
  • 거미: 거미 (51,000종)
  • 긴다리거미: 긴다리거미, 풀베어거미 (6,700종)
  • 미세채찍거미: 미세채찍거미 (130종)
  • 기생진드기류: 참진드기 (12,000종)
  • 가짜전갈: 가짜전갈 (4,000종)
  • 리시눌레이: 리시눌레이드, 후드진드기거미 (100종)
  • 분열거미: "분할 중간" 채찍거미로 분할된 외골격 (350종)
  • 전갈: 전갈 (2,700종)
  • 솔리푸가: 솔푸기드, 바람전갈, 태양 거미 또는 낙타 거미 (1,200종)
  • 채찍거미: 채찍거미 또는 식초거미, 앞다리가 감각 부속지로 변형되고 복부 끝에 긴 꼬리가 있음 (120종)

멸종된 형태

  • Haptopoda: Tetrapulmonata의 일부인 것으로 보이는 멸종된 거미류, 거미와 채찍거미를 포함하는 그룹 (1종)
  • Phalangiotarbida: 불확실한 친화성을 가진 멸종된 거미류 (30종)
  • Trigonotarbida: 멸종(후기 실루리아기 초기 페름기)
  • Uraraneida: 멸종된 거미 모양의 거미류, 그러나 "꼬리"가 있고 방적돌기가 없음 (2종)


약 110,000종의 거미류가 기재되었으며, 총 100만 종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4]

진드기류를 목 계급으로 취급하면, 현생하는 것 중에는 다음과 같은 11개의 목이 있다.

일본에 분포하는 종이 존재하지 않는 목은 쿠츠콤시목, 채찍거미목과 히요케무시목의 3개이다.

거미강의 주요 분류군[65]
현생 분류군멸종 분류군



히요케무시목


우라라네이다목

4. 계통 및 진화

거미강은 절지동물협각류에 속한다. 협각류는 바다거미류, 투구게류, 그리고 거미류로 구성된다.[65][117][111] 2010년경부터 형태학적, 분자적 증거를 바탕으로 절지동물의 주요 하위 분류군 간의 계통 발생적 관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협각류는 바다거미와 투구게, 그리고 육상 거미류로 나뉜다. 2019년 연구에 따르면, 투구게류는 거미류 내부에 깊숙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미류의 육상화 과정이 복잡했음을 시사한다.[46][47]

거미류 내의 계통 관계는 밝혀내기 어려웠으며, 여러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응애목, 진드기목, 의벌목과 같이 진화 속도가 빠른 분류군에서 계통 발생 정보에 충돌이 있었다. 2014년 연구에서는 가장 느리게 진화하는 유전자들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거미류 내 일부 분류군의 단일 계통을 확인했다.

사폐류는 거미목, 주름거미목, 분주목을 포함하며, 이들의 계통 관계는 비교적 명확하게 밝혀졌다.[56][117][118][132] 전갈목유전자 중복[138][139], 서폐 구조[140] 등 여러 증거를 통해 사폐류와의 유연관계가 확인되어, 폐거미류를 구성한다.[56][117][135]

투구게류와 바다전갈류는 과거 절구류라는 분류군으로 묶였으나, 20세기 후반 이후 바다전갈류는 거미류와 단계통군을 이루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었다.[143][144][134][145][146][117]

협각류의 공통 조상은 수생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거미류의 육상 생활은 이후 진화 과정에서 획득된 형질로 보인다.[75][120][123]

4. 1. 화석 기록

거미강의 화석 기록은 고생대부터 발견된다. 멸종된 거미강 분류군으로는 우라라네이다목 (Uraraneida), 삼각거미목 (Trigonotarbida) 등이 있다.[53]

화석 ''Kreischeria'' (Trigonotarbida)


미얀마에서 발견된 1억 년 전(mya) 호박 화석인 ''키메라라크네 잉기 (Chimerarachne yingi)''는 실을 생산하는 방적돌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꼬리가 있는 다른 화석이 발견된 지 약 2억 년이 지난 후 고생대 Uraraneida와 같이 꼬리를 가지고 있다. 이 화석은 가장 원시적인 살아있는 거미인 중심거미류와 유사하다.[54]

5. 인간과의 관계

거미류는 음식물로 이용되는 종류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인간과 별로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기 쉽다. 그러나 기생성 진드기류나 독샘을 가지고 있어 가끔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전갈이나 거미류는 인간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8] 농작물의 해충이나 병원체를 매개하는 진드기류나, 반대로 농작물의 해충을 잡아먹거나 그것에 기생하는 거미류·진드기류 등은 인간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8]

참조

[1] 논문 A plurality of morphological characters need not equate with phylogenetic accuracy: A rare genomic change refutes the placement of Solifugae and Pseudoscorpiones in Haplocnemata https://onlinelibrar[...] 2024-07-01
[2] 서적 Assembling the Tree of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1-01
[3] 서적 Foraging-Inspired Optimisation Algorithm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4] 논문 Grand challenges in research on arachnid diversity, conservation, and biogeography 2023-01-01
[5] 백과사전 Arachnid 1989-01-01
[6] 서적 Invertebrate Zoology: A Tree of Life Approach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1-07-08
[7] 서적 Giftige und gefährliche Spinnentiere Westarp Wissenschaften 1993-01-01
[8] 논문 Morphological support for a clade comprising two vermiform mite lineages: Eriophyoidea (Acariformes) and Nematalycidae (Acariformes)
[9] 서적 Fundamentals of Applied Acar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14
[10] 서적 The Tarantula Keeper's Guide Barron's 2009-01-01
[11] 서적 Invertebrate Zoology: A Functional Evolutionary Approach https://archive.org/[...] Thomson Learning 2007-01-01
[12] 서적 The Colonisation of Land: Origins and Adaptations of Terrestrial Anim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12-15
[13] 서적 Harvestmen: The Biology of Opilion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02-28
[14] 논문 Homeosis in a scorpion supports a telopodal origin of pectines and components of the book lungs
[15] 논문 Fossil evidence for the origin of spider spinnerets https://www.nature.c[...]
[16] 논문 Natural calcification of the prosomatic endosternite in the Phalangiidae (Arachnida:Opiliones) 1978-01-01
[17] 논문 Mechanics of Cuticular Elastic Energy Storage in Leg Joints Lacking Extensor Muscles in Arachnids 2003-02-15
[18] 논문 Evolution of locomotion in arachnida: The hydraulic pressure pump of the giant whipscorpion, ''Mastigoproctus giganteus'' (Uropygi) 2005-02-06
[19] 논문 Muscle Firing Patterns in Two Arachnids Using Different Methods of Propulsive Leg Extension http://jeb.biologist[...] 1992-01-01
[20] 논문 Elastic energy storage in the pedipedal joints of scorpions and sun-spiders (Arachnida, Scorpiones, Solifugae) https://www.biodiver[...] 2004-01-01
[21] 논문 Early Terrestrial Animals, Evolution, and Uncertainty 2011-09-01
[22] 논문 Feeding habits and multifunctional classification of soil-associated consumers from protists to vertebrates
[23] 논문 Diet, predators, and defensive behaviors of New Zealand harvestmen (Opiliones: Neopilionidae)
[24] 웹사이트 Common harvestman https://www.wildlife[...]
[25] 웹사이트 How do harvestmen hunt? https://www.discover[...]
[26] 서적 Harvestmen: the Biology of Opilion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01-01
[27] 웹사이트 Rare Vegetarian Spider Discovered https://www.livescie[...]
[28] 논문 Transcriptomic Analysis of Pseudoscorpion Venom Reveals a Unique Cocktail Dominated by Enzymes and Protease Inhibitors
[29] 논문 From father to son: Transgenerational effect of tetracycline on sperm viability
[30] 논문 The Enzymatic Core of Scorpion Venoms
[31] 논문 Characterisation of protein families in spider digestive fluids and their role in extra-oral digestion
[32] 논문 Molecular basis of anticoagulant and anticomplement activity of the tick salivary protein Salp14 and its homologs
[33] 웹사이트 Tick Paralysis https://www.ncbi.nlm[...]
[34]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982-01-01
[35] 논문 Sexual dimorphism in the Arachnid orders
[36] 논문 Sexual dimorphism in the Arachnid orders
[37] 서적 Wilderness Medicine E-Book: Expert Consult Premium Edition - Enhanced Online Featur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10-31
[38] 논문 The good fathers: efficiency of male care and the protective role of foster parents in a Neotropical arachnid 2019-04-00
[39] 논문 Mating system and exclusive postzygotic paternal care in a Neotropical harvestman (Arachnida: Opiliones) 2010-03-00
[40] 논문 A critical appraisal of the placement of Xiphosura (Chelicerata) with account of known sources of phylogenetic error
[41] 논문 The genome of a daddy-long-legs (Opiliones) illuminates the evolution of arachnid appendages 2021-00-00
[42] 논문 The house spider genome reveals an ancient whole-genome duplication during arachnid evolution 2017-07-00
[43] 논문 Spectacular alterations in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 during the ovarian cycle and adaptations for matrotrophy in chernetid pseudoscorpions (Pseudoscorpiones: Chernetidae)
[44] 논문 Taxonomic sampling and rare genomic changes overcome long-branch attraction in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Pseudoscorpions https://academic.oup[...] 2021-06-00
[45] 논문 Chromosome-level assembly of the horseshoe crab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its genome evolution 2020-00-00
[46] 논문 Ordered phylogenomic subsampling enables diagnosis of systematic errors in the placement of the enigmatic arachnid order Palpigradi 2019-12-18
[47] 논문 Comprehensive species sampling and sophisticated algorithmic approaches refute the monophyly of Arachnida https://academic.oup[...] 2022-02-03
[48] 논문 Cretaceous arachnid ''Chimerarachne yingi'' gen. et sp. nov. illuminates spider origins https://www.research[...]
[49] 논문 The phylogeny of fossil whip spiders
[50] 논문 Almost a spider: A 305 million-year-old fossil arachnid and spider origins
[51] 논문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and the phylogeny of extinct chelicerate orders
[52]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rachnid ord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53] 논문 Fossil evidence for the origin of spider spinnerets, and a proposed arachnid order 2008-00-00
[54] 뉴스 'Extraordinary' fossil sheds light on origins of spiders https://www.bbc.co.u[...] 2018-06-09
[55] 문서 クモガタ類の画像
[56] 간행물 なぜダニ類はクモガタ類の中で最も種数が多いのか?
[57] 서적 動物分類表 丸善
[58] 서적 第1章 系統と分類 東京大学出版会
[59] 서적 動物分類名 丸善
[60] 서적 クモ形類(クモ綱)総論 平凡社
[61]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62] 문서 内田監修 (1966)
[63] 서적 クモガタ類 平凡社
[64] 문서 クモ類の呼称
[65] 논문 Segmentation and tagmosis in Chelicerata https://www.academia[...]
[66] 문서 クモガタ類の分類
[67] 문서 クモガタ類の分類
[68] 논문 Expression of homeobox genes shows chelicerate arthropods retain their deutocerebral segment https://www.ncbi.nlm[...] 1998-09-01
[69] 논문 Larval development and morphogenesis of the sea spider Pycnogonum litorale (Ström, 1762) and the tagmosis of the body of Pantopoda http://www.sciencedi[...] 2003-12-01
[70] 논문 Arthropod Segmentation and Tagmosis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2-04-25
[71] 문서 コヨリムシ・ヒヨケムシ・一部の胸板ダニ類・ザトウムシ(痕跡的)・ヤイトムシ
[72] 문서 あり:コヨリムシ・ムカシザトウムシ・コスリイムシ・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なし:サソリ、ワレイタムシ、クモ
[73] 문서 ヒヨケムシ、カニムシ、ザトウムシ、クツコムシ
[74] 문서 触肢や脚の内突起は「下顎」や「顎葉」といい、クモの鋏角は「上顎」とも呼ばれるが、どれも大顎類の顎(大顎・小顎)とは別器官である。
[75] 논문 The evolution of feeding within Euchelicerata: data from the fossil groups Eurypterida and Trigonotarbida illustrate possible evolutionary pathways https://peerj.com/ar[...] 2020-08-13
[76] 문서 ダニ・コヨリムシ・ザトウムシ・クツコムシ・ヒヨケムシ・カニムシ・サソリ
[77] 문서 ワレイタムシ・ウララネイダ類・クモ・コスリイムシ・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
[78] 문서 ヒヨケムシ・一部のクモ(ジグモ類・アゴダチグモ・アシナガグモ類の雄・アリグモの雄など)・一部のザトウムシ(サスマタアゴザトウムシなど)
[79] 논문 Cheliceral morphology in Solifugae (Arachnida) : primary homology, terminology, and character survey.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o. 394) https://hdl.handle.n[...] 2015-06-22
[80] 웹사이트 クモとは https://kotobank.jp/[...] 2022-06-23
[81] 논문 岡山産オウギツチカニムシ ''Allochthonius(Allochthonius)opticus'' の再記載 (カニムシ目,ツチカニムシ科) https://www.nat.muse[...]
[82] 문서 クツコムシ・カニムシ・サソリ・一部のワレイタムシ(パレオカリヌスなど)・サソリモドキ
[83] 문서 一部のザトウムシ(アカザトウムシなど)・ウデムシ・ヤイトムシ
[84] 문서 6節:一部のカニムシの脚(蹠節を欠く)、8節:ケダニの脚・クツコムシとヒヨケムシの第3-4脚(基部が1節多い)。
[85] 논문 Morphology of locomotor appendages in Arachnida: evolutionary trends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https://doi.org/10.1[...] 1989-09-01
[86] 문서 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ヒヨケムシ(全て第1脚)
[87] 문서 フシダニなど
[88] 논문 Miniaturisation in Chelicerata https://linkinghub.e[...] 2019-01
[89] 문서 あり:サソリ・ザトウムシ・カニムシ、なし:クモ・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ヒヨケムシ・クツコムシ・ダニ・コヨリムシ
[90] 논문 Mechanics of cuticular elastic energy storage in leg joints lacking extensor muscles in arachnids https://doi.org/10.1[...] 2003-02-15
[91] 문서 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第2-4脚3節、コスリイムシ:番目により4-6節、ヒヨケムシ:種類や番目により1-7節、クツコムシ:番目により4-5節、ザトウムシ:種類により1-70節以上、コヨリムシ:第4脚2節
[92] 서적 V. The Arachnida https://www.degruyt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9-05-20
[93] 논문 The first Mesozoic Solifugae (Arachnida), from the Cretaceous of Brazil, and a redescription of the Palaeozoic solifuge https://www.palass.o[...] 1996
[94] 문서 サソリの触肢・カニムシの触肢・一部のヒヨケムシの第1脚
[95] 문서 サソリ・ザトウムシ
[96] 논문 The epistomo-labral plate and lateral lips in solifuges, pseudoscorpions and mites https://www.research[...] 2000
[97] 문서 ヒヨケムシ、カニムシ、アシナガダニ
[98] 논문 Comparative anatomy of the rostrosoma of Solifugae, Pseudoscorpiones and Acari https://doi.org/10.1[...] 2022-03-01
[99] 웹사이트 The jumping spider mouth ( Araneae : Salticidae ) 1 https://www.semantic[...] 2011
[100] 논문 Lateral eye evolution in the arachnids https://bioone.org/j[...] 2016-07
[101] 논문 REINTERPRETATION OF THE SILURIAN SCORPION PROSCORPIUS OSBORNI (WHITFIELD): INTEGRATING DATA FROM PALAEOZOIC AND RECENT SCORPIONS: REINTERPRETATION OF PROSCORPIUS https://doi.org/10.1[...] 2008-03
[102] 논문 A new stem-group Palaeozoic harvestman revealed through integration of phylogenetics and development https://scholar.harv[...] 2014
[103] 논문 Redescription of the sole species of the enigmatic solifuge genus ''Dinorhax'' Simon, 1879 (Solifugae: Melanoblossiidae) in Southeast Asia http://www.bioone.or[...] 2018-11
[104] 문서 ほとんどのクモ(後疣類)・アシナガダニ以外のダニ
[105] 문서 コヨリムシ・クツコムシ・ワレイタムシ・ウララネイダ類・基盤的な化石クモ(キメララクネなど)・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
[106] 문서 コヨリムシ・ウララネイダ類・基盤的なクモ(キメララクネなど)・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
[107] 문서 ダニ・ザトウムシ・クツコムシ・カニムシ
[108] 논문 Muscular anatomy of the giant whipscorpion Mastigoproctus giganteus (Lucas) (Arachnida: Uropygi) and its evolutionary significance https://academic.oup[...] 1993-08-01
[109] 문서 書肺:サソリ、ワレイタムシ、クモ(クモ下目を除く)、ウデムシ、サソリモドキ、ヤイトムシ
気管系:カニムシ、ザトウムシ、クツコムシ、ヒヨケムシ、ダニ(一部を除く)

[110] 간행물 ダニとその生物学 https://doi.org/10.1[...] 日本農芸化学会 1968
[111] 논문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Arthropods https://www.cell.com[...] 2019-06-17
[112] 논문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and the phylogeny of extinct chelicerate orders https://peerj.com/ar[...] 2014-11-13
[113] 논문 Untersuchungen zur Morphologie, Taxonomie und Phylogenie der Chelicerata1 II. Cladogramme und die Entfaltung der Chelicerata https://onlinelibrar[...] 1979
[114] 문서 「クモ亜綱」とも言い、コヨリムシ目・サソリ目・クモ目・ウデムシ目・サソリモドキ目・ヤイトムシ目からなる。
[115] 문서 「ダニ亜綱」とも言い、クツコムシ目・ダニ類・ザトウムシ目・カニムシ目・ヒヨケムシ目からなる。
[116] 문서 サソリ・ザトウムシ・ヒヨケムシ・カニムシからなる。
[117] 웹사이트 Current views on chelicerate phylogeny—A tribute to Peter Weygoldt https://www.semantic[...] 2018-11-17
[118] 논문 Phylogenomic Interrogation of Arachnida Reveals Systemic Conflicts in Phylogenetic Signal https://academic.oup[...] 2014-08-08
[119] 논문 A Critical Appraisal of the Placement of Xiphosura (Chelicerata) with Account of Known Sources of Phylogenetic Error https://academic.oup[...] 2019
[120] 논문 Air Breathing in an Exceptionally Preserved 340-Million-Year-Old Sea Scorpion https://www.cell.com[...] 2020-09-10
[121] 논문 What Is an “Arachnid”? Consensus, Consilience, and Confirmation Bias in the Phylogenetics of Chelicerata https://www.mdpi.com[...] 2021-11
[122] 논문 Increasing species sampling in chelicerate genomic-scale datasets provides support for monophyly of Acari and Arachnida https://www.nature.c[...] 2019-05-24
[123] 논문 Arachnid monophyly: Morphological, palaeontological and molecular support for a single terrestrialization within Chelicerata http://www.sciencedi[...] 2020-11-01
[124] 논문 Phylogeny and Systematic Position of Opiliones: A Combined Analysis of Chelicerate Relationships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https://doi.org/10.1[...] 2002-02
[125] 논문 Evidence for Multiple Reversals of Asymmetric Mutational Constraints during the Evolution of the Mitochondrial Genome of Metazoa, and Consequences for Phylogenetic Inferences https://academic.oup[...] 2005-04-01
[126] 논문 Comprehensive Species Sampling and Sophisticated Algorithmic Approaches Refute the Monophyly of Arachnida https://doi.org/10.1[...] 2022-02-01
[127] 논문 Major Revisions in Arthropod Phylogeny Through Improved Supermatrix, With Support for Two Possible Waves of Land Invasion by Chelicerates https://www.research[...] 2020-01
[128] 문서 背甲の縁辺部折り返し構造/心域/肋部の欠如・前胃の退化/欠如・顎基の退化/欠如・可動な内葉の欠如・第7体節付属肢の欠如・陸上呼吸
[129] 문서 体外消化(ザトウムシと一部の胸穴ダニ類は体内消化)、マルピーギ管(コヨリムシ、カニムシ、ザトウムシと一部の胸板ダニ類はもたない)、5対以下の単眼に退化した側眼(それ以上に発達した側眼は化石種のサソリとワレイタムシに見られる)、スリット状感覚器(コヨリムシはもたない)
[130] 문서 前方/前腹側に向く口・背甲の縁辺部折り返し構造/心域/肋部の欠如
[131] 문서 背甲に覆われない第5付属肢の最初の肢節は第2肢節/転節(ヒヨケムシ、コヨリムシと胸板ダニ類に共通されるが、これらの群の該当体節はそもそも背甲に覆われていない)・脛節由来の apotele 屈筋(カブトガニ類とウミグモ類の諸説な肢節解釈により変わる)・第8体節の単一の生殖孔(胚発生ではカブトガニ類と同じく対になる)・後体第1節付属肢の欠如(ウミグモの第4脚は)・第後体第7節付属肢の欠如(サソリの該当体節には付属肢由来の書肺がある)
[132] 서적 動物学の百科事典 丸善出版
[133] 논문 The origins of tetrapulmonate book lungs and their significance for chelicerate phylogeny https://www.academia[...] 1997-01-01
[134] 서적 The early history and phylogeny of the chelicerates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2022-04-25
[135] 논문 Exploring the evolution and terrestrialization of scorpions (Arachnida: Scorpiones) with rocks and clocks https://doi.org/10.1[...] 2019-03-01
[136] 논문 Arthropod relationships revealed by phylogenomic analysis of nuclear protein-coding sequences https://www.nature.c[...] 2010-02
[137] 논문 Taxonomic Sampling and Rare Genomic Changes Overcome Long-Branch Attraction in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Pseudoscorpions https://doi.org/10.1[...] 2021-06-01
[138] 논문 Homeobox Gene Duplication and Divergence in Arachnids https://pubmed.ncbi.[...] 2018-09-01
[139] 논문 New genomic resources and toolkits for developmental study of whip spiders (Amblypygi) provide insights into arachnid genome evolution and antenniform leg patterning https://www.biorxiv.[...] 2020-07-03
[140] 논문 The book lungs of Scorpiones and Tetrapulmonata (Chelicerata, Arachnida): evidence for homology and a single terrestrialisation event of a common arachnid ancestor https://pubmed.ncbi.[...] 2006
[141] 문서
[142] 논문 Sperm carriers in Silurian sea scorpions https://doi.org/10.1[...] 2011-09-03
[143] 논문 Untersuchungen zur Morphologie, Taxonomie und Phylogenie der Chelicerata1 II. Cladogramme und die Entfaltung der Chelicerata https://onlinelibrar[...] 1979
[144] 논문 EVOLUTIONARY MORPHOLOGY AND PHYLOGENY OF ARAGHNIDA https://onlinelibrar[...] 1990-03
[145]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rachnid ord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https://doi.org/10.1[...] 2007-06-01
[146] 논문 Revised systematics of Palaeozoic ‘horseshoe crabs’ and the myth of monophyletic Xiphosura https://doi.org/10.1[...] 2013-01-01
[147] 논문 An unusual euchelicerate linking horseshoe crabs and eurypterids, from the Lower Devonian (Lochkovian) of Yunnan, China https://www.academia[...] 2015-11
[148] 논문 A new Ordovician arthropod from the Winneshiek Lagerstätte of Iowa (USA) reveals the ground plan of eurypterids and chasmataspidids https://www.research[...] 2015-09-21
[149] 문서
[150] 문서
[151] 서적 16 Phylogeny of the Chelicerate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https://www.research[...] De Gruyter 2014-01-29
[152]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