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속하는 면이다. 삼한시대 변한의 독로국에 속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거제군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거제면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이후 통영군과 거제군을 거쳐 현재의 거제시로 편입되었다. 현재 11개의 법정리를 관할하며, 면사무소는 서정리에 위치한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거제향교, 반곡서원, 남산패총 등이 있으며, 선자산이 위치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거제제일고등학교, 거제여자고등학교, 거제제일중학교, 거제초등학교, 외간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거제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제시의 행정 구역 - 장목면
장목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면으로, 조선시대 장목포진 설치 이후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김영삼 대통령 생가, 거제 장문포 왜성 등의 역사·문화·관광 자원과 농소몽돌해수욕장 등의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장목항과 외포항을 중심으로 어업 활동이 활발하며 양파, 멸치, 대구 등의 특산물이 풍부하다. - 거제시의 행정 구역 - 옥포동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은 옥포항을 중심으로 옥포성과 옥포대첩기념공원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임진왜란 첫 승전지인 옥포해전의 배경 지역으로 옥포대첩기념공원이 조성되었고, 여러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위치한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장목면
장목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면으로, 조선시대 장목포진 설치 이후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김영삼 대통령 생가, 거제 장문포 왜성 등의 역사·문화·관광 자원과 농소몽돌해수욕장 등의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장목항과 외포항을 중심으로 어업 활동이 활발하며 양파, 멸치, 대구 등의 특산물이 풍부하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삼랑진읍
삼랑진읍은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세 갈래 물결이 일렁이는 나루라는 뜻으로 유래했으며, 삼랑진역을 중심으로 교통의 요지이고, 만어사, 김범우 순교자 성지, 작원관 등의 문화·관광 자원이 있으며, 딸기와 복숭아가 특산물이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거제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거제면 |
한자 표기 | 巨濟面 |
영문 표기 | Geoje-myeon |
광역시도 | 경상남도 |
시군구 | 거제시 |
면적 | 37.2 |
세대 | 3,127 |
세대 조사 | 2015년 12월 말 |
인구 | 7,277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리 | 11 |
반 | 52 |
면사무소 | 거제면 서상길 1 |
홈페이지 | 거제면 사무소 |
2. 역사
거제면은 경상남도 사적 제484호 거제현 관아, 거제향교, 질청 등 여러 문화 유적지가 있어, 거제시의 역사와 전통을 잘 보여주는 유서 깊은 곳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는다. 또한, 2개의 고등학교가 있어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남쪽 바다는 미국 FDA가 인정한 청정 해역으로, 여기서 생산되는 굴은 외국으로 수출되어 어민 소득 증대와 외화 획득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온화한 날씨와 바람이 적은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동계 전지 훈련장이 건립되고 있으며, 신현 용산에서 터널이 이어져 거제동서로가 개통되었다.
거제면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 | 명칭 및 주요 내용 |
---|---|
삼한시대 | 변한의 12개국 중 독로국에 속함[1] |
677년(신라 문무왕 17년) | 상군에 속함[1]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 거제군으로 칭하면서 3현 가운데 명진현에 속함[1] |
1170년(고려 의종 24년) | 서부면이라 칭함[1] |
1663년(조선 현종 4년) | 고현에서 관아를 이전하면서 거제면이라 함.[1] |
1907년 | 거제초등학교 개교[1] |
1914년 | 통영군 거제면 (거제군과 용남군이 합쳐져 통영군이 됨.)[1] |
1953년 | 거제군 거제면 (거제군이 복원됨.)[1] |
1983년 | 동부면 명진리를 거제면으로 편입[1] |
1995년 | 거제시 거제면 (거제군과 장승포시를 합쳐 거제시가 됨.)[1] |
2. 1. 삼한 시대 ~ 고려 시대
삼한시대 변한의 12개국 중 독로국에 속했다.[1]677년(신라 문무왕 17년) 상군에 속했다.[1]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거제군'''으로 칭하면서 3현 가운데 명진현에 속했다.[1]
1170년(고려 의종 24년) 서부면이라 칭했다.[1]
2. 2. 조선 시대 ~ 현대
1663년(조선 현종 4년) 고현에서 관아를 이전하면서 '''거제면'''이라 하였다.[1] 1907년 거제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1] 1914년 거제군과 용남군이 합쳐져 통영군 거제면이 되었다.[1] 1953년 거제군이 복원되어 거제군 거제면이 되었다.[1] 1983년 동부면 명진리를 거제면으로 편입하였다.[1] 1995년 거제군과 장승포시를 합쳐 거제시가 되면서 거제시 거제면이 되었다.[1]3. 행정 구역
1663년(조선 현종 4년) 고현에서 관아를 이전하면서 '''거제면'''이라 하였다.[1] 1914년 일제강점기에 '''통영군''' 거제면이 되었다가[1] 1953년 거제군이 복원되면서 '''거제군''' 거제면이 되었다.[1] 1983년에는 동부면 명진리를 편입하였고,[1] 1995년 거제군과 장승포시가 통합되어 거제시가 되면서 '''거제시''' 거제면이 되었다.[1]
현재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1]
법정리 | 행정리 |
---|---|
내간리(內看里) | 내간, 죽림, 내곡 |
외간리(外看里) | 외간 |
옥산리(玉山里) | 옥산, 화원 |
명진리(明珍里) | 명진 |
오수리(烏首里) | 오수, 외오, 둔전 |
동상리(東上里) | 동상 |
남동리(南洞里) | 남동, 외동 |
법동리(法東里) | 법동 |
소랑리(小浪里) | 소랑 |
서정리(西亭里) | 서정 |
서상리(西上里) | 서상 |
4. 문화/관광
거제시는 경상남도 사적 제484호 거제현 관아를 비롯하여 거제향교, 질청 등 여러 문화 유적지가 있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또한, 2개의 고등학교가 있어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남쪽 바다는 미국 FDA가 인정한 청정 해역으로, 여기서 생산되는 굴은 외국으로 수출되어 어민 소득 증대와 외화 획득에 기여하고 있다. 온화한 날씨와 바람이 적은 지리적 조건 덕분에 동계 전지훈련장이 건립 중이며, 신현 용산에서 터널이 이어져 거제동서로가 개통되었다.
4. 1. 문화 유적
- '''선자산'''
선자산은 거제면 동상리에 있는 산으로 계룡산 줄기 남쪽의 산이다. 높이는 507m이며 신현읍과 거제면의 경계에 있다. 고현에서 구천계곡 쪽으로 들어가 수자원개발공사를 지나 삼거리 윗담마을에서 오르면 된다. 가을에는 단풍나무가 아름답고 자작나무와 참나무가 무성하며 계곡물이 맑고 깨끗하다. 이 계곡 물들이 굽이굽이 모여 구천댐 물을 이룬다.[2]
- '''거제현 관아'''
- '''거제향교'''
거제향교는 거제면 서정리 626에 있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1982년 8월 2일 지정되었다. 1664년 18대 조선 현종 5년에 고현에서 거제로 옮겨진 것으로 지방 학교로 사용했다. 거제향교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동·서무, 일주문, 명륜당, 고자실, 동·서재 풍화루가 있다.[3]
- '''반곡서원'''
반곡서원은 거제면 동상리 364에 있는 조선 시대 유적이다. 우암 송시열 선생이 유배와서 거처한 곳으로 1704년 조선 숙종 30년 거제 지방유림에 의해 창건 되었으며, 1868년 조선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폐지령에 의해 철폐되었다.[4]
- '''남산패총'''
남산패총은 거제면 남동리 29-21에 있는 삼한시대의 유적이다. 이곳에 도로가 개설되면서 일부 파손되었으나, 주변 경작지와 언덕에 삼한시대 토기편과 패각(貝殼)이 퇴적된 문화층이 잔존하고 있다. 이 유적의 입지조건이나 성격은 김해 지역의 회현리나 유하리 패총과 더불어 경남 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삼한시대 패총들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패총 외에도 구릉 정상에는 삼한시대 주거지와 고분 흔적이 남아있다. 이곳에서 수습된 유물은 주로 승석타날문이 시문된 적갈색 연질토기와 회색 경질, 연질 토기 등이 많이 확인되고 있다.[5]
- 외간리 고분군
- 거제스포츠파크
- 옥산성지
4. 2. 자연/휴양
- '''선자산'''
선자산은 거제면 동상리에 있는 산으로 계룡산 줄기 남쪽의 산이다. 높이는 507m이며 신현읍과 거제면의 경계에 있다. 고현에서 구천계곡 쪽으로 들어가 수자원개발공사를 지나 삼거리 윗담마을에서 오르면 된다. 가을에는 단풍나무가 아름답고 자작나무와 참나무가 무성하며 계곡물이 맑고 깨끗하다. 이 계곡 물들이 굽이굽이 모여 구천댐 물을 이룬다.[2]
5. 교육
6. 교통
거제동서로가 개통되었고, 신현 용산에서 터널이 연결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거제면 일반현황
http://www.geoje.go.[...]
2012-07-17
[2]
웹사이트
거제면 관광지
http://www.geoje.go.[...]
2012-07-17
[3]
웹사이트
거제면 관광정보
http://www.geoje.go.[...]
2012-07-17
[4]
웹사이트
거제면 관광정보
http://www.geoje.go.[...]
2012-07-17
[5]
웹사이트
거제면 관광정보
http://www.geoje.go.[...]
2012-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