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룡산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산으로, 여러 봉우리의 총칭이며 최고봉은 천황봉이다. 백제 시대에는 계산 또는 계람산으로 불렸으며, 신라 시대에는 오악 중 하나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계룡산은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인해 196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 100대 명산에도 포함되었다. 또한, 이성계의 천도 설화, 정도령과 관련된 예언 등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현재 계룡산 일대는 민간신앙과 신흥 종교 단체에게 특별한 장소로 여겨지고 있으며, 갑사, 동학사 등의 사찰과 계룡대, 방송 송신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룡시의 지리 - 향적산 (충남)
향적산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위치한 해발 643m의 산으로, 계룡산국립공원 남쪽에 있으며, 대보화강암과 문상반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성계와 관련된 국사봉과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하며, 주변 지역의 주요 곡창 지대를 형성하고 계룡산을 조망할 수 있는 등산 코스로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있다. - 차령산맥 - 치악산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에 걸쳐 있는 해발 1,288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으로, '은혜 갚은 꿩' 설화와 관련된 명칭, 비로봉 정상의 돌탑, 다양한 등산로, 총 길이 139.2km의 둘레길, 그리고 약 20억 년 전에 퇴적된 치악산 편마암 분포가 특징이다. - 차령산맥 - 칠갑산
주병선의 노래 "칠갑산"으로 유명한 칠갑산은 충청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산이며, 이 노래는 화전민들의 고된 삶과 애환을 담고 있다. - 계룡산 - 갑사 (사찰)
갑사는 백제 시대에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통일신라 시대 의상대사가 중창한 계룡산의 천년고찰로, 임진왜란 때 승병 궐기 거점이었으며 현재 국보와 보물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공주 10경 중 하나이다. - 계룡산 - 신원사 (사찰)
신원사는 백제 위덕왕 5년에 창건된 충청남도 공주시의 사찰로, 신라 문무왕 때 국찰로 지정되었으며, 조선 시대 억불 정책 속에서도 유지되다가 고종 때 신원사(新元寺)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보물 중악단이 있다.
계룡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계룡산 |
한자 표기 | 鷄龍山 |
로마자 표기 | Gyeryongsan |
위치 |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시, 대전광역시 유성구 |
산맥 | 차령산맥, 금남정맥 |
높이 | 845m |
최고봉 | 천황봉 |
지리 정보 | |
위도 | 36.3432785 |
경도 | 127.2061371 |
기타 정보 | |
관련 공원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신라 오악 | 신라의 오악 중 서악 |
이미지 | |
![]() |
2. 역사
백제 시대에는 계산(鷄山), 계람산(鷄籃山) 등으로 불렸다. 계룡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 당나라 때 장초금이 지은 《한원》이라는 책에 나타나는데, '백제의 동쪽에 계람산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1] 통일신라 시대에는 오악 중 하나로 중요하게 여겨져 국가에서 제사를 지냈으며, 이 신앙은 고려와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다. 이 제사는 신원사 중악단에서 지냈다.
계룡산성은 나말선초인 9세기 중엽에 축조된 산성으로, 후백제가 처음 축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2. 1. 이성계의 천도 설화
이성계가 신도안을 새로운 도읍으로 정하려 할 때 계룡산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고려를 무너뜨린 이성계는 신도안에 궁궐을 짓는 공사를 시작하고, 자신은 계룡산 사연봉에 올라가 제단을 차려 기도를 올렸다. 그가 기도하던 곳은 기도굴이라는 이름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공사가 반년쯤 진행되었을 때, 하얀 할머니가 나타나 공사를 계속하면 이성계의 생명이 위태로울 것이니 중지하라고 경고했다. 계룡산 할머니는 계룡산의 정기를 타고 '''정도령'''이라는 신인이 나타나 이곳에 도읍을 정하고 800년간 다스릴 것이니, 이성계는 500리 북쪽으로 올라가 도읍을 정하라고 하였다. 이성계는 공사를 중지시켰는데, 그때 일꾼들이 신에 묻었던 흙을 털어낸 것이 모여 신털봉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3. 지리
계룡산은 차령산맥의 일부로, 금강에 의해 침식된 잔구성 산지이다. 최고봉은 천왕봉이며, 그 외에 관음봉, 신선봉, 삼불봉 등 20개의 봉우리들이 있다. 폭포와 계류, 많은 기암괴석 등 풍경이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등산로가 정비되어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백제의 수도였던 공주시와 가까워 예로부터 명산으로 인식되었으며, 주변에는 갑사, 동학사 등의 많은 사찰이 세워졌다. 공주에는 조선시대 가마터인 계룡산요터와 계룡산온천이 있고, 남쪽 기슭의 계룡시에는 대한민국 국군의 육해공군 통합사령부인 계룡대가 있다.
계룡산 일대는 1968년 계룡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02년 국제연합이 정한 세계산악의 해를 기념하여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산에도 포함되었다.[7][8]
3. 1. 봉우리

계룡산은 태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차령산맥의 일부로, 금강에 의해 침식된 잔구성 산지이다. 천왕봉(845m)을 비롯하여 연천봉, 삼불봉, 관음봉 등 20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산세는 동쪽으로 U자형으로 열린 침식분지 형태이다.
봉우리 이름 | 높이(m) | 설명 |
---|---|---|
천왕봉 | 845 | 계룡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 출입금지구역. |
쌀개봉 | 828 | 디딜방아의 받침대, 즉 쌀개를 닮았다하여 이름이 붙여짐. 출입금지구역. |
관음봉 | 766 | 천황봉, 쌀개봉과 더불어 계룡산의 주봉. 이곳의 한가로운 구름은 계룡산의 제4경이며 공주 10경 중 하나. 쌀개능선의 단풍과, 서북능선의 3월 철쭉길이 아름다움. |
삼불봉 | 775.1 | 세 부처가 앉아 있는 것 같다하여 이름이 붙여짐. |
문필봉 | 756 | |
연천봉 | 739 | 주능선이 문필봉을 통하여 연천봉으로 이어짐. 갑사계곡과 신원사 계곡 사이에 있음. 천왕봉과 쌀개봉, 문필봉, 삼불봉이 잘 보임. 서쪽 아래로는 상월과 계룡지, 경천지가 보이며, 저녁노을이 장관으로 계룡산의 제3경. 천왕봉과 하늘에 연결되어 있는 연천봉에 디딤돌 두개만 놓으면 하늘에 닿을 수 있다는 설이 있어 부녀자들이 많이 기도를 하던 장소였다고 알려져있음.[13] |
신선봉 | 649 | |
황적봉 | 605 | 봉우리 모습이 노적가리(한곳에 쌓아둔 곡식의 더미)같다하여 이름이 붙여짐. |
향적봉 | 574.9 | |
백운봉 | 536 | 항상 산에 흰 구름이 끼어있다하여 이름이 붙여짐. |
금수봉 | 532 | |
도덕봉 | 524 | 항상 여유있게 푸르다하여 이름이 붙여짐. |
장군봉 | 500 | 장군처럼 위엄이 있다하여 이름이 붙여짐. |
형제봉 | ||
관암산 | 갓처럼 생긴 관암이란 바위가 있어 이름이 붙여짐. |
3. 2. 폭포
계룡산에는 옛 신선들이 숨어서 놀았을 만큼 아름다운 곳이라 하여 이름 지어진 계룡팔경 중 제7경인 은선폭포와 용문폭포, 수통폭포가 있다.[7][8] 은선폭포는 홍색장석질 화강암에 나타난 20cm 정도 두께로 겹겹이 쌓인 판산의 사 절리들이 외부로부터 떨어져나가 만들어진 높이 46m, 폭 10m, 경사 60도 정도의 폭포이다. 지형적인 조건은 갖추고 있지만, 산 정상부 주변에 위치하여 폭포를 형성 할 수 있을 만큼의 유수량이 계속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갈수기에는 낙수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4. 생태
계룡산에는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4. 1. 식생
계룡산은 주로 낙엽활엽수림으로 덮여 있고, 계룡산 주변에는 계엽수림이 많다. 고도 200~400m의 산록대에는 소나무, 떡갈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와 층층나무가 있으며, 고도 400~650m의 중복대에는 박달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굴참나무가 많다. 650m 이상의 산정대에는 소나무, 신갈나무, 쇠물푸레, 철쭉이 많다. 중상부의 식생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다.[14]4. 2. 깃대종
계룡산의 깃대종은 호반새와 깽깽이풀이다.[15]5. 문화
계룡산은 백제의 수도였던 공주시와 가까워 예로부터 명산으로 여겨졌으며, 주변에는 갑사, 동학사 등 많은 사찰이 세워졌다. 공주에는 조선시대 가마터인 계룡산요터와 계룡산온천이 있다. 남쪽 기슭은 계룡시이며, 대한민국 국군의 육해공군 통합사령부인 계룡대가 위치해 있다.[7][8]
삼국사기에는 토함산, 지리산, 태백산과 함께 오악(五岳)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 예언서인 정감록에는 이씨 왕조가 멸망한 후 정씨가 "계룡산"에 도읍을 정하고 왕조를 열 것이라는 내용이 있어, 민간신앙(샤머니즘, 무속)과 일부 신흥 종교 단체에게 특별한 장소로 여겨진다.[1]
5. 1. 풍수
삼국사기는 계룡산을 토함산, 지리산, 태백산과 함께 오악(五岳) 중 하나로 꼽는다. 계룡산은 하늘을 향하는 용의 모양이며 '산태극', '수태극', '회룡고조' 등 하늘의 이치를 가진 신비로운 땅으로서 언젠가는 이곳이 수도가 되어 천하 36국에서 조공을 받는 시대가 도래한다고 묘사한다. 신라 말 도선은 자신의 비기(秘記)에서 개성은 5백 년 도읍지, 한양은 4백 년 도읍지, 계룡산 신도안은 8백 년 도읍지라고 했다.[1] 정감록에는 "정도령"이 나타나 8백 년간 도읍을 삼는다고 씌어 있다. 금강이 계룡산을 휘감고 계룡산 주변의 여러 산이 태극을 이루어 수태극/산태극이라고 하였다.이성계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도읍으로 신도안을 선택하여 궁궐 공사를 시작했는데, 계룡산 사연봉에 올라가 제단을 차려 놓고 기도를 하였다. 그가 기도하던 곳은 기도굴이라는 이름으로 지금도 전해진다. 공사가 반년쯤 진행되었을 때 하얀 할머니가 나타나 공사를 계속하면 생명이 위태로울 것이니 중지하라고 하였다. 계룡산 할머니는 계룡산의 정기를 타고 '''정도령'''이라는 신인이 나타나 이곳에 도읍을 정하고 800년간 다스릴 것이니 이성계는 500리 북쪽으로 올라가 도읍을 정하라고 하였다. 이성계는 공사를 중지시켰는데, 그때 일군들이 신에 묻었던 흙을 털어낸 것이 모여 신털봉이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 유포된 예언서 정감록에 따르면, 이씨 왕조가 멸망한 후 정씨가 "계룡산"에 도읍을 정하고 왕조를 열 것이라고 한다.
경상남도 거제시에도 계룡산이라는 이름의 산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충청남도 계룡산 일대가 예언의 땅으로 여겨지며, 민간신앙(샤머니즘, 무속)과 일부 신흥 종교 단체에게 특별한 장소가 되고 있다.
5. 2. 계룡 8경
계룡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대표하는 8곳은 다음과 같다.- 천왕봉에서 바라본 일출 광경
- 삼불봉을 하얗게 덮어버린 겨울 흰눈
- 연천봉의 낙조
- 관음봉을 싸안고 한가롭게 떠도는 구름
- 한여름 동학사 계곡의 숲
- 가을 갑사 계곡을 온통 붉은색으로 수놓은 듯한 단풍
- 은선폭포가 낙수되면서 하얗게 포말을 일구워내는 물안개
- 남매탑에 반쯤 걸린 달의 모습
이외에도 경치 좋은 곳이 많이 있는데, 산의 북쪽 상신리계곡에 용산 9곡, 계룡 9곡, 갑사 9곡도 이름이 있다.[7][8]
5. 3. 공주 10경
공주 10경 선정위원회에서 공주 10경 후보지 15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계룡산이 공주 10경으로 선정되었다.[16] 계룡산은 여러 봉우리의 총칭이며, 최고봉은 천황봉이다. 그 외에 관음봉, 신선봉, 삼불봉 등이 있다. 폭포와 계류, 많은 기암괴석 등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하이킹 코스가 정비되어 관광지로도 활용되고 있다.5. 4. 민간 신앙
조선시대에 널리 퍼진 예언서인 정감록에 따르면, 이씨 왕조가 멸망한 뒤 정씨가 "계룡산"에 도읍을 정하고 새로운 왕조를 열 것이라고 한다.경상남도 거제시에도 계룡산이라는 이름의 산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충청남도 계룡산 일대가 예언의 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민간신앙 (샤머니즘, 무속)과 일부 신흥 종교 단체에게 특별한 장소가 되고 있다.[1]
6. 사찰
계룡산은 예로부터 명산으로 인식되어 주변에 많은 사찰이 세워졌다. 특히, 서쪽 등산로의 갑사, 동쪽 등산로의 동학사가 알려져 있다.[7]
7. 교통
8. 기타
계룡산 남쪽 기슭은 계룡시이며, 대한민국 국군의 육해공군 통합사령부인 계룡대가 있다.[7]
8. 1. 방송 송신 시설
디지털TV | ||||||
가상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물리채널 | 출력 | 가시청권 | |
---|---|---|---|---|---|---|
CH 7-1 | KBS대전 DTV2 | HLQT-DTV | CH 32 | 1kW | 대전, 충북 중남부, 충남 중남부 | |
CH 9-1 | KBS대전 DTV1 | HLKI-DTV | CH 26 | 1kW | ||
CH 10-1 | EBS 1TV | HLQL-DTV | CH 18 | 1kW | ||
CH 10-2 | EBS 2TV | |||||
UHDTV | ||||||
가상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물리채널 | 출력 | 가시청권 | |
CH 7-1 | KBS대전 2TV | HLDF-UHDTV | CH 56 | 5kW | 대전, 충북 중남부, 충남 중남부 | |
CH 9-1 | KBS대전 1TV | HLKI-UHDTV | CH 56 | |||
FM라디오 | ||||||
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가시청권 | ||
94.7㎒ | KBS대전 제1라디오 | HLKI-SFM | 1kW | 대전, 충남 중남부, 충북 중남부, 전북 일부 | ||
98.5㎒ | KBS대전 음악FM | HLKI-FM | 1kW | |||
105.7㎒ | EBS FM | HLQL-FM | 5kW | |||
지상파DMB | ||||||
앙상블명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채널(주파수) | 출력 | 가시청권 | |
MY MBC | my MBC11 | HLCQ-TDMB | CH 11-A (199.280㎒) | 2kW | 대전, 충남 중남부, 충북 중남부 | |
U-KBS | KBS STAR | HLKI-TDMB | CH 11-B (201.008㎒) | |||
HD KBS STAR | ||||||
KBS HEART | ||||||
KBS MUSIC |
8. 2. 계룡대
계룡산 남쪽 기슭은 계룡시이며, 대한민국 국군의 육해공군 통합사령부인 계룡대가 위치해 있다.[7]8. 3. 사진
참조
[1]
간행물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
포스터
Official posters in the park
[3]
서적
[4]
간행물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5]
간행물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6]
웹사이트
Gyeryongsan, Naver doopedia
http://terms.naver.c[...]
[7]
웹사이트
한국의 100대 명산
http://www.forest.go[...]
산림청
2002-10-21
[8]
웹사이트
계룡산
http://www.foreston.[...]
[9]
웹인용
계룡산
https://terms.naver.[...]
2020-11-07
[10]
웹인용
계룡산국립공원
http://www.knps.or.k[...]
2020-11-06
[11]
뉴스
최소 1천년 전에 명명된 민족의 영산
http://www.dtnews24.[...]
DTNEWS24
[12]
간행물
백제연구 40집
http://baekje.zininz[...]
2016-03-05
[13]
간행물
향토교육자료집 1 - 우리고장충남
충청남도교육위원회
[14]
간행물
충남의 자연환경
충청남도지
[15]
웹인용
계룡산국립공원
http://www.knps.or.k[...]
2020-11-06
[16]
뉴스
'공주 10景' 탄생!
http://www.newstown.[...]
뉴스타운
2012-07-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예비부부 누구나 ‘숲 결혼식’ 올리세요…국립공원 결혼식장 확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