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성군은 함경북도에 위치한 지역으로, 동해와 접하며 관모봉을 포함한 산악 지형을 갖추고 있다. 해양성 기후로 비교적 온난하며, 벼농사, 배 재배, 소규모 어업 등이 이루어진다. 도자기 공업이 발달했으며, 온천과 자연경관으로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고구려, 발해, 고려 시대에 걸쳐 역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며, 조선 시대에는 북방 통치의 요충지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함경북도의 도청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경성읍과 여러 노동자구, 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며, 경성읍성, 남문, 온천 등이 관광 명소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군 - 경성도자기공장
    경성도자기공장은 1935년 일제강점기에 설립되어 내화벽돌 생산을 시작, 연합군 폭격으로 파괴 후 1947년 재건되어 북한 도자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도자기를 생산, 현재는 북한의 대표적인 산업 유산이다.
  • 함경북도의 군 - 부령군
    부령군은 함경산맥을 비롯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고성산이 최고봉이며, 수성천이 청진시로 흘러들고, 희귀 동물이 서식하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분쟁 지역이었고, 세종 때 6진 중 하나인 영북진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3구 5리로 구성되어 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고,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는 지역이다.
  • 함경북도의 군 - 무산군
    무산군은 함경북도 북단 두만강 상류에 위치한 험준한 산악 지형의 군으로, 북한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며, 1438년 무산진 설치로 이름이 유래되었고, 무산광산을 비롯해 임업과 감자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며, 현재 1읍 6로동자구 15리로 구성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경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북한 함경북도에 표시된 경성 위치
북한 함경북도에서 경성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일반 정보
이름경성군
원어 이름경성군 (경성군)
한자 표기鏡城郡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Kyŏngsŏng kun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Gyeongseong-gun
국가북한
함경북도
위치 좌표41°39′N 129°29′E
행정 구역
종류
1개
로동자구5개
14개
인구 통계
인구 (2008년)105,909명
추가 정보
면적1,170.575 km²

2. 지리

서쪽과 남서쪽은 함경산맥이 위치해 있어 전반적으로 높으며, 특히 함경산맥에는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인 관모봉(2,541m)이 있다. 동쪽은 동해에 접하며, 경성평야 등이 있어 해안 평야 지대를 이루고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어랑천, 주북천, 보로천, 주을온천, 오촌천이 있으며, 주요 호수로는 장연호, 무계호 등이 있다.

경성군은 숲이 80%를 차지한다. 동쪽 평야 지대에서는 주로 논농사를 짓고, 배를 재배하는 과수원 농사도 활발하다. 해안의 어촌에서는 소규모 어업도 이루어진다. 경성군 생기령은 고령토 산지여서 도자기 공업이 발달하였다.

동해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청진시, 남쪽으로는 어랑군, 서쪽으로는 연사군과 접한다.

2. 1. 기후

바다와 접하여 비교적 온난한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연간 평균기온은 6.6°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8.2°C, 8월 평균 기온은 21.1°C이다. 평균 강수량은 동쪽 해안 지대와 서쪽 산간 지대가 차이를 보이는데, 동쪽 해안 지방은 연평균 648mm, 서쪽 산악 지방은 800mm이다. 기후는 바다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난한 편이지만 북한한류의 영향으로 특히 7월경에 안개가 자주 낀다.[1]

3. 역사

경성군은 고구려, 발해를 거쳐 여진족의 영역이 되었고, 고려와 분쟁하던 곳이었다. 한때 원나라의 통치를 받기도 했다. 여진족은 이곳을 우롱이(于籠耳)나 목랑고(木郞古)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는 '경성'(鏡城)이라고 불렸고, 경성도호부사는 북도절도사를 겸임하는 등 동북 변경 통치상 중요한 곳으로 여겨졌다. 근대에 들어서도 함경북도의 도청 소재지였다.[3]

일제강점기까지 경성군은 현재의 어랑군을 포함했다. 군내의 라남에는 일본군 제19사단이 주둔했고, 1920년 11월에 함경북도청이 라남으로 이전되었다. 라남은 1940년 청진부에 편입되었다.[3]

경성군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3][5]

연도내용
1398년경성(鏡城)으로 칭해졌으며, 만호(萬戶)가 설치되었다.
1400년함경도 병마절도사 군영이 설치되었다.
1410년경성부(鏡城府)가 설치되었다.
1432년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467년병마절도사영이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군영으로 개편되었다. (북병영 설치)
1883년경성에 안무영이 설치되었다. (함경도 북부지역의 행정 관할 관청)
1896년경성에 함경북도 관찰부가 설치되었다. (함경북도 최고 행정관청 소재지가 됨)
1914년 4월 1일군면(郡面) 통폐합에 따라, 함경북도 경성군의 일부(명간면)가 명천군에 편입. 경성군에 주남면(朱南面)·주북면(朱北面)·어랑면(漁郎面)·주을온면(朱乙溫面)·오촌면(梧村面)·룡성면(龍城面) 설치 (6면)
1920년 11월함경북도 도청이 경성 읍내에서 경성군 나남면으로 이전되었다.
1930년오촌면이 분할되어, 나남면(羅南面)·경성읍(鏡城邑)이 발족. (1읍 6면)
1931년나남면이 나남읍(羅南邑)으로 승격. (2읍 5면)
1939년룡성면의 일부가 청진부에 편입. (2읍 5면)
1940년 3월경성군 나남읍, 용성면(수성)이 청진부에 편입되었다.
1943년 10월 1일주을온면을 주을읍으로, 어랑면 일부를 어대진읍으로 승격. 청진부 일부가 룡성면에 편입, 나남읍 및 경성읍·룡성면 일부가 청진부에 편입, 경성읍이 경성면(鏡城面)으로 강등. (2읍 5면)
1945년룡성면 일부가 청진부 일부와 합병하여 나남시가 됨. 룡성면·경성면 각 일부가 청진시에 편입. 룡성면 잔부가 경성면에 편입. 어대진읍이 어랑면에 편입. (1읍 4면)
1949년주을읍이 주을온면으로 강등. (5면)
1952년 12월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온면 및 경성면·주북면 각 일부 지역을 가지고 경성군 설치. 경성군에 경성읍·구덕리(九德里)·관모리(冠帽里)·남석리(南夕里)·대향리(大鄕里)·독연리(獨淵里)·룡산리(龍山里)·룡천리(龍川里)·룡현리(龍峴里)·모래온천리·매향리(梅香里)·박충리(朴忠里)·보상리(甫上里)·생기령리(生氣嶺里)·수성리(壽星里)·승암리(勝岩里)·오상리(梧上里)·온대진리(溫大津里)·일향리(一鄕里)·장평리(長坪里)·주을온보리(朱乙溫堡里)·중평리(仲坪里)·하면리(河面里)·화하리(花下里) 설치. (1읍 23리)
1953년 12월생기령리가 생기령로동자구로 승격. (1읍 1로동자구 22리)
1954년 10월보상리가 매향리에 편입. (1읍 1로동자구 21리)
1963년 11월수성리·승암리가 합병하여, 승암로동자구 발족. (1읍 2로동자구 19리)
1972년 11월박충리가 박충로동자구로, 룡천리가 룡천로동자구로 승격. (1읍 4로동자구 17리)
1977년 11월청진직할시 설치에 따라, 청진직할시 경성군이 됨. 모래온천리가 주을리로 개칭. (1읍 4로동자구 17리)
1978년 10월구덕리가 라남구역에 편입. (1읍 4로동자구 16리)
1981년주을리가 하온보리로, 주을온보리가 상온보리로 개칭. (1읍 4로동자구 16리)
1985년 7월청진직할시 폐지에 따라, 함경북도 경성군이 됨. (1읍 4로동자구 16리)
1992년 12월경성읍·하온보리 각 일부가 합병하여, 하온보로동자구 발족. 하온보리 잔부가 상온보리에 편입. (1읍 5로동자구 15리)
1999년룡현리가 염분리(塩盆里)로 개칭. (1읍 5로동자구 15리)


4. 행정 구역

광복 당시 경성군은 어대진읍, 주을읍, 경성면(군청 소재지), 어랑면, 주북면, 주남면의 2읍 4면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의 청진시 일부 및 어랑군 전 지역을 포함했다. 현재 경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로동자구 15리이다.

로동자구
경성읍

[3]

5. 경제

경성군은 동쪽 평야 지대에서 주로 벼농사를 짓고, 과수원에서는 배를 재배한다. 해안가에서는 소규모 어업도 이루어진다. 생기령은 고령토 산지로 도자기 공업이 발달했다.

교통은 평라선 철도가 지나며, 봉강역, 어대진역, 어랑역, 용현역, 경성역, 생기령역, 승암역이 있다.

관광지로는 국경 수비를 위해 쓰인 경성읍성과 경성남문이 승암로동자구에 있으며, 주을온천도 유명하다.

5. 1. 산업

경성군의 80%는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 평야 지대에서는 주로 벼농사를 짓고, 과수원 농사로는 배가 주요 농작물이다. 해안의 어촌에서는 소규모의 어업도 행해지고 있다. 경성군 생기령(生氣嶺)은 고령토의 산지이기 때문에, 이 지방은 도자기 공업이 발달하였다. 해당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도자기 제조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양질의 도토를 생산하며, 요업으로도 알려져 있다.[1]

6. 교통

경성군은 평라선 철도에 위치해 있다.

7. 관광

관광 명소로는 경성읍성과 경성 남문이 있다. 2023년 11월에는 경성 어린이 야영소가 개관했다.[1] 김정은 북한 최고 지도자는 경성에 해안 별장을 가지고 있다.[2] 청진에서 남서쪽으로 35km 떨어진 해변에 있으며, 조선의 유명한 도자기 생산지이자 휴양 관광지이다.


  • 염분 혁명 사적지: 경성읍에서 해변으로 4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 주을온천
  • 경성온천: 경성읍에서 2km 떨어진 하온보리에 있는 치료용 온천이다.
  • 온보온천: 경성읍에서 북서쪽으로 12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예로부터 리조트로 널리 알려져 있다.
  • 경성읍성과 경성 남대문: 고려 시대에 건립되어, 조선 시대에 개축된 고적.

8. 교육

9. 출신 인물


  • 무정 - 북한의 군인으로, 1904년 경성군 출신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boasts of successful kids camp project despite 14-year delay https://www.nknews.o[...] NK News 2023-11-14
[2] 뉴스 Serious misconduct in Kim Jong Un’s personal guard unit leads to personnel reshuffle https://www.dailynk.[...]
[3] 웹사이트 함경북도 경성군 역사 http://www.cybernk.n[...]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날짜 정보가 연도만 있으므로 00-00으로 처리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