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안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 안종은 고려 태조 왕건의 아들이며, 고려 현종의 아버지이다. 헌정왕후와의 관계를 통해 현종을 낳았으나, 헌정왕후와의 불륜으로 사수현으로 유배되었다. 아들 현종이 즉위한 후 안종으로 추존되었으며, 시호는 효의대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6년 사망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996년 사망 - 소손녕
요나라의 군인이자 외교관인 소손녕은 993년 고려를 침공하여 서희와의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고 고려-요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이후 실책과 사생활 문제로 공신 칭호를 박탈당하고 사약을 받아 자결했다. - 고려의 추존왕 - 고려 대종
고려 대종은 태조와 신정왕후의 아들로, 성종 즉위 후 왕으로 추존되었으며 능은 태릉이다. - 고려의 추존왕 - 고려 세조
고려 세조 왕륭은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로, 의조 왕제건과 원창왕후 저민 사이에서 태어난 송악 호족 출신으로 궁예에게 귀부하여 금성태수를 지냈으며, 사후 아들 왕건에 의해 세조위무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고려의 왕족 - 왕우 (고려 왕족)
왕우는 고려 신종의 7대손이자 공양왕의 친형으로, 공양왕 즉위 후 정양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조선 건국 후에는 딸이 태조의 며느리가 되어 고려 왕실의 제사를 맡게 되었다. - 고려의 왕족 - 왕면
왕면은 고려 의종의 사위로, 수사공 등의 관작을 받았으며, 순후하고 침착한 성품으로 의술에 정통하여 종기를 치료하는 등 헌신적인 면모를 보였다.
고려 안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안종 |
한자 표기 | 安宗 |
본명 | 왕욱 |
한자 표기 | 王郁 |
왕위 (추존) | |
국가 | 고려 |
생애 | |
출생 | 920년 또는 937년경 |
출생지 | 고려 |
사망 | 996년 7월 24일 (음력 996년 7월 7일) |
사망지 | 경상도 사수현 |
묘소 | 무릉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태조 |
어머니 | 신성왕후 김씨, 또는 대량원부인 (양어머니로 신성왕후) |
배우자 | 효숙왕후 |
자녀 | 성목장공주, 현종 |
존호 및 묘호 | |
시호 | 헌경성덕효목효의대왕 (憲景聖德孝穆孝懿大王) |
묘호 | 안종 (安宗) |
2. 생애
경종이 981년에 죽은 후, 헌정왕후는 왕욱의 저택 근처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살기 시작했고, 둘은 자주 만나 함께 시간을 보냈다. 결국 헌정왕후는 그와 함께 아들 왕순(王詢; 훗날의 고려 현종)을 낳았지만, 출산 중에 사망했다.[6]
왕욱은 과부인 왕후와의 불륜으로 인해 사수현(현재의 사천시)으로 유배되었다. 왕순은 성종의 유모 중 한 명에게 맡겨졌지만 아버지를 그리워하여 왕은 왕순을 왕욱과 함께 살도록 결정했다. 그들은 함께 귀양지에서 왕욱이 996년 7월 24일에 죽을 때까지 살았다. 왕순은 997년에 수도로 돌아왔고,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에게 시호를 내렸다.
2. 1. 출생과 가계
태조 왕건의 아들로, 어머니는 제5비 신성왕후이다. 생모 신성왕후는 신라의 왕족이자 경순왕의 사촌누이로[11], 935년 11월 신라가 고려에 항복 의사를 표하며 시집보낸 여성이다. 따라서 왕욱은 936년에서 태조가 사망하는 943년 사이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고려사에 의하면 경순왕은 고려에 귀부하면서 "우리 백부 지대야군사 잡간 김억렴에게 딸이 있어 덕과 용모가 쌍미한지라 이가 아니면 내정을 구비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하여 신성왕후를 적극 추천했다 한다.
- 아버지: 왕건 (877–943)
- * 조부: 왕륭 (840–897)
- * 조모: 한씨 부인 (850–?)
- 어머니: 신성왕후 (900–?)
- * 외조부: 김온렴 (875–?)
- * 외조모: (875–935)
- 배우자와 자녀:
- * 미상 (순안궁주 – 이복 여동생; 논란) (920–?)
- ** 성목공주 (? – 1018)
- * 황주 황보씨 황보씨 부인 (966–992), 후에 아들에 의해 헌정왕후로 추존됨
- ** 왕순, 대량원군 (992–1031); 고려의 제8대 국왕이 됨.
2. 2. 헌정왕후와의 관계와 유배
981년 경종이 사망하면서 경종의 제4비인 헌정왕후는 궁에서 나와 살았다.[6] 이때 그 이웃에 왕욱이 살았는데, 두 사람은 자주 왕래하다보니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고, 결국 정을 통해 헌정왕후는 왕욱의 아이를 가지게 되었다. 당시 이 일은 주변사람들이 모두 쉬쉬하여 조정에서는 모르고 있었는데, 어느 날 왕욱의 노비가 왕욱의 집에 일부러 불을 질러 이 일에 대해 위문차 왕욱의 집에 왔던 성종(헌정왕후의 친오빠)에게 이 일을 보고하였다.[6]성종에게 모든 일이 알려진 직후 헌정왕후는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다가 갑자기 산고를 느껴 아이를 낳고는 곧바로 죽었고, 왕욱은 선왕의 태후를 범한 죄로 탄핵받고 경상도 사수현(현재의 사천시)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6] 이때 태어난 아이가 왕순(훗날의 현종)이다. 헌정왕후와 왕순은 모두 태조의 손녀, 손자이니, 그들은 모자지간이면서 사촌남매간이 되는 셈이다.[6]
헌정왕후의 아버지 대종 왕욱은 태조와 신정왕후의 아들로 안종 왕욱의 이복 형이고, 헌정왕후는 안종의 조카딸이다. 또한 헌정왕후는 그의 또다른 이복 형인 광종의 아들이자 그의 이복 조카인 경종와 결혼하였으므로 그에게는 조카며느리도 된다.[6] 왕순은 997년에 수도로 돌아왔고,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에게 시호를 내렸다.
2. 3. 유배 이후
헌정왕후는 출산 도중 사망하고, 왕욱은 선왕의 태후를 범한 죄로 경상도 사수현(지금의 경상남도 사천시)으로 유배되었다.[6] 훗날 아들 왕순이 왕위에 오르자 왕욱의 묘호를 '''안종'''(安宗)이라 하였다.[12]왕순은 성종의 명에 의해 보모에게 맡겨졌다. 어느날 성종의 명으로 왕순이 궁에 들어와 성종과 대면하게 되는데, 이때 왕순이 성종의 무릎 위로 기어올라오며 '아비, 아비'라고 불렀다. 성종은 눈물을 흘리며 왕순을 아버지 왕욱에게 보냈고, 왕욱은 사망하는 996년까지 귀양지에서 아들 왕순과 함께 살았다.
3. 가계
- 아버지: 왕건, 태조 (877–943)
- * 조부: 왕륭 (840–897)
- * 조모: 한씨 부인 (850–?)
- 어머니: 신성왕후 (900–?)
- * 외조부: 김온렴 (875–?)
- * 외조모: (875–935)
- 배우자와 자녀:
- * 미상 (순안궁주 – 이복 여동생; 논란) (920–?)
- ** 성목공주 (? – 1018)
- * 황보씨 부인 (966–992), 후에 아들에 의해 헌정왕후로 추존됨
- ** 왕순, 대량원군 (992–1031); 고려의 제8대 국왕이 됨.
3. 1. 부모
태조 왕건(877~943)과 신성왕후 김씨(900~?) 사이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왕륭(840~897)이고, 조모는 한씨 부인(850~?)이다. 외조부는 김온렴(875~?)이며, 외조모에 대한 기록은 미상이다(875–935).3. 2. 배우자
안종은 태조 왕건과 신성왕후의 아들이며, 아버지는 왕건, 어머니는 신성왕후이다. 조부는 왕륭, 조모는 한씨 부인이며, 외조부는 김온렴이다.성목장공주는 안종의 딸이다. 안종은 황주 황보씨와 혼인하여 아들 왕순을 낳았다. 황주 황보씨는 아들 왕순에 의해 헌정왕후로 추존되었다.
3. 3. 자녀
안종에게는 아들 왕순(현종)과 딸 성목공주가 있었다. 현종은 황주 황보씨 소생으로 992년에 태어나 1031년에 사망하였으며, 고려의 제8대 국왕이 되었다. 성목공주는 생몰년이 미상이다.4. 안종이 등장하는 작품
2009년 KBS 드라마 《천추태후》에서 김호진이 연기했다.[8] 2016년 SBS 드라마 《달의 연인: 보보경심 려》에서 남주혁이 연기했다.[9][10]
5. 추가 정보
5. 1. 시호
1017년 4월(고려 현종 재위 8년)에 처음에는 시호에 '이장'(이장/移葬한국어)을 추가했지만, 나중에 삭제되었다.[7] 한 달 뒤인 1017년 5월에는 '헌경'(헌경/憲景한국어)이 추가되었다.[7] 1021년(현종 12년)에는 '효목'(효목/孝穆한국어)과 '효의'(효의/孝懿한국어)가 추가되었다.[7] 1027년 4월(현종 18년)에는 '성덕'(성덕/聖德한국어)이 시호에 추가되었다.[7]5. 2. 능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19
[2]
문서
There was a theory said that Anjong was born to one of his father's concubine, Lady Daeryangwon. But, he was raised by the queen since child and regarded the queen as his own mother.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19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19
[5]
서적
韓國野談史話全集
https://books.google[...]
Dongkuk University, South Korea
1959
[6]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19
[7]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7-03
[8]
웹사이트
고려시대 드라마재현천추태후의 음모와 강조정변
https://www.culturec[...]
2021-06-17
[9]
문서
In this series, Anjong appears with the name '''Baek-Ah''' ({{Korean|hangul=백아|labels=no}}).
[10]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16-11-01
[11]
문서
경순왕의 백부 [[김억렴]]의 딸이다.
[12]
문서
《동국통감》권12 - 신라기 935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