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잠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축정은 잠수함에 대항하기 위해 설계된 소형 군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U보트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다. 영국 해군과 미국 해군에서 개발되어 대잠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과 추축군 양측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각국은 런던 해군 군축 조약의 제한 속에서 대잠 능력을 갖춘 소형 함정을 개발했고, 일본 제국 해군은 구축정을 함정류별 등급에 등록하여 운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잠수함 기술이 발전하면서, 구축정은 호위함, 프리깃함, 구축함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함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군함 - 구축함
구축함은 어뢰정의 공격으로부터 함대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군함으로, 빠른 속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어 함대 호위, 해안 경비, 대잠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첨단 기술 도입과 무인화, 자동화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해상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군사 - 테르시오
테르시오는 16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군대의 핵심 보병 부대로, 파이크병, 총병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군사 개혁으로 인해 1704년 연대와 대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 군사 - 군대
군대는 국가가 국방, 안보, 정책 수행을 위해 유지하는 정규 무장 조직으로, 육해공군을 기본으로 해병대, 특수부대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전쟁 외 인도적 지원, 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징병제나 모병제로 인원을 충원하여 군사 훈련, 무기 개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문민통제 원칙하에 운영된다.
구잠정 | |
---|---|
개요 | |
![]() | |
유형 | 대잠전 함정 |
다른 이름 | 영어: Submarine chaser 영어: Subchaser 독일어: U-Jagd-Boot 독일어: U-Boot-Zerstörer 프랑스어: Chasseur de sous-marins |
역사적 배경 | |
개발 배경 | 제1차 세계 대전 중 잠수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됨. |
역할 | 구축함의 임무를 분담하여 잠수함 공격에 특화된 군함으로 발전함. |
특징 | 경쾌하고 빠른 속력 얕은 흘수로 어뢰 회피 용이 내파성 부족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 |
발전 | 해방함 및 해방구축함 등으로 발전함. |
역할 및 기능 | |
주요 임무 | 적 잠수함 탐지 및 공격 아군 함대 및 상선 보호 요새 및 항구 방어 |
장비 | 소구경 대공포 (초기) 폭뢰 투사기 어뢰 발사관 음향 병기 (발달된 형태) |
탐지 방법 | 청음기를 이용한 수중 음향 탐지 |
일본 제국 해군 | |
특징 |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 100~200톤급 소형 빠른 속력으로 잠수함에 접근하여 폭뢰 공격 |
계획 | 1932년 2척 건조 계획 발표, 1933년 특무함정으로 분류됨. |
현대적 관점 | |
현재 | 현대에는 대잠전 능력을 갖춘 다양한 함종으로 대체됨 (예: 호위함, 초계함).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잠수함이 통상 파괴에 다수 투입되면서 해상 수송로가 위협받자, 선단 호위의 필요성이 생겼다.[10][11] 각국은 적 잠수함을 제압하기 위한 대책으로 대잠 무장과 경쾌한 운동성을 가진 다양한 함정을 건조했다.[12][13] 어뢰정이 폭뢰를 탑재하여 대잠 전투에 참가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들이 구축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축정은 미국 해군이 건조한 이글급 초계정이다.
일본 해군은 전간기에 대잠수함 전투의 비장의 카드로 신형 구축정 개발을 진행했다. 구축정을 대잠 전투에 투입함으로써 범용 함정이 되어가던 구축함을 다른 임무에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구축정은 구축함을 보조하는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각국에서 다수의 구축정이 정비되어 실전에 투입되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는 양측 모두 많은 어선이 징용·개조되어 특설 함정으로 실전에 투입되었고, 구축정으로 사용된 것도 있었다. 일본 해군과 영국 해군은 어선형 구축 특무정을 다수 건조했는데, 이는 원양 어선이 양산에 적합하고 소형이면서 항양성이 뛰어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해상에서 적의 정규 군함과 조우한 경우에는 승산이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잠수함의 고성능화로 대잠 함정도 고성능의 병장과 소나를 갖추기 위해 대형화되었고, 대잠 임무에 특화된 소형정으로서의 구축정은 쇠퇴했다. 그러나 고속 전투정(FAC)과 미사일정 중에는 대잠 병장을 갖추고 과거의 구축정적 임무를 수행하는 것도 있다.
소련에서는 전후 구축정이 프리깃 클래스의 경비함이나 소형 대잠함, 구축함·순양함 클래스의 대형 대잠함으로 발전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U-보트는 연합군 상선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잠수함에 대응할 수 있는 소형 함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영국 해군은 미국 엘코(Elco)사에 모터 런처(Motor Launch) 생산을 위탁하여 대잠 작전에 투입했다.[3] 미국 해군은 SC-1급 잠수함 추적함을 개발하여 대서양에서 독일 U-보트에 대응했다. 이 함정의 주 무기는 폭뢰였으며, 기관총과 대공포도 탑재했다.[1]2. 2.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해군 휴일 시대인 1930년 4월에 체결된 런던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순양함이나 구축함 등 보조 함정 건조에 제한이 생겼다. 그러나 이 조약에는 "배수량 1만 톤 이하이면서 속력 20노트 이하의 특무함, 배수량 2,000톤 이하로 속력 20노트 이하이면서 주포 6.1인치포 4문 이하의 함, 그리고 배수량 600톤 이하의 함은 무제한으로 건조해도 좋다"라는 항목이 있었다. 일본 해군은 이 조약의 틀 안에서 잠수함 사냥을 위한 소형 함정을 개발했다. 1933년(쇼와 8년) 5월 23일, 함정류별 등급에 '''구축정'''이 등록되었다.당시 일본 해군의 구축정은 대잠 수중 탐신기와 수중 청음기를 갖추고, 공격 병장으로 폭뢰를 장비했다. 대잠 병장 외에도 자위용으로 대공전에 대비한 소수의 화기를 갖추었다. 구축정은 여러 척이 모여 "구축정대"를 편성했다. 구축정은 기본적으로 항만 방비나 동중국해나 일본해 등 일본 열도 주변의 중국 항로를 상정한 근해 항로 호위에 사용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잠수함 작전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구축정은 연합군과 추축국 양측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미국 해안경비대는 구축정을 사용하여 독일 U보트로부터 미국 연안을 방어했다.[5] 태평양 전쟁에서 미 해군 구축정은 상륙 작전, 연락, 호송 임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6][2]일본 제국 해군은 약 250척의 구축정을 건조하여 운용했으며, 이 중 일부는 종전 후 해상자위대에서 사용되었다.[8] 일본 해군은 연장된 해상 교통로를 보호하고, 부족한 호위 전력을 보충하기 위해 구축정을 선단 호위에 투입했다. 또한, 어선을 개조한 특설 구축정과 목조 구축 특무정을 건조하여 운용했다.
헐 프로젝트(Hula Project)를 통해 미국은 1945년 5월 26일부터 9월 2일까지 비밀리에 32척의 미 해군 잠수함 추적정을 소련에 이관했으며, 이 중 일부는 소련-일본 전쟁에 투입되었다.[9]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잠수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더 강력한 대잠 무기와 소나를 탑재할 수 있는 대형 함정이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잠수함 사냥함은 호위함, 프리깃함, 구축함으로 대체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9] 소련은 크론슈타트급 잠수함 사냥함 227척을 건조하여 1990년대까지 운용했다.[9]3. 각국의 구축정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여러 국가에서 잠수함에 대항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구축정을 개발하고 운용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 가비아노급 코르벳
- * 이탈리아 해군의 호위함이었으나, 이탈리아 항복 이후 독일군이 여러 척을 노획하여 구축함(U-Boot-Jagd|U-Boot-Jagdde)으로 운용했다.[1]
- Classe C 101|Classe C 101프랑스어
- Classe Chasseur 1|Classe Chasseur 1프랑스어
- Classe Chasseur 5|Classe Chasseur 5프랑스어
- Classe Chasseur 41|Classe Chasseur 41프랑스어
- 크론시타트급 초계함
3. 1. 미국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의 잠수함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 및 나치 독일의 잠수함을 파괴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에 사용된 설계의 110m 크기의 작은 SC-1급 잠수함 추적함은 선체 식별자 '''SC''' ('''S'''ubmarine '''C'''haser, 잠수함 추적함)를 사용했다.[1] 이들의 주 무기는 폭뢰였다. 또한 기관총과 대공포도 탑재했다. 이와 유사한 크기의 SC-497급 잠수함 추적함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위해 건조되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더 큰 173m 크기의 PC-461급 잠수함 추적함이 '''PC''' 선체 분류 기호 ('''P'''atrol, '''C'''oastal, 초계함)를 사용했다.[2]
함급 | 배수량 | 선체 재질 |
---|---|---|
SC-497급 잠수함 추적함 | 98ton | 목재 |
PC-461급 잠수함 추적함 | 450ton | 강철 |
미국 해군 초계함 목록(구잠정을 포함)
3. 2. 영국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영국 해군성은 대잠수함 작전을 위해 미국 엘코사에 모터 런처 생산을 의뢰했다. 당시 영국 산업은 최대 생산 능력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초기 50척이었던 주문은 결국 530척으로 늘어났고, 1916년 11월까지 완료되어 영국 해군에 배치되었다.[3] 이 모터 런처들은 약 24.38m 길이에 20kn의 속도를 낼 수 있었으며, 3 파운더포를 장착하고 잠수함 공격을 위해 파라반을 예인했다. 이후에는 폭뢰도 장착했다.[3]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Fairmile A 모터 발사정, Fairmile B 모터 발사정 등 다양한 종류의 모터 런처들이 추가로 건조되었다.[4] 특히, 8척의 영국 페어마일 B 모터 런처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이전되었는데, 여기에는 SC-1466급 잠수함 추적정도 포함되었다.[7][4]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잠수함 추적정은 해안 방어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영국의 해상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매각되었다.
3. 3. 일본
일본 제국 해군은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주력 함정 건조에 제한을 받게 되자, 잠수함 사냥을 위한 소형 함정 개발에 착수했다. 1933년 5월 23일, 이 함정들은 함정류별 등급에 '구축정'으로 등록되었다.[8]일본 해군의 구축정은 수중 탐신기와 수중 청음기를 이용해 잠수함을 탐지하고, 폭뢰로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했다.[8] 대공전에 대비한 소수의 화기도 장착했지만, 대 수상함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았다.[8] 구축정은 여러 척이 모여 "구축정대"를 편성했으며, 주로 항만 방비, 동중국해나 일본해 등 일본 열도 주변의 근해 항로 호위에 투입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일본의 해상 수송로(씨레인)가 확장되면서 호위 함정이 부족해지자, 구축정도 선단 호위에 투입되었다.[8] 일본 해군은 목조 어선을 징발하여 특설 구축정으로 사용하거나, 목조 어선을 기반으로 한 구축 특무정을 건조하기도 했다.[8] 그러나 구축정의 성능 부족을 인지한 일본 해군은 쇼무형 해방함을 기반으로 한 전시 생산형 해방함을 대량 건조하여 대잠 전투의 주력으로 삼았다.[8]


일본 제국 육군은 상륙함과 수송선을 호위하기 위해 고속정 병을 개발했다. 이들은 소나, 폭뢰, 소구경 주포, 기관포를 갖추고 대잠수함전과 대어뢰정전 임무를 수행했다.[8]
해상자위대는 1980년대까지 구축정을 운용했지만, 소형이고 발전 가능성이 낮아 고성능 원자력 잠수함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현재는 정비를 중단했다.[8]

해상자위대가 운용했던 구축정은 다음과 같다:
- 카리형 구축함
- 카모메형 구축함
- 하야부사형 구축함
- 우미타카형 구축함
- 미즈토리형 구축함
3. 4. 소련/러시아
헐라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은 1945년 5월 26일부터 9월 2일까지 비밀리에 미 해군 잠수함 추적정 32척을 소련에 이관했다. 이 중 일부는 1945년 8월 9일부터 9월 2일 사이에 일본에 대한 소련의 군사 작전에서 소련 해군 소속으로 투입되었다.[9] 일본 항복 3일 후인 1945년 9월 5일, 이관이 중단되면서 24척의 추가 이관은 취소되었다.[9] 1954년에서 1960년 사이, 이관된 32척의 잠수함 추적정은 소련에 의해 폐기되거나 양국 간 합의에 따라 해안에서 파괴되었다.[9]제2차 세계 대전 직후 10년 동안 소련은 크론슈타트급 잠수함 사냥함 227척을 건조했으며, 이 중 일부는 1990년대까지 현역으로 운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잠수함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잠수함 사냥함은 현재 호위함, 프리깃함, 구축함으로 대체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3. 5. 기타 국가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5. 현존하는 구축정
노르웨이 해군의 HNoMS ''히트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무장을 갖춘 채 보존되어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10]
참조
[1]
서적
Gardiner, pp. 132–133
[2]
서적
Gardiner and Chesneau, pp. 71, 152-154
[3]
서적
Gardiner, p. 101
[4]
서적
Gardiner and Chesneau, p. 71
[5]
웹사이트
Submarine Chaser Photo Archive
http://www.navsource[...]
[6]
웹사이트
Splinter Fleet – The Wooden Subchasers of World War II
http://www.splinterf[...]
[7]
뉴스
"Sunday Ship History: Submarine Chasers"
http://eaglespeak.bl[...]
EagleSpeak
[8]
서적
Watts, pp. 279–288
[9]
서적
Project Hula: Secret Soviet-American Cooperation in the War Against Japan
Naval Historical Center
1997
[10]
웹사이트
P641 ''Le Fougueux''
http://www.fougueux.[...]
[11]
간행물
Shin Sekai Nichi Nichi Shinbun 1932.11.25, 新世日日新聞/nwd_19321125(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
간행물
Shin Sekai Nichi Nichi Shinbun 1933.06.20, 新世日日新聞/nwd_19330620(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
간행물
Shin Sekai Nichi Nichi Shinbun 1934.04.06 新世日日新聞/nwd_19340406(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