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천공항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 기지였으며, 1969년 대한항공 취항을 시작으로 민간 항공 운항이 시작되었다. 1990년 한국공항공사가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선으로 대한항공의 제주 노선과 진에어의 김포 노선이 운항한다. 2000년 88만 명으로 이용객 수가 정점을 찍었으나,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 이후 감소하여 2022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천공항은 공항대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제3훈련비행단과 공군 시험평가단이 주둔하는 군사 시설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개항한 공항 - 멜버른 공항
멜버른 공항은 1970년 개항한 빅토리아주 툴라마린의 국제공항으로, 주요 항공사 허브 공항이자 국내외 항공편을 운항하며 확장과 시설 개선을 거듭하고 있고, 활주로 건설 계획에 따른 소음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 1970년 개항한 공항 - 니우에 국제공항
니우에 국제공항은 니우에 수도 알로피 남쪽에 위치하며, 에어뉴질랜드가 오클랜드행 국제선을 운항한다. - 사천시의 건축물 - 완사역
완사역은 사천시에 위치한 경전선 철도역으로, 옥녀봉 전설에서 유래된 지명을 따라 이름이 지어졌으며, 1968년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로 운영된다. - 사천시의 건축물 - 다솔사역
다솔사역은 1968년 영업을 시작한 경전선의 폐역으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간이역사로 대체, 화물 및 여객 취급 중단을 거쳐 2016년 경전선 이설로 폐역된 섬식 승강장의 지상역이었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군산공항
군산공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1938년 일본군 비행장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민간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국제선 취항 문제, 소음 피해 등의 논란이 있는 공항이다.
사천공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천공항 |
현지 이름 | 사천공항 |
한자 이름 | 泗川空港 |
영어 이름 | Sacheon Airport |
IATA 코드 | HIN |
ICAO 코드 | RKPS |
공항 유형 | 공공/군사 |
소유주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운영자 | 한국공항공사 대한민국 공군 |
개항일 | 1977년 |
도시 | 사천시 진주시 |
위치 | 경상남도 사천시 |
고도 | 8m |
웹사이트 | 사천공항 사천공항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방향 | 06R/24L |
활주로 1 길이 | 2,743m |
활주로 1 표면 | 콘크리트 |
활주로 2 방향 | 06L/24R |
활주로 2 길이 | 2,743m |
활주로 2 표면 | 콘크리트 |
통계 | |
통계 년도 | 2019년 |
여객 수 | 219,289명 |
항공기 운항 횟수 | 1,937회 |
화물 수송량 | 867톤 |
추가 정보 | |
활주로 폭 | 46m |
ILS 장착 활주로 | 06L/24R: 있음 06R/24L: 없음 |
이미지 | |
![]() | |
![]() |
2. 역사
한국 전쟁 당시 사천공항은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 전개 기지 중 하나였으며, 미 공군은 이 기지를 '''K-4'''로 지정했다. 1950년, 미 공군의 Bout On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조종사들이 F-51 머스탱 전투기 조종 훈련을 받았다.[1] 1951년에는 대한민국 공군 제10전투비행단이 이 기지에서 창설되었다.[1]
1969년 대한항공이 사천비행장에 취항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다. 2000년에는 이용객 수가 88만 명에 이르렀으나, 2001년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으로 이용객이 급감하여 2009년에는 연간 이용객 수가 2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가 2019년에 20만 명대를 회복하였다.
2. 1. 연혁
- 1969년 11월 : 대한항공 취항[1]
- 1970년 2월 : 사천비행장 직제공포(교통부)
- 1973년 8월 ~ 1974년 10월 : 휴항 (여객청사 개축)
- 1975년 2월 : 대한항공 재취항[5]
- 1977년 8월 : 제주 노선 취항
- 1990년 6월 : 한국공항공사 인수운영
- 1992년 4월 : 아시아나항공 취항[6]
- 1994년 7월 : 신청사 개관 운영
- 2000년 2월 8일 : 계기착륙시설(ILS)설비 운용
- 2010년 7월 1일 : 아시아나항공 사천 ~ 김포국제공항 노선 폐지
- 2010년 7월 2일 : 아시아나항공 사천 ~ 제주국제공항 노선 취항
- 2011년 10월 11일 ~ 2011년 11월 10일 :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 사천 ~ 제주 노선 주 3회 부정기 운항
- 2013년 4월 28일 : 중국남방항공 사천 ~ 상하이 전세편 노선 운항
3. 운항 노선
현재 사천공항에서는 국내선 위주로 운항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하이에어가 서울/김포, 제주 노선을 운항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3. 1. 국내선
대한항공은 제주 노선을, 진에어는 서울(김포)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2][3]4. 이용객 추이
2000년에는 이용객 수가 88만 명에 이르렀으나, 2001년 11월 29일에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이용객이 급감하여 2009년에 연간 이용객 수가 2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가 2019년에 20만 명대를 회복하였다.[5]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이용객 수가 크게 감소했으나, 2022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5. 교통
사천공항은 공항대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개인 차량이나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대중교통으로는 진주와 사천을 연결하는 75번, 95번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6. 시설
사천공항은 민간 항공기와 군용 항공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항 내에는 여객 터미널, 활주로, 계류장, 관제탑 등이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6. 1. 군사 시설
사천공항은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 훈련 기지 중 하나로, 공군 제3훈련비행단과 공군 시험평가단이 주둔하고 있다. 제3훈련비행단 예하에는 제213훈련비행대대, 제215훈련비행대대, 제217훈련비행대대, 제236훈련비행대대가 있다. 공군 시험평가단 예하에는 제281시험비행대대가 있다.
이외에도 공군 기본군사훈련단,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공군 제1정비학교, 공군 제2정비학교 등이 있다.
7. 기타
이 공항은 군용 항공기와 인공위성을 제조하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공항 북쪽에 있으며, T-50 훈련기 등을 제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airport.kr.com
[2]
뉴스
Jin Air to Open Sacheon-Gimpo Route From January 28
https://www.hapskore[...]
Haps Magazine Korea
2022-01-06
[3]
뉴스
사천-제주 하늘길 3년 5개월 만에 다시 뚫렸다…신규 노선 취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3-10-13
[4]
웹사이트
Air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2023-07-23
[5]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20-02-03
[6]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체크인 20분, 보안검색 40분’…네카오, 휴가 때 유용한 이런 ‘팁’ 알려준다
경남도, 사천공항을 우주항공 허브공항으로···서명운동 시작
제주행 대한항공 항공기 이상 징후에 소방 긴급 출동…무사히 착륙
정부 “사망사고 항공사에 1년간 ‘신규 운수권’ 배분 중단”
사망사고 항공사 운수권 배분 1년 제한…정비시간 최대 28% 늘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