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정전은 조선 경복궁의 정전으로, 태조 때 정도전이 명명했다. "세상의 일은 부지런히 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 접견 등 국가의 중요한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고종 때 중건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 과정에서도 보존되었다.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중층 구조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어좌와 일월오악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8년 완공된 건축물 - 팔레 드 쥐스티스 (파리)
팔레 드 쥐스티스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역사적인 건물로, 시테 궁전에 기원을 두고 여러 차례 재건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현재는 프랑스 사법 제도의 중심지로서 파기원 등 여러 법원과 기관들이 입주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건축물 - 서울종합운동장
서울종합운동장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개최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종합 스포츠 시설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제 행사들을 개최해왔으나, 시설 노후화 및 재개발 논의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안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건축물 - 위례성
위례성은 백제의 초기 수도로, 하남 위례성과 하북 위례성으로 나뉘며, 하남 위례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고,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경복궁 - 광화문
광화문은 조선시대에 지어져 여러 차례 훼손과 이전을 겪었으며, 2006년부터 고종 중건 당시 모습으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2023년에는 월대가 복원되었다. - 경복궁 - 경무대
경무대는 조선 시대 경복궁 북쪽 후원으로, 조선 태조 때 건설되어 고종 때 과거 시험과 군사 훈련 장소로 활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고, 해방 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면서 청와대로 개칭되었다.
근정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근정전 |
한자 | 勤政殿 |
가타카나 | 쿤초ンジョン |
히라가나 | きんせいでん |
로마자 표기 | Geunjeongjeon |
문화재 정보 | |
이름 | 경복궁 근정전 (景福宮 勤政殿)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국보 |
지정 번호 | 223 |
지정일 | 1985년 1월 8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 경복궁 (세종로) (경복궁 내) |
시대 | 조선 고종 4년(1867)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
수량 | 1동 |
문화재청 | 11,02230000,11 |
2. 명칭의 유래
정도전이 근정전의 이름을 지었다. '근정(勤政)'은 "세상의 일은 부지런히 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뜻으로, 《태조실록》(《조선왕조실록》의 일부분)에 실려 있다.
1395년 조선 경복궁의 정전으로 건립되었으며, 1867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재건되었다. 근정전은 국가의 큰 의식을 거행하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곳으로, 대한민국 국보 제223호로 지정되어 있다.[1]
3. 역사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조선 후기에 중건되었고, 일제강점기에 여러 행사 장소로 사용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여러 행사에 사용되었으며, 여러 차례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다.
3. 1. 조선 초기
태조는 조선 건국 3년 후인 1394년에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을 열고 한양 천도를 추진했다.[5][6] 우선 종묘와 사직 건설에 착수하고, 청성백 심덕부에게 궁궐 건축을 명했다.[5][6] 1395년 8월에 공사가 시작되어 다음 달인 9월 29일에 궁궐 중심부 건축이 완료되었다.[7]
태조는 다음 달에 경복궁에 입궐하면서 정도전에게 새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짓게 했다. 정도전은 '부지런하면 다스려지고 부지런하지 못하면 폐하게 된다'는 의미를 담아 근정전(勤政殿)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7] 정도전은 임금이 부지런히 정사에 임해야 함을 강조하며, 아침에는 정사를 듣고, 낮에는 어진 이를 찾고, 저녁에는 법령을 닦고, 밤에는 몸을 편안히 하는 것을 임금의 부지런함이라 하였다.
근정전 주위에는 근정문을 비롯한 4개의 문이 있었고, 북쪽 사정전은 편전, 강녕전·교태전 등은 침전이었다. 이 때 건립된 전각은 총 390여 칸에 달했으며, 태조실록에는 새 궁궐의 규모, 배치, 각 건물의 기능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8][9] 이 때 지어진 근정전은 사정전과 함께 조선에서 청기와를 덮은 단 두 채 뿐인 건물이었다.[10]
1553년(명종 8년) 9월, 강녕전에서 시작된 화재로 경복궁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근정전은 소실되지 않았다.[11]
3. 2. 임진왜란과 소실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파괴되면서 근정전도 함께 불에 타 소실되었다. 소실된 근정전 터는 여러 행사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 근정전은 복원되지 못하다가, 1865년(고종 2년) 신정왕후의 지시로 중건된다. 1866년 3월 10일 영건도감에서 제출한 근정전 공사 일정에 따르면, 터는 6월 8일에 세우고, 초석은 8월 25일에 놓았다.[12] 근정전의 상량문 제술관은 10월 9일에 정했는데, 경복궁 영건도감 도제조였던 조두순이 맡았다.[13] 상량은 1867년 2월 9일에 했다.[14] 상량 때 물 수(水) 자를 윤곽으로 그리고 그 안에 용(龍)을 1천 자 이상 새겨넣은 종이를 올려넣었고, 용 그림도 같이 올려넣었으며, 6각형 은판의 각 모서리에 물 수 자를 새겨넣은 것도 함께 넣었다. 이는 화재로부터 근정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15]
3. 3. 조선 후기 중건
근정전은 임진왜란 때 경복궁과 함께 불에 타 소실되었다. 소실된 근정전 터는 이후에도 여러 행사에서 사용되었으나, 오랫동안 복원되지 못했다. 1865년(고종 2년), 신정왕후의 지시로 근정전 중건이 시작되었다. 1866년 3월 10일 영건도감의 보고에 따르면, 6월 8일에 터를 세우고 8월 25일에 초석을 놓았다.[12] 10월 9일에는 조두순이 근정전 상량문 제술관으로 정해졌고,[13] 1867년 2월 9일에 상량이 이루어졌다.[14] 상량 당시 화재를 막기 위해 물 수(水) 자 안에 용(龍) 자를 1천 자 이상 새겨넣은 종이, 용 그림, 육각형 은판에 물 수 자를 새긴 것을 함께 넣었다.[15]
고종은 완공된 근정전에서 정사를 보았다. 그러나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여 그곳에서 정사를 보았다. 1897년에는 정동의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법궁으로 삼았다.
일제강점기에도 경복궁이 훼손되는 와중에 근정전은 보존되었다.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때는 식장으로, 행각은 진열장으로 사용되었고, 1927년에는 전국축산대회가 열리는 등 일제에 의해 여러 행사 장소로 사용되었다.[16]
3. 4.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해방 후에도 근정전은 여러 행사를 위한 장소로 이용되었다. 1946년에는 문맹퇴치학생계몽대 출동식과 전조선학교음악제전이 열렸다. 1948년에는 최초로 보수공사가 이루어졌고, 1964년에는 반자를 수리하였으며, 1970년에는 기단을 보수하였다.[15] 1987년에는 북측 월대를, 1988년에는 현판을, 1996년에는 정면 창호를 보수하였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는 해체보수공사를 진행했다.[15]
4. 구조
근정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중층 목조 건물로, 내9포 외7포의 공포로 되어있다. 기둥 높이는 16척이며, 보칸은 어칸 11척, 전후 협칸 각각 11척, 전후 뒷칸 각각 17척이고, 도리칸은 어칸 22척, 좌우 협칸 각각 21척, 동서 툇간 각각 17척이다.[17]
근정전에서 근정문에 이르는 길 좌우에는 정승들의 지위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차례로 놓여 있으며, 행사를 치를 때 햇빛을 가리기 위해 사용했던 차일 고리가 아직도 앞마당에 남아 있다. 근정문 주변으로는 행각(行閣)이 연결되어 근정전을 에워싸는 형태로 되어 있다.[4] 임진왜란 이전에는 회랑이 단랑이었으나, 현재는 복랑 형식이다.
4. 1. 지붕
근정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보면 '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 형태이다. 처마를 받치는 장식 짜임새 구조는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4] 상층 지붕에는 용마루, 합각마루(내림마루), 추녀마루(귀마루)가 있으며 용마루 양 끝에는 취두, 합각마루 아래 끝에는 용두를 놓았다. 추녀마루에는 상하층 모두 7개의 잡상을 놓고 그 뒤에 용두를 두었다. 하층 지붕은 추녀마루로만 이루어졌는데, 여기에도 7개씩 잡상을 놓았다.[15] 임진왜란 이전에는 지붕이 용 문양으로 장식된 청자기와로 지어져 푸른 유리 지붕처럼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4. 2. 내부
팔작지붕 형태의 2층 건물로, 처마를 받치는 장식 짜임새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4] 내부는 층 구별 없이 전체가 통하는 구조이며, 뒷면 건물 안쪽 중앙에는 왕의 어좌가 있고, 그 뒤에는 일월오봉병(日月五峰屛)이 있다. 천장 중앙에는 보개를 만들고 구름 무늬를 그렸으며, 발톱이 7개인 한 쌍의 칠조룡을 장식했다.[15] 건물 안 바닥에는 각섬석이 깔려 있다.4. 3. 월대
근정전의 기단인 월대에는 각 네 귀퉁이나 계단 주위 난간기둥에 여러 동물상들을 조각해 놓았다. 이는 경복궁이 법궁으로서 갖는 위상을 근정전의 격식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상월대의 난간에는 방위신에 해당하는 사신(동서남북)을 동서남북의 방향에 맞게 조각해 놓았고, 상월대와 하월대의 난간 곳곳에는 십이지신(十二支神)과 상서로운 동물들을 조각해 근정전을 화려하게 장식했다.월대에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사신과 십이지신이 새겨져 있다. 주작은 월대 상층부의 남단에, 현무는 월대 상층부의 북단에, 청룡과 백호는 월대 하층부의 북단에, 십이지신은 월대 하층부의 남단에 아로새겼다.
5. 권역
근정전은 사방이 행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서 행랑에는 통로가, 북·남 행랑에는 문이 있다. 북쪽 행랑의 문은 사정전으로 통하는 사정문이다.
동쪽 행각에는 서방색, 관광청, 양미고, 융문루가 있었고, 서쪽 행각에는 내삼청, 충의청, 예문관, 향실, 액정시, 융무루가 있었다.
5. 1. 근정문
근정문은 근정전의 정문이자 경복궁의 내문이다. 현판은 경복궁 중건 시 신석희가 썼다.5. 2. 월화문과 일화문
월화문과 일화문은 근정전 좌우에 있는 협문이다. 정전에서 조회를 볼 때 무인은 월화문으로, 문인은 일화문으로 출입했다. 달은 음양에서 음을, 해는 양을 의미하므로 각각 서쪽과 동쪽의 문 이름으로 지었다.[18]5. 3. 기타
근정전 동행랑에는 계인문(啓仁門)이 있었고, 서행랑에는 협의문(協義門)이 있었다.6. 용도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으로 기능했다. 조선 왕실에서 이루어지는 가장 큰 조회인 조하(朝賀)와 망궐례(望闕禮)가 정기적으로 열렸으며, 그 외에도 과거시험 및 연회 등 여러 왕실 행사가 이루어졌다.[1] 또한 국가의 큰 의식을 거행하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등, 경복궁의 정전이면서 동시에 법전이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ソウルナビ
https://www.seoulnav[...]
[2]
뉴스
https://news.naver.c[...]
[3]
뉴스
http://news.donga.co[...]
[4]
뉴스
http://www.yeongnam.[...]
[5]
백과사전
서울의 사회·문화#경복궁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
글로벌세계대백과
[6]
백과사전
왕권의 재확립과 쇄국책
글로벌세계대백과
[7]
논문
[8]
논문
[9]
역사기록
태조 4년 9월 29일 기사
http://sillok.histor[...]
[10]
역사기록
문종실록 1권, 문종 즉위년 2월 28일 계묘 4번째기사
[11]
논문
[12]
역사기록
고종실록 고종 3년 3월 10일
[13]
역사기록
고종실록 고종 3년 10월 9일
[14]
역사기록
고종실록 고종 3년 12월 8일
[15]
서적
경복궁근정전 (上)
2003
[16]
뉴스
第十一回= 畜產大會
동아일보
1927-09-19
[17]
문서
궁궐지
[18]
웹인용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근정전, 근정문, 월화문, 일화문]"
https://www.cha.go.k[...]
2010-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