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자 클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자 클럽은 일본에서 언론사 기자들이 정보를 얻고 교류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로, 1890년 의회 출입 기자들이 결성한 것이 시초이다. 기자 클럽은 정부 기관, 국회, 정당, 기업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칠판 협정(흑판 협정)을 통해 취재 관련 약속을 정하기도 한다. 기자 클럽은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보도의 자유를 증진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폐쇄적인 운영으로 인해 정보 카르텔을 형성하고, 특정 언론사에 특혜를 제공하며, 취재원과의 유착을 조장한다는 비판도 있다. 1990년대 이후 개혁 시도가 있었으며, 한국의 기자실 개혁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론 - 특파원
    특파원은 특정 지역이나 분야를 전문적으로 취재하여 심층 분석과 전문적인 시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자로, 해외, 경제, 국회, 법률/사법, 연예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생활비 특파원이나 외주 특파원 같은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고 있고, 객관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언론 - 블로그
    블로그는 웹로그의 줄임말로, 개인이나 단체가 글, 사진,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웹사이트이며, 다양한 종류와 운영 방식이 존재하고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지만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기자 클럽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기자 클럽
로마자 표기kisha kurabu
일본어 표기記者クラブ
한글 표기기자 클럽
개요
정의일본의 특수한 언론 기관 시스템
역할정부 기관 및 기업 등의 정보를 독점적으로 취재
정보 접근을 제한하고, 취재 경쟁을 제한
비판정보의 편향성 및 폐쇄성
언론 자유 침해 논란
역사
기원19세기 후반, 일본 내각 기자 클럽에서 시작
발전정부 및 기업의 정보 통제 수단으로 발전
언론사 간의 경쟁 제한을 통해 정보 독점
운영 방식
가입 조건특정 언론사 소속 기자만 가입 가능
클럽 내규를 준수해야 함
정보 제공클럽 소속 기자에게만 정보 제공
기자 회견, 브리핑 등에서 정보 접근 제한
취재 활동특정 장소 및 시간에만 취재 가능
클럽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함
논란 및 비판
정보 접근 제한비회원 언론사 및 프리랜서 기자의 취재 활동 제한
언론 자유 침해 및 정보 접근의 불평등 문제 야기
정보 편향성클럽 내부의 정보 공유로 인한 정보 편향성
정부 및 기업의 입장만 반영될 수 있다는 비판
폐쇄성클럽 회원 간의 담합 및 유착 의혹
외부 비판 및 감시 기능 미흡
언론 자유 침해정보 접근 제한으로 인한 언론 자유 침해 논란
국제 사회로부터 개선 요구
국제 사회의 비판
유럽 연합일본의 언론 관행 개선 촉구
국제 언론 단체기자 클럽의 폐쇄성 및 언론 자유 침해 문제 제기
관련 문제
일본 언론 자유 지수국제 언론 자유 지수에서 낮은 순위를 기록
정보 공개법정보 공개 요구에도 불구하고 정보 접근이 제한적
기타
관련 링크기자 클럽 시스템으로 인한 추가 업무, 그러나 보도는 멈추지 않아
EU, 일본에 폐쇄적인 언론 관행 종식 압박
일본 신문협회의 의견에 대한 유럽 위원회 대표단의 성명
일본의 언론 자유 순위가 낮은 이유

2. 역사

1890년 제국의회의 취재를 금지하는 법안에 반대하며, 〈시사신보(時事新報|지지 신포일본어)〉의 기자가 도쿄에 있는 신문사의 의회 출입 기자들을 모아 의회출입기자단(議会出入記者団|기카이 데이리 기샤단일본어)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10월에 일본 전역의 신문사가 가세해 이름을 공동신문기자구락부(共同新聞記者倶楽部|교도 신분 기샤 구라부일본어)로 바꾸었고 최초의 기자클럽이 되었다.[33]

1941년 3월, 신문 통제 기관인 일본신문연맹(日本新聞連盟|니혼 신분 렌메이일본어)이 설립되어 기자클럽의 수는 3분의 1로 줄었고, 독자적인 운영이 금지되었다.[36]

1949년 10월 26일 일본신문협회(日本新聞協会|니혼 신분 교카이일본어)는 〈기자클럽에 관한 방책(記者クラブに関する方針)〉을 만들고 기자클럽은 "친목 도모를 위한 단체로 취재 관련 문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라고 규정하였다.[34]

1997년 12월,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에 관한 방책〉을 개정하여 기자클럽은 공공 기관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하게 해주는 "취재를 위한 기반"이라고 명시하였다.[46]

2005년 3월 24일, 〈라이브도어〉는 일본 기상청 기자클럽 가입이 허용된 최초의 인터넷 매체가 되었다. 그러나 2006년 3월 15일 호리에 다카후미(堀江 貴文일본어) 전 사장이 금융상품거래법( 証券取引法|쇼켄 도리히키 호일본어)위반 혐의를 받아 가입이 취소되었다.[49]

2005년 7월 9일, 프리랜서 기자 데라사와 유(寺澤有)와 주간지 〈슈칸 겐다이(週刊現代|슈칸 겐다이일본어)〉의 부편집장은 도쿄 경철서와, 도쿄 지방법원, 도쿄 고등법원의 기자 클럽에 소속된 15개 언론사를 상대로 일시적으로 기자실 출입을 하락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거부되었다.[50]

2005년 11월 8일, NHK 오쓰 방송국(NHK大津放送局)의 한 기자가 방화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자 시가 현 경찰청이 그가 소속된 시가 현 경찰청 기자클럽을 수색하였다.

1956년 일본잡지기자회(日本雑誌記者会|니혼 잣시 기샤카이일본어)와 일본잡지사진기자회(日本雑誌写真記者会|니혼 잣시 샤신 기샤카이일본어)를 포함한 일본잡지협회(日本雑誌協会|니혼 잣시 교카이일본어)가 잡지 편집과 관련된 취재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 1. 초기 역사 (메이지 시대 ~ 쇼와 초기)

1890년 제1차 제국의회에서 신문 기자 취재 금지 조치에 반발하여, 時事新報|시사신보일본어 기자가 주도하여 '의회출입기자단'(議会出入記者団|기카이 데이리 기샤단일본어)을 결성했다.[33] 이후 전국 신문사들이 합류하여 '공동신문기자구락부'(共同新聞記者倶楽部|교도 신분 기샤 구라부일본어)로 개칭했으며, 이것이 최초의 기자클럽이 되었다.[33] 그러나 초기에는 몇몇 기자들의 모임에 불과했고, 중급 관료 정도를 만날 수 있는 수준이었다.[25]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기자 클럽이 만들어졌으며, 쇼와 초기까지 기자 클럽은 취재 자유 획득을 위한 투쟁의 최전선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34] 이 시기 기자 클럽의 대부분은 기자들이 개인적으로 직접 가입하는 형태였다.[35]

2. 2. 전시 체제 (쇼와 시대)

1941년 5월, 신문 통제 기관인 '일본신문연맹'이 발족했다.[36] 11월 28일, '신문의 전시 체제화'가 결정되었고, 태평양 전쟁 후 신문연맹이 제정한 '기자회 규약'에 따라 가입은 개인 단위에서 회사 단위로 바뀌었다. 관공서의 발표를 취재하여 그대로 보도하는, 관공서 하나당 하나의 지원 단체만 허용되는 협력 단체가 되었다. 취재 조직으로 공인되면서 국가 체제에 편입된 기자 클럽 제도가 시작되었다.[25] 기자 클럽은 점차 정부 발표를 정부의 의향대로 보도하는 '정부 편향 기자 클럽'으로 변질되어 갔고, 동조 내각이 붕괴되고 아사히 신문 출신의 오가타 다케토라가 국무대신 겸 정보국 총재로 고이소 내각에 입각하여 신문에 대한 검열을 완화하려 했을 때에는, 검열과 자기 검열로 위축된 신문에는 통제 완화를 활용할 힘이 이미 남아 있지 않았다.[35] 전시 중 기자 클럽에 '흑조회'가 있었는데, 태평양 전쟁 직후인 1941년 12월에는 당시 물자 부족에도 불구하고 스시이 풍부하게 제공되었고, 1942년 2월 싱가포르 전투 때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승리' 기사가 작성되어 있었다고 한다.[37]

2. 3. 전후 (쇼와 시대 ~ 헤이세이 시대)

1949년 10월 26일,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에 관한 방침'을 만들어 기자클럽은 "친목 도모를 위한 단체로 취재 관련 문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라고 규정하였다.[34] GHQ는 기자클럽 해체를 요구했으나,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을 친목 단체로 규정하며 존속시켰다. 그러나 기자클럽은 실질적으로 취재 조직으로서 활동을 계속했으며, 보도협정 등을 둘러싸고 명분과 실태의 괴리가 발생했다.

1978년,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의 목적에 '상호 계발'을 추가했다.(1978년 견해)[38][39]

2. 4. 개혁 시도와 논쟁 (헤이세이 시대 ~ 현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버블 경제로 일본 경제의 국제적 영향력이 커지고 외국인 기자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일본 국내에서도 기자 클럽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다.[25][40]

1992년 외무성의 "가스미 클럽(霞クラブ)"이 외국인 기자를 정식 회원으로 받아들였고,[41] 1993년 일본신문협회는 외국 보도기관 기자에 대해 "원칙적으로 정회원 자격으로 클럽 가입을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를 발표했다.[42]

1995년에는 에토 다카미 총무청 장관의 오프레코 발언 유출이 문제가 되었고, 이듬해인 1996년 신문협회는 오프레코 취재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남용해서는 안 되며 "안이한 오프레코 취재는 엄격히 삼가야 한다"는 견해를 발표했다.[43] 1996년 가마쿠라시는 기자 클럽에 속하지 않은 언론 기관에도 기자실과 기자 회견을 개방했다(단, 기업의 홍보지, 종교 단체의 기관지, 정당 기관지는 제외).[44][45]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97년 일본신문협회는 기자 클럽을 “공공기관이 보유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취재를 위한 거점’”으로 재정의했다.[46][39]

2001년 나가노현은 다나카 야스오 지사(당시) 하에 ‘탈(脫) 기자 클럽 선언’을 하면서 특권 폐지 움직임이 나타났다.

2002년 신문협회는 기자 클럽이 “취재·보도를 위한 자주적인 조직”이라는 견해를 발표했다.[47] 2003년 12월 10일에도 “기자 클럽 제도 폐지와 관련된 EU 우선 제안에 대한 견해”를 발표하며 저항했다.[48] 2009년 정권 교체 이후 기자 회견 공개화가 점차 진행되었으나, 여전히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2005년 3월 24일 라이브도어가 인터넷 미디어로서는 처음으로 일본기상청 기자 클럽에 가입을 신청했다. 그러나 2006년 3월 15일 전 사장 호리에 다카후미가 증권거래법 위반으로 기소되면서 신청이 거부되었다.[49]

2005년 7월 9일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테라자와 아리와 슈칸 겐다이 부편집장이 경찰청과 그 기자 클럽 가입사 15개사를 상대로 기자 회견 등에 참석하여 질문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는 가처분 신청을 도쿄 지방법원, 도쿄 고등법원에 제기했으나 기각되었다.[50]

2010년 3월 4일 일본신문노동조합연합(신문노련)이 기자 클럽의 전면 개방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51][52]

3. 칠판 협정

칠판 협정(黒板協定|고쿠반 교테이일본어)은 기자 클럽 소속 기자들끼리 맺는 약속이다. 기자실 칠판을 통해 주로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주로 언론사 간 과도한 취재 경쟁을 막기 위해 맺으며, 취재원의 요청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납치 사건 피해자 보호를 위해 경찰이 칠판 협정을 요청하기도 한다.[1]

보도 협정은 보도 과정에서 과도한 경쟁을 피하거나, 유괴 사건과 같이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경찰 등의 요청에 따라 체결되기도 한다.[1]

이러한 칠판 협정은 2011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기자들이 자기 검열을 하고 정부 및 발전소 관계자들의 공식 발표에만 의존하여 보도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1] 사건의 성격에 따라 기자클럽 내부에서도 보도협정으로 취재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27]

특히 제도적으로 확립된 것은 신대금 목적 유괴 사건 발생 시의 유괴 보도협정이다. 범인이 "경찰에 신고하면 인질을 살해한다"고 협박하고, 사건이 보도되면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는 사실이 범인에게 노출되어 인질에게 위험이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각 언론사 간 협정으로 보도를 자제한다.[28] 또한 큰 사건, 사고 관계자에게 많은 기자가 몰리는 "집단적 과열 취재"(미디어 스크럼)가 발생할 경우, 지역 기자클럽 등을 중심으로 취재 자제나 제한을 협의하는 경우도 있다.[29]

우스기 타카시는 저서에서 "메모 맞추기"를 언급하며, 클럽에 가입한 기자는 다른 회사 기자임에도 불구하고 취재 메모를 서로 보여준다고 주장한다.[30] 그러나 "메모 맞추기"는 정치인의 말이 잘 들리지 않았을 때 현장에 있던 기자끼리 어구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2012년 7월에는 요미우리 신문 기자가 취재 메모를 같은 기자클럽 소속 타사 기자에게 잘못 이메일로 전송하여 견책 해고 처분을 받기도 했다. 이처럼 취재 메모는 기자클럽 기자에게 있어서도 보통은 엄중한 비밀이다. 이 사건으로 담당 기자 외에 편집국장이 경질, 사회부장이 강등 등의 처분을 받는 사태가 되었다.[31]

기자클럽의 특권을 이용하여 타사를 제치고, 횡대를 깨는 행위는 문제시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기자클럽에서 추방되는 경우도 있다.[32]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은 공권력에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조직으로서 탄생한 역사가 있다"고 한다.[19]

4. 조직 및 기능

기자클럽은 법인으로 등기되지 않은 사적인 조직으로, 주로 대형 언론사들이 구성한다. 일본 전역에 약 800개의 기자클럽이 있으며[15], 중앙성청, 국회, 정당을 비롯하여, 기업, 업계 단체, 지방자치단체의 관청 등에 설치되어 있다. 기자실의 “보드[16]”에 적힌 약속사항은 “흑판협정”, “클럽협정”, “시바리(규제)” 등으로 불린다.[17]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19]


  • 공적 정보의 신속·정확한 보도
  • 공권력 감시와 정보 공개 촉진
  • 유괴 보도 협정 등 인명·인권과 관련된 취재·보도 상의 조정
  • 시민으로부터의 정보 제공 공동 창구

4. 1. 구성원

기자 클럽의 구성원은 주로 대형 언론사의 기자들이다. 일본신문협회는 "일본신문협회 가맹사와 이에 준하는 보도기관에서 파견된 기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한다.[19] 외국 보도기관이 가맹하는 클럽은 소수이지만, 신문협회는 "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19]

가맹사 기자는 신문사나 방송국이라도 직격 보도(주관이나 분석을 섞지 않고 사실만을 적는 기사)를 중심으로 하는 통신사적 업무를 수행한다.[20] 따라서 담당하는 대상에 상주하며 취재를 하고 있으며, 일본신문협회도 구성원의 "지속적인 취재"를 중시하고 있다.[19]

4. 2. 폐쇄성 논란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 입회 자격을 “공권력의 행사를 감시하고, 공적 기관에 진정한 정보 공개를 요구해 나가는 사회적 책무”, “보도라는 공적인 목적을 공유”, “기자클럽 운영에 일정한 책임”, “가장 중요한 것은 보도 윤리의 준수”라고 설명하고 있다.[19]

외국 언론사의 입회를 둘러싸고 치열한 협상이 이루어졌으며, 클럽의 배타성 때문에 “정보 카르텔”, “담합”, “호송선단 방식”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21] 기자회견에서 취재만 하고 싶을 뿐, 클럽의 일원이 되고 싶지 않은 언론인도 있었다.[2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럽 의회, 뉴욕 타임스는 기자클럽의 폐쇄성을 '''강하게''' 지적했다.[23][24] 1990년대, 버블 경제로 일본 경제의 국제적 영향력이 커지고 외국인 기자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일본 국내에서도 기자클럽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가 커졌다.[25][40]

5. 순기능

기자클럽은 정부 기관이나 부처, 단체 등이 언론 매체에 공식 발표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취재원이 기자클럽에 발표 시간을 알려주면 취재 활동이 더 쉬워진다. 또한 기사 수집 및 편집 시간을 줄이고, 각 언론사별 정보 전달 체계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단체가 상위 기관의 기자클럽에 연락하면 정보 전달이 용이하다.[19]

기자클럽 옹호자들은 기자클럽의 영향력을 통해 취재 기관이 개방적으로 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5. 1. 언론사 측면

일본신문협회는 기자 클럽의 기능을 "공적 정보의 신속·정확한 보도", "공권력 감시와 정보 공개의 촉진", "유괴 보도 협정 등 인명·인권과 관련된 취재·보도 상의 조정", "시민으로부터의 정보 제공의 공동 창구"로 정의하고 있다.[19]

  • 정보 발표에 소극적인 공공기관에 기자 클럽이 기자회견을 요구하여 실현시켜 온 역사가 있다.[34]
  • "언론의 자유"와 보도의 자유 그리고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길러 온 시스템이다.[53]
  • 공권력이나 정치인의 취재 거부나 차별에 대해 개인이 아닌 단체로서 대응할 수 있다.[25]
  • 정보 공개 추진의 거점 역할을 한다.[40]
  • 공공기관이 보유한 1차 정보에 밀착 취재하여 보도할 수 있다.[54]
  • 기자 클럽 주최 기자회견은 클럽의 페이스대로 취재할 수 있다.[25]
  • 불필요한 경쟁을 줄일 수 있고, 취재 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25]
  • 연구회, 견학회, 스터디 모임 등 단독으로는 어려운 활동이 가능해진다.[25]

5. 2. 취재원 측면

기자클럽은 정부 기관이나 단체가 언론 매체에 공식 발표를 빠르게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취재원이 기자클럽에 발표 시간을 알려주면 취재 활동이 더 쉬워진다. 기사 수집 및 편집 시간을 줄이고, 각 언론사를 위한 정보 전달 체계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단체가 상위 기관의 기자클럽에 접촉하면 정보 전달이 수월하다.[19]

일본신문협회는 기자클럽의 기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19]

  • 공적 정보의 신속·정확한 보도
  • 공권력 감시와 정보 공개의 촉진
  • 유괴 보도 협정 등 인명·인권과 관련된 취재·보도 상의 조정
  • 시민으로부터의 정보 제공의 공동 창구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옹호되고 있다.

  • 정보 발표에 소극적인 공공기관에 기자클럽이 기자회견을 요구하여 실현시켜 온 역사가 있다.[34]
  • "언론의 자유"와 보도의 자유 그리고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다.[53]
  • 공권력이나 정치인의 취재 거부나 차별에 대해 개인이 아닌 단체로서 대응할 수 있다.[25]
  • 정보 공개 추진의 거점이다.[40]
  • 공공기관이 보유한 1차 정보에 밀착 취재하여 보도할 수 있다.[54]
  • 기자클럽 주최 기자회견은 클럽의 뜻대로 취재할 수 있다.[25]
  • 불필요한 경쟁을 줄여 취재 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25]
  • 연구회, 견학회, 스터디 모임 등 단독으로는 어려운 활동이 가능해진다.[25]
  • 국민에게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개하고 설명할 책임을 다하는 데 도움이 된다.[53]
  • 효율적인 발표가 가능하며, 수고를 덜 수 있다. 기자회견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다.[25]
  • 공적 조직과 국민을 잇는 "소통의 통로", "정보 네트워크", "국가 정보를 모으는 댐" 역할을 수행하며 방대한 정보를 축적, 정리, 보도한다. 기자클럽이 폐지되면 일본의 정보 시스템이 마비될 것이다.[57]

6. 역기능

기자클럽은 정보 통제, 취재원과의 유착, 배타성 등 여러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군소 언론, 프리랜서 기자, 외신은 기자클럽 가입이 제한되어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고, 취재원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커진다. 기자클럽은 오프 더 레코드를 어길 시 제재 규정을 두고 있으며, 기자실 운영 비용이 세금으로 충당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92]

주요 업무가 브리핑 요약에 그쳐 발표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현장 취재 기회가 줄어든다는 비판도 있다. 교도 뉴스의 전직 기자 우오즈미 아키라는 기자클럽이 기자를 정신적으로 무기력하게 만들고 언론인으로서의 본능을 무디게 한다고 주장했다.[92]

정치인과 기자 간의 유착 문제도 심각하다. 중의원 의원 가와노 타로는 기자가 정치인에게 식사를 대접받거나 동행 취재 시 같은 호텔에 묵는 일이 흔하며, 정치인과 친분을 쌓은 기자가 좋은 기자로 인식된다고 지적했다.[92]

일본신문협회는 외국인특파협회 회원에게 동등한 대우를 제공하고, 로이터 등 일부 외신의 가입을 허용했지만, 대부분의 외신은 특파원 수가 적어 기자클럽 상주가 어렵다. EU는 기자클럽의 폐쇄성을 비난하며 일본 외무성 기자증 소지자에게 취재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국경없는 기자회는 일본 정부에 기자클럽 해체를 요청하고 있다.[92]

기자클럽은 일본 저널리즘의 질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가디언의 전 도쿄 지국장 조나단 왓츠는 "감시견을 애완견으로 만든다"고 지적했고,[2] 국경 없는 기자회는 2023년 세계 언론 자유 순위에서 일본을 68위로 평가하며 기자클럽을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3]

정부 기관, 지방 공공 단체, 경찰이 기자클럽을 위해 설치한 기자실이 세금으로 운영되지만 회원사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패의 소지가 있다. 지방자치단체까지 포함하면 연간 비용이 6억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다음은 구체적인 사례들이다.


  • 1921년, 도쿄가스 뇌물 사건에서 신문기자들도 뇌물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여론의 규탄을 받았다.
  • 1974년, 문예춘추가 다나카 가쿠에이 자금 문제를 보도했을 때, 기자클럽은 이미 의혹을 알고 있었지만 침묵했다.
  • 1998년, TBS TV 프로그램에서 오부치 게이조 총리의 타운 미팅 제안이 기자클럽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 1999년, 일부 언론이 농림수산성 기자클럽 회의장의 일장기 게양 문제로 마찰을 빚었다.
  • 2000년,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TV아사히에 생방송 출연을 허가받은 것을 두고 기자클럽이 비판했다.
  • 2000년 6월, 내각기자회에서 모리 요시로 총리의 "신의 나라" 발언 관련 대응 지침으로 보이는 메모가 발견되었으나, 사건 원인이 제대로 조사되지 않았다.
  • 마쓰모토 사린 사건 당시 경찰이 기자클럽에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보도는 첫 번째 목격자를 범죄자로 취급했다.

6. 1. 폐쇄성 및 배타성

기자클럽은 가입된 언론 기관이 비가입 단체나 언론인을 배제하는 정보 카르텔[59] 역할을 하며, 뉴스 소스의 독점 취재를 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폐쇄성과 배타성을 띤다.[25] 기자클럽은 상주 및 상시 취재를 전제로 하므로, 가입 가능한 언론 기관이 제한된다.[34]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중소 언론사, 프리랜서 기자, 외신 기관은 기자클럽 가입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4]

일본의 기자클럽은 극단적인 접근 중심 저널리즘을 조장하고, 비판을 억압하며, 기자들을 취재 대상 기관의 대변인으로 만듦으로써 일본 저널리즘의 질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2] 가디언(The Guardian)의 전 도쿄 지국장 조나단 왓츠(Jonathan Watts)는 기자클럽 시스템이 "자기 검열을 조장하고, 획일성을 키우며, 경쟁을 억압"하여 "감시견이 애완견이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고 지적했다.[2]

비정부 기구인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는 2023년 세계 언론 자유 순위에서 일본을 180개국 중 68위로 평가하며, 기자클럽을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 이들은 기자들이 민주주의의 감시견으로서 역할을 완전히 수행하기 어렵다고 밝혔다.[3]

기자클럽의 폐쇄성은 여러 차례 지적되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럽 의회, 뉴욕 타임스는 기자클럽의 폐쇄성을 강하게 지적했다.[23][24] EU는 기자클럽의 폐쇄성과 배타성을 비난하며, 기자클럽을 폐지하고 일본 외무성이 발급한 기자증을 소지한 모든 기자가 정부 부처에서 취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외신 기자들이 루시 블랙맨(Lucie Blackman)이라는 영국 여성의 실종 및 사망 사건에 대한 경찰 브리핑에 참석하는 것이 거부되고,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할 때 기자클럽 비회원은 동행 취재가 허락되지 않은 사건 등이 원인이었다.[92]

총리나 외무상의 해외 순방 시에도 기자클럽 주최의 기자회견이 열려 현지나 해외 언론, 언론인은 참가가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해외 순방에서의 정보 발신은 국내용으로 제한된다.[85]

6. 2. 정보 통제 및 발표 저널리즘

기자클럽은 독자적인 취재 활동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5] 기자들이 주로 기자회견 내용을 요약하는 업무를 맡기 때문에, 발표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데 소홀해지고 미디어 조작에 취약해진다는 것이다.[3] 교도통신의 전직 기자인 우오즈미 아키라는 "기자클럽이 기자를 정신적으로 서서히 무기력하게 만들고 언론인으로서의 본능을 무디게 만든다"고 주장했다.[92]

6. 3. 취재원과의 유착

취재 대상과 유착, 일체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담당 기자', '사전 보고' 등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59]

기자클럽은 정치인과 기자 사이를 가깝게 해서 부적절한 관계를 만들기도 한다. 중의원 의원 가와노 타로(河野太郎)는 기자가 정치인에게 식사를 대접받는 일이 흔하고, 동행 취재를 할 때 정치인과 같은 호텔에 묵으며, "정치인과 가장 친한 친구가 되었을 때"가 "좋은 기자"가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하였다.[92]

기자실에서 기자들의 주된 업무는 기자회견 내용을 요약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표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소홀히 하고 미디어 조작에 쉽게 노출되며, 이로 인해 현장 취재를 배우는 기자 수가 줄어든다는 비판이 있다. 교도통신 전 기자 우오즈미 아키라는 기자클럽이 기자들의 심리를 서서히 갉아먹고 기자로서의 본능을 무디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아사히 신문 2001년 5월 26일 기사에서 "업무의 70% 또는 80%가 정부 기관으로부터 2차 또는 3차 정보를 가능한 한 빨리 수집하는 것이라면, 세상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감지하는 본능이 무뎌진다. 어느새 공무원의 논리가 스며들고, 통치받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기가 어려워진다. 나는 나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프리랜서가 된 지 5년 후에야 점차 그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7. 한국의 기자실 개혁

대한민국에서는 일본 기자 클럽 시스템과 유사한 클럽들이 존재했으나, 2000년대 초반의 개혁 이후로 한국 정부와 언론 간의 이러한 시스템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2001년 6월 11일 경기도 성남시의 정부기관에 출입하던 11개 지역 신문(경인일보 등)이 기자클럽을 해체하고 회의실에서 철수했으며, 같은 해 인천국제공항에서 인터넷 신문 오마이뉴스가 기자회견에서 퇴출당하고 이에 항의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9]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의 정책에 따라 청와대의 기자실이 해체되었다. 이후 인터넷 언론과 외국 언론 기관에 개방된 회의실이 설치되어 등록한 사람은 누구든 참석할 수 있게 되었다.

8. 주요 기자클럽

일본에는 다양한 분야의 기자클럽이 존재한다. 주요 기자클럽은 다음과 같다.

분야클럽명위치주요 취재 대상 및 특징
증권거래兜倶楽部|가부토 클럽일본어도쿄 증권거래소기업의 주가 관련 발표
철도ときわクラブ|토키와 클럽일본어JR 동일본 본사교통 관련 (상주 기자 적음). 다네무라 나오키가 아사히 신문 기자 시절 소속.
중공업 및 기타 산업重工業研究会|주고교 겐큐카이일본어일본철강연맹철강 외 금속, 화학, 섬유, 고무, 종이, 유리, 화장품, 의약품, 의류 등 다양한 산업. 미쓰비시중공업이나 이시카와지마-하리마중공업 관련 클럽으로 오해받기도 함.
섬유 및 제지本石繊維会|혼세키 센이카이일본어도쿄 니혼바시 혼세키초섬유 및 제지 산업 (공식 클럽은 아님, 중공업 클럽 하위 조직)
상공회의소東商記者クラブ|도쇼 기자 클럽일본어도쿄 상공회의소중소기업 보도 목적 (실제로는 배송, 서비스, 비은행 금융, 식품 사업 보도). 도쿄상공회의소는 중소기업 보도를 요청했지만 실현되지 않음.
방송映放クラブ|에이호 클럽일본어국회 중의원도쿄 6개 민영 방송국 (NHK, NTV, TBS, 후지 TV, TV 아사히, TV 도쿄) (TV 뉴스 카메라 기자 전용)
방송民放クラブ|민포 클럽일본어국회 중의원라디오 뉴스 기자 전용 (공식 명칭: 国会放送記者会|국회방송기자회일본어). NHK는 TV 뉴스 방송 음성을 사용하므로 회원 아님.
경찰七社会|시치샤카이일본어도쿄도 경찰청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요미우리 신문, 도쿄 신문, 니혼케이자이 신문, 교도 통신 (과거 지지 통신 회원)
경찰警視庁記者倶楽部|게이시초 기자 클럽일본어도쿄도 경찰청NHK, 산케이 신문, 지지 통신 (실제 상주)
경찰ニュース記者会|뉴스 기자회일본어도쿄도 경찰청NTV, TBS, 후지 TV, TV 아사히, TV 도쿄
소방東京消防庁記者クラブ|도쿄쇼보초 기자 클럽일본어도쿄도 경찰청경찰 기자 클럽 기자들이 운영 (상주 회사 없음)
정치青灯倶楽部|세이토 클럽일본어


8. 1. 중앙 정부 및 국회

총리 관저 내 내각기자회는 주로 총리, 관방장관, 관방부장관, 총리 공관 및 내각에 대해 보도한다.[15]

외무성 카스미 클럽에는 일본과 해외 주요 언론사 기자들이 상주한다.

국토교통성 기자 클럽은 운수성, 건설성, 국토청 클럽들이 통합되어 만들어졌다. 서로 다른 그룹이 합쳐졌기 때문에, 교통 정책을 취재하는 기자가 일반 건설 회사의 부채 처리를 취재하는 기자 옆에 앉아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궁내청 기자 클럽도 중앙 정부 관련 기자 클럽 중 하나이다.

8. 2. 정당

平河クラブ|히라카와 클럽일본어자유민주당 본부와 중의원에 사무실을 둔 기자 클럽이다. 이 클럽에 소속된 기자들은 주로 자민당과 공명당을 취재한다. 자민당 본부 내 클럽은 党本部平河|도혼부 히라카와일본어, 중의원 내 클럽은 院内平河|인나이 히라카와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히라카와 기자들은 국회가 개회 중일 때는 원내 클럽에, 휴회 중일 때는 본부 클럽에 출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野党クラブ|야토 쿠라부|Yatō Kurabu일본어은 국회 중의원에 있는 클럽이다. 이 클럽의 기자들은 주로 민주당, 일본공산당, 사회민주당을 취재한다.

8. 3. 경제 및 산업


  • 가부토 클럽 - 도쿄증권거래소 내 기자 클럽이다. 기업들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사건에 대해 이 클럽에서 발표한다.
  • 일본은행 클럽 - 일본은행 내 클럽으로, 상주 기자들은 은행 자체뿐만 아니라 은행이나 보험회사와 같은 민간 기관도 취재한다.
  • 자동차 산업 기자회 - 처음에는 게이단 기카이 클럽의 하위 조직이었지만, 1999년 기카이 클럽이 문을 닫으면서 독립적인 클럽이 되었다. 그러나 니케이, 아사히, 요미우리, 마이니치 등 4대 신문은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신문협회에서는 기자 클럽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신문협회 회원이 아닌 닛칸 자동차 신문은 자동차 클럽의 상주 회사이다.

8. 4. 기타

일본노총과 관련된 미타 클럽은 노동 운동 관련 기자 클럽이다.[1] 과거에는 일본노동총동맹과 같은 단체가 정보를 제공했고, 회원 신문 및 잡지 기자들이 여기서 일했다.[1] 노동정보와 아카하타 두 신문사가 전 일본우정노동조합(현 JPU)의 거액 부채 사건과 노조 예산 지출 사건을 보도했기 때문에, 일본우정노동조합은 이들이 회원이 되는 것을 막았다.[1]

9. 관련 사건


  • 1921년 한 가스 업체가 가스 가격을 인상하기 위해 도쿄시의회(東京市議会|도쿄시 기카이일본어)에 뇌물을 건낸 도쿄가스의옥사건(東京ガス疑獄事件)이 발생하였다. 시청과 도쿄도 경찰청 기자클럽에 출입하는 신문 기자들에게도 뇌물이 건내진 것이 발각되어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 1974년 문예춘추(文芸春秋|분게이 슌주일본어)가 "다나카 가쿠에이 문제(田中金脈問題)"에 대해 보도했을 때 기자클럽은 의혹을 이미 알고 있었으나 보도하지 않았다.

  • 1998년 〈총리와의 대화(総理と語る|소리토 가타루일본어)〉가 도쿄방송에서 방영되는 동안 뉴스23(NEWS23)의 앵커 지쿠시 데쓰야(筑紫哲也)가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총리에게 빌 클린턴(Bill Clinton) 대통령의 타운미팅을 보여주면서 클린턴식 타운미팅을 제안하였다. 오부치 총리는 긍정적이었으나 기자클럽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 2000년 모리 요시로(森喜朗) 총리가 "일본은 천황을 중심으로한 신의 나라"고 발언한 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기로한 전날, 총리 관저에 출입하는 기자클럽인 내각기자회(内閣記者会|나이카쿠 기샤카이일본어) 기자실 바닥에 놓여있던 〈내일 기자회견에 관한 개인적 의견〉이라는 제목의 쪽지 몇장이 발견되었다. 언론의 질문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관해 총리에게 설명하는 것처럼 보였다. 시사 주간지들은 문서를 작성한 언론사를 NHK로 보도했지만 정작 기자클럽은 사건의 원인을 밝히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았다.

10. 기자클럽 폐지 움직임

1996년 가마쿠라시는 전국지와 지방지 가나가와 신문을 포함한 6개 언론사가 가입된 가마쿠라 기자회의 이용을 중단하고, 시에 등록하면 어느 언론사나 이용할 수 있는 "홍보 미디어 센터"를 열었다.[44][45] 다케우치 겐 시장은 세금으로 운영되는 시의 시설이 소수 언론사에만 독점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고 주장하였다.

2001년 5월 15일 나가노현 지사 다나카 야스오는 "탈 기자클럽 선언"을 발표하였다. 다나카 지사는 현청에 상주하는 3개의 기자클럽을 폐쇄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센터를 열었다. 이는 거대 언론사가 정보를 독점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기자클럽 가입 언론사들은 이에 거세게 반발하였고, 나가노 현 안팎 언론사 간의 갈등을 일으켰다고 보도되었다.

2001년 8월 6일 도쿄도청은 가지바시와 유라쿠 기자클럽에게 도청 사무실 이용 비용을 청구했으나 거부되었다. 대신 전기료, 난방료, 수도료, 전화료를 지불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시하라 신타로 도지사는 잡지와 외신이 브리핑에 참여하지 못하는 관행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2004년 3월 30일 외무성은 중앙 정부 부처와 지방 정부 부처, 경찰서, 업계 단체 등에 공문을 보내 외신이 브리핑에 참석하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하였다.[80]

2006년 3월 14일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한 홋카이도청은 도정기자클럽이 사용하는 전기료, 난방료, 수도료, 기타 비용을 합한 약 2500000JPY을 청구하기로 결정하였다.

2009년 9월 16일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출범 이후, 외무성을 시작으로 기자회견 개방화가 진행되었다. 온라인 매체 및 프리랜서 기자 등이 기자회견에 참석하여 질문할 수 있게 되었다.

10. 1. 정당

1994년 오자와 이치로(小沢一郎) 신생당 대표간사는 기자클럽에 가입되지 않은 잡지 기자들의 브리핑 참여를 허용하려 하였으나 기자클럽과의 견해 차이로 실패했다.[6]

2002년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민왕당 간사장은 스포츠 신문, 주간 잡지, 외신 등 모든 언론이 참여할 수 있는 브리핑 제도를 도입했다. 이전에는 야당클럽(野党クラブ|야토 구라부일본어)에 가입한 언론사만 브리핑에 참여할 수 있었다.[6]

2009년 10월 14일, 자유민주당 총재 다니가키 게이이치(谷垣禎一)는 정례 기자회견을 자민당 기자 클럽인 헤이와 클럽(平河クラブ) 외에 국내외 모든 언론, 프리랜서 기자, 사진기자에게 공개했다. 단, 첫 질문권은 헤이와 클럽에만 주어졌고, 헤이와 클럽의 질문이 모두 끝난 후에야 프리랜서 기자를 포함한 다른 기자들이 질문할 수 있었다.[82]

10. 2. 정부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1996년 가마쿠라시는 전국지와 지방지 가나가와 신문을 포함한 6개 언론사가 가입된 가마쿠라 기자회의 이용을 중단하고, 시에 등록하면 어느 언론사나 이용할 수 있는 "홍보 미디어 센터"를 열었다.[44][45] 다케우치 겐 시장은 세금으로 운영되는 시의 시설이 소수의 언론사만 가입된 기자클럽에게 독점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고 주장하였다.

2001년 5월 15일 나가노현 지사 다나카 야스오는 "탈 기자클럽 선언"을 발표하였다. 다나카 지사는 현청에 상주하는 3개의 기자클럽을 폐쇄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센터를 열었다. 거대 언론사가 정보를 독점하는 것을 끝내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기자클럽 가입 언론사는 거세게 반발하였고, 나가노 현 안팎 언론사 간의 갈등을 일으켰다고 보도하였다.

2001년 8월 6일 도쿄도청은 가지바시와 유라쿠 기자클럽에게 도청 사무실을 이용하는 비용을 내달라고 요구하였으나 거부되었다. 대신 전기료, 난방료, 수도료, 전화료를 지불할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이시하라 신타로 도지사는 잡지와 외신이 브리핑에 참여하지 못하는 관행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2004년 3월 30일 외무성은 중앙 정부 부처와 지방 정부 부처, 경찰서, 업계 단체 등에 공문을 보내 외신이 브리핑에 참석하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하였다.[80]

2006년 3월 14일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한 홋카이도청은 도정기자클럽이 사용하는 전기료, 난방료, 수도료, 기타 비용을 합한 약 2500000JPY을 청구하기로 결정하였다.

2009년 9월 16일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출범 이후, 외무성을 시작으로 '''기자회견 개방화'''가 진행되었다. 온라인 매체 및 프리랜서 기자 등이 기자회견에 참석하여 질문할 수 있게 되었다.

10. 3. 업계 단체 및 경제 단체

1993년 도쿄 증권거래소 카부토 클럽은 외국인특파협회 회원사의 가입을 허용했다.[44] 이는 외신에게 기자실 문을 여는 움직임이었다.

1999년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의 요구로 경단연기계클럽(経団連機械クラブ|게이다렌 기카이 구라부일본어)이 해체되었다. 이 클럽은 전자 설비, 조선, 자동차 같은 산업과 관련된 보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언론사와 기업은 기자클럽 유지에 관해 논의했으나 획기적인 해결책이 나오지 않아 결국 클럽은 해체되었다. 업체들이 이미 개방된 브리핑을 도입하고 이메일과 보도자료를 이용하고 있어 기자클럽을 이용하는 장점이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기자클럽을 유지하길 원했던 자동차 업계는 일본자동차공업회 소속 자동차산업기자회를 만들었으나,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니혼케이자이 신문은 참여를 거부하여 클럽이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일본전신전화(NTT) 아오이 클럽(葵クラブ|아오이 구라부일본어)은 NTT 구조 조정으로 해체되었다. 아오이 클럽은 하나의 기업만을 담당했기 때문에 비판받은 적이 있었다. 경제부장 단체는 구조 조정 이후 아오이 클럽을 기자클럽으로 받아들이길 거부하였다. NTT는 클럽 회원사를 제외하고 잡지와 외신을 포함한 언론사를 위한 새로운 기자실을 열 목적으로 클럽을 해체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s timid coverage of Fukushima led this news anchor to revolt — and he's not alone https://www.pri.org/[...] 2014-10-17
[2] 뉴스 EU acts to free Japanese media https://www.theguard[...] 2002-11-29
[3] 웹사이트 Japan : Tradition and business interests | Reporters without borders https://rsf.org/en/j[...] 2022-10-06
[4] 신문 Tight-lipped Tepco lays bare exclusivity of press clubs http://search.japant[...] 2011-05-03
[5] 뉴스 In Reporting a Scandal, the Media Are Accused of Just Listening https://www.nytimes.[...] 2009-05-28
[6] 웹사이트 False Dawn: The Decline of Watchdog Journalism in Japan https://apjjf.org/20[...] 2016-10-15
[7]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by Prime Minister Yukio Hatoyama (Speeches and Statements by Prime Minister Yukio Hatoyama) http://japan.kantei.[...]
[8] 뉴스 New Leaders in Japan Seek to End Cozy Ties to Press Clubs https://www.nytimes.[...] 2009-11-20
[9] 뉴스 south-korea-dissolves-ties-that-once-bound-the-press-to-the-powerful https://www.nytimes.[...]
[10] 뉴스 原因は特定秘密保護法と記者クラブ制度――日本の言論自由度は世界59位 http://www.kinyobi.c[...] 2014-03-14
[11] 웹사이트 Kisha System Makes for Extra Work, but Doesn't Stop the Presses https://web.archive.[...] www.ojr.org
[12] 웹사이트 EU Pressures Japan to End Closed-Door Press Practices https://web.archive.[...] www.ojr.org
[13]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Delegation of the European Commission in Japan in response to the Opinion of the Japan Newspaper Publishers and Editors Association https://web.archive.[...] www.deljpn.ec.europa.eu
[14] 웹사이트 Why Japan ranks poorly in press freedom https://www.dw.com/e[...] 2023-08-05
[15] 서적 新現場から見た新聞学 第1部 第1節
[16] 웹사이트 記者クラブは政権や行政機関の御用クラブなのか https://www.medical-[...] 2023-08-09
[17] 서적 新版 現場から見た新聞学 2002
[18] 뉴스 大臣記者会見、だれが主催?省庁と記者クラブ、7閣僚で見解不一致 J-School院生の調査で判明 http://spork.jp/?p=7[...] 早稲田大学ジャーナリズム大学院 2010-02-16
[19] 웹사이트 記者クラブ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 http://www.pressnet.[...] 日本新聞協会
[20]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第1章 第1節
[21]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第4章 第4節
[22] 웹사이트 記者クラブを批判したら……最大の抵抗勢力が出てきた(4) https://www.itmedia.[...] Business Media 誠 2009-11-27
[23] 웹사이트 「日本、独裁政権のよう」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が批判 https://web.archive.[...] www.asahi.com
[24] 웹사이트 New Leaders in Japan Seek to End Cozy Ties to Press Clubs https://www.nytimes.[...] 2009-11-21
[25] 서적 新聞学
[26]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第2章 第1節
[27]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第1章 第5節
[28] 간행물 平成12年警察白書 第1節 犯罪情勢の推移と刑事警察の50年
[29] 간행물 集団的過熱取材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 2001-12-06
[30]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31] 뉴스 読売記者、取材メモを誤送信 諭旨退職処分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2-08-14
[32] 웹사이트 怒号に次ぐ怒号!知床遊覧船事故「NHK抜け駆けスクープ」センター長が呼び出された「査問会議」の中身 https://gendai.ismed[...] 現代ビジネス 2022-05-31
[33] 서적 新聞 資本と経営の昭和史 朝日新聞社 2007
[34] 서적 岐路に立つ日本のジャーナリズム
[35] 서적 新聞 資本と経営の昭和史 朝日新聞社 2007
[36] 웹사이트 コロナのメディア報道と世論に思う「90年前と同じ無責任な過ち」との酷似|荒川和久/「結婚滅亡」著者 https://comemo.nikke[...]
[37] 서적 報道の自己規制 メディアを蝕む不都合な真実 リベルタ出版
[38] 서적 新版 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39] 웹사이트 記者クラブ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 - 1.目的と役割 http://www.pressnet.[...]
[40] 서적 新聞力 東京新聞出版局
[41] 서적 新版 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42] 웹사이트 外国報道機関記者の記者クラブ加入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 http://www.pressnet.[...]
[43] 웹사이트 オフレコ問題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 http://www.pressnet.[...]
[44] 서적 新版 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45] 웹사이트 鎌倉市・広報メディアセンター http://www.city.kama[...]
[46] 서적 新版 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47] 웹사이트 記者クラブ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第656回編集委員会) http://www.pressnet.[...]
[48] 웹사이트 5. 記者クラブ https://web.archive.[...] 2019-07-06
[49] 뉴스 LDニュースのクラブ加盟却下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 2006-03-15
[50] 웹사이트 東京地裁が申し立てを却下 「世界の非常識」記者クラブを追認 http://www.mynewsjap[...] 2005-11-14
[51] 보도자료 記者会見の全面開放宣言~記者クラブ改革へ踏み出そう~ http://www.shinbunro[...] 日本新聞労働組合連合 2010-03-04
[52] 뉴스 「記者会見は全面開放すべき」 新聞労連が大手マスコミに提言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0-03-04
[53] 기타 1997年見解
[54] 웹사이트 記者クラブ制度批判は完全な誤りだ 2009-09-24
[55] 웹사이트 2024-world-press-freedom-index-journalism-under-political-pressure https://rsf.org/en/2[...] 2024-10-16
[56] 웹사이트 北朝鮮 表現の自由の抑圧 法制定でエスカレート 国連報告書 https://www3.nhk.or.[...] NHK 2024-09-04
[57] 서적 日本型メディアシステムの興亡
[58] 웹사이트 なぜ記者クラブが問題なのか http://apc.cup.com/a[...]
[59] 서적 隠すマスコミ、騙されるマスコミ 文藝春秋 2003-05
[60] 웹사이트 タコツボ化したジャーナリズム ── 特定記者クラブへの過剰配置が取材態勢の硬直化を招く http://www.the-journ[...] THE JOURNAL 2010-08-15
[61] 웹사이트 警察ネタの過剰 http://blog.goo.ne.j[...] 2008-11-23
[62] 뉴스 2001-05-26
[63] 서적 国策捜査―暴走する特捜検察と餌食にされた人たち 金曜日
[64] 학술지 鳩山政権を挟撃する大メディアと官僚「霞ヶ関の笛」連合 小学館 2009-11-25
[65] 뉴스 鈴木宗男氏「狙われたら誰でもやられる」 https://web.archive.[...] 2010-01-16
[66] 뉴스 In Reporting a Scandal, the Media Are Accused of Just Listening https://www.nytimes.[...] 2009-05-29
[67] 웹사이트 財務官僚は記者を「ポチ」と呼んで手懐ける…「増税やむなし」の世論をつくるマスコミと財務省の共犯関係 次に待ち受けるのは「消費税15%以上」 https://president.jp[...]
[68] 웹사이트 官公庁(東京地域) http://www.kisha-clu[...]
[69] 웹사이트 脱原発官邸前デモの絶好の取材場所巡り記者クラブ提訴される http://zasshi.news.y[...]
[70] 웹사이트 読売、日経記者が飛ばす野次の背景に「選民思想」と上杉隆氏 https://www.news-pos[...]
[71] 웹사이트 鳩山由紀夫前主催勉強会 2011年4月6日 http://uesugitakashi[...] 2011-04-06
[72] 논문 [福島原発事故]マスコミ批判・記者批判を検証する 朝日新聞社 2012-07
[73] 서적 ルポ東京電力 原発危機1カ月 朝日新聞出版 2011-06-30
[74] 웹사이트 窮地に陥った首相に政権延命の策を指南した記者がいた 21年を経て元NHK記者らが語った「指南書問題」(立岩陽一郎) - 個人 https://news.yahoo.c[...] 2021-09-04
[75] 웹사이트 記者が首相に政権延命の方法を助言した「指南書問題」 21年を経て問われる政治報道の「守るべき一線」(立岩陽一郎) - 個人 https://news.yahoo.c[...] 2021-09-04
[76] 간행물 滋賀県警の「ガサ」入れ ついに記者クラブまで http://www2.kinyobi.[...] 金曜日 2008-11-21
[77] 웹사이트 原告が「記者クラブ制度は憲法違反」との書面を提出 https://note.com/yut[...] 2024-10-12
[78] 웹사이트 大阪市政記者クラブに所属しないフリージャーナリストに対し大阪市議会の委員会の傍聴を不許可とした委員長の処分が憲法21条1項,14条1項等に違反しないとされた事例 https://www.courts.g[...] 2024-10-12
[79] 웹사이트 記者会見の全面開放宣言~記者クラブ改革へ踏み出そう https://shimbunroren[...] 日本新聞労働組合連合 2024-10-14
[80] 보도자료 鳩山内閣総理大臣記者会見 https://www.kantei.g[...] 首相官邸 2010-04-01
[81] 뉴스 記者クラブという「鎖国」制度 世界の笑いものだ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0-05-03
[82] 뉴스 自民総裁会見もオープン化 谷垣氏「熟慮したわけではない」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09-10-17
[83] 뉴스 大臣記者会見、だれが主催?省庁と記者クラブ、7閣僚で見解不一致 J-School院生の調査で判明 http://spork.jp/?p=7[...] 早稲田大学ジャーナリズム大学院 2012-10-28
[84] 웹사이트 鳩山内閣早くも公約違反? 隠れた官僚支配の温床壊せず http://business.nikk[...] 日経BP社 2009-09-17
[85]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86] 서적 ジャーナリズム崩壊
[87] 웹사이트 記者クラブ制度廃止にかかわるEU優先提案に対する見解 https://www.pressnet[...] 2024-10-12
[88] 서적 記者クラブ崩壊
[89] 서적 ホワイトハウスとメディア 中央公論社 1992
[90] 웹사이트 抑圧下の記者クラブ シリーズ・ジンバブエ(1) http://www.asahi.com[...] asahi.com 2010-05-06
[91] 방송 近くて遠い大統領 ~ホワイトハウス記者のジレンマ~ NHK
[92] 서적 숨기는 매스 미디어, 속는 매스 미디어 (隠すマスコミ、騙されるマスコミ) 분슌신쇼 (文春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