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카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카이섬은 아마미 제도에 속하는 융기 산호섬으로, 큐슈 최남단에서 남쪽으로 약 380km 떨어져 있다. 융기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산호섬 중 하나이며,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며, 사탕수수, 흑설탕, 아마미 흑당 소주 등이 특산물이다. 고대부터 류큐 왕국, 사쓰마 번의 지배를 받았으며, 다양한 역사적 유적과 독특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는 기카이 공항과 페리를 통해 가고시마, 아마미오시마 등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섬 - 규슈
    규슈는 일본 남서부에 위치한 4대 주요 섬 중 하나로, 풍부한 온천 자원과 다양한 문화, 7개의 현으로 구성된 규슈 지방, 그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이 특징이다.
  • 일본의 섬 - 시코쿠
    시코쿠는 일본의 주요 섬 중 하나로 세토 내해와 태평양에 둘러싸여 있으며 4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산지가 솟아 있으며, 다양한 기후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관광 산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 가고시마현의 섬 - 아마미오시마
    아마미오시마는 류큐 문화권에 속하는 일본 열도 일곱 번째 섬으로, 류큐 왕국과 일본의 지배, 미국 점령을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며, 아마미토끼 등 고유종 동물이 서식하고, 농업, 어업, 관광에 기반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오시마 츠무기가 유명하다.
  • 가고시마현의 섬 - 사쓰난 제도
    사쓰난 제도는 규슈 남부 해상에 위치한 오스미 제도, 토카라 제도, 아마미 제도를 포함하는 섬들의 총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야쿠시마와 우주센터가 있는 타네가시마 등 다양한 섬들이 독특한 자연환경, 역사,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영향을 받고 미군 군정기를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나, 아열대 기후와 풍부한 생물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교통 불편과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기카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기카이섬 (2011년 3월 촬영)
기카이섬 (2011년 3월 촬영)
일본어 이름喜界島 (きかいじま, Kikaijima)
다른 이름기카이가지마 (喜界が島, Kikai-ga-jima)
위치동중국해(미확인)
군도아마미 제도
면적56.93 km²
해안선 길이48.6 km
최고점214 m
최대 취락지완 (湾)
인구7,657명 (2013년 기준)
인구 밀도134.49 명/km²
민족 구성류큐인, 일본인
행정 구역
국가일본
가고시마현
오시마군
기카이정
언어
사용 언어기카이어, 일본어

2. 지리

기카이섬은 다른 아마미 제도와 떨어져 있으며, 아마미오 섬에서 동쪽으로 약 25km, 큐슈 최남단에서 남쪽으로 약 380km 거리에 위치한다. 아마미 제도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섬이다. 섬 중앙보다 약간 동쪽으로 동경 130도선이 지나가며, 이 선상에는 하야마치 취락과 오노쓰 취락이 있다.

지형적으로는 아마미오 섬이나 토쿠노 섬에 비해 비교적 평탄하며, 가장 높은 지점의 해발 고도는 214m이다. 섬 전체가 산호를 기원으로 하는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융기 산호섬이다. 약 12만 년 전 필리핀 해 플레이트의 섭입 작용으로 해저에서 융기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연간 약 2mm의 속도로 계속 융기하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빠른 속도에 해당하여 지질학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섬 곳곳에는 해안 단구와 낮은 구릉지가 발달해 있다.

섬의 동쪽 해안 가까이에는 필리핀 해 플레이트가 침강하면서 형성된 깊은 류큐 해구가 있지만, 섬 주변은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다.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햐쿠노다이, 아덴 취락, 톤비자키 해안, 아라키 해안 등은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가고시마시에서 아마미 군도의 섬들 중 가장 가깝지만, 직선거리는 약 380km에 달한다. 가고시마 공항에서는 프로펠러 여객기로 약 1시간, 가고시마항에서는 페리로 약 11시간이 소요된다. 섬의 행정 및 경제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기카이정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기후

기카이 섬의 기후는 매우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아열대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 ''Cfa'')로 분류된다. 우기는 5월부터 9월까지 지속된다. 이 섬은 잦은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기카이섬의 기후 (2000년~2020년 평균, 2000년~현재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연간 총합
역대 최고 기온 (°C)24.8°C24.9°C25.8°C27.4°C31.9°C32°C35°C36.9°C34.6°C32.2°C29.1°C27.2°C36.9°C
평균 최고 기온 (°C)18.5°C19.2°C20.6°C22.9°C25.8°C28.2°C31.5°C32°C30.6°C27.8°C24.2°C20.3°C25.1°C
일평균 기온 (°C)15.6°C16.1°C17.4°C19.8°C22.7°C25.5°C28.4°C28.6°C27.4°C24.7°C21.2°C17.5°C22.1°C
평균 최저 기온 (°C)12.6°C13°C14.3°C16.6°C19.9°C23.5°C26°C26°C24.7°C22°C18.4°C14.6°C19.3°C
역대 최저 기온 (°C)4.8°C4.2°C5°C7.4°C11.8°C16.5°C21.4°C21.7°C19.4°C14.3°C9.3°C7.3°C4.2°C
평균 강수량 (mm)119.4mm105mm151.1mm146.6mm215.1mm304.3mm124.8mm150.9mm213.9mm171.1mm126mm102.7mm1892.7mm
평균 강수일수 (≥ 1mm)12.811.612.911.012.112.97.49.710.610.69.511.8132.9
출처: 일본 기상청[3][4]


3. 자연

기카이섬은 비교적 고립된 환경으로 인해 섬 고유종이나 류큐 열도 고유종 등 희귀 생물의 서식지가 되고 있다. 다만 아마미 제도의 다른 섬들과 달리 독사인 하부는 서식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섬 주변 해역의 수심 61m~105m 지점에서는 생물 기원으로 형성된 매크로이드(macroid, 직경 25mm~130mm 크기의 결절)가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는 주로 유공충의 일종인 아체르불린(acherbul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공성 이매패류의 서식 흔적을 보여준다.[5][6]

사탕수수 밭 개발 등으로 인해 원시림과 같은 자연 그대로의 산림은 아마미오섬 등에 비해 적은 편이어서 고유 동식물의 수도 상대적으로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팽이곤충 등 일부 분류군에서는 고유종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쿠버 다이빙이나 고래 관찰[17] 등 해양 레저 활동지로도 주목받고 있다.

3. 1. 동식물

기카이섬 효쿠노다이


기카이섬은 비교적 고립되어 있어 섬 고유종 또는 더 일반적으로 류큐 열도 고유종인 여러 희귀종의 서식지이다. 그러나 이 섬은 독사 하부가 없는 아마미 제도의 몇 안 되는 섬 중 하나이다. 생물 기원으로 코팅된 더 큰 결절(직경 25mm~130mm)인 매크로이드가 수심 61m~105m의 기카이섬 해안에서 발견되었다.[5] 이 매크로이드는 유공충인 아체르불린에 의해 구성된다. 이 매크로이드는 구멍이 위장구멍 화석을 나타내는 천공 이매패류의 서식지이다.[6]

왕얼룩나비, 호랑나비 등의 나비가 날아다니며, 최근에는 스쿠버 다이빙이나 고래 관찰[17] 등의 해양 레저 명소로도 주목받고 있다.

사탕수수 밭 등의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손대지 않은 산림이 적고, 원시림이 남아있는 아마미오섬 등과 비교하면 고유의 동식물이 적지만, 달팽이곤충 등에서 고유종이 발견되고 있다.

살무사는 서식하지 않는다.

'''동물'''

  • 토카라우마 - 중세 이후, 규슈에서 아마미 제도에 일본 재래마가 전해진 기카이 섬 내의 기카이마는 1990년에 멸종되었으며, 박제가 남아있고, 자손인 나카노시마산 토카라우마 1마리가 돌아와 사육, 전시되고 있다[18].
  • 고래류 - 주로 남방큰돌고래가 섬의 연안에 서식하고 있으며, 겨울부터 봄에 걸쳐서는 혹등고래회유하며, 육상에서 고래 관찰을 할 수 있다[17][19][20].
  • 류큐오목눈이
  • 호랑나비
  • 왕얼룩나비 - 서식 북한계. 마을의 보호 조례가 있다.
  • アカアシコハナコメツキ|아카아시코하나고추벌레일본어 기카이 섬 아종 (''Paracardiophorus sequens kikai'') - 기카이 섬 고유의 아종.
  • アマミノブオケシカミキリ|아마미노부오케시하늘소일본어 기카이 섬 아종 - 기카이 섬 고유의 아종.
  • イシガキシロテンハナムグリ|이시가키흰점꽃무지일본어 기카이 섬 아종 - 기카이 섬 고유의 아종.
  • ハマベヒメサビキコリ|하마베히메사비키코리일본어 기카이 섬 아종 - 기카이 섬 고유의 아종.
  • キカイキビ|키카이키비일본어(''Parakaliella kikaigashimae'') - 애기달팽이과의 달팽이. 기카이 섬 고유종.
  • キカイキセルモドキ|키카이키세루모도키일본어(''Luchuena reticulata'') - 키세루모도키과의 달팽이. 오키나와 본섬 이북, 기카이 섬이 북한계.


'''식물'''

  • ヒメタツナミソウ|히메타츠나미소일본어(''Scutellaria kikai-insularis'') - 꿀풀과. 기카이 섬 고유종.
  • ケラジミカン|케라지미칸일본어(''Citrus keraji'') - 운향과. 기카이 섬 고유종.
  • 가주마루
  • 소철
  • 아카테츠
  • 하스노하기리
  • 히로하네무
  • 텐닌기쿠(특공화) - 귀화 식물


기카이 섬의 항공 사진. 사진 위쪽은 북서 방향. 2008년 12월 3일에 촬영한 41장을 합성하여 제작.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 사진 열람 서비스]의 항공 사진을 기반으로 제작.

4. 역사

기카이섬은 고대부터 문헌 기록에 등장하며, 특히 규슈의 행정 중심지였던 다자이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998년 다자이후가 기카이섬(貴駕島)에 남만(南蠻, 아마미오 섬 주민으로 추정)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기록[38][7]과, 이듬해 남만을 토벌했다는 보고[7]는 당시 기카이섬이 일정 수준의 세력이나 중요 거점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2006년 이후 발굴된 9세기에서 15세기에 걸친 구스쿠 유적군은 이러한 역사적 중요성을 뒷받침한다.[40][7] 이 유적에서는 일본 본토, 중국, 한국 등 외부에서 유입된 백자, 도기 유물과 도쿠노섬에서 제작된 카무이 도자기 등이 다수 출토되어,[40][7] 기카이섬이 고대 난세이 제도의 활발한 교역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7] 또한 12세기경의 제철 유적도 발견되었다.[41][23]

중세 이후 기카이섬은 점차 주변 강대 세력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다. 14세기~15세기 산잔 시대에는 추잔 왕국의 가쓰렌성 아지(按司, 지방 호족) 세력 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28] 1466년에는 류큐 왕국의 쇼 토쿠 왕에 의해 정복되어 류큐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2]

1609년 사쓰마번이 류큐 왕국을 침공하면서 기카이섬은 사쓰마번의 직할령이 되었고,[25] 이후 에도 시대 동안 사쓰마번의 통치를 받으며 사탕수수 재배 강제와 흑설탕 전매 제도로 인해 섬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25] 또한 사쓰마번의 유배지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폐번치현으로 가고시마현에 편입되었으며,[25] 20세기 초에는 행정 구역 개편, 기카이 공항 개설 등의 변화를 겪었다.[25]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군의 공습으로 피해를 입었으며,[25] 종전 후 1946년부터 1953년까지 미국의 군정 통치를 받다가 일본에 반환되었다.[25]

한편, 헤이안 시대부터 중세에 걸쳐 유배지로 알려진 '오니가시마(鬼界島)'가 기카이섬이라는 설이 있으나, 『헤이케 이야기』[8] 등 문헌 묘사와 실제 섬의 지리적 특징(화산섬이 아님[43])이 달라 논란이 있다. 그럼에도 섬에는 『헤이케 이야기』에 등장하는 승려 슌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1853년 섬에 기항했던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이 섬을 "방갈로 아일랜드"라고 명명했다는 사실도 근대에 있었던 일화이다.[42]

4. 1. 고대

기카이섬 남부의 사키야마 유적[21]에서는 약 6000년 전 조몬 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조흔문 토기 등이 출토되어, 오래전부터 사람이 정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헤이안 시대) 문헌에 따르면 기카이섬은 다자이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일본기략』에는 998년(조토쿠 4년) 다자이후가 기카이섬(貴駕島, 키카지마)에 난동을 부리는 남만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내용이 있다.[38][7] 『쇼유키』 997년(조토쿠 3년) 기록에 따르면 여기서 언급된 '남만'은 아마미오 섬 주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7] 이듬해인 999년(조토쿠 5년)에는 다자이후가 남만을 토벌했다고 조정에 보고했는데,[7] 이는 기카이섬에 다자이후의 거점이 있었거나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시사한다. 아마미 군도 중심부에서 떨어진 기카이섬에 거점을 둔 이유 중 하나로 독사인 하부가 서식하지 않는 점이 거론되기도 한다.

11세기 중반 귀족 후지와라노 아키히라가 쓴 소설 『신사루가쿠키』에는 상인 하치로-마우토가 동쪽의 후슈 땅부터 서쪽의 키카노시마(貴賀之島)까지 여행했다는 내용이 등장한다.[7]

가마쿠라 시대 초기 기록에도 기카이섬이 등장한다. 『아즈마 카가미』에는 1187년 다이라 씨 통치 시절 사쓰마 국의 아타 타다카게가 기카이지마(貴海島)로 도망쳤다는 기록과,[7] 1188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쇼군이 되기 직전 기카이지마(貴賀井島)를 평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는 내용이 있다. 당시 조정은 일본의 행정 범위를 넘어선 군사 원정에 반대했다고 한다.[7]

13세기에 편찬된 『헤이케 이야기』에는 1177년 시시가타니 사건으로 슌칸, 다이라노 야스요리, 후지와라노 나리츠네가 유배된 기카이지마(鬼界島)가 묘사되어 있다. 이 이야기 속 기카이지마는 "배가 거의 지나가지 않았고 사람들은 겁에 질려 있었다. 주민들은 피부색이 어둡고 말은 이해할 수 없었다. 남자들은 에보시를 쓰지 않았고 여자들은 머리를 늘어뜨리지 않았다. 농부나 곡물, 심지어 옷도 없었다. 섬 중앙에는 높은 산이 있었고 끊임없이 불타고 있었다. 많은 양의 유황 때문에 이 섬은 ''유황섬''으로도 알려졌다."[8]고 묘사된다.

이 묘사는 유황이 풍부하고 화산 활동이 있는 기카이 칼데라의 일부인 사쓰마 이오지마의 특징과 더 부합한다는 주장이 유력하다.[8] 기카이섬은 화산섬이 아니고 높은 산도 없어[43] 『헤이케 이야기』 속 '오니가시마(鬼界島)'가 현재의 기카이섬을 지칭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다만 섬 안에는 슌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기카이지마'가 현재의 기카이섬인지, 사쓰마 이오지마인지, 혹은 남쪽 섬들을 통칭하는 이름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9] 명칭 표기 또한 시대에 따라 변화했는데, 10세기 후반부터 12세기까지는 '귀하다'는 의미의 '貴' 자를 사용한 貴駕島, 貴賀之島, 貴海島, 貴賀井島 등의 표기가 보이다가,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는 '귀신'을 뜻하는 '鬼' 자를 쓴 鬼界島라는 표기가 나타난다.[9] 이는 당시 일본 본토에서 기카이섬을 남쪽 섬들의 중심지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섬에 대한 인식이 점차 변화했음을 시사한다.[9]

2006년 기카이섬에서 구스쿠 유적군이 발견되면서 고대 기카이섬의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7] 이 유적은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에 전성기를 누린 것으로 보인다.[40][7] 당시 류큐 열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유적지 중 하나로, 섬의 토착적인 카네쿠식 토기는 거의 발견되지 않은 반면, 일본 본토, 중국, 한국 등 외부에서 들여온 백자나 도기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40][7] 또한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도쿠노섬에서 생산된 카무이 도자기가 기카이섬과 도쿠노섬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양상은, 카무이야키 생산의 주요 목적지가 기카이섬이었음을 시사한다.[7] 이러한 고고학적 증거는 기카이섬이 고대에 남쪽 섬들의 중요한 교역 중심지였다는 문헌 기록을 뒷받침한다.[7] 최근 발굴에서는 12세기경의 제철 유적도 다수 발견되었다.[41][23]

4. 2. 중세

중세 시기 기카이섬은 고고학적 발견과 문헌 기록을 통해 그 역사를 엿볼 수 있다.

2006년 섬에서 발견된 구스쿠 유적군은 9세기부터 13세기까지 지속되었으며, 특히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에 걸쳐 번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유적은 당시 류큐 열도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으며, 일본 본토, 중국, 한국 등 외부에서 들여온 백자와 같은 교역품과 도쿠노시마에서 생산된 카무이야키 토기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7][22] 이는 기카이섬이 당시 남부 섬들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음을 시사한다.[7] 또한 12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제철 유적도 발견되었다.[23][41]

문헌상으로는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 '기카이(キカイ)'를 표기하는 한자가 '귀할 귀(貴)'에서 '귀신 귀(鬼)'로 바뀌었다는 점이 지적된다.[9]

헤이케 이야기(13세기)에는 1177년 시시가타니 사건으로 슌칸, 다이라노 야스요리, 후지와라노 나리츠네가 유배된 '기카이가시마(鬼界島)'가 묘사된다. 이야기 속 섬은 유황이 많고 높은 산이 불타는 화산섬으로 그려지는데,[8] 이는 현재의 기카이섬(화산섬이 아님[43])보다는 가고시마현의 사쓰마 이오지마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8] 하지만 기카이섬에는 이 설과 관련하여 슌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기록인 아즈마 카가미에는 1187년 사쓰마 국의 아타 타다카게가 기카이지마(貴海島)로 도망쳤다는 기록과,[7] 1188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기카이지마(貴賀井島) 정벌군을 보냈으나 조정의 반대로 무산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7]

1306년, 가마쿠라 막부의 싯켄이었던 호조 씨를 대신하여 사쓰마국의 지토 대리였던 치카마 토키이에가 작성한 문서에는 상속 재산 목록에 오스미 제도, 토카라 열도, 아마미 제도와 함께 기카이지마가 포함되어 있어, 당시 일본 본토 세력의 영향력 아래 있었음을 알 수 있다.[10] 가마쿠라 막부 붕괴 이후에는 시마즈 씨가 이 지역에 대한 권리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1363년 시마즈 사다히사가 아들 모로히사에게 영지를 물려주면서 기존의 12개 섬 외에 추가로 5개 섬을 언급했는데, 이것이 기카이섬을 포함한 아마미 제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11]

15세기에 들어 기카이섬은 류큐 왕국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된다. 1453년 일본 승려의 정보를 바탕으로 1471년 편찬된 조선의 해동제국기에는 기카이섬이 류큐의 영토로 기록되어 있다.[12] 반면, 1456년 제주도 표류민의 증언을 기록한 조선왕조실록(1462년 기록)에는 기카이섬 주민들이 류큐의 반복적인 침공에 저항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12] 류큐 왕국의 정사인 추잔 세이칸(1650년 편찬)에 따르면, 1466년 쇼 토쿠 왕이 기카이섬이 수년간 조공을 바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정복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2] 이후 기카이섬은 류큐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4. 3. 근세

1609년 사쓰마번이 류큐 왕국을 침공한 결과, 기카이섬은 사쓰마번의 직접적인 통제하에 놓였다. 1693년에는 다이칸(代官, 지방관)이 설치되었다.

에도 시대사쓰마번의 중신이었던 사토 노부히로는 『사쓰마 경위기』(薩摩経緯記)에서 기카이섬 주민의 기질에 대해 "풍요롭게 되려는 마음이 약하고, 산업에 힘쓰는 자는 드물다"고 기록했다. 그러면서도 섬의 경영 방침으로 "섬 주민은 어리석지만 성실함으로 교화하고, 잘 섬 주민에게 공부를 권하여 물산을 많이 산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4] 또한 에도 시대 동안 기카이섬은 사쓰마 번의 유배지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1853년 미국의 매튜 페리 제독이 일본으로 항해하던 중 기카이섬에 기항했다. 과거에는 페리가 이 섬을 "클레오파트라 아일랜드"라고 명명했다고 알려졌으나, 2000년 문헌 재검토 결과 실제로는 "방갈로 아일랜드"라고 불렀음이 밝혀졌다. "클레오파트라 아일랜드"는 도시마촌요코아테섬이나 가미노네섬을 지칭했을 가능성이 있다.[42]

4. 4. 근현대

에도 시대사쓰마번은 기카이섬에 대한 통치를 강화했다. 1693년에는 기카이 섬 대관소가 설치되었고, 1695년에는 수수 생산량을 확인하는 검사관이 파견되었다.[25] 1713년부터는 "제1차 정식 매입제"를 통해 사탕수수 재배가 강제되었으며, 1777년에는 "제1차 총 매입제"로 섬 주민들의 흑설탕 사적 매매가 금지되어 생활이 어려워졌다.[25] 사쓰마번의 중신 사토 노부히로는 『사쓰마 경위기』에서 기카이섬 주민들에 대해 "풍요롭게 되려는 마음이 약하고, 산업에 힘쓰는 자는 드물다"고 평가하면서도, "섬 주민은 어리석지만 성실함으로 교화하고, 잘 섬 주민에게 공부를 권하여 물산을 많이 산출해야 한다"고 기록했다.[24] 1862년에는 시마즈 히사미쓰의 명령을 어긴 죄로 무라타 신파치가 기카이섬으로 유배되었으며, 당시 항해 경험을 『우루만노 일기』로 남겼다.[29]

1853년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이 일본에 내항했을 때 기카이섬을 방문하여 이름을 붙였는데, 한때 "클레오파트라 아일랜드"로 알려졌으나 2000년 문헌 재검토 결과 "방갈로 아일랜드"로 명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42] "클레오파트라 아일랜드"는 토시마촌의 요코아테섬이나 카미노네섬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메이지 유신 이후 기카이섬에는 여러 변화가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미군의 공습으로 섬 내 가옥 3,931호 중 1,910호가 소실되거나 붕괴되었고, 11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25] 일본 제국의 패망 후 1946년부터 다른 아마미 군도와 함께 미국의 군정 하에 놓였다가, 1953년 12월 25일 일본으로 반환되었다.[25] 1956년에는 기카이정과 하야마치촌이 합병하여 현재의 기카이정이 되었다.[25] 2017년에는 섬의 햐쿠노다이, 아라키 해안 등이 아마미 군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25] 2018년에는 19세기에 태어난 마지막 생존자로 알려진 다지마 나비가 섬의 의료 시설에서 사망했다.

5. 문화

기카이섬의 문화는 류큐 문화권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섬 고유의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켜 왔다. 이는 섬의 언어, 아마미 시마 우타로 대표되는 음악, 염소 고기 요리를 포함한 음식 문화, 태풍에 대비한 돌담과 같은 건축 양식, 그리고 풍장과 같은 전통 종교 및 장례 풍습 등 다양한 생활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각 문화 요소는 섬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5. 1. 언어

기카이섬에서는 류큐어의 일종인 기카이어를 사용한다. '기카이'라는 이름은 고대 및 중세 오키나와어에서 ききや|키키야ryu, きゝや|키키야ryu, きちゃ|키챠ryu, きちや|키치야ryu, ちちや|치치야ryu, ちちやァ|치치야ryu 등 다양한 표기로 나타났으며,[2] 이것이 현재 이름의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섬의 고유 언어인 키카이-류큐어는 젊은 세대가 거의 사용하지 않아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다.[14][15] 이는 지역 문화 보존에 있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기카이어는 국제 SIL로부터 KZG 코드를 부여받아 류큐어의 기카이 섬 방언으로 분류되었지만, 음운적 특징에 따라 더 세분화된다. 현지 조사 결과, 북부 기카이 섬 방언(오노즈, 시토게 등)은 아마미오 섬 방언, 토쿠노 섬 방언과 함께 북아마미 방언군으로, 남부 기카이 섬 방언(완, 아덴, 가미카데츠 등)은 오키노에라부 섬 방언, 요론 섬 방언과 함께 오키노에라부 요론 오키나와 북부 여러 방언군으로 묶는 견해가 유력하다.[32]

북부와 남부 방언 사이에는 음운적 차이가 존재한다.

  • 모음: 북부 방언은 중설 모음 2개를 포함하여 7개의 모음(i, ɪ, u, e, ɘ, o, a)을 가지는 반면, 남부 방언은 5개(i, u, e, o, a)의 모음을 가진다.
  • 본토어 대응: 일본어 본토 방언의 단모음 '에'[e]는 기카이어에서 '이'[ɪ]로, 단모음 '오'[o]는 '우'[u]로 대응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에'[e], '오'[o], '으'[ɘ]는 각각 '아이'[ai], '아우'[au], '애'[ae]와 같은 이중모음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다.
  • 자음:
  • * 하행 자음: 북부에서는 '프'[p] 또는 '프'(ɸ)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지만, 남부에서는 하행음 그대로 발음된다. (예: 파리 - 북부 '페-'[peː], 남부 '헤-'[heː])
  • * '츠', '즈': 북부에서는 '츠'(tsu), '즈'(dzu)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으나, 남부에서는 '투'[tu], '두'[du]로 대응된다.
  • * '키': 남부에서는 '치'(i)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지만, 북부에서는 '키'[ki] 그대로 발음된다. (예: '''상처''' - 북부 '키즈'[kidzu], 남부 '치두'[tɕidu])[33]


이러한 음운적 차이의 경계선은 명확하지 않으며, 억양 차이를 포함하여 섬 내 마을 간에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카' 발음이 '하'[ha] 또는 '하'(xa)로 변하는 현상은 섬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예: 금(金) - 북부 '하네이'[hanɪ], 남부 '하니'[hani])

5. 2. 음악

샤미센 반주에 맞춰 부르는 아마미 시마 우타가 널리 사랑받고 있다. 또한, 마을마다 다른 팔월 춤 노래가 전해져 내려오며, 치진이라는 북을 치면서 춤을 춘다.

기카이섬과 관련된 주요 음악가는 다음과 같다.

이름출신/거주주요 활동비고
야스다 호에이도쿠노시마 출신, 기카이 섬 거주노래꾼, 민요 교실 운영많은 노래꾼 배출
마키오카 나미기카이 섬 출신노래꾼, 가수야스다 호에이에게 사사, 아유타리 멤버
카와바타 사오리기카이 섬 출신노래꾼, 가수야스다 호에이에게 사사


5. 3. 음식 문화

전통적인 육류 요리에서는 염소 고기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해안가에서 방목하여 키우기 때문에 특유의 냄새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염소 고기를 이용한 요리로는 소금으로 간을 한 염소국(ヤギ汁|야기지루일본어), 채소와 염소 내장, 를 함께 볶은 唐料理|카라쥬리일본어('당 요리'라는 뜻), 스키야키풍 볶음인 いっちゃし|잇차시일본어, 등이 있다.

오키나와 요리와 공통점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焼き餅|야키뭇치일본어(포포와 유사), ふくれかん|후쿠리칸일본어 같은 명절 음식, 고구마찹쌀을 튀겨 만든 餅米天ぷら|무치구미 덴푸라일본어, 유 소면, 유 우동, 낙안과 비슷한 형과자, 겟토 잎으로 감싼 검은 쑥 등이 있다.

사쓰마 요리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단맛을 내는 방식이나 간장, 초된장 등의 양념 사용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섬의 특산물인 흑설탕을 이용한 과자도 많이 만들어 먹는다. 대표적으로 サーターマーメ|사타마메일본어(또는 がじゃ豆|가자마메일본어)와 깨 과자 등이 있다.

삿갓조개는 'クンマ|쿤마일본어'라고 불리며 고급 식재료로 취급된다. 주로 삶아서 껍질을 제거한 뒤 초된장에 무쳐 먹는다.

5. 4. 건축물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해 산호초 돌을 사용한 돌담이 민가 주변에 만들어졌다. 또한 아카테츠 나무는 방풍림 역할을 하도록 마을 곳곳에 심어졌다.

물이 부족한 지역 특성 때문에, 옆으로 파 들어가는 형태의 경사진 우물이 만들어졌는데, 이를 "우리거" 또는 "우리하"(내려오는 강)라고 불렀다. 최근에는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지하 이 많이 건설되었으며, 이 중에는 수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일본 내 유일한 지하 댐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전투기를 숨기기 위한 엄체호가 많이 만들어졌고, 만 지역의 마을에는 당시의 엄체호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5. 5. 종교

조령 신앙과 자연 숭배가 주를 이루었으며, 여성 사제인 노로에 의한 제례가 행해졌다. 민간에서는 무녀인 유타에게 영적인 문제 해결과 판단을 의뢰했다.

장례 방식은 류큐 왕국과도 공통되는 풍장의 풍습이 중세부터 20세기까지 이어졌다. 1966년에 화장장이 생기면서부터는 모두 화장으로 바뀌었다. 과거에는 낭떠러지 아래에 묘소(무야)라고 불리는 횡혈묘를 파고 그곳에 시신을 안치했다.[34]

6. 경제

기카이 섬의 경제는 농업(주로 사탕수수와 감귤류)과 상업 어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계절 관광 역시 지역 경제에서 역할을 한다. 산업은 설탕 정제와 소주 생산으로 제한된다.

6. 1. 농업

기카이 섬의 경제는 농업(주로 사탕수수와 감귤류)과 상업 어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계절 관광 역시 지역 경제에서 역할을 한다.

섬 전체에 사탕수수 밭이 펼쳐져 있으며, 농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과거 농업용수는 저수지에 의존했지만, 지하 댐 건설과 용수로 부설로 생산량이 안정되었다. 또한 흰 참깨 생산량은 일본 내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

기카이 섬은 다양한 작물의 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花良治みかん|케라지 미캉일본어이나 キャーミカン|캬-미칸일본어 또는 クリハー|크리하일본어라고 불리는 섬 귤[30], 탄캉 등의 감귤류와 잠두, 파파야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토마토, 망고, 멜론 재배도 늘고 있다.

6. 2. 수산업

기카이섬의 경제는 농업과 함께 상업 어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섬 근해에서는 생선을 잡는 어업과 함께 보리새우, 바다포도(콜레르파 렌틸리페라) 등의 양식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6. 3. 공업

기카이섬의 공업은 주로 설탕 정제와 소주 생산에 집중되어 있다.[30] 섬의 주요 특산품 중 하나는 아마미 흑당 소주로, 사탕수수 즙을 끓여 만든 흑설탕과 쌀 누룩을 원료로 사용한다. 기카이섬에는 아사히 주조와 기카이 섬 주조라는 두 개의 소주 회사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외에도 섬 특산종인 '섬 잠두'를 활용하여 글루텐이 없는 간장을 양조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31] 또한, 황설탕이나 자라메(굵은 설탕) 제조, 그리고 잠두나 참깨를 이용한 과자류 생산 등 식품 공업도 이루어진다.

7. 교통

기카이섬은 기카이 공항을 통한 항공편과 정기 페리 서비스를 통해 가고시마, 아마미오시마 등 외부 지역과 연결된다.

7. 1. 항공

기카이 공항은 항공편으로 이 섬을 아마미오시마가고시마와 연결한다.

현재 위의 항공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고시마행 또는 아마미행 항공편을 이용해야 한다. 기카이섬에서의 체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오전에 가고시마 공항에 도착하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아마미 공항에서의 환승은 당일 중에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아마미오시마에서 1박을 한 후 기카이섬으로 들어가거나, 나제항까지 이동하여 심야 페리를 이용해야 할 수도 있다.

7. 2. 도로

가고시마현도 619호선은 기카이섬을 순회하는 현도이다.

7. 3. 항로

기카이섬은 가고시마, 아마미오시마 및 다른 아마미 제도의 여러 섬과 정기 페리로 연결된다.

기카이 공항을 통해 아마미오시마 및 가고시마와 항공편으로 연결된다.

'''기카이항 (만항)'''

  • 아마미 해운에서 페리 아마미와 페리 기카이를 운항한다.
  • * 운항 노선: 가고시마항 (본항 북부두) - '''기카이섬''' (만항) - 아마미오시마 (나제항 신항 지구) - 아마미오시마 (고리야항) - 도쿠노시마 (헤도노항) - 오키노에라부섬 (지나항)
  • ** '''참고:''' 가고시마항의 기카이섬행 페리 승강장은 오키나와행(페리 아케보노, 페리 나미노우에 등) 승강장이 있는 신항과는 멀리 떨어져 있다.


에도 시대 겐로쿠 시대(1688년~1704년)에는 아마미오시마가사리 세토와 기카이섬의 완하쿠(만항) 사이에 뱃길이 운행되었다.

7. 4. 버스

기카이 버스는 마루에이 페리의 관련 회사인 아마미 항공에서 운영한다. 만을 기점으로 섬을 일주하는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37] 버스 노선의 연혁에 대해서는 마루에이 페리#버스 사업 문서를 참고한다.

참조

[1] 서적 "Teikoku's Complete Atlas of Japan" Teikoku-Shoin Co., Ltd.
[2] 서적 沖縄古語大辞典 Kadokawa Shoten
[3] 웹사이트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2-03-16
[4] 웹사이트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2-03-16
[5] 논문 "Recent macroids on the Kikai-jima shelf, Central Ryukyu Islands, Japan" http://dx.doi.org/10[...]
[6] 논문 "Boring bivalve traces in modern reef and deeper water macroid and rhodolith beds" http://dx.doi.org/10[...]
[7] 간행물 Rettō nan'en ni okeru kyōkai ryōiki no yōsō
[8] 서적 The Tales of the Heik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Gusuku isekigun to Kikai-ga-shima
[10] 간행물 Chūsei kokka no kyōkai to Ryūkyū, Emishi
[11] 간행물 Kodai chūsei ni okeru Satsuma Nantō kan no kōryū
[12] 간행물 Umi no Ko-Amami
[13] 서적 "The Tools of Owatatsumi:" Japan's Ocean Surveillance and Coastal Defence Capabilities ANU Press 2015-01-21
[14]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Archive http://elar.soas.ac.[...] SOAS University of London 2014-03-14
[15] Ethnologue Ethnologue https://www.ethnolog[...]
[16] 웹사이트 喜界島ナビ.com 喜界島の国立公園指定地 https://www.nankainn[...] 2017-03-10
[17] 웹사이트 【荒木・中里遊歩道】喜界島の自然に癒されるサンゴ礁や夕日とクジラスポット https://ritoful.com/[...]
[18] 간행물 おかえり!喜界馬! 喜界町 2019-01
[19] 웹사이트 ホエールウォッチング情報(1月15日)! https://www.town.kik[...]
[20] 웹사이트 奄美大島周辺におけるミナミバンドウイルカの出現状況に関する論文が掲載されました https://churashima.o[...]
[21] 웹사이트 先山遺跡 http://sitereports.n[...] 2022-06-04
[22] 서적 発掘された日本列島2008 朝日新聞出版
[23] 웹사이트 https://style.nikkei[...]
[24] 서적 第二章 近世種子島の気候変動と地域社会 臨川書店
[25] 웹사이트 喜界島の「喜」とは何か? - 株式会社風と光 https://kazetohikari[...] 2022-06-04
[26] 웹사이트 喜界島酒造くろちゅうマガジン29 喜界島驚きの遺跡 https://www.kurochu.[...] 2022-06-04
[27] 서적 Kyōkai kara mita uchi to soto : "Kyūshū shigaku" sōkan 50-shūnen kinen ronbunshū ge https://www.worldcat[...] Iwata Shoin 2008
[28] 웹사이트 勝連屋敷跡(かつれんやしきあと) - 喜界島ナビ https://kikaijimanav[...] 2022-04-20
[29] 웹사이트 宇留満乃日記 https://www.pref.kag[...] 2022-06-04
[30] 웹사이트 島みかん(クリハー、ケラジみかん) https://www.town.kik[...] 喜界町ホームページ
[31] 뉴스 離島輝け 夢はでっかく 2017-08-25
[32] 서적 南島方言の概説 国書刊行会
[33] 서적 消滅危機方言の調査・保存のための総合的研究 喜界島方言調査報告書 国立国語研究所
[34] 간행물 与論島と喜界島における風葬の変遷 西日本文化協会 2012-02
[35] 문서 日本エアコミューター (JAC)によりJAL便名での運航
[36] 문서 運航距離は約26㎞(16マイル)と日本の国内線としては琉球エアーコミューターが運航する南大東空港-北大東空港線の約13㎞(8マイル)に次いで短い
[37] 웹사이트 路線バス(島バス) http://kikaijimanavi[...] 2010-11-01
[38] 문서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남만인은 아마미오시마에 있는 남만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39] 문서 997년에 기록되었다.
[40] 서적 発掘された日本列島2008 文化庁編 朝日新聞出版
[41] 웹사이트 https://style.nikkei[...]
[42] 문서 클레오파트라섬은 요코아테섬의 부속섬한테 지은 이름이라는 주장도 있다.
[43] 문서 추가로 화산섬이 이오섬이라는 설도 있어 현재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44] 웹인용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2-03-16
[45] 웹인용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2-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