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타다케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타다케산은 아카이시 산맥 북부에 위치한 일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시라네 삼산의 주봉이다. 예로부터 '하얀 눈을 덮어쓴 산'이라는 의미로 시라네산으로 불렸으며, 에도 시대에는 기타다케라는 명칭이 붙었다. 1964년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04년 국토지리원 표고 개정으로 3193m로 측정되었다. 등산 기지인 히로가와라를 통해 다양한 등산 코스로 접근 가능하며, 고산 식물이 풍부하여 '키타다케소'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 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타다케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기타다케 산
다른 이름기타다케
일본어北岳 (키타다케)
일본어 (로마자 표기)Kita-dake
번역북쪽 봉우리
언어일본어
발음 (IPA)/ki̥tadake/
나카시라네 산에서 바라본 기타다케 산
나카시라네 산에서 바라본 기타다케 산
지리
위치미나미알프스시, 야마나시현, 일본
산맥아카이시 산맥
좌표35°40′27″N 138°14′12″E
지형도국토지리원 25000:1 센조가타케, 50000:1 이치노세
높이
해발 고도3,193 m
상대 높이2,239 m
참고지리조사소 지도 25000:1 센조가타케 온라인 접속 2008년 4월 8일.
등반 정보
첫 등정1871년 (나토리 나오에)
쉬운 경로하이킹
기타 정보
목록일본백명산, 울트라

2. 역사

기타다케는 예로부터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와 함께 시라네산(白根山) 또는 시라네 산(白峰)이라 불리며 여러 고문헌에 등장했다. 헤이안 시대의 와카집 『고킨와카슈』나 『고시슈이 와카슈』, 가마쿠라 시대의 『헤이케 이야기』 등에서 눈 덮인 신성한 산으로 묘사되었다.[12] 에도 시대의 지리지 『가이 국지』에는 시라네 산의 세 봉우리 중 가장 북쪽에 있는 봉우리를 가리켜 시라네라고 부른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로부터 기타다케(北岳, 북쪽 봉우리)라는 이름이 유래했다.[11][13] 당시 지도에서도 후지산, 야츠가타케산과 함께 신성한 영산으로 특별하게 그려졌다.[14]

근대적인 등반은 1871년(메이지 4년) 야마부시 나토리 나오에(名取直江)의 첫 등정을 시작으로[5][19], 영국인 선교사 월터 웨스턴(Walter Weston)의 등정[20] 등을 거치며 활발해졌다. 1964년에는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15], 이후 임도 개설 등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어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다. 2004년에는 일본 국토지리원에 의해 공식 표고가 3193m로 수정되었다.[17]

2. 1. 명칭의 유래

왼쪽부터 노토리다케, 아이노다케, 기타다케]]

예로부터 기타다케,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 일대의 산은 "하얀 눈을 덮어쓴 산"이라는 의미로 시라네산(白根山) 또는 시라네 산(白峰)이라고 불렸다. 헤이안 시대 전기 와카집 『고킨와카슈』에서는 "''그대가 살면 가이의 시라네 봉우리 깊숙이 눈을 밟아 가지 않을 수 있을까''"라고 읊었고, 같은 시대의 『고시슈이 와카슈』에서는 "''어느 곳이 가이의 시라네인지는 모르지만, 눈이 내릴 때마다 생각하게 된다''"라고 읊었다.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군기문학 『헤이케 이야기』에는 "''북쪽으로 멀리 떨어져 눈 덮인 하얀 산이 있는데, 물어보니 가이의 시라네 봉우리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2]

에도 시대 후기에 편찬된 가이국 지리지 『가이 국지』에는 "남북으로 이어져 세 봉우리가 있으며, 그 북쪽이 가장 높은 자리를 가리켜 지금은 시라네라고 부른다"라고 기록되었다. 이처럼 남북으로 이어진 시라네 산의 봉우리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타다케(北岳, 북악)라고 불리게 되었다[11][13]。현재는 세 봉우리(기타다케,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를 각각 독립된 산으로 보지만, 이들을 합쳐 시라네 삼산(白峰三山, 시라네산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9]

또한, 에도 시대에 제작된 가이국 그림 지도류에서도 시라네 산은 후지산이나 야츠가타케산과 함께 적설이나 운상 표현, 등산로의 생략 등 신격 표현으로 묘사되어, 고후 분지를 품에 안는 특수한 영산으로 인식되었다고 생각된다[14]

2. 2. 인간사

예로부터 기타다케,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 일대의 산체는 "하얀 눈을 덮어쓴 산"이라는 의미로 시라네산 또는 시라네 산이라고 불렸다. 헤이안 시대 전기의 와카집 『고킨와카슈』에서는 "''그대가 살면 가이의 시라네 봉우리 깊숙이 눈을 밟아 가지 않을 수 있을까''"라고 읊었고, 헤이안 시대의 『고시슈이 와카슈』에서는 "''어느 곳이 가이의 시라네인지는 모르지만, 눈이 내릴 때마다 생각하게 된다''"라고 읊었다.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군기문학 『헤이케 이야기』에서는 "''북쪽으로 멀리 떨어져 눈 덮인 하얀 산이 있는데, 물어보니 가이의 시라네 봉우리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었다[12]

에도 시대 후기에 성립된 가이국 지리지 『가이 국지』에서는 "남북으로 이어져 세 봉우리가 있으며, 그 북쪽이 가장 높은 자리를 가리켜 지금은 시라네라고 부른다"라고 기록되었다. 남북으로 이어진 시라네 산의 가장 북쪽에 있기 때문에 기타다케라고 불리게 되었다[11][13]。현재는 세 봉우리 각각을 하나의 산으로 취급하지만, 이 산들을 합쳐 시라네 삼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9]

또한, 에도 시대에 제작된 가이국 그림 지도류에서도 시라네 산은 후지산이나 야츠가타케산과 함께 적설이나 운상 표현, 등산로의 생략 등 신격 표현으로 묘사되어, 고후 분지를 품에 안는 특수한 영산으로 인식되었다고 생각된다[14]

2. 2. 1. 등산사

게나시산에서 바라본 시라네 삼산. 왼쪽부터 노토리다케, 아이노다케, 기타다케이다.


예로부터 기타다케,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 일대의 산은 "하얀 눈을 덮어쓴 산"이라는 의미로 시라네산(白根山) 또는 시라네 산(白峰)이라 불렸다. 헤이안 시대 전기의 와카집 『고킨와카슈』에서는 "''그대가 살면 가이(甲斐)의 시라네 봉우리 깊숙이 눈을 밟아 가지 않을 수 있을까''"라고 읊었고, 헤이안 시대의 『고시슈이 와카슈』에서는 "''어느 곳이 가이의 시라네인지는 모르지만, 눈이 내릴 때마다 생각하게 된다''"라고 읊었다.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군기문학 『헤이케 이야기』에서는 "''북쪽으로 멀리 떨어져 눈 덮인 하얀 산이 있는데, 물어보니 가이의 시라네 봉우리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었다.[12]

에도 시대 후기에 편찬된 가이국 지리지 『가이 국지』(甲斐国志)에는 "남북으로 이어져 세 봉우리가 있으며, 그 북쪽이 가장 높은 곳을 가리켜 지금은 시라네라고 부른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처럼 남북으로 이어진 시라네 산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타다케(北岳, 북쪽 봉우리)라고 불리게 되었다.[11][13] 현재는 세 봉우리를 각각 독립된 산으로 취급하지만, 이들을 합쳐 시라네 삼산(白根三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9] 또한, 에도 시대에 제작된 가이국 그림 지도에서는 시라네 산이 후지산이나 야츠가타케산과 함께 눈이나 구름 표현, 등산로 생략 등 신성시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고후 분지를 감싸는 특별한 영산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14]

1871년(메이지 4년)에 고마군(巨摩郡) 아시아스무라(芦安村, 현 미나미알프스시 아시아스)의 야마부시(山伏, 수행자)인 나토리 나오에(名取直江)가 히로가와라에서 시라네미이케(白根御池)를 거쳐 처음으로 등정하여, 사토미야(里宮), 주미야(中宮), 오쿠미야(奥宮)를 세우고 산을 열었다고 전해진다.[5][19] 이를 계기로 많은 등산가들이 기타다케를 오르기 시작했다.

1902년(메이지 35년) 8월 23일에는 영국인 선교사 월터 웨스턴(Walter Weston)이 등정했고, 1904년(메이지 37년) 일본을 다시 방문했을 때 재등정했다. 이때 아이노다케와 센조가타케(仙丈ヶ岳)에도 올랐다.[20] 1905년(메이지 38년)에는 다테 구로(伊達九郎) 등이 시라네미이케에서 능선 루트로 등정했다.[21] 일본산악회 초대 회장인 코지마 우스이(小島烏水)는 1908년(메이지 41년) 7월에 등정하여 산 정상에서 간세이 7년(1795년)의 연호가 새겨진 석조 사당을 확인했다.[5]

1924년(다이쇼 13년)에는 등산객을 위한 최초의 산장이 건설되었다.[21] 눈 덮인 겨울철 첫 등정은 1925년(다이쇼 14년) 3월 22일에 이루어졌는데, 당시 제3고등학교 산악부 소속이었던 니시보리 에이자부로(西堀栄三郎), 쿠와하라 타케오(桑原武夫) 등 4명이 성공했다.[12]

기타다케 바트레스(암벽) 등반은 적설기 초등정 이후 활발해졌다. 첫 등반은 1927년(쇼와 2년) 7월 18일, 교토 대학의 다카하시 켄지 등 4명이 제5능선을 통해 눈이 없는 시기에 이루어졌다.[22] 7년 후인 1934년(쇼와 9년) 12월 27일에는 릿쿄 대학의 하마노 마사오, 에모토 타다아키가 도호쿠 능선을 통해 적설기 첫 등반에 성공했다.[22] 7개의 암릉 중 가장 마지막까지 남겨졌던 적설기 중앙 능선 등반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8년(쇼와 33년) 오쿠야마 아키라, 요시노 미츠히코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22] 중앙 능선의 첫 등반 자체는 마츠토 아키라(松濤明)가 1942년(쇼와 17년) 7월 30일에 성공했다.[22] 마츠토는 당시 20세였으며, 히다 산맥(飛騨山脈) 남부 야리가타케(槍ヶ岳)의 키타카마 능선(北鎌尾根)에서 조난당하기 7년 전이었다.

1962년(쇼와 37년), 노로가와 임도(후에 미나미알프스 슈퍼 임도의 일부가 됨)가 개통되면서 산기슭의 히로가와라까지 접근이 용이해져 등산객 증가의 계기가 되었다. 1964년(쇼와 39년) 6월 1일에는 아카이시 산맥의 넓은 지역이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기타다케 정상부는 특별 보호 지구, 산기슭은 특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5] 1978년(쇼와 53년) 7월에는 야마나시현이 기타다케 산장(北岳山荘)을 건립했다.[23] 1980년(쇼와 55년)에는 기타자와 고개(北沢峠)를 넘는 미나미알프스 슈퍼 임도가 개통되어[16], 나가노현과 야마나시현 양쪽에서 등산 및 관광용 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제126대 천황 나루히토(徳仁)는 등산을 취미로 하여 일본 내 여러 산을 올랐으며, 황태자 시절인 1987년(쇼와 62년) 일본산악회에 가입했다.[24] 같은 해 8월 11일, 시라네 삼산을 종주하며 기타다케에 등정했다.

2004년(헤이세이 16년) 10월 15일, 일본 국토지리원은 기타다케 최고점의 표고를 3193m로 개정했다.[17] 이전에는 3192m로 공표되었으나, 산 정상의 삼각점(3192.18 m)[18]보다 남쪽의 암반이 약 80cm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17]

3. 지리

기타다케


기타다케는 아카이시 산맥 북부에 위치하며, 시라네 산계의 북단에 해당한다.[25] 아카이시 산맥의 주요 능선과는 노로 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으며, 아이노다케 서쪽에 위치한 미후네다케에서 파생된 지맥에 속한다.[25] 남쪽으로는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 등 같은 시라네 산계의 산들이 이어지고,[25] 동쪽으로는 이케야마 츠리오네[26] 능선이, 북쪽으로는 고타로 산이 있는 고타로 오네 능선이 뻗어 있다. 기타다케는 노로 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며, 강은 산 주변을 둘러싸듯이 흐른다.

산체는 주로 중생대 지층의 퇴적암으로 구성된 시만토층군에 속한다.[27] 정상부는 석회암, 차트, 해양 현무암 등이 섞인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28][29] 아카이시 산맥에서는 보기 드문 뾰족한 봉우리를 형성하고 있다.[29] 지형적으로는 습곡 구조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9]

3. 1. 개요



기타다케는 후지산 다음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화산이 아닌 산으로는 일본에서 가장 높다. 높이는 3193m이다.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 북부에 위치하며, 시라네 산계의 북단에 해당한다.[25] 산 전체가 야마나시현 내에 포함되며[11], 하야카와의 지류인 노로 강의 수원지이기도 하다. 전 산이 고생층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11].

"남알프스의 맹주"라고도 불리는[10] 명봉으로, 일본 백명산[6], 신·꽃의 백명산[7] 및 야마나시 백명산[8]으로 선정되었다.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와 함께 시라네 산잔을 구성하며[9], 등산객들에게도 히다 산맥(북알프스)의 야리가타케, 호다카다케, 쓰루기다케 등에 비견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기타다케에서 나카시라네 산(中白峰山)을 거쳐 아이노다케로 이어지는 약 4km의 능선은 "천상의 산책로"라고 불린다.

지리적으로 아카이시 산맥의 주요 산계와는 노로 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으며[25], 아이노다케 서쪽에 위치한 미후네다케에서 파생된 지맥에 속한다. 남쪽 능선에는 같은 시라네 산계의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 시라네난레이의 산들이 이어지고[25], 동쪽에는 이케야마 츠리오네[26], 북쪽에는 고타로 산이 있는 고타로 오네가 뻗어 있다.

산체는 중생대 지층의 퇴적암으로 구성된 시만토층군에 속한다.[27] 산 정상부는 석회암, 차트, 해양 현무암 등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침식을 덜 받아 뾰족한 봉우리를 형성하고 있다.[28][29] 산 동쪽 사면에는 北岳バットレス|기타다케 바트레스일본어라 불리는 높이 약 600m의 암벽이 있는데, 이는 석회암과 차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등반 대상이 된다.[28] 이 암벽의 암석은 해양성으로, 융기 전에 퇴적된 해양 생물의 화석이 발견되기도 한다.[30] 반면, 북쪽의 고타로 오네는 이암과 사암 등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완만한 산세를 보인다.[28] 지형적으로는 습곡 구조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9], 약 3km 떨어진 아이노다케에서는 빙하 지형인 권곡(카르)이, 고타로 오네에서는 이중 산릉이 관찰된다.[31]

고산 식물이 풍부하며, 특히 나카시라네 산으로 가는 길목의 남동쪽 사면과, 산 북쪽의 白根御池|시라네이케일본어를 따라 있는 草すべり|쿠사스베리일본어 및 右俣|미기마타일본어 코스에서 많이 자란다. 정상 근처의 산장 주변에서도 큰 군락을 볼 수 있다. キタダケソウ|키타다케소일본어(Callianthemum hondoensela)는 이 산의 고유종이다.

3. 2. 주변 산

기준점명[18]북악으로부터의
방위와 거리/km비고
가이코마가타케2967(일등)"고마가타케"
(2965.58 m)북 9.3일본 백명산
센조가타케3032.56이등
"마에다케"북서 7.1일본 백명산
호오 산2840(정지)동북동 6.7일본 백명산, 관음봉
고타로 산2725.08삼등
"고타로다케"북 2.9고타로 오네
기타다케산3193(삼등)"시라네다케"
(3192.18 m)0일본 백명산
신・꽃의 백명산
핫폰바노아타마2920없음남동 0.8이케야마 츠리 오네의 작은 봉우리
나카시라네 산3055없음남 2.0별칭 "나카시라봉"
아이노다케3189.50삼등
"아이노다케"남 3.3일본 백명산
노토리다케3025.90이등
"노토리 산"남 5.9일본 이백 명산



3. 3. 기타다케 바트레스

기타다케 바트레스


기타다케 바트레스(北岳バットレス|기타다케 바트레스일본어)는 기타다케산 동쪽 사면에 있는 높이 약 600m[22]의 암벽으로, 일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암벽 중 하나이다. 명칭은 20세기 초 고지마 우스이가 붙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2],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등반가들이 찾았던 알파인 클라이밍의 대표적인 장소이다.[33] 주로 석회암과 처트로 이루어져 있고[28], 오오칸바사와(大樺沢)와 후타마타(二俣)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34] 그러나 2010년 10월 10일 새벽[35], 제4 능선에서 큰 규모의 붕괴가 발생하여 현재는 등반이 금지된 상태이다.[36]

3. 4. 수원

기타다케산을 수원으로 하는 주요 하천후지강 수계인 하야카와의 지류 노로가와이다. 노로가와는 기타다케산을 둘러싸듯이 흐르며, 산의 서쪽은 히다리마타자와, 동쪽은 오카바자와라는 지류를 통해 깎아내고 있다. 히다리마타자와 상류에는 낙차가 약 10m 정도인 히다리마타오오폭포가 있다.[37]

또한, 하야카와의 또 다른 지류인 아라카와 역시 기타다케산을 수원 중 하나로 볼 수 있다.[38] 아라카와의 주 수원지는 니시노토리산이지만, 기타다케산 남쪽에 위치한 기타자와가 아라카와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이다.

야마나시현도 37호 미나미알프스 공원선은 나라타 온천 방면에서 노로가와를 따라 히로가와라까지 이어져 있다. 히로가와라에서는 기타자와 고개 방면으로 미나미알프스 임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도로는 등산객을 위한 버스 노선으로 이용된다. 기타자와 고개는 노로가와의 지류인 기타자와와 덴류강 수계 미부네가와의 지류인 토다이가와의 분수령 역할을 한다. 기타다케산 정상 부근에서 뻗어 나온 이케야마 쓰리오네, 코타로오네, 니시오네와 같은 능선들은 노로가와에 의해 끊어진다.

3. 5. 지형



기타다케는 아카이시 산맥 북부에 위치하며, 시라네 산계의 북단에 해당한다.[25] 산맥의 주요 산계인 아카이시 산계와는 노로 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25] 기타다케 남쪽의 능선에는 같은 시라네 산계에 속하는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 시라네난레이의 산들이 이어진다.[25] 동쪽으로는 이케야마 츠리오네[26] 능선이, 북쪽으로는 고타로 산이 있는 고타로 오네 능선이 뻗어 있다. 기타다케를 포함한 시라네 산잔의 능선은 아카이시 산맥의 주능선에서 벗어나 있으며, 아이노다케 서쪽에 위치한 미후네다케에서 파생된 지맥이다. 또한 기타다케는 노로 강(하야카와의 지류)의 수원지이며, 주변을 둘러싸듯이 흐르고 있다. 산 전체가 야마나시현 내에 위치한다.

후지산 다음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화산이 아닌 산으로는 일본에서 가장 높다. 일본 백명산[6], 신·꽃의 백명산[7] 및 야마나시 백명산[8]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일본 백명산의 봉우리인 아이노다케와 일본 이백명산의 노토리다케와 함께 시라네 산잔을 구성하며[9], "미나미알프스의 맹주"라고도 불리는[10] 명봉이다. 등산객들에게도 히다 산맥(북알프스)의 야리가타케, 호다카다케, 쓰루기다케 등에 비견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 산에서 나카시라네산을 거쳐 아이노다케로 이어지는 약 4km의 능선은 "천상의 산책로"라고 불린다.

산체는 중생대 지층의 퇴적암으로 구성된 시만토층군에 속한다.[27][11] 아카이시 산맥 자체가 이 시만토층군에 속하는 경향이 있다.[27] 기타다케 산 정상부는 다소 험한 산세를 보이는데, 이는 석회암과 차트, 해양 현무암 등의 암석으로 구성된 혼합 암석층이기 때문이다.[28][29] 이러한 암석은 단단하여 침식을 받기 어려워, 아카이시 산맥에서는 보기 드문 뾰족한 봉우리를 형성한다.[29] 반면, 북쪽의 고타로 오네 능선은 이암사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완만한 산세를 보인다.[28]

지형적으로는 습곡 구조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9] 습곡 구조는 내적인 힘에 의한 조산 운동으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약 3km 정도 떨어진 아이노다케에서는 권곡(카르)이 관찰되는데, 이는 외적인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빙하 지형의 일종이다. 그 외에도 고타로 오네 능선에서는 이중 산릉이 보인다.[31]

산의 동쪽 사면에는 北岳バットレス|기타다케 바토레스일본어라 불리는 높이 약 600m의 암벽이 있다. 이 암벽은 석회암과 차트로 구성되어 있으며[28], 융기 전에 퇴적된 해양 생물의 화석이 발견되기도 한다.[30] 이곳은 등반 대상이 되고 있다.

남알프스의 최고봉으로서, 주변 주요 산과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산 모습명칭해발고도(m)삼각점 등급
기준점명[18]
기타다케에서의
방위와 거리(km)
비고
오쿠호타카 산3190북서 86.5북 알프스의 최고봉
기소코마가타케2955.951등
「신코마가타케」
서 41.3중앙 알프스의 최고봉
아카다케2899.171등
「아카다케」
북 34.9야츠가타케의 최고봉
기타다케 산3193(3등)「시라네 산」
(3192.18 m)
0남 알프스의 최고봉
후지 산3776(2등)「후지 산」
3775.63 m
남동 56.4일본의 최고봉


4. 동식물

기타다케산은 다양한 고산 식물이 풍부하게 자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나카시라네 산(中白峰山|나카시라네 산일본어)으로 이어지는 남동쪽 사면과 산 북쪽의 白根御池|시라네이케일본어 주변 草すべり|쿠사스베리일본어 및 右俣|미기마타일본어 코스를 따라 고산 식물이 많이 분포한다. 이 산의 고유종인 키타다케소우(Callianthemum hondoense)를 비롯한 다양한 희귀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뇌조나 일본산 사슴과 같은 동물도 서식한다.

4. 1. 식물



기타다케산을 포함한 아카이시 산맥은 여름철 강수량이 많아, 산 상부의 수목 한계에 자라는 눈잣나무월귤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전나무분비나무 같은 침엽수림으로 덮여 있다.[16] 수목 한계 아래쪽으로는 사스래나무낙엽송이 많이 분포한다.

특히 고산 식물은 나카시라네 산(中白峰山)으로 이어지는 남동쪽 사면과 산 북쪽의 白根御池|시라네이케일본어 주변 草すべり|쿠사스베리일본어 및 右俣|미기마타일본어 코스를 따라 풍부하게 자란다. 정상 근처의 산장 주변에서도 큰 군락을 이루는 식물들을 볼 수 있다. 키타다케소우(Callianthemum hondoense)는 이 산의 고유종이다.

갯장구채. 기타다케 남릉 정상 부근의 등산로에서. 2009년 8월 8일 촬영.


의 고산 식물 군락지


고산 식물의 대표적인 고유종으로는 키타다케소우, 키타다케투구꽃, 키타다케미나리아재비, 키타다케냉이, 키타다케쑥 등이 자생한다. 멸종이 우려되는 고산 식물로는 타카네만테마(환경성 멸종 위기 IA류)가 있다.[40] 타카네만테마는 보호 활동이 활발한 키타다케소우(환경성 멸종 위기 II류)보다 더 심각한 상태에 있으며, 도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40] 2010년에는 100개체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40]

각 등산로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식물 종들이 분포한다.[41][42]

눈잣나무키타다케소우쵸노스케소우하쿠산이치게미야마하나시노부미야마킨포우게



산 일대에는 10종 이상 '키타다케'라는 이름이 붙은 일본명(和名)을 가진 식물 종이 자생하고 있다.[43] 이들 중 다수는 환경성이나 야마나시현[44] 등 각 현의 레드 리스트에 지정되어 있다.[45]



일본명(和名)학명절멸 위기 분류
キタダケトドマツ|키타다케토도마츠일본어
(북악딸기족)
Poa glauca var. kitadakensis왕포아풀속
Poa
벼과
Poaceae
CR 환경성
CR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オドリコソウ|키타다케오도리코소우일본어
(북악벌깨덩굴)
Lamium album var. kitadakense광대나물속
Lamium
꿀풀과
Lamiaceae
VU 시즈오카현
キタダケコメガヤ|키타다케코메가야일본어
(북악새)
Trisetum spicatum var. kitadakensis귀리새속
Trisetum
벼과
Poaceae
EN 환경성
EN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キンポウゲ|키타다케킨포우게일본어
(북악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kitadakensis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CR 환경성
CR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ソウ|키타다케소우일본어
(북악솜다리)
Callianthemum hondoense키타다케소우속
Callianthemum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VU 환경성
EN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デンダ|키타다케데ンダ일본어
(북악고사리)
Woodsia subcordata우드풀속
Woodsia
우드풀과
Woodsiaceae
CR 환경성·야마나시현
キタダケトラノオ|키타다케토라노오일본어
(북악범부채)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kitadakemontanum
개불알풀속
Pseudolysimachion
질경이과
Plantaginaceae
VU 환경성·CR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トリカブト|키타다케토리카부토일본어
(북악투구꽃)
Aconitum kitadakense투구꽃속
Aconitum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CR 환경성
CR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ナズナ|키타다케나즈나일본어
(북악냉이)
Draba kitadakensis꽃냉이속
Draba
배추과
Brassicaceae
EN 환경성
EN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ヤナギラン|키타다케야나기란일본어
(북악야나기란)
Chamerion latifolium분홍바늘꽃속
Chamerion
바늘꽃과
Onagraceae
キタダケヨモギ|키타다케요모기일본어
(북악쑥)
Artemisia kitadakensis쑥속
Artemisia
국화과
Asteraceae
EN 환경성
CR 야마나시현
キタダケリンドウ|키타다케린도우일본어
(북악용담)
Gentiana scabra var. kitadakensis용담속
Gentiana
용담과
Gentianaceae
CR 나가노현


4. 1. 1. 일본사슴 식해 피해

야마나시현은 2008년부터 시라네산잔 주변에서 일본사슴의 식해로 인한 피해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46] 2008년도 조사에서는 특히 쿠사스베리 상부에서 많은 짐승길이 발견되었다.[46]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2009년도에 환경성은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 고산식물 등 보전 대책 검토회를 설치했으며, 이 검토회에서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 및 인접 지역의 고산식물 등 보전 대책 기본 계획"을 책정했다.[46] 이 계획에 따라 2010년부터 본격적인 조사와 대책이 이루어졌다.[46]

4. 2. 동물

능선 상의 눈잣나무 지대에는 뇌조[47], 별까마귀, 바위종다리 등이 서식하며, 뇌조는 야마나시현의 멸종 위기 ⅠA류(CR)로 지정되어 있다[44]. 산 중턱의 1000m에서 2600m 부근에는 특별 천연기념물인 일본산 사슴이 서식하고 있다[16]. 일본족제비도 서식하며, 바위 틈새를 보금자리로 삼고 있다[47].

또한, 일본산 사슴 외에 일본원숭이도 고산 지대로 진출하여 식물을 먹어 치우는 피해(식해)를 일으키고 있다[47]. 이들은 기온이 높은 여름 동안 능선 부근에서 지내며 고산 식물을 갉아먹고, 고산 식물이 줄어들고 기온이 낮아지는 8월 하순에는 능선 부근에서 내려오는 행동이 관찰되고 있다[47].

별까마귀

5. 등산

기타다케는 후지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이자 화산이 아닌 산 중 최고봉으로, 일본 백명산[6], 신·꽃의 백명산[7], 야마나시 백명산[8]으로 선정된 명봉이다. 아이노다케, 노토리다케와 함께 시라네 산잔을 구성하며[9] "미나미알프스의 맹주"라고도 불린다[10].

등산객들에게 히다 산맥(북알프스)의 야리가타케, 호다카다케, 쓰루기다케 등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주요 등산 기지인 히로가와라[48]를 찾는 등산객의 약 70%가 기타다케산을 목표로 한다[12]. 정상 부근에는 등산객을 위한 산장 두 곳이 운영되고 있다[23][49].

산 동쪽의 北岳バットレス|기타다케 바트레스jpn는 암벽 등반 대상지로 알려져 있으며, 등산로 주변에서는 다양한 고산 식물을 만날 수 있다. 특히 나카시라네 산을 거쳐 아이노다케로 이어지는 약 4km의 능선은 "천상의 산책로"라고 불리며, 시라네 산잔을 종주하는 코스도 인기 있다.

5. 1. 개요

기준점명[18]북악에서
방위와 거리/km비고오쿠호타카 산3190북서 86.5북 알프스의 최고봉기소코마가타케2955.951등
「신코마가타케」서 41.3중앙 알프스의 최고봉아카다케2899.171등
「아카다케」북 34.9야츠가타케의 최고봉기타다케 산3193(3등)「시라네 산」
(3192.18m)0남 알프스의 최고봉후지 산3776(2등)「후지 산」
(3775.63m)남동 56.4일본의 최고봉



등산 기지인 히로가와라[48]를 찾는 입산자의 70%가 기타다케산을 목표로 하며[12], 산 정상 바로 아래에는 150명 규모를 수용할 수 있는 두 개의 산장이 있다[23][49]。 기타다케 바토레스에도 등반 루트가 뻗어 있다. 또한, 고산 식물이 풍부하며, 특히 산 정상 남동쪽 사면(나카시라네봉까지의 종주로 부근), 산 정상 북쪽의 시라네오이케 상부의 '쿠사스베리'나 '미기마타 코스', 기타다케 어깨의 산장 캠프 지정지 부근 등에 큰 군락이 있어, 여름에는 100종 이상의 고산 식물을 볼 수 있다.

5. 2. 등산 코스



北岳バットレス는 산의 동쪽에 있는 600m 높이의 암벽으로, 암벽 등반 루트로 이용된다.

특히 고산 식물은 나카시라네 산( 中白峰山|나카시라네 산일본어 )으로 가는 길을 따라 산의 남동쪽 사면과, 산 북쪽의 白根御池|시라네오이케일본어를 따라 있는 草すべり|쿠사스베리일본어 및 右俣|미기마타일본어 코스에서 풍부하게 자란다. 정상 근처의 산장 주변에서도 큰 군락을 볼 수 있다. キタダケソウ|기타다케소일본어(Callianthemum hondoensela)는 이 산의 고유종이다.

5. 2. 1. 히로가와라 출발 코스

오오칸바자와 설계와 키타다케


미나미알프스시 아시아의 히로가와라는 미나미알프스 임도와 야마나시현도 37호 미나미알프스 공원선의 합류 지점에 있는 노로가와 우안에 위치하며, 기타다케로 가는 주요 등산로 입구이다. 고후 방면이나 기타자와 고개 방면으로 가는 버스 터미널인 알펜 플라자 히로가와라가 있다. 여름 등산 시즌 중에는 미나미알프스 경찰서 히로가와라 임시 경비 초소가 함께 운영된다. 매년 6월 말에는 알펜 플라자 히로가와라 앞 광장에서 미나미알프스 개산제가 열린다. 1989년 10월 15일, 이 광장에는 미나미알프스 개척에 기여한 인물인 월터 웨스턴, 나토리 운이치, 아마노 히사시 세 사람의 부조가 새겨진 석비가 설치되었다[50].

히로가와라에서 출발하는 등산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33]:

1. 오오칸바자와 왼쪽 골짜기 코스: 히로가와라에서 출발하여 오오칸바자와, 후타마타를 거쳐 핫폰바의 콜을 통해 기타다케 산장이 있는 기타다케 남쪽 능선으로 이어진다[51]. 이 코스는 여름에도 남아 있는 설계를 걷거나 기타다케 바트레스의 경치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33][51]. 도중에 핫폰바의 콜에서는 사다리를 이용해 오르는 구간이 있다[51].

2. 오오칸바자와 오른쪽 골짜기 코스: 히로가와라에서 오오칸바자와를 지나 후타마타에서 오른쪽 골짜기 계곡을 따라 오르는 코스이다[52]. 이 길을 따라 오르면 기타다케 카타노코야가 있는 기타다케 북쪽 능선에 도착한다[52].

3. 쿠사스베리 코스: 히로가와라에서 시라네미이케 산장을 경유하는 코스이다[53]. 산장 뒤편에서 시작되는 '쿠사스베리'라고 불리는 가파른 등산로를 오른다[53]. 이 길을 오르면 코타로 오네 능선에 도착하며, 기타다케 카타노코야를 거쳐 기타다케 정상에 이르게 된다[53].

5. 2. 2. 료마타 출발 코스

기타다케산의 서쪽에서 오르는 등산 코스이다.[54] 주요 경로는 노로가와 만남 - 료마타 - 左俣大滝|히다리마타 오타키jpn - 中白根沢ノ頭 - 기타다케 어깨 산장 - 기타다케산 순서이다.[38]

노로가와 만남 지점에서 시작하여 임도를 따라[54] 료마타에 위치한 료마타 산장으로 이동한다. 료마타에서는 노로가와 히다리마타를 따라 등산로를 걷게 되며, 코스 중 마지막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지점인[55] 左俣大滝|히다리마타 오타키jpn에 도착한다. 이 폭포의 높이는 약 10m이다.[37] 左俣大滝|히다리마타 오타키jpn를 지나면 계곡을 벗어나 中白根沢ノ頭를 거쳐 기타다케산 북쪽의 주 등산로와 합류하게 된다.[54]

히로가와라 방면 코스가 일반적인 주요 등산로로 이용되기 때문에, 료마타 출발 코스는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적은 편이다.[54][33]

5. 2. 3. 이케야마 쓰리오네 출발 코스

와시노스미야마에서 출발하여 아루키사와 다리, 이케야마 미이케 산장, 보콘사와노아타마, 얏폰바노코르를 거쳐 기타다케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이다.

변형 루트로 와시노스미야마 전망대에서 보콘사와노아타마를 넘어 정상에 이르는 이케야마 쓰리오네 코스가 있지만, 일반 등산객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단, 겨울철에는 이 루트가 일반 등산로가 된다.[56]

5. 2. 4. 시라네 삼산 종주 코스



산 정상에서 나카시라네 산을 경유하여 아이노다케 산, 니시노토리다케 산, 노토리다케 산, 나라다 온천에 이르는 시라네 삼산 종주로가 남쪽으로 이어져 있다.[33] 아이노다케 산에서 미후네다케 산으로 진행하면, 아카이시 산맥 주능선 종주로와 합류한다.

5. 2. 5. 기타다케 바트레스 (등반 루트)

기타다케 바트레스(北岳バットレス|Kita-dake Battoresu일본어)는 산의 동쪽에 있는 600m 높이의 암벽이다.

대표적인 등반 루트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히로가와라 - 오오카바사와 - 후타마타 - 바트레스 - 기타다케

기타다케 바트레스에는 7개의 암릉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제4능선이 주 등반로가 되고 있다[33]. 능선 사이에는 가리(암구)가 있으며, 각각 이름이 붙여져 있다[22].

5. 3. 산장

기타다케산 주변에는 여러 산장이 있으며, 일부 산장에는 캠프 지정지가 함께 마련되어 있다. 주로 눈이 없는 등산 시즌 동안 유인으로 운영되며, 겨울철에는 일부 산장이 긴급 대피 장소로 개방되기도 한다[57]. 물은 산장의 빗물을 모아 사용하거나 페트병에 담긴 물을 구매해야 하며, 상황에 따라 산장 아래의 물가에서 얻을 수도 있다. 히로가와라에 있던 '히로가와라 산장'은 2004년 3월에 폐쇄된 후 철거되었다.

기타다케산 주변 산장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곳은 기타다케 산장이다[58].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8,000명 안팎의 등산객이 이곳을 이용했다[58].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는 곳은 기타다케 어깨 산장으로[58], 같은 기간 동안 매년 약 6,000명이 이용했다[58].

주변 산장에 대한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38].

그림명칭소재지표고 (m)기타다케산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 (km)
수용
인원
캠프
지정지
비고출전
히로가와라 산장노로가와 상류 좌측 갈림길 부근1530북동 3.780텐트 100동[48]
료마타 산장노로가와 좌측 갈림길2020서 3.230텐트 40동[59]
시라네 미이케 산장시라네 미이케 기슭2238북동 1.8150텐트 40동[60]
기타다케 어깨 산장북사면 산정 바로 아래3010북 0.5150텐트 50동[49]
기타다케 산장기타다케・나카시라네산 안부2900남남서 1.2150텐트 80동쇼와 대학 의학부
여름 산 진료소
[23]
이케야마 미이케 산장이케야마 매달린 능선의 미이케 기슭2900동 4.130없음대피 산장[61]
노토리 산장아이노다케・니시노토리다케 안부2800남 4.9120텐트 50동[62]


6. 미디어 속 기타다케

7. 일본 제2위의 봉우리

기타다케산은 일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이기 때문에 다양한 "두 번째"를 나타내는 비유적 표현에 사용된다.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스포츠 대회나 예술 분야의 선발 과정에서 1위만 주목받는 현상을 후지산과 기타다케산의 인지도 차이에 빗대어 표현하기도 한다.[72]

이러한 인지도 차이는 몇 가지 이유에서 비롯된다. 후지산은 특징적인 산 모양을 가지고 있고 홀로 솟아 있는 독립봉이기 때문에 여러 방향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반면, 기타다케산은 주변이 남알프스의 높은 봉우리들로 둘러싸여 있어 시가지에서 잘 보이지 않으며, 보이더라도 산 정상의 일부만 보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산악 사진에서도 기타다케산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워, 이러한 점들이 후지산과의 인지도 차이를 크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http://www.gsi.go.jp[...]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2008-04-08
[2] 웹사이트 Japan Ultra-Prominences http://www.peaklist.[...] Peaklist.org 2015-01-01
[3] 웹사이트 Mount Kita http://www.minamialp[...] 2008-07-01
[4] 웹사이트 基準点成果等閲覧サービス https://sokuseikagis[...] 国土地理院 2017-10-03
[5] 서적 山と溪谷 山と溪谷社 1992
[6] 서적 日本百名山 朝日新聞出版
[7] 서적 新・花の百名山 文藝春秋
[8] 웹사이트 山梨百名山 http://www.yamanashi[...] 社団法人やまなし観光推進機構 2010-11-06
[9] 웹사이트 白峰三山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2010-11-12
[10] 서적 中西 1993
[11] 서적 コンサイス日本山名辞典 三省堂
[12] 웹사이트 北岳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2010-11-06
[13] 서적 日本三百名山 毎日新聞社
[14] 간행물 近世甲斐国絵図論序説-山梨県立博物館収蔵の甲斐国絵図との対話- 山梨県立博物館 2008
[15] 웹사이트 南アルプスの国立公園紹介 https://www.env.go.j[...] 環境省自然環境局 2011-03-01
[16] 웹사이트 南アルプス国立公園管理計画書 https://www.env.go.j[...] 環境省自然環境局南関東地区自然保護事務所 2010-11-02
[17] 웹사이트 日本第二の高山「北岳」の標高を改訂 http://www.gsi.go.jp[...] 国土地理院 2010-11-01
[18] 웹사이트 基準点成果等閲覧サービス https://sokuseikagis[...] 国土地理院 2010-11-03
[19] 웹사이트 南アルプスの登山史 http://south-alps.co[...] 南アルプス世界自然遺産登録山梨県連絡協議会 2010-11-01
[20] 서적 日本アルプス再訪 平凡社
[21] 서적 中西 1993
[22] 웹사이트 北岳・北岳バットレス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2010-11-06
[23] 웹사이트 南アルプス市山梨県北岳山荘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2010-11-01
[24] 서적 歩いてみたい日本の名山 西東社
[25] 간행물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 2010
[26] 웹사이트 北岳・池山吊尾根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2010-11-12
[27] 서적 小泉 2000
[28] 서적 小泉 2000
[29] 간행물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 2010
[30] 간행물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 2010
[31] 간행물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 2010
[32] 서적 新日本山岳誌 ナカニシヤ出版
[33] 서적 服部 1987
[34] 서적 北山 2009
[35] 웹사이트 北岳バットレスで大規模な崩落発生。一般ルートの左俣コースも通行止め http://yamakei-onlin[...] 山と溪谷社 2010-12-10
[36] 웹사이트 緊急山岳情報! http://www.city.mina[...] 南アルプス市観光商工課 2010-10-14
[37] 웹사이트 北岳・左俣大滝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38] 지도 北岳・甲斐駒 昭文社 2010-03-10
[39] 문서 名取(2008)
[40] 뉴스 絶滅寸前の現状理解を 高山植物タカネマンテマ 園芸高・笛吹高研究部生徒が分析、訴え http://www.minamialp[...] 2010-12-18
[41] 문서 中西(2000)、88-91頁
[42] 서적 花の百名山地図帳 山と溪谷社
[43] 서적 日本の高山植物(山溪カラー名鑑) 山と溪谷社
[44] 웹사이트 山梨県 Red Data Book (平成17年6月公開) http://www.pref.yama[...] 山梨県
[45]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の検索システム(分類群検索 >> 維管束植物 >> キタダケ) http://jpnrdb.com/se[...] NPO法人野生生物調査協会、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46] 간행물 今、南アルプス白根三山周辺で起こっていることニホンジカの影響 https://web.archive.[...] 日本高山植物保護協会
[47] 문서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2010)、35-37頁
[48] 웹사이트 南アルプス市広河原山荘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49] 웹사이트 北岳肩ノ小屋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50] 서적 知らざれるW・ウェストン 信濃毎日新聞社
[51] 웹사이트 北岳登山道・大樺沢コース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52] 웹사이트 北岳登山道・大樺沢二俣―草すべり―小太郎尾根コース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53] 웹사이트 北岳登山道・広河原―白根御池―草すべりコース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54] 웹사이트 北岳登山道・両俣コース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55] 웹사이트 北岳・左俣大滝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56] 문서 中村(1996)、143-145頁
[57] 서적 山と渓谷社 2011年 01月号付録(山の便利手帳2011) 山と溪谷社
[58] 문서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2010)、114頁
[59] 웹사이트 南アルプス市両俣小屋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60] 웹사이트 南アルプス市白根御池小屋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61] 웹사이트 南アルプス市池山御池小屋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62] 웹사이트 農鳥小屋 http://www.minamialp[...] 南アルプス芦安山岳館
[63] 웹사이트 南アルプスマイカー規制について http://www.pref.yama[...] 山梨県観光部観光資源課 2010-10-18
[64] 문서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2010)、112頁
[65] 문서 南アルプス総合学術検討委員会(2010)、113頁
[66] 간행물 樋口明雄 https://ja.wikipedia[...] 2019-03-22
[67] 방송 NHKアーカイブス保存番組詳細 日本百名山 北岳(1994年12月5日放送) http://archives.nhk.[...] NHK 1994-12-05
[68] 방송 NHKアーカイブス保存番組詳細 花の百名山 北岳 キタダケソウ(1995年9月18日放送) http://archives.nhk.[...] NHK 1995-09-18
[69] 방송 小さな旅のバックナンバー http://www.nhk.or.jp[...] NHK
[70] 방송 さわやか自然百景のバックナンバー http://www.nhk.or.jp[...] NHK
[71] 웹사이트 お勧めの山・北岳 http://www.nhk.or.jp[...] NHK 2011-03-01
[72] 문서 日本で二番目に高い山を知らないことを前提として、1番目にならないと意味がないことに例えられる。また、その際に北岳の名称が出ないことすらある。
[73] 문서 深田久弥は『日本百名山』中で、アサヨ峰方面からの北岳の山容を「惚れ惚れするくらい高等な美しさの絶品」と表現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