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경서는 1561년에 태어나 1619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이다. 1583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임진왜란 때 평양성 탈환에 기여하고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1619년 후금과의 전투에 참전하여 패전 후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으며, 사후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4년 출생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1564년 출생 - 윌리엄 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잉글랜드의 극작가, 시인, 배우로서 영어로 쓰인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희곡과 시들을 남겼고, 엘리자베스 시대 런던 연극계에서 글로브 극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1624년 사망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624년 사망 - 후쿠시마 마사노리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일본 아즈치-모모야마,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임진왜란 참전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공으로 히로시마 번주에 임명되었으나 금령 위반으로 강등된 인물이다. - 정유재란 관련자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정유재란 관련자 - 정기룡
정기룡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국방력 강화에 힘쓴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773년 충의라는 시호를 받았다.
김경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김응서 |
자 | 성보(聖甫) |
초휘 | 응서(應瑞) |
휘 | 경서(景瑞) |
시호 | 양의(襄毅) |
출생 | 1564년 |
사망 | 1624년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용강군 양곡면 남동리 (현재의 남포특별시 룡강군 양곡면 남동리) |
본관 | 김해 |
경력 | |
관직 | 평안도 병마절도사 |
복무 | 조선군 |
복무 기간 | 1592년 ~ 1624년 |
최종 계급 | 평안도 병마절도사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임진왜란 제3차 평양성 전투 제4차 평양성 전투 정유재란 제2차 울산성 전투 명청 전쟁 심하 전투 부차 전투 |
근무 | 전라도병마절도사, 정주목사, 평안도병마절도사 |
서훈 | 우의정 추증 |
학력 | 1583년(선조 16년) 무과 급제 |
사당 | 남포 룡강군 충렬사(忠烈祠) |
2. 생애
김경서는 1561년(명종 19년) 평안도 용강에서 아버지 김인용(金仁龍)과 어머니 나주 정씨(羅州 鄭氏)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증조부 김몽하(金夢河)는 예빈시정에 추증되고, 조부 김계식(金繼植)은 현감, 아버지 김인용(金仁龍)은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어머니는 부장을 지낸 정열(鄭烈)의 딸이다.
그가 태어날 때 어머니 나주정씨가 오석산(烏石山)에서 한줄기의 서광이 일어나 김인용의 집까지 길게 뻗어 날아드는 태몽을 꾸고 태어났다.
1583년 20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부위(副慰)가 되어 전라도 이진(利津)의 권관으로 첫 부임했다. 1588년 감찰(監察)이 되었으나 가문이 미천하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파직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임관
김경서는 1561년 (명종 19년) 평안도 용강에서 아버지 김인용(金仁龍)과 어머니 나주 정씨(羅州 鄭氏)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증조부 김몽하(金夢河)는 예빈시정에 추증되고, 조부 김계식(金繼植)은 현감, 아버지 김인용(金仁龍)은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어머니는 부장을 지낸 정열(鄭烈)의 딸이다.그가 태어날 때 어머니 나주정씨가 오석산(烏石山)에서 한줄기의 서광이 일어나 김인용의 집까지 길게 뻗어 날아드는 태몽을 꾸고 태어났다.
1583년 20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부위(副慰)가 되어 전라도 이진(利津)의 권관으로 첫 부임했다. 1588년 감찰(監察)이 되었으나 가문이 미천하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파직되었다.
2. 2. 임진왜란 활약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재등용되어 그 해 8월 조방장(助防將)으로 평양 공략에 나섰으며, 싸움에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워 평안도방어사에 승진되었다. 1593년 1월 명나라의 이여송(李如松)의 원군과 함께 제4차 평양성 전투에서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이때 계월향(桂月香)이 평양성 잠입을 도와 고니시 유키나가의 부장의 목을 벤 일이 유명하다.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어 도원수 권율(權慄)의 지시로 남원 등지에서 날뛰는 토적들을 소탕하였다. 1595년 경상우병사가 되었을 때, 선조가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이틀 만에 동래부에서 장렬하게 전사한 송상현(宋象賢)의 관을 적진에서 찾아오라고 하자 그 집 사람을 시켜 일을 성사시켰다. 그는 또한 군관 이홍발(李弘發)을 부산에 잡입시켜 일본군의 동태를 살피게하고, 일본 간첩 요시라를 매수해 정보를 수집하기도 하였다. '가토 기요마사가 바다를 건너올 것’를 입수하고, 이를 조정에 장계로 보고한다. 조정에서는 요시라의 정보를 믿고 이순신에게 출동 명령을 내렸지만, 이순신은 이를 거부하여 파직되고 투옥되었다.
1597년에는 도원수 권율로부터 의령의 남산성(南山城)을 수비하라는 명을 받았지만 불복해 강등되었다.
1598년 동래 지역의 일본군을 물리치고 부산과 울산을 연결하는 통로를 점령하는 등 울산성 공격을 재차 준비하였다. 자신의 휘하의 항왜장군 사야가가 울산왜성에 농성 중이던 가토의 1군을 섬멸한 공을 세웠다.
1603년 충청도병마절도사 자리에 올랐으나 군졸들을 학대해 다시 파직되었다가, 1604년에 전공을 인정받아 포도대장 겸 도정이 되었다. 1609년 정주목사를 지내고, 이어 만포진 첨절제사와 북로방어사를 역임하고, 1615년 길주목사를 거쳐 이듬해 함경북도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2년 뒤에 1618년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2. 3. 후금과의 전투와 최후
1619년 명나라가 후금을 토벌하기 위해 구원병을 요청하자 평안도병마절도사 겸 부원수로서 도원수 강홍립과 함께 출전하여, 이듬해 심하에서 크게 이겼으나 부차(富車)에서 패하였다. 강홍립이 전군을 이끌고 금나라 군대에 항복하여 함께 포로가 되었다가, 비밀리에 적정을 기록하여 고국에 보내려 하였으나, 강홍립의 고발로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졌으며,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양의(襄毅)이다.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가족 관계
증조부는 김몽하(金夢河)이다. 조부는 김계식(金繼植)이며, 부친은 김인룡(金仁龍)이고, 모친은 나주 정씨(羅州鄭氏)이다. 동생은 김성서(金聖瑞)와 김희서(金希瑞)이다. 첫 아내는 한양 조씨(漢陽 趙氏)이고, 이후 고령 박씨(高靈朴氏)와 혼인하였다. 아들 김득진(金得振)을 두었으며, 딸 둘은 각각 안종복(安鐘福)과 이광전(李光傳)에게 출가하였다.
5. 관련 문화재
용강 김응서집은 북한 국보급 제14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용강 김응서묘는 북한 유적 제1743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용강에는 충렬사(忠烈祠)가 있다.
6. 김경서를 다룬 작품
7. 기타
참조
[1]
논문
ko:임진왜란기 조선의 북방 여진족에 대한 위기의식과 대응책 - ‘南倭北虜’란 측면에서
http://www.dbpia.co.[...]
한일관계사학회
2014-07-11
[2]
웹사이트
Siege of Ulsan - Battles Fought between the Ming-Korea Alliance and Japanese Forces in the Ming Dyansty
https://web.archive.[...]
Shanghai Xinhong Cultural Development Co.Ltd, one member of the Long River Foreign Exchange Foundation.
2014-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