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상현 (155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상현(155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로 재직하며 동래성 전투에서 순절했다. 어려서부터 학문적 재능을 보였으며, 1576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591년 동래부사로 부임하여 왜구의 침입에 대비했으나, 임진왜란 발발 후 동래성이 함락되자 항전하다가 전사했다. 그의 충절을 기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동래 안락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진왜란 참전 군인 사망자 - 신립
조선 중기 무장 신립은 무과 급제 후 북방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하였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묘소는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임진왜란 참전 군인 사망자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51년 출생 - 보리스 고두노프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반 뇌제 측근에서 차르까지 오른 16세기 말~17세기 초 러시아의 중요 인물로, 섭정 시절 개혁을 단행하고 차르로서는 서구 문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기근과 가짜 드미트리 1세의 난으로 혼란을 겪다 사망했다. - 1551년 출생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해군 군인 - 정기룡
정기룡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국방력 강화에 힘쓴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773년 충의라는 시호를 받았다. - 해군 군인 - 원균
원균은 조선 중기 무장으로, 여진족 토벌에 참여했으며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 수군절도사를 지냈으나 이순신과의 갈등 속에 칠천량 해전에서 패전 후 전사(또는 생존)한 인물이다.
송상현 (155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송상현 |
한자 표기 | 宋象賢 |
로마자 표기 | Song Sanghyeon |
다른 이름 | 천곡(泉谷), 덕구(德求) |
시호 | 충렬공(忠烈公) |
출생 | 1551년 |
사망 | 1592년 5월 23일 |
사망 장소 | 부산, 조선 |
국적 | 조선 |
가족 정보 | |
아버지 | 송복흥 |
어머니 | 안동 김씨 |
관직 정보 | |
주요 직책 | 동래 도호부사 |
임관 | 승문원 정자, 사헌부 지평, 종계변무사 질정관, 배천 군수 |
과거 급제 | 1576년(선조 9년) 별시문과 병과 급제 |
군사 정보 | |
주요 참전 | 임진왜란 |
주요 전투 | 동래성 전투 |
소속 부대 | 동래부 조선군 |
사후 추증 | |
추증 관직 | 자헌대부 이조판서,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
사당 | |
사당 위치 | 황해도 개성시 숭절사(崇節祠) 충북 청주시 상당구 신항서원(莘巷書院) 충북 청주시 흥덕구 충렬사(忠烈祠) 전북 정읍시 정충사(旌忠祠) 함북 경성군 화곡서원(禾谷書院) 부산시 동래구 부산 충렬사 |
![]() |
2. 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송전(宋琠) |
부친 | 송복흥(宋復興, 1527 ~ 1594) |
외조부 | 김승석(金承碩) |
외조모 | 파평 윤씨 - 윤선좌(尹宣佐)의 딸 |
모친 | 안동 김씨(安東 金氏, 1527 ~ 1597) |
누나 | 진천 장씨(鎭川 張氏) - 장언오(張彦悟)의 처 |
남동생 | 송상인(宋象仁, 1569 ~ 1631) |
여동생 | 청주 한씨 - 한효상(韓孝祥)의 처 |
정부인 | 성주 이씨 이숙녀(星州 李氏, 1555 ~ 1622) - 이온(李熅)의 딸 |
장남 | 송인급(宋仁及, 1576 ~ 1608) |
자부 | 류흔(柳昕)의 딸, 최덕순(崔德峋)의 딸 |
차남 | 송효급(宋孝及, 1579 ~ 1636) |
측실 | 한금섬(韓金蟾), 이양녀(李良女) |
송상현은 10대에 유교 경전을 공부하였고, 15세에 승보시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김장생과 친구가 되었다. 1570년에는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2. 1. 조상
송상현의 아버지는 평강, 용안 등에서 현감을 지낸 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고 있던 송복흥이고, 할아버지는 송전(宋琠), 증조할아버지는 송승은(宋承殷)이다. 부인은 성주 이씨(星州李氏)로 묵재일기를 쓴 이문건의 손녀다.[3]2. 2. 본가
송상현은 사헌부의 서리 송복흥(宋復興)과 그의 부인, 묵재일기의 저자인 이문건(李文健)의 후손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평강, 용안 등에서 현감을 지낸 후 임진왜란이 발발한 시점에서 이미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고 있던 송복흥(宋復興)이고, 할아버지는 송전(宋琠)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송승은(宋承殷)이다. 부인은 성주이씨(星州李氏)로 묵재 이문건(李文健)의 손녀다.[3]2. 3. 처가
부인은 성주 이씨(星州李氏)로 묵재일기를 쓴 이문건의 손녀이다.[3]3. 생애
송상현은 사헌부의 서리 송복흥(宋復興)과 그의 부인, 묵재일기의 저자인 이문건(李文健)의 후손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남달리 재주가 뛰어나 10여 세에 경사(經史)에 통달하였다. 15세에 승보시(陞補試)에 장원하면서 문장을 떨쳤고, 훗날 조선의 저명한 학자이자 정치가가 된 김장생과 친구가 되었다. 1570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3. 1. 관직 생활
어려서부터 남달리 재주가 뛰어나 10여 세에 경사(經史)에 통달하였다. 15세에 승보시(陞補試)에 장원하면서 문장을 떨쳤고 사계 김장생과 우의를 맺었다.[3]1570년(선조 3)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76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에 보임되었으며, 다음 해 저작(著作)으로 승진하였다.
1579년 박사(博士)와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 겸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에 임명되었고, 다음 해에 경성판관(鏡城判官)으로 외직에 나가 유학을 진작시켰다. 1583년 사헌부지평으로 들어와 호조·예조·공조의 정랑(正郞), 공조좌랑과 군자감(軍資監)의 정(正) 등을 지냈다. 1584년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시 지평이 되었다가 은계도찰방(銀溪道察訪)으로 좌천되었다. 그 뒤 다시 지평을 지내고 배천군수로 나갔다가 3년 만에 전직되어 경력(經歷), 집의, 사간과 사재감(司宰監), 군자감(軍資監)의 정(正)이 되었다.
1591년(선조 24년)에 집의(執義)로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되고 동래부사(東萊府使)에 임명되었다. 왜구의 침입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들려오는 가운데 임지에 도착하여 방비를 굳게 하면서 선정을 베풀었다.
3. 2. 동래부사 부임과 임진왜란
1591년(선조 24년) 송상현은 집의(執義)로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되어 동래부사(東萊府使)에 임명되었다. 왜구의 침입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들려오는 가운데 임지에 도착하여 방비를 굳게 하면서 선정을 베풀었다.[3]이듬해 5월 23일 (음력 4월 13일)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그 다음날(음력 4월 14일) 부산진성이 함락되었다. 동래에 쳐들어온 왜병은 남문 밖에 목패(木牌)를 세우고 “싸우고 싶으면 싸우고, 싸우고 싶지 않으면 길을 빌려 달라”고 하였고, 송상현은 “싸워서 죽기는 쉬우나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고 목패에 글을 써서 항전했다.
구분 | 왜장 | 송상현 |
---|---|---|
한자 | 戰則戰矣 不戰則假道 | 戰死易 假道難 |
독음 | 전즉전의 부전즉가도 | 전사이 가도난 |
뜻 | 싸우고 싶으면 싸우고, 싸우고 싶지 않으면 길을 빌려 달라 | 싸워서 죽기는 쉬우나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
송상현은 군사를 이끌고 분전하였으나, 결국 중과부적으로 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 그는 죽음을 각오하고 갑옷 위에 관복을 입고 북쪽의 임금께 절을 올린 후 성문의 누각에 단정히 앉은 채 왜병에게 피살되었다. 적장이 그의 충절에 탄복하여 송상현을 살해한 자기 부하를 잡아 죽이고, 일본 장수인 소 요시토시 등은 그의 충렬을 기려 동문 밖에 장사 지내 주었다고 한다. 그의 첩인 금섬도 그를 따라 순절하였다.[4]
송상현의 시신을 찾지 못했으므로, 일각에서는 그가 정발과 함께 일본군에 투항하여 일본군 장수가 되었다는 헛소문이 퍼지기도 했다.[5] 그 후 조정에서는 그 아들에게 벼슬을 내리고 예관을 보내 제사를 지내주었다.
3. 3. 동래성 전투와 순절
1591년(선조 24년) 송상현은 집의(執義)로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되어 동래부사(東萊府使)에 임명되었다. 왜구의 침입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들려오는 가운데 임지에 도착하여 방비를 굳게 하면서 선정을 베풀었다.[3]이듬해 5월 23일 (음력 4월 13일)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그 다음날(음력 4월 14일) 부산진성이 함락되었다. 동래에 쳐들어온 왜병은 남문 밖에 목패(木牌)를 세우고 “싸우고 싶으면 싸우고, 싸우고 싶지 않으면 길을 빌려 달라”고 하였고, 송상현은 “싸워서 죽기는 쉬우나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고 목패에 글을 써서 항전했다.
구분 | 왜장 | 송상현 |
---|---|---|
한자 | 戰則戰矣 不戰則假道 | 戰死易 假道難 |
독음 | 전즉전의 부전즉가도 | 전사이 가도난 |
뜻 | 싸우고 싶으면 싸우고, 싸우고 싶지 않으면 길을 빌려 달라 | 싸워서 죽기는 쉬우나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
송상현은 군사를 이끌고 분전하였으나, 결국 중과부적으로 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 그는 죽음을 각오하고 갑옷 위에 관복을 입고 북쪽의 임금께 절을 올린 후 성문의 누각에 단정히 앉은 채 왜병에게 피살되었다. 적장이 그의 충절에 탄복하여 송상현을 살해한 자기 부하를 잡아 죽였고, 일본 장수인 소 요시토시 등은 그의 충렬을 기려 동문 밖에 장사 지내 주었다고 한다. 그의 첩인 금섬도 그를 따라 순절하였다.[4]
그의 시신을 찾지 못했으므로, 일각에서는 그가 정발과 함께 일본군에 투항하여 일본군 장수가 되었다는 헛소문이 퍼지기도 했다.[5] 그 후 조정에서는 그 아들에게 벼슬을 내리고 예관을 보내 제사를 지내주었다.
4. 사후
송상현은 임진왜란 때 동래성에서 순절하였으며, 사후 이조판서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1595년 선조 28년에 묘소가 청주로 이장되고 충신문이 세워졌으며, 1610년 광해군 2년에 사당 동래부사송상현충렬사(東萊府使宋象賢忠烈祠)이 창건되었다. 1742년 영조 때 송공단이 만들어졌고, 매년 음력 4월 15일에 동래기영회에서 제사를 올리고 있다. 또한 충렬사를 비롯하여 황해도 개성 숭절사(崇節祠), 청주 신항서원(莘巷書院)과 충렬사(忠烈祠), 전라북도 정읍시 정충사(旌忠祠), 함경북도 경성(鏡城) 화곡서원(禾谷書院) 등 전국 각지에서 그를 기리고 있다.[2]
4. 1. 추모
임진왜란 때 왜적이 동래성에 육박하자 항전했으나 함락되자, 조복(朝服)을 입고 북쪽을 향해 임금에게 절을 한 후 적병에게 살해되었다. 그의 의연함에 감동한 적장 중 한 명은 그가 죽은 뒤 시(詩)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 사후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고, 동래 안락서원(安樂書院)에 제향되었다.1595년 선조 28년에 묘소를 청주로 이장하고 충신문을 세웠으며, 1610년 광해군 2년에 사당 동래부사송상현충렬사(東萊府使宋象賢忠烈祠)을 창건하였다.
1742년 영조 때 동래성 전투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추모하여, 송상현 장군이 순절한 정원루가 있던 곳에 송공단을 만들었으며, 매년 음력 4월 15일에 동래기영회에서 제사를 올리고 있다. 또한 동래 충렬사에서도 동래성 전투와 부산진성 전투 등 임진왜란에서 전사한 여러 사람들을 모시고 있다.
황해도 개성 숭절사(崇節祠), 청주 상당구 용정동 신항서원(莘巷書院)과 흥덕구 수의동 충렬사(忠烈祠),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정충사(旌忠祠), 함경북도 경성(鏡城) 화곡서원(禾谷書院) 등에도 제향되어 있다.
5. 관련 작품
송상현을 소재로 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5. 1. 드라마
- 1985년~1986년 MBC 드라마 《임진왜란》, 배우: 박영지
- 2015년 KBS 드라마 《징비록》, 배우: 김동석
6. 주변 인물
송상현의 주변 인물로는 그의 첩인 한금섬과 이양녀가 있었다.
6. 1. 한금섬
한금섬(韓金蟾)은 통천군수 한언성의 서녀로 일찍이 기생이 되었다. 송상현이 함경도 경성판관으로 있을 때 그의 첩이 되어 동래로 따라왔으며, 미모와 재주가 뛰어났다고 한다.동래성 전투 때에 송상현이 조복을 가져가는 것을 보고, 여종 금춘(今春)과 함께 관아의 담을 넘어 송상현 곁에 달려갔다가 왜적에게 사로잡혔다. 그 뒤 사흘 뒤까지도 꾸짖는 소리가 그치지 아니하자 왜적에게 살해되었다. 지금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동래부사 송상현 충렬사 동문 밖에 별도 사당이 만들어져 있으며, 송상현의 묘 옆에 묻혀있다.[7]
6. 2. 이양녀
송상현의 또 다른 첩인 이양녀는 금섬보다 젊은데, 동래성 전투에서 왜적들이 사로잡아 범하려 하자 그들을 달래어 거절하였다. 왜인들이 절부로 칭찬하고 일본에 끌려갔는데,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양녀를 후시미성에 살게 하고 일본인 부녀들의 스승으로 삼아 풍기를 지도하게 했다. 일본인 부녀 중에는 뒷날 에도 막부를 세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처도 있었는데, 임진왜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조선과 화해하는데 그 처가 큰 조력을 하였다 한다. 마침내 살아서 고국으로 돌아왔고, 송상현 부사의 정부인과 청주에서 만나 손잡고 통곡했다 한다.[7]7. 인물평
성격이 치밀하고 준비성이 많았다. 왜구가 쳐들어올 것을 미리 대비하여 동래성 주변에 나무를 많이 심어 복병을 숨기기 좋은 여건을 조성함과 동시에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성이 보이지 않게 위장하고, 성문 밖에는 능철과 마름쇠를 깔아 왜군의 보병과 기병에 대비하였다. 또한 기와를 뜯어 기왓장 마저 왜구를 방어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등 동래성을 지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이렇게 준비를 철저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절대적인 수적 열세를 이기지 못해 동래성은 함락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송상현(宋象賢)
http://encykorea.aks[...]
2020-07-23
[2]
웹사이트
Chungnyeolsa Shrine > Introduction
http://english.busan[...]
2020-07-23
[3]
서적
송자대전
[4]
서적
상촌집
[5]
기록
유영길·김수를 인견하고 적병의 숫자, 영·호남의 전투 상황 등을 묻다
선조실록
1592-11-25
[6]
문서
수도군
[7]
서적
숨겨진 이야기 부산
사단법인부산컨벤션뷰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