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덕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덕열은 일제강점기 중앙고등보통학교, 보성전문학교 법과, 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미군정청 관재처 감찰관과 양주군 주내면장을 역임했다. 1948년 제1대 총선에서 양주군 갑구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제헌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무소속구락부, 산업노농위원회, 수산 입법 위원회, 신정회, 대한국민당 등에서 활동했다. 한국 전쟁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으며, 이후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으로 활동하다가 평안북도 협동농장으로 이주한 후 소식이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주시 출신 - 김병연
    김병연은 안동 김씨 가문의 시인이자 김삿갓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부의 역적 몰락 후 삿갓을 쓰고 전국을 방랑하며 사회 부조리를 풍자와 해학으로 비판하고 민중의 고통을 대변하는 시를 썼으나, 구전으로 전해져 많은 작품이 유실되었고 생애에 대한 기록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양주시 출신 - 이재곤 (조선귀족)
    이재곤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하여 훈장을 받고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어 친일 재산이 국가에 귀속되었다.
  • 보성전문학교 동문 - 허헌
    허헌은 일제강점기 변호사이자 독립운동가로서 3·1 운동 관련자 변호와 신간회 활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건준위 부위원장, 민전 공동의장 등을 지내며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월북 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등을 지냈다.
  • 보성전문학교 동문 - 박규정 (축구인)
    박규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조선 및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고 보성전문학교 축구부 주장을 지냈으며,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39세 이상의 나이로 출전한 최초의 선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 중앙고등학교 동문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중앙고등학교 동문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김덕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金德烈
출생일1910년 9월 2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양주군
국적대한민국
정치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
기타
관련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2. 학력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하였으며,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생애 및 정치 활동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출신이다.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30년에 경성법학전문학교(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였고 1933년에는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법과에 입학했다. 1936년에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가 중앙대학 법학부에 입학하여 1940년에 졸업했다.

해방 이후 김덕열은 미군정청에서 관재처의 감찰관, 양주군 주내면장 등을 역임했다. 1948년 5월 제1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양주군 갑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제헌 국회의원이 되었다. 당선 후 6월에 무소속구락부에 참가하여, 상임위원회의 산업노농위원회에 소속되었다. 1949년 2월에 수산 입법을 위한 위원회에 참여했고, 같은 해 9월에 신정회에 가맹했으며, 10월부터 개정 국회법에 의해 설치된 산업위원회에 소속되었다. 1950년 1월에 새롭게 결성된 대한국민당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4월에 조병옥을 후임 국무총리로 추천하는 연서에 서명했다.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 1956년 7월,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으며, 1957년 초 평안북도에 있는 협동농장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소식 불명.

3. 1. 해방 이전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출신이다.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30년에 경성법학전문학교(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였고 1933년에는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법과에 입학했다. 1936년에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가 중앙대학 법학부에 입학하여 1940년에 졸업했다.

3. 2. 해방 이후

해방 이후 김덕열은 미군정청에서 관재처의 감찰관, 양주군 주내면장 등을 역임했다.[2][3][1][4] 1948년 5월 제1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양주군 갑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제헌 국회의원이 되었다.[2][3][1][4] 당선 후 6월에 무소속구락부에 참가하여, 상임위원회의 산업노농위원회에 소속되었다.[2][3][1][4] 1949년 2월에 수산 입법을 위한 위원회에 참여했고, 같은 해 9월에 신정회에 가맹했으며, 10월부터 개정 국회법에 의해 설치된 산업위원회에 소속되었다.[2][3][1][4] 1950년 1월에 새롭게 결성된 대한국민당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4월에 조병옥을 후임 국무총리로 추천하는 연서에 서명했다.[2][3][1][4]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2][3][1][4] 1956년 7월,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으며[2], 1957년 초 평안북도에 있는 협동농장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다[3]。이후 소식 불명[1][4]

3. 3. 제헌 국회의원 활동

김덕열은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현 양주시 유양동) 출신으로, 제헌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일본 중앙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광복 후 미군정청에서 관재처 감찰관, 양주군 주내면장 등을 역임했다.

1948년 5월 제1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양주군 갑구에서 출마하여 11,215표(38.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당선 후 무소속구락부에 참가하여 산업노농위원회에 소속되었고, 1949년 2월에는 수산 입법을 위한 위원회에 참여했다. 같은 해 9월 신정회에 가맹했으며, 10월부터 개정 국회법에 의해 설치된 산업위원회에 소속되었다. 1950년 1월 대한국민당에 참여했고, 4월에는 조병옥을 후임 국무총리로 추천하는 연서에 서명했다.

한국 전쟁 중에 북한에 납북되었으며, 1956년 7월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고,[2] 1957년 초 평안북도 협동농장으로 이주했다.[3] 이후 소식 불명.[1][4]

3. 4. 한국 전쟁과 납북

김덕열은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2][3][1][4]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현 양주시 유양동) 출신으로,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의 전신인 경성법학전문학교와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했다.[2] 일본 중앙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광복 후 미군정청에서 관재처 감찰관, 양주군 주내면장 등을 역임했다.[2] 1948년 제1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양주군 갑구에서 당선되어 제헌 국회의원이 되었다.[2] 당선 후 무소속구락부에 참가하여 산업노농위원회에 소속되었고, 수산 입법을 위한 위원회, 신정회, 대한국민당 등에 참여했다.[2] 1950년 4월에는 조병옥을 후임 국무총리로 추천하는 연서에 서명했다.[2]

1956년 7월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으며, 1957년 초 평안북도에 있는 협동농장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소식은 불명이다.[2][3][1][4]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48년총선무소속11,215표38.12%1위당선초선


5.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25
[2] 서적 現代朝鮮人名辞典 1962年版 世界ジャーナル社 1962-08-01
[3] 웹사이트 북한총람 중 납북인사명단(1)-가1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10-21
[4] 웹사이트 김덕열(金德烈) http://encykorea.aks[...] 2023-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