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바그라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바그라하는 9개의 천체를 의미하며, 각 천체는 고유한 특성, 상징, 요일, 보석 등과 연결된다. 구성 요소는 태양을 상징하는 수리야, 달을 상징하는 찬드라, 화성을 상징하는 만가라, 수성을 상징하는 부다, 목성을 상징하는 브리하스파티, 금성을 상징하는 슈크라, 토성을 상징하는 샤니, 달의 교점인 라후와 케투로 이루어져 있다. 나바그라하는 인도 신화, 불교, 한국 전통 신앙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점성술과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천문학 - 창공
    창공은 고대 문화권에서 지구를 덮는 단단한 돔 또는 평면으로 여겨졌던 하늘을 묘사하는 용어로, '펼쳐진 표면'을 의미하는 성경 히브리어에서 기원했다.
  • 고대 천문학 - 점성술과 천문학
    점성술과 천문학은 천체를 다루는 학문이지만, 천문학은 과학적 방법으로 우주를 연구하는 반면 점성술은 천체의 움직임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며, 과거에는 밀접한 관계였으나 과학 혁명 이후 분리되었고, 현대에는 문화 현상으로 간주되며 긍정적인 인식과 비판적인 시각이 공존한다.
  • 나바그라하 - 브리하스파티
    브리하스파티는 힌두교 신화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신이자 데바들의 스승으로, 천문학에서는 목성을 지칭하며, 힌두교 점성술에서 목요일에 숭배된다.
  • 나바그라하 - 부다
    힌두교 문헌에서 행성, 신, 인물로 등장하는 부다는 특히 수성을 지칭하며, 신화에서는 달의 신 소마와 타라의 아들로 힌두력과 점성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힌두 신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신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나바그라하
개요
종류점성학, 천문학
기원베다 시대
관련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구성 요소
행성수리야(태양)
찬드라(달)
망갈라(화성)
부다(수성)
브리하스파티(목성)
슈크라(금성)
샤니(토성)
라후
케투
설명
설명나바그라하(산스크리트어: नवग्रह)는 베다 점성술에서 사용되는 9개의 천체를 의미한다. '나바(नव)'는 '아홉'을, '그라하(ग्रह)'는 '행성', '잡는 자' 또는 '점령하는 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하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2. 구성

나바그라하는 9개의 천체와 그에 대응하는 신들로 구성된다. 각 천체는 특정한 성질, 상징, 요일, 보석 등과 연결된다.

나바그라하[1]
번호이름서양의 대응 천체요일
1수리야태양일요일
2찬드라월요일
3망갈라화성화요일
4부다수성수요일
5브리하스파티목성목요일
6슈크라금성금요일
7샤니토성토요일
8라후상승 월교점
9케투하강 월교점



남인도의 카르나틱 음악 작곡가 무쓰스와미 딕시타르(1776–1835)는 아홉 개의 ''그라하''를 찬양하는 나바그라하 크리티스를 작곡했다.[3]

당나라중앙아시아인도에서 유행하던 점성술 서적을 번역한 수요경에서는 몇몇 나바그라하의 한역을 다소 다르게 표기한다.[5]

2. 1. 수리야 (सूर्य, Sūrya)

수리야(सूर्य|Sūryasa)는 태양을 상징하며, 일요일을 관장한다. 나바그라하의 일원으로서, 금색을 띠며 루비와 연관된다. 남성으로 표현되며, 불의 원소를 대표하고 동쪽을 관장한다.[1] 수요경에서는 아니저야(阿你底耶)로 표기되기도 한다.[5]

수리야
속성내용
상징 천체태양
요일일요일
색상금색
보석루비
성별남성
원소
방위동쪽
계절여름
신체
금속
곡물



수리야

2. 2. 찬드라 (चंद्र, Candra) / 소마 (सोम, Soma)

Candra


찬드라(산스크리트어: चंद्र, Candra) 또는 소마(산스크리트어: सोम, Soma)는 을 상징하는 신으로, 월요일을 관장한다. 은색을 띠며, 진주와 연관되어 있다. 남성으로 표현되며, 물의 원소를 대표한다.[1]

찬드라와 소마는 서로 다른 신이지만, 달의 신으로서는 동일시된다.[5] 당나라중앙아시아인도에서 유행하던 점성술 서적을 번역한 수요경에서는 달을 소상마(蘇上摩)로 표기하기도 했다.[5]

나바그라하에서의 찬드라[1]
이름범자영어 (간이 표기)음차 표기의역천체색상보석성별원소방위계절요일신체금속곡물
찬드라 / 소마चंद्र / सोमsaCandra (Chandra) / Somasa전찰라 / 소마월요은색진주남성서북겨울월요일혈액


2. 3. 만가라 (मंगल, Maṅgala) / 앙가라카 (अङ्गारक, Aṅgāraka)

만갈라(मंगल, Maṅgala)는 화성을 상징하며, 화요일을 관장한다. 앙가라카(अङ्गारक, Aṅgāraka)라고도 불린다. 붉은색(적색)을 띠며, 산호와 연관된다. 남성으로 표현되며, 불의 원소를 대표하고 남쪽을 관장한다.[5]

만가라(मंगल, Maṅgala) / 앙가라카(अङ्गारक, Aṅgāraka)
범자영어(간이 표기)음차 표기의역해당 천체색상방위보석원소계절요일신체금속곡물
मंगल / अङ्गारकsaMaṅgala (Mangala) / Aṅgāraka (Angaraka)sa앙가라카화요의 별화성적색남성남쪽산호여름화요일골수구리병아리콩




2. 4. 부다 (बुध, Budha)

बुध|Budha|부다sa는 나바그라하 중 하나로 수성을 상징하며, 수요일을 관장한다. 녹색을 띠며, 에메랄드와 연관된다.[1] 남성으로 표현되며, 흙의 원소를 대표한다.[1]

나바그라하: 부다[1]
범자영어 (간이 표기)음차 표기의역천체색상보석원소방위계절요일신체금속곡물
बुधsaBudha (Budha)sa부다수요수성녹색에메랄드남성북쪽가을수요일피부아연녹두



부다

2. 5. 브리하스파티 (बृहस्पति, Bṛhaspati)

브리하스파티(बृहस्पति|Bṛhaspatisa)는 목성을 상징하는 신으로, 목요일을 관장한다. बृहस्पति|Bṛhaspatisa를 음차 표기하면 물리하사파저[5]이며, 의역하면 목요의 별이다.

브리하스파티


브리하스파티[1]
속성내용
산스크리트어 표기बृहस्पति|Bṛhaspatisa
음차 표기물리하사파저[5]
의역목요의 별
상징 천체목성
색상노란색
관련 보석옐로우 사파이어
성별남성
대표 원소아이테르
방위동북
계절겨울
요일목요일
신체대뇌
금속
곡물강낭콩


2. 6. 슈크라 (शुक्र, Śukra)

슈크라(शुक्र|Śukrasa)는 금성을 상징하며, 금요일을 관장한다. 힌두교의 경전인 나바그라하에 따르면, 백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다이아몬드와 연관된다.[1] 여성으로 표현되며, 물의 원소를 대표한다.[1]

슈크라(शुक्र)의 특징[1]
범자영어 표기의역천체색상보석원소방위계절요일
शुक्रsaŚukra (Shukra)sa금요의 별금성백색/노란색다이아몬드여성동남금요일


2. 7. 샤니 (शनि, Śani) / 샤나이슈챠라 (शनैश्चर, Śanaiścara)

샤니(शनि, Śani) 또는 샤나이슈챠라(शनैश्चर, Śanaiścara)는 토성을 상징하며, 토요일을 관장한다.[1] Śani (Shani)sa / Śanaiścara (Shanaishchara)sa로 표기하며, 한자로는 賖乃以室折囉(사내이실절라)로 음차 표기한다.[5] 흑색 또는 청색을 띠며, 블루 사파이어와 연관된다.[1] 양성으로 표현되며, 공기의 원소를 대표한다.[1]

샤니 / 샤나이슈챠라[1]
범자शनि / शनैश्चरsa
영어 표기Śani (Shani)sa / Śanaiścara (Shanaishchara)sa
음차 표기賖乃以室折囉 (사내이실절라)
상징 천체토성
색상흑색 / 청색
관련 보석블루 사파이어
성별양성
원소공기
방위서쪽
계절사계절
요일토요일
신체근육
금속
곡물참깨



샤니

2. 8. 라후 (राहु, Rāhu)

라후(राहु|Rāhusa)는 달의 승교점을 상징하는 신으로, 별도의 요일은 없다.[1]
라후
라후는 파란색을 띠며, 고메다라는 보석과 연관되어 있다.[1] 남성으로 표현되며, 공기의 원소를 대표한다.[1]

유해교반 신화에 따르면, 라후는 불로불사의 영약 암리타를 훔쳐 마셨다가 수리야찬드라의 고발로 비슈누에게 목이 잘렸다. 이때 암리타를 마신 머리 부분은 라후가 되고, 몸통은 케투가 되었다. 라후는 수리야와 찬드라를 삼키지만 몸체가 없어 곧바로 다시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일식월식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훗날 라후는 '장애가 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석가모니는 아들의 이름을 라훌라Rāhula|라훌라sa)라고 지었다고 한다.

2. 9. 케투 (केतु, Ketu)

केतु|Ketusa는 달의 강교점을 상징한다.[1] 회색을 띠며,[1] 크리소베릴을 보석으로 사용한다.[1] 양성으로 표현되며, 흙의 원소를 대표한다.[1]

일부 경전에서는 케투에 대해 달의 원지점, 혜성이나 유성이라는 다른 설을 취하기도 한다.[5]

케투


황도백도의 교점인 달의 교점에서 강교점이 케투이다. 케투는 샤니, 라후와 함께 흉조를 나타내는 별로서 남인도 사원에서 자주 섬겨진다. 달의 교점은 일식월식과 깊은 관련이 있어 신화화되었는데, 인도 신화브라만교 성전인 《베다》에 따르면 유해교반 때 불로불사의 영약 암리타를 훔쳐 마셨지만 태양수리야와 달의 신 찬드라에게 들켜 비슈누가 날린 수다르샨차크라에 목이 잘렸다. 이때 암리타를 마신 목은 라후가 되고, 몸통은 케투라는 별이 되었다.

나바그라하[1]
번호그림이름서양의 대응 천체요일
9케투하강 월교점


3. 인도 신화에서의 나바그라하

나바그라하의 신들 대부분은 인도 신화에 등장한다.[1] 수르야, 소마, 브리하스파티는 리그 베다를 비롯한 여러 성전에 보인다. 부다는 이라(이다가 주술로 여성화한 인물로 일라라고도 함)와의 사이에서 우르바시와의 연애 이야기로 알려진 푸루라바스를 낳았다. 무쓰스와미 딕시타르는 카르나틱 음악 작곡가로, 아홉 개의 ''그라하''를 찬양하는 나바그라하 크리티스를 작곡했다.[3]

나바그라하[1]
번호그림이름서양의 대응 천체요일
1.수르야태양일요일
2.찬드라월요일
3.망갈라화성화요일
4.부다수성수요일
5.브리하스파티목성목요일
6.
슈크라금성금요일
7.샤니토성토요일
8.라후상승 월교점
9.케투하강 월교점


3. 1. 수리야, 찬드라, 브리하스파티

수리야, 소마(찬드라), 브리하스파티는 리그 베다를 비롯한 여러 성전에 등장하는 오래된 신들이다.[1]

3. 2. 부다

부다는 이라(이다가 주술로 여성화한 인물로 이라라고도 함)와의 사이에서 우르바시와의 연애 이야기로 알려진 푸루라바스를 낳았다.

3. 3. 라후와 케투

달의 교점(황도백도의 교점)에서 승교점이 라후, 강교점이 케투이다. 샤니, 라후, 케투는 흉조를 나타내는 별로서 남인도의 사원(寺院)에서는 자주 섬겨진다. 유해교반 때 암리타를 훔쳐 마신 죄로 비슈누에 의해 몸이 둘로 나뉜 아수라였는데, 암리타를 마신 머리 부분은 불사의 라후가 되고, 몸통은 케투라는 별이 되었다. 라후는 수리야찬드라를 삼키지만 몸체가 없었기 때문에 곧바로 다시 수리야찬드라는 바깥으로 나왔고, 이것이 일식월식의 기원이 되었다.

훗날 라후(羅睺)는 '장애가 되는 것'이라는 의미가 되었고, 석가모니가 그 아들의 이름을 라후라(Rāhulasa)라고 붙였다고 한다.

4. 불교와 한국 전통 신앙에서의 나바그라하

나바그라하는 불교의 칠요, 구요 신앙과 결합하여 한국의 전통 신앙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천문학 연구와 민간 신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구요가 교통 안전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차문에 많이 사용되었다.[4] 구요는 칠요에 라후(羅睺)와 계도(計都)를 더한 아홉 별을 의미하며, 각 별은 특정한 여래와 대응된다.[4]

4. 1. 칠요와 구요

칠요(七曜)는 토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일곱 별, 즉 북두칠성을 의미하며, 토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다섯 별에서 오행설이 나타났다고 여겨진다.[4]

구요(九曜)는 칠요에 라후(羅睺)와 계도(計都)를 더한 아홉 별을 의미한다. 라후는 헤이안 시대신불습합 때 일식을 일으킨 스사노오와 결부되어 재앙을 일으키는 천체로 여겨졌다. 라후성을 모시는 경우에는 황번신으로서 도조신처럼 받들어졌다. 헤이안 시대에는 구요가 교통 안전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차문에 많이 사용되었다.[4] 구요만다라(九曜曼茶羅)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천체상징 여래
토요일성관음
수요일미륵
목요일약사
화요일허공장
금요일아미타
월요일세지
일요일천수관음
계도석가
라후부동명왕


4. 2. 도교와 민간 신앙

나바그라하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별자리 신앙과 결합하여 민간 신앙에서 숭배되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교통 안전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차문에 많이 사용되었다.[4]

라후성은 헤이안 시대신불습합 때 일식을 일으킨 스사노오와 결부되어 재앙을 일으키는 천체로 여겨졌다. 또한, 라후성을 모시는 경우에는 황번신으로서 도조신처럼 받들어졌다.

토요일부터 일요일은 "칠요"(북두칠성)라고 하며, 토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5개의 별에서 오행설이 나타났다고 여겨진다.[4]

5. 상징과 의미

나바그라하는 힌두교와 힌두 천문학에서 중요한 아홉 천체와 그 신격을 의미한다. 이들은 각각 특정한 상징과 의미를 지니며, 인간의 삶과 운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진다.

5. 1. 점성술적 의미

무쓰스와미 딕시타르는 남인도의 카르나틱 음악 작곡가로, 아홉 개의 ''그라하''를 찬양하는 나바그라하 크리티스를 작곡했다.[3] 각 노래는 아홉 행성 중 하나에 바치는 기도이다. 노래의 사히티야(가사)는 만트라와 조티샤 샤스트라에 대한 심오한 지식을 반영한다.

5. 2. 문화적 의미

무쓰스와미 딕시타르(1776–1835)는 남인도의 카르나틱 음악 작곡가로, 아홉 개의 ''그라하''를 찬양하는 나바그라하 크리티스를 작곡했다.[3] 각 노래는 아홉 행성 중 하나에 바치는 기도이다. 노래의 사히티야(가사)는 만트라와 조티샤 샤스트라에 대한 심오한 지식을 반영한다.

참조

[1]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 서적 Sanskrit-English Dictionary
[3] 웹사이트 Dikshitar: Navagraha http://www.medieval.[...] 2020-06-12
[4] 서적 家紋の事典 東京堂出版
[5] 웹인용 단락/경판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모바일 https://kabc.dongguk[...] 2022-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