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 독일의 상훈은 군사, 민사, 정치, 친위대, 돌격대, 항공군단, 청소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여되었다. 군사 훈장으로는 철십자장, 전공 십자장, 독일 십자장 등이 있었으며, 특정 전투나 작전에 참여한 군인에게는 종군장이 수여되었다. 민사 훈장으로는 독일 예술 과학 국가상, 독일 어머니 명예 십자장 등이 있었으며, 정치 훈장으로는 독일훈장, 황금당원휘장 등이 있었다. 이 외에도 친위대, 돌격대, 항공군단, 청소년단 관련 상훈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치 독일의 훈장 - 전상장 전상장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 제국에서 제정되어 부상 정도와 횟수에 따라 흑장, 은장, 금장으로 나뉘는 훈장으로, 독일 제국, 나치 독일, 서독 시기에 수여되었으며, 특히 나치 독일에서는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부상자에게 특별 전상장이 수여되기도 했다.
나치 독일의 훈장 - 1914년/1918년 세계대전 명예십자장 1914년/1918년 세계대전 명예십자장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및 전사자 유족에게 수여된 독일 훈장으로, 유진 고데가 디자인했으며 세 가지 종류가 있다.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Schwertern und Brillanten|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 미트 아이헨라우프 슈베르테른 운트 브릴란텐de은 1941년 9월 28일에 제정되었다.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중 특히 뛰어난 자에게 수여되었으며, 실질적인 최고 등급 군사 훈장으로 여겨졌다.[1] 총 27명이 이 훈장을 받았다.[1]
2. 2. 2.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und Schwertern|리터크로이체스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 미트 아이헨라우프 운트 슈베르테른de)은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중 특히 뛰어난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1941년 9월 28일에 제정되었으며, 총 160명(독일 159명, 일본 1명)이 수훈받았다.[3]
| '''(검)기사십자 전공십자장''' Ritterkreuz des Kriegsverdienstkreuz|리터크로이츠 데스 크리크스페르티엔슈트크로이츠de --
| 1939년 10월 18일
| 1급 전공십자장 수훈자 중 더욱 뛰어난 자에게 수여. 군인에게는 검이 추가.
| 118 (검) 137 (검 없음)[7]
|-
| '''독일십자장 은장''' Deutschen Kreuzes in Silber|도이첸 크로이체스 인 질버de
| 1941년 9월 28일
| 구호, 보급 등 비전투 분야에서 특출난 활약을 한 자에게 수여.
| 1,115
|-
| '''(검) 1급 전공십자장''' Kriegsverdienstkreuz I. Klassede ----
| 1939년 10월 18일
| 2급 전공십자장 수훈자 중 더욱 뛰어난 자에게 수여. 군인은 검이 추가.
|
|-
| '''(검) 2급 전공십자장''' Kriegsverdienstkreuz II. Klassede --
| 1939년 10월 18일
| 군인에게는 검이 추가. 검전공십자장은 뛰어난 활약을 보였으나 그 내용이 전투에 직접 관련이 없는 군인에게, 일반 전공십자장은 전쟁 수행에 큰 도움이 된 민간인에게 수여.
|
|-
| '''전공포장''' Kriegsverdienstmedaillede
| 1940년 8월 19일
| 2급 전공십자장의 하위 훈격.
| c. 4,900,000
|}
2. 3. 1. 독일십자장 금장
Deutschen Kreuzes in Gold|도이첸 크로이체스 인 골트de는 1941년 9월 28일에 제정되었으며, 여러 번 적에 맞서 용감히 싸운 자에게 수여되었다. 독일십자장 금장은 24,204개가 수여되었다.[7]
2. 3. 2. 1급 철십자장
'''1급 철십자장'''(Eisernes Kreuz 1. Klasse|아이제르네스 크로이츠 1. 클라세de)은 1939년 9월 1일에 제정되었으며, 2급 철십자장 수훈자 중 더욱 뛰어난 자에게 수여되었다. 대략 730,000개가 수여되었다.
2. 3. 3. 2급 철십자장
'''2급 철십자장''' (Eisernes Kreuz 2. Klasse|de)은 1939년 9월 1일에 제정되었으며, 용맹히 전투에 임하거나 부대를 뛰어나게 지휘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약 475만 개가 수여되었다.
2. 3. 4. 철십자보장
Spange zum Eisernen Kreuz|스팡겐 춤 아이제르넨 크로이츠de는 제1차 세계 대전 때 1914년형 철십자장을 받은 사람에게 수여되었다.[7]
2. 3. 5. 영예감장
Ehrenblattspange|에렌블라트슈팡게de는 1944년 1월 30일에 제정되었으며, 2급, 1급 철십자장을 모두 받았으나 기사십자 철십자장이나 독일십자장 금장을 받기에는 부족한 용맹을 보인 자에게 수여되었다.[7] 총 4,556명이 이 상을 받았다.
2. 3. 6. (검)기사십자 전공십자장
Ritterkreuz des Kriegsverdienstkreuzes|리터크로이츠 데스 크리크스페르딘스트크로이체스de라고 불리는 (검)기사십자 전공십자장은 1939년 10월 18일에 제정되었다. 1급 전공십자장 수훈자 중 더욱 뛰어난 자에게 수여되었으며, 군인에게는 검이 추가되었다. 검 기사십자 전공십자장은 118회, 검 없는 기사십자 전공십자장은 137회 수여되었다.[7]
2. 3. 7. 독일십자장 은장
Deutschen Kreuzes in Silber|도이첸 크로이체스 인 질버de
1941년 9월 28일에 제정되었으며, 구호, 보급 등 비전투 분야에서 특출한 활약을 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총 1,115개가 수여되었다.
2. 3. 8. (검) 1급 전공십자장
전공십자장 (Kriegsverdienstkreuz I. Klasse|크릭스페어디엔스트크로이츠 에르스터 클라세de)은 1939년 10월 18일에 제정되었으며, 2급 전공십자장 수훈자 중 더욱 뛰어난 자에게 수여되었다. 군인에게는 검이 추가되었다.[7]
2. 3. 9. (검) 2급 전공십자장
Kriegsverdienstkreuz II. Klassede 군인에게는 검이 추가되었다. 검 전공십자장은 뛰어난 활약을 보였으나 그 내용이 전투에 직접 관련이 없는 군인에게, 일반 전공십자장은 전쟁 수행에 큰 도움이 된 민간인에게 수여되었다.[7]
2. 3. 10. 전공포장
Kriegsverdienstmedaille|크릭스페르딘스트메달리에de
1940년 8월 19일에 제정되었다. 2급 전공십자장의 하위 훈격으로, 주로 전쟁 수행에 기여한 민간인에게 수여되었다. 약 490만 개가 수여되었다.
2. 4. 종군장
종군장은 특정 전투나 전역에 참여한 군인에게 수여되는 훈장이다. 나치 독일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종군장이 있었다.
Spanienkreuz|슈파이넨크로이츠de는 스페인 내전에 파병되어 군공을 세운 콘도르 군단 군인에게 수여된 나치 독일의 상훈이다. 1939년 4월 14일에 제정되었으며, 금강석금검장, 금장, 은검장, 동검장, 은장, 동장의 6개 등급이 있었다.
명칭
수여 횟수
금강석금검장
28
금장
1126
은검장
8304
동검장
8462
은장
327
동장
7869
스페인 십자장 은검장
스페인 십자장 은검장 리본
스페인 십자장
2. 4. 2. 1914년/1918년 세계대전 명예십자장
1934년7월 13일에 제정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에게 주어진 훈장이다.[2] 전투원에게는 십자에 검이 추가된 전선전투원 명예십자장(Ehrenkreuz für Frontkämpfer)이 수여되었다.[2] 비전투원에게는 검이 없는 참전자 명예십자장(Ehrenkreuz für Kriegsteilnehmer), 참전자 유가족에게는 검이 없는 유가족 명예십자장이 수여되었다.[2]
십자에 검이 추가된 전선전투원 명예십자장.
2. 4. 3. 1941년/42년 동부 전선 동계전투포장
Medaille „Winterschlacht im Osten 1941/42“|메다이레 빈터슐라흐트 임 오스텐 1941/42de
1941년에서 1942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대소련 공세에 종군한 자에게 수여되었다.[3] 3,000,000개 이상 수여되었다.
2. 4. 4. 독일서부방벽기장
지크프리트 선 축성을 기념하여 그 설계 및 건설에 관여한 군인, 민간인에게 수여되었다.[4] 1939년 8월 2일에 제정되었으며,[4] 총 800,000개가 수여되었다.[4]
독일서부방벽기장독일서부방벽기장
2. 4. 5. 1938년 3월 13일 기념포장
Die Medaille zur Erinnerung an den 13. März 1938|디 메달리에 추어 에어인네룽 안 덴 드라이첸텐 메르츠 1938de
1938년 3월 13일 기념포장은 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을 기념하는 나치 독일의 훈장이다. 이 훈장은 오스트리아 나치당의 성장에 기여한 오스트리아인, 오스트리아 진군에 참여한 국방군 및 SS 장교, 관료들에게 수여되었다.[5]
Medaille zur Erinnerung an die Heimkehr des Memellandes|메멜 반환기념포장de
1939년5월 1일클라이페다(독일 이름 메멜) 병합을 기념하여 제정되었다.[6] 이 기념장은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 합방과 주데텐란트 합병에 이어 마지막으로 평화적으로 획득한 영토를 기념하는 상훈이었다. 총 31,322개가 수여되었다.[6]
2. 4. 7. 1938년 10월 1일 기념포장
1938년 10월 1일 기념포장은 1938년 10월 18일에 제정된 기념 포장이다. 주데텐란트 합병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합병에 협조한 현지인 및 주데텐란트 진군에 참여한 장교, 관료들에게 수여되었다.[7] 1939년 보헤미아와 모라비아까지 합병하면서 프라하 성이 새겨진 보장이 이 훈장의 리본에 끼우는 형태로 추가되었다.[7]
명칭
제정일
수여 횟수
1938년 10월 1일 기념포장
1938년 10월 18일
기본: 1,162,617 보장: 134,563
2. 5. 근속상
근속상은 장기간 군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수여되었다.
국방군 근속상은 1936년3월 16일에 제정되었으며, 4년, 12년, 18년, 25년, 40년 근속자에게 수여되었다. 40년 근속상은 1939년3월 10일에 추가되었다.
친위대 근속상(SS-Dienstauszeichnungen)은 1938년1월 30일에 제정되었으며, 4년, 8년, 12년, 20년 근속상이 있었다.
2. 5. 1. 국방군 근속상
1936년3월 16일에 제정되었으며, 국방군에서 4년, 12년, 18년, 25년, 40년 근속한 군인에게 수여되었다. 40년 근속상은 1939년3월 10일에 도입되었다.
등급
설명
4급
4년 근속
3급
12년 근속
2급
18년 근속
1급
25년 근속
특급
40년 근속
독일 국방군 근속상 20년 근속 은장국방군 근속상 약장
2. 5. 2. 친위대 근속상
SS-Dienstauszeichnungende는 1938년 1월 30일에 제정되었다. 4년, 8년, 12년, 20년 근속상이 존재했다.[1]
국방군 근속 무공 훈장 (육군, 해군, 공군에 수여)
SS 근속 훈장
-- --
-- --
[1]
2. 6. 순장
순장(Shield)은 특정 전투나 포위전에서 용감하게 싸운 군인들에게 수여되었다.[7]
나르비크 순장, 1940
크림 순장, 1941–1942
홀름 순장, 1942
데먄스크 순장, 1942
쿠반 순장, 1943
바르샤바 순장, 1944
라플란드 순장, 1944–1945
나르비크 순장은 1940년 나르비크 전투에 참여한 장병들에게 수여되었다.
크림 순장은 1941년에서 1942년 사이 크림반도를 함락시킨 에리히 폰 만슈타인 휘하 제11군 장병들에게 수여되었다.
부상 회수에 따라 2회 이상은 흑장, 3-4회는 은장, 5회 이상은 금장 수여. 금장은 사후 수훈 가능.[7]
2. 7. 1. 보병돌격휘장
'''보병돌격휘장'''(Infanterie-Sturmabzeichen|인판테리 슈투르맙차이헨de)은 1940년 12월 20일(은장)과 1940년 6월 1일(동장)에 제정되었다. 비기계화 보병 또는 산악엽병으로서 돌격 전투에 동원되어 3일 이상 전방 근무한 자에게 연대급에서 수여되었다.[7]
2. 7. 2. 일반돌격휘장
'''일반돌격휘장'''(Allgemeines Sturmabzeichen|알게마이네스 슈투르맙차이헨de)은 1940년 6월 1일에 제정되었다. 보병돌격휘장 수훈 대상이 아닌 자 중에서 보병돌격전에 동원된 병사에게 수여되었다.[7]
2. 7. 3. 근접전기장
Nahkampfspange|나캄프슈팡게de는 근접 백병전에서 승리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백병전 승리 경험 횟수에 따라 등급이 구분되었는데, 15회 이상은 동장, 25회 이상은 은장, 50회 이상은 금장을 수여했다.[8] 수여된 금장은 631개, 은장은 9,500개, 동장은 36,400개였다.
2. 7. 4. 전차전휘장
Panzerkampfabzeichen|판처캄팝차이헨de은 1939년 12월 20일에 제정되었으며, 약 34,500개가 수여되었다.[7]
2. 7. 5. 육군대공포휘장
Heeres-Flak Abzeichen|de
1941년 7월 18일에 제정되었다.
2. 7. 6. 토비전휘장
Bandenkampfabzeichen|반덴캄프압차이헨de은 1944년 1월 30일에 제정되었다.[7]대분란전, 소위 토비전에 기여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토비전 종군 20일 이상은 동장, 50일 이상은 은장, 150일 이상은 금장으로 3개 등급이 있었다.[7]
2. 7. 7. 기구관측병휘장
Ballonbeobachterabzeichen|발론베옵아흐터압차이헨de
1944년 7월 8일에 제정되었으며, 가스기구 또는 비행선을 타고 300피트 이상 고도를 비행한 자에게 수여되었다.[7]
2. 7. 8. 저격병휘장
'''저격병휘장'''(Scharfschützenabzeichen|샤르프쉬첸압차이헨de)은 저격수에게 수여되는 휘장이다.[7] 사살 기록에 따라 등급이 구분되었으며, 20명 이상 사살 시 일반장(3급), 40명 이상은 은장(2급), 60명 이상은 금장(1급)을 수여했다.[7] 1944년 8월 20일에 제정되었다.[7]
2. 7. 9. 전상장
'''전상장'''(Verwundetenabzeichen|de)은 전투 중 부상당한 군인에게 수여되었으며, 부상 횟수에 따라 등급이 구분되었다. 2회 이상 부상은 흑장, 3-4회 부상은 은장, 5회 이상 부상은 금장이 수여되었으며, 금장은 사망 후에도 수여될 수 있었다.[7] 대략 500만 개가 수여되었다.
2. 8. 해군 휘장
해군 휘장은 특정 함종이나 특수 임무를 수행한 해군 군인에게 수여되었다. 주요 휘장은 다음과 같다.[1][2][3][4]
휘장
명칭
제정일
수여 대상
100px
함대전쟁휘장 (Flottenkriegsabzeichende)
1941년 4월
전함 또는 순양함에서 12주 이상 복무
100px
구축함전쟁휘장 (Zerstörerkriegsabzeichende)
1940년 6월 4일
구축함 승조원으로서 부상, 침몰 후 생존, 3회 이상 교전, 12회 이상 출격
100px
소해구잠정전쟁휘장 (Kriegsabzeichen für Minensuch-, U-Boot-Jagd- und Sicherungsverbändede)
1940년 8월 31일
소해, 구잠 등의 임무 수행
100px
봉쇄돌파선휘장 (Abzeichen für Blockadebrecherde)
1941년 4월 1일
봉쇄 돌파 임무 수행
100px
고속정전쟁휘장 (Schnellbootkriegsabzeichende)
1941년 5월 30일
100px
잠수정전쟁휘장 (U-Boot-Kriegsabzeichende)
1939년 10월 13일
100px
보조순양함전쟁휘장 (Kriegsabzeichen für Hilfskreuzerde)
1941년 4월 24일
보조순양함 승조원
100px
해군포병전쟁휘장 (Kriegsabzeichen für die Marineartilleriede)
1941년 6월 24일
잠수정전선기장 (U-Boot-Frontspangede)
1944년 5월 15일
--
해군전선기장 (Marine-Frontspangede)
1944년 11월 19일
2. 8. 1. 함대전쟁휘장
'''함대전쟁휘장'''(Flottenkriegsabzeichende)은 1941년 4월에 제정되었으며, 전함 또는 순양함에서 12주 이상 복무한 사람에게 수여되었다.[1]
2. 8. 2. 구축함전쟁휘장
구축함 승조원으로서 부상을 입거나, 배가 침몰했는데도 생존했거나, 3회 이상 교전에 참여하거나, 12회 이상 출격한 자에게 수여되었다.[2]
2. 8. 3. 소해구잠정전쟁휘장
Kriegsabzeichen für Minensuch-, U-Boot-Jagd- und Sicherungsverbändede
1940년 8월 31일에 제정되었다. 소해, 구잠 등의 임무를 수행한 해군에게 수여되었다.[3]
2. 8. 4. 봉쇄돌파선휘장
'''봉쇄돌파선휘장'''(Abzeichen für Blockadebrecherde)은 1941년 4월 1일에 제정되었다.[4] 봉쇄 돌파 임무를 수행한 해군에게 수여되었다.
2. 8. 5. 고속정전쟁휘장
Schnellbootkriegsabzeichende
1941년 5월 30일에 제정되었다.
2. 8. 6. 잠수정전쟁휘장
'''잠수정전쟁휘장'''(U-Boot-Kriegsabzeichende)은 1939년 10월 13일에 제정되었다.
2. 8. 7. 보조순양함전쟁휘장
'''보조순양함전쟁휘장'''(Kriegsabzeichen für Hilfskreuzerde)은 1941년 4월 24일에 제정된 휘장으로, 보조순양함 승조원에게 수여되었다.
2. 8. 8. 해군포병전쟁휘장
Kriegsabzeichen für die Marineartilleriede 1941년 6월 24일에 제정되었다.
2. 8. 9. 잠수정전선기장
U-Boot-Frontspangede는 1944년 5월 15일에 제정되었다.
2. 8. 10. 해군전선기장
Marine-Frontspangede는 1944년 11월 19일에 제정된 나치 독일의 해군 훈장이다.
| 1급 철십자장을 받았으나 독일십자장이나 기사십자 철십자장에는 미치지 못하는 공군 장병에게 수여. 1944년 공군영예감장으로 대체.[7] 서류상: 58,000, 실제: 약 15,000
|}
2. 9. 1. 항공기지도자관측사휘장
항공기지도자관측사휘장
'''항공기지도자관측사휘장'''(Flugzeugführer- und Beobachterabzeichende)은 1936년 3월 26일에 제정되었다. 조종사휘장과 관측사휘장을 이미 수여받은 이들에게 수여되었다. 업그레이드판으로 황금금강석항공기지도자관측사통합휘장(Gemeinsame Flugzeugführer- und Beobachterabzeichen in Gold mit Brillantende)이 있다.
2. 9. 2. 조종사휘장
조종사휘장
조종사휘장은 1935년 8월 12일에 제정되었으며, 비행훈련을 마치고 비행 자격을 얻은 조종사에게 수여되었다.[7]
2. 9. 3. 강하사격병휘장
'''강하사격병휘장'''(Fallschirmschützenabzeichen|de)은 1936년 11월 5일에 제정되었으며, 공수 낙하를 6회 이상 수행한 사람에게 수여되었다.
2. 9. 4. 공군대공포전휘장
공군대공포전휘장
'''공군대공포전휘장'''(Flak-Kampfabzeichen der Luftwaffe|de)은 1941년 1월 10일에 제정되었으며, 적의 공습을 방어하는 데 공헌한 대공포대 포대원에게 수여되었다.[7]
2. 9. 5. 공군지상전휘장
Erdkampfabzeichen der Luftwaffede
1942년 3월 31일에 제정되었다. 육상전에서 공을 세운 공군 장병에게 수여되었다. 작전 참여 횟수에 따라 등급이 구분되었는데, 25회 이상은 2등장, 50회 이상은 3등장, 75회 이상은 4등장, 100회 이상은 5등장을 수여했다.[7]
2. 9. 6. 관측사휘장
Beobachterabzeichende
1935년 1월 19일에 제정되었다. 관측사, 항법사 또는 포격사 보직으로서 2개월 훈련을 수료하고 5회 이상 작전 비행에 참여한 자에게 수여되었다.[7]
1935년에 제정되었다. 통신사, 항공기보호사(기총사) 또는 기관사 보직으로서 2개월 훈련을 수료하고 5회 이상 작전 비행에 참여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2. 9. 9. 항공기념휘장
Flieger-Erinnerungsabzeichende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4년 이상 항공기에 탑승했거나 15년 의무 복무 후 명예 전역한 자, 비행 사고로 불구가 된 자, 사고로 사망한 자의 유족에게 1936년 3월 26일에 수여되었다.
2. 9. 10. 항공승무원휘장
Fliegerschaftsabzeichende
1935년 1월 19일에 제정되었으며, 독일공중체육협회 회원에게 수여되었다.[7]
2. 9. 11. 기총사기관사휘장(기총사휘장)
Fliegerschützenabzeichen für Bordschützen und Bordmechanikerde 1942년에 제정되었다.
2. 9. 12. 전선비행기장
Frontflugspangede
1941년 1월 30일에 제정되었으며, 비행 임무 횟수에 따라 동장(20회 이상), 은장(60회 이상), 금장(110회 이상)이 수여되었다. 주간전투기, 야간전투기, 장거리전투기, 중전투기, 공격기, 폭격기, 정찰기, 수송기 등 종류별로 다른 기장이 존재했다.[7]
2. 9. 13. 공군영예배
Ehrenpokal der Luftwaffede
1940년 2월 27일에 제정되었다.[7] 철십자장 1급을 받았으나 독일십자장 또는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여에는 미치지 못하는 공훈을 세운 공군 장병에게 수여되었다. 1944년에 공군영예감장으로 대체되었다.[7] 서류상으로는 58,000개가 수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약 15,000개 정도가 수여된 것으로 추정된다.
2. 10. 외인부대장
외인부대장은 나치 독일에 협력한 외국인 부대원에게 수여되었다. 대표적으로 스페인 반공의용병 기념포장, 동방민족 용맹공로표창, 샬부르크 십자장 등이 있다.[5]
2. 10. 1. 스페인 반공의용병 기념포장(청색사단포장)
100px
'''스페인 반공의용병 기념포장'''(Erinnerungsmedaille für die spanischen Freiwilligen im Kampf gegen den Bolschewismusde)은 1944년 1월 3일에 제정되었으며, 동부 전선에 종군한 스페인인 외인부대(청색사단) 장병에게 인식용으로 수여되었다.[5]
2. 10. 2. 동방민족 용맹공로표창
동방민족 용맹공로표창 2급 은검장
'''동방민족 용맹공로표창'''(Tapferkeits- und Verdienstauszeichnung für Angehörige der Ostvölkerde)은 1942년 7월 14일에 제정되었다. 이 표창은 구소련 지역 출신자로서 나치 독일군에 가담해 군사 또는 준군사 활동을 한 자에게 수여되었다.[5] 1급 금장, 1급 은장, 2급 금장, 2급 은장, 2급 동장의 5개 등급이 있었으며, 용맹장은 검이 들어가고 공로장은 들어가지 않는다. 사진은 2급 은검장이다. 약 7,000개가 수여되었다.
Kosakenkreuz des 5. Don-Kosaken-Reiter-Regimentsde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한국어 및 영어 문서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2. 10. 5. 제12시베리아 카자크연대 십자장
Kosakenkreuz des XII. Sibirisches Kosaken-Regimentde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한국어 및 영어 문서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3. 민사 훈장
금장
프리츠 토트 박사 명예장 은장
프리츠 토트 박사 명예장 철장
1936년 독일 올림픽 대회 명예장 1급
1936년 독일 올림픽 대회 명예장 2급
독일 어머니 명예 십자장 금장
독일 어머니 명예 십자장 은장
독일 어머니 명예 십자장 동장
방공 명예장 1급
방공 명예장 2급
방화 명예장 1급
방화 명예장 2급
3. 1. 청년장
청년장은 청소년들의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수여된 훈장으로 보이나, 구체적인 내용은 한국어 문서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3. 2. 체육장
(내용 없음)
3. 3. 문민장
colspan="5" |
3. 4. 노동장
(노동장 관련 내용 없음)
3. 5. 적십자장
(내용 없음)
3. 6. 외교장
나치 독일 시기 외교 분야에서 특별한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된 훈장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내용은 한국어 문서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4. 정치 상훈
정치 상훈은 나치당 및 관련 조직에 대한 공헌을 기준으로 수여되었다.
나치당의 권력 장악 직후인 1933년 4월 7일, 칭호 훈장법이 제정되어 국가대리관(Reichsstatthalter)이나 주 정부에 의해 훈장이나 칭호를 수여하는 것이 인정되었다.[6] 1937년 개정된 칭호 훈장법에 의해 훈장 및 칭호 수여 권한은 총통에게 독점적으로 인정되었다.[6] 나치 시대에는 나치즘의 견해에 기초한 훈장과 칭호가 다수 창설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다수의 전공 훈장이 설립되었다.
독일 제국 시대에는 독일 황제가 아닌 각 방백에 의해 지위나 전공에 따른 훈장이 수여되었으며, 철십자 훈장 등의 전공 훈장도 독일 황제로서의 자격이 아닌, 프로이센 국왕이자 제국군의 총사령관으로서의 지위에서 수여되었다.[5]바이마르 헌법 제109조는 영전이나 훈장 수여, 국민이 외국으로부터 수훈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제175조의 규정에 의해 제1차 세계 대전의 전공에 관한 것은 수여를 인정했고, 철십자 훈장과 상이군인 훈장에 대해서는 잠시 수여가 이루어졌지만, 1925년 3월 7일의 통달에 의해 금지되었다.[5]
독일의 패배 후, 각지의 점령군은 군사적인 것과 나치즘에 기초한 훈장의 패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1949년 9월 21일의 연합국 고등판무관 회의법 7호에 의해 이 조치는 철회되었지만, 실제로는 제국 시대의 것을 포함한 훈장의 패용 금지는 계속되었다.[7]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은 훈장이나 칭호의 수여를 금지하지 않았지만, 나치 시대의 칭호 훈장법이 유효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1953년 5월 13일의 연방 내무 장관의 통달에 의해, 외국으로부터의 수여에 대한 규정과, 벌칙의 규정만이 유효하게 되었고, 그 밖의 규정은 무효로 되었다.[8] 1956년 6월 21일, 연방 정부는 칭호 훈장 법안을 제출했다. 연방 의회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의 훈장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전공 훈장에 대해서는 존속을 인정하고, 나치즘의 견해에 의한 훈장에 대해서는 폐지·패용을 금지했다.[8] 존속하는 훈장에 대해서도 나치 시대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는 제거해야 하지만, 독일 제국 시대의 상징인 흑·백·적 리본에 대해서는 존속을 결정했다.[8] 이 법은 ordensgesetz|훈장법de이라는 이름으로 1957년 7월 26일에 시행되었다.
4. 1.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나치당) 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상
이미지
명칭
제정일
설명
수훈자 수
100px
독일훈장 Deutscher Orden|도이체 오르덴de
1942년 2월 12일
국가와 당을 위해 최고 수준의 의무에 헌신한 자에게 수여. 거의 대부분 사후 추서.
12
100px100px
1923년 11월 9일 기념포장 Medaille zur Erinnerung an den 9. November 1923de
1934년 3월
뮌헨 폭동 기념장. 1932년 1월 이전부터 나치 당원이었거나 뮌헨 폭동 당시 나치 폭도 측에 가담했던 이들에게 수여.
100px100px
황금당원휘장 Goldenes Parteiabzeichende
1933년 10월
나치 당원번호 1번-100,000번, 즉 당원 등록 선착순 100,000 명에게 수여[7]
나치 독일은 나치당과 국가에 공헌한 이들에게 수여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상훈을 제정했다. 주요 상훈으로는 독일훈장, 1923년 11월 9일 기념포장(피의 훈장), 황금당원휘장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명예장과 배지들이 있었다.
4. 1. 1. 독일훈장
'''독일훈장'''(Deutscher Orden|도이체 오르덴de)은 1942년 2월 12일에 제정되었으며, 국가와 당을 위해 최고 수준으로 헌신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거의 대부분 사후 추서였다.[7]
4. 1. 2. 1923년 11월 9일 기념포장(피의 훈장)
1923년 11월 9일 기념포장(Medaille zur Erinnerung an den 9. November 1923de)은 뮌헨 폭동 기념장으로, 1934년 3월에 제정되었다. 1932년 1월 이전부터 나치 당원이었거나 뮌헨 폭동 당시 나치 폭도 측에 가담했던 이들에게 수여되었다.[7]
4. 1. 3. 황금당원휘장
Goldenes Parteiabzeichende
1933년 10월에 제정되었다. 나치당 당원번호 1번-100,000번까지, 즉 당원 등록 선착순 100,000 명에게 수여되었다.[7]
4. 2. 친위대·경찰 상
친위대와 경찰에게 수여되는 상에 대한 내용은 한국어 문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다.
4. 3. 돌격대 상
돌격대(SA) 대원에게 수여되는 상이었으나,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 문서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4. 4. 항공군단 상
(내용 없음)
4. 5. 청소년단 상
wikitext
상
설명
제정일
비고
--
히틀러 유겐트 숙련 휘장
?
참조
[1]
웹사이트
Dienstvorschriften Nr. 14/97. Bezug: Anzugordnung für die Soldaten der Bundeswehr. ZDv 37/10. (Juli 1996).
http://doczz.com.br/[...]
German Federal regulation
2019-09-06
[2]
웹사이트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Gesetz über Titel, Orden und Ehrenzeichen, 26.7.1957. Bundesgesetzblatt Teil III, Gliederungsnummer 1132-1
http://bundesrecht.j[...]
German Federal law
2019-09-06
[3]
서적
Orders, medals, and decorations of Britain and Europe in colour
Blandford Press
1970
[4]
문서
[5]
서적
Auszeichnungen des Deutschen Reiches. 1936–1945.
Motorbuch, Stuttgart
2002
[6]
문서
[7]
서적
For Führer and Fatherland: Military Awards of the Third Reich
R. James Bender Publishing
1987
[8]
서적
Ritterkreuzträger mit Nahkampfspange in Gold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